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치료에서 멘델손 방법과 전기자극 치료의 효과 비교

        이수정,김세연 대한연하재활학회 2010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2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인해 인두 근육 약화를 주소로 하는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임상에서 인 두 근육 강화를 위해 주로 적용되는 멘델손 방법과 전기 자극치료의 효과를 비교하고,이를 통해 효과적인 연하장애 의 치료 방법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및 연하장애 치료를 위해 입원 중인 환자 1인으로 하였 다.본 연구는 개별사례 연구방법(single-subjectexperimentalresearchdesign)중에서 동시 중재 교차 연구 (alternatingtreatmentsdesign)를 이용하였다.본 연구에서는 멘델손 방법과 전기 자극 치료를 무작위적인 방 법으로 순서를 정한 후 오전과 오후로 교차하여 각 30분씩 적용하였으며 기초선을 포함하여 총 23회기 실시 하였다.각 치료 회기마다 GUSS를 이용하여 환자의 연하 능력을 평가하였으며,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한 비 디오 투시검사는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를 이용하여 연하기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기초선 기간과 치료 기간에 GUSS점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멘델손 방법과 전기자극 치료와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VFS점수는 치료 전보다 향상되었다. 결론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멘델손 방법과 전기자극 치료는 연하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그러나 두 치료 방법 간의 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앞으로는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 고 장기간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의사소통 장애아동 특성을 고려한 언어 중심 심리 운동 실재와 중재 이론을 위한 제언

        박석원,조여진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위한 다양한 치료 방법이 제시되어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이는 아동의 자유로운 생각 및 행동을 일정부분 통제하면서 특정 치료 방법 시스템 내에 아동이 귀속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는 바, 아동의 자유로운 놀이를 기반으로 하고, 놀이과정에 필요한 사고 및 행동을 위한 의사소통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역량이 자연스럽게 증대될 수 있다는 밀접한 상호 연관성을 확인하여, 언어중심 심리 운동, 즉, 심리 운동에 언어치료법을 접목한 방법과 그 효과를 증대할 중재이론 방향성을 정립함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리운동 과정에 언어치료 방법을 각각 접목한 신체경험에서의 언어치료 방법, 물질경험에서 언어치료 방법, 사회 경험에서의 언어치료 방법 적용 실재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신체경험에서의 언어치료방법의 경우, 몸을 중심으로 한 놀이를 활용하여 긍정적인 상황을 조성하고 이 안에서 자율적인 언어적 행위가 증가할 방안을 제시했다. 둘째, 물질경험에서 언어치료 방법의 경우, 아주 작은 것부터 규모가 큰 물질을 이용, 일반화의 원리를 통해 다양한 놀이 상황에서 자발적인 언어습득이 확장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셋째, 사회경험에서의 언어치료 방법의 경우, 3 ~ 4명이 집단을 구성, 역할놀이를 수행하면서 각 역할에 적합한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과 역할을 바꾸어가며 이를 수행하여 외부세계와의 통합과정을 성취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중재 이론 개발에 있어 다음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첫째, 의사소통 장애아동들의 장애 정도는 각각 다르므로, 집단적 치료를 지향하는 언어 중심 심리 운동에서 이러한 차이가 십분 고려되어야 함과, 둘째, 이들은 언어 중심 심리 운동에서 제시한 활동을 원만히 수행할 능동성과 적극성이 부족하므로 워밍업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능동성, 적극성을 촉진할 추가적인 심리 운동 사전단계 구축이 필요하며, 셋째, 의사소통 장애아동 특성상 상기 활동을 전개하면서 다소 산만해지므로, 이를 위한 치료사의 효과적인 개입과 통제 방법이 별도로 요구되며, 그 방법으로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가장 큰 상처인 좌절감 만회에 역점을 두고 점차적 접근법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 넷째, 심리 운동을 활용한 언어치료가 여타 특수치료, 언어치료와 더 차별화되기 위해선 자율성을 극대화하는 신체 경험, 각 아동의 성향과 취향에 맞춤화된 물질 경험 그리고 때로는 각 아동 성향과 선호에 반하는 구성원 조직과 협동 놀이 주제 설정을 통한 인내력, 내면화 극대화를 통한 전인적 발달 추구, 다섯째, 언어 중심 심리 운동이 어느 정도 완성되면 일반 심리 운동으로 단계적으로 이전하여 온전한 전인적 발달 형성 추구를 제안했다.

      • KCI등재

        문학치료연구에서 양적연구방법론의 적용방안

        안세윤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9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연구에서 양적연구방법론의 적용을 위한 방안과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양적 연구의 유형 및 적용을 위한 방법론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로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 인식론적 접근방법에 따른 분류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연구방법에 따른 분류로 실험 연구와 준실험 연구, 자료 수집 시점에 따른 분류로 종단적 연구와 횡단적 연구, 가설검증 여부에 따른 분류로 탐색적 연구와 확인적 연구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양적연구방법들을 문학치료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고려사항으로 양적연구방법에 적합한 연구 주제와 문제의 탐색, 변인의 측정방법, 자료수집 방법, 표집방법, 통계 분석 능력, 연구윤리 준수가 필요하며, 더불어 문학치료 자체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이 연구주제와 연구방법론을 탐색을 통해 적용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문학치료적 개입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개발 및 평가할 수 있고, 연구 규모 확장 및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양적연구방법이 문학치료 과정의 적용과 그 활용을 돕기 위한 수단으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measures and needs for the applic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in literary therapy research.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explains the type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methodology for its application. Thus, basic and applied resear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e.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epistemological approache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studies,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stud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ime of data collectio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studies were presented as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hypothesis was verified. As a general consideration for applying these variou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literary therapy research, the exploration of research topics and problems suitable for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measurement methods of variables, data collection methods, sampling methods, statistical analysis ability, and compliance with research ethics are required, in addi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therapy itself, it is necessary for researchers to explore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ologies to find ways to apply them.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objective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literary therapeutic interventio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can be developed and evaluated, and they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spread of research.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ill be used as a means to help apply and utilize the literary treatment process.

      • KCI등재

        한국인 후두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과정 및 내용에 관한 분석(1998∼1999년도)

        정웅기(Woong-Ki Chung),김일한(Il Han Kim),윤미선(Mee Sun Yoon),안성자(Sung-Ja Ahn),남택근(Taek-Keun Nam),송주영(Ju-Young Song),정재욱(Jae-Uk Chung),나병식(Byung-Sik Nah),나준규(Joon-Kyoo Lee),우홍균(Hong Gyun Wu),이창걸(Chang Geol L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4

        목 적: 한국인 후두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과정 및 방법(patterns of care)을 조사하고 병원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국의 23개 병원에서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년간 후두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37명(성문암, 144명; 성문상부암, 93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및 종양 특성, 진단방법, 치료방법의 선택, 방사선치료의 내용, 부작용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방사선치료의 내용에 관해서는 1998년도 연간 신환 발생수를 기준으로 참여병원을 A군(900명 이상), B군(400명 이상, 900명 미만) 및 C군(400명 미만)으로 나누어 차이 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의 연령분포는 25∼88세(중앙값, 62세)였고 남자가 216명(91.1%)이었다. 임상적 병기는 성문암의 경우 I기 61.8%, II기 21.5%, III기 4.2%, IVa기 11.1%, IVb기 1.4%, 성문상부암은 I기 4.3%, II기 19.4%, III기 28.0%, IVa기 43.0%, IVb기 5.4%로 나타났다. 병기에 따른 치료방법의 선택, 방사선치료범위, 원발부위 방사선량에 있어서 병원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모의치료방법에서 선량계산방법, 방사선에너지, 조사면배열, 고정기구사용여부에서 병원군간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결 론: 우리나라 후두암 환자의 방사선치료는 모의치료방법에서 병원군 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일정하게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방사선치료 표준화의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are patterns for radiation therapy and to determine inter-hospital differences for patients with laryngeal carcinoma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37 cases of laryngeal carcinoma (glottis, 144; supraglottis, 93) assembled from 23 hospitals, who underwent irradiation in the year of 1998 and 1999,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o investigate inter-hospital differences with respect to radiotherapy treatment. We grouped the 23 hospitals based on the number of new patients annually irradiated in 1998; and designated them as group A (≥900 patients), group B (≥400 patients and <900 patients), and group C (<400 patients).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237 patients was 62 years (range, 25 to 88 years), of which 216 were male and 21 were female. The clinical stages were distributed as follows: for glottis cancer, I; 61.8%, II; 21.5%, III; 4.2%, IVa; 11.1%, IVb; 1.4%, and in supraglottic cancer, I; 4.3%, II; 19.4%, III; 28.0%, IVa; 43.0%, IVb; 5.4%, respectively.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3 groups with respect to the dose calculation method, radiation energy, field arrangement, and use of an immobilization devic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hospital groups was observed with respect to treatment modality, irradiation volume, and median total dose delivered to the primary sit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radiotherapy process and patterns of care are relatively uniform in laryngeal cancer patients in Korean hospitals, and we hope this nationwide data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standardization of 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laryngeal cancer.

      • KCI등재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심미랑,윤여강,최재식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圓光法學 Vol.35 No.1

        인체의 치료 및 진단방법은 일반 공중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정도 자유로운 사용이 허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체의 치료 및 진단방법은 바이오·의료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바이오·의료 산업의 혁신촉진을 위해서는 특허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인체의 치료 및 진단방법에 대하여 각국의 특허부여에 대한 방식은 크게 3가지의 형태로 나타난다. (1)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없다고 하여 특허의 보호대상에서 제외하거나, (2) 불특허 사유로 규정하거나, (3) 특허를 허용하되 일정한 경우 특허권의 효력이 제한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체의 치료방법 및 의사의 임상적 판단을 포함하는 진단방법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보아 특허를 부여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 의료산업이 매우 큰 산업임에도 의료산업은 산업이 아니라고 하여 특허를 허여하지 않는 것은 무리한 논리이다. 그리고 최근 한국에서 실질적으로 치료방법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의약품의 투여용법 및 투여용량에 대한 용도발명의 인정으로 의사의 치료행위가 특허권의 침해로 해석될 여지도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명확하게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특허권의 효력이 제한된다고 하는 명문 규정을 신설하고 인체의 치료방법 및 진단방법에 대하여는 특허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허권의 효력을 제한하는 방식에는 특허법 제96조에 특허권의 효력 제한 사유에 포함하는 방식과, 특허법 제126조에 따른 금지청구권과 특허법 제128조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을 모두 인정해 주지 않아 소추를 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 및 금지청구는 인정하지 않고 손해배상청구권만을 인정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의료인의 의료기술의 실시에 대해서는 실시권이 인정될 수 있도록 관련법령에 미리 규정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구별의 실익은 의사 의료행위에 대해 보상금 또는 실시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지 여부에 있다. 일반 수요자의 금전적인 부담의 증가를 고려했을 때 특허법 제96조에 특허권의 효력 제한사유에 인체의 치료방법 및 진단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으로 생각된다.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하여 특허권의 효력제한 사유를 추가하는 경우, 인체에 대한 치료방법 및 진단방법에 대하여 특허를 부여하는 경우 예상되는 논란 및 투여방법 및 투여용량을 한정한 용도발명의 권리범위가 의사의 의료행위에 미치는지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고 바이오·의료산업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문치료 패러다임

        이영의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6 No.1

        Humanities therapy is an interdisciplinary study which has the aim of preventing and curing the problems related to mind, i.e., the disease of mind, in order to secur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Because humanities therapy is a new-born discipline, it has to fulfill many academic components, especially the identity, and metho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uggest an outline of humanities therapy paradigm. To do so, I shall discuss a way of securing the identity of humanities therapy and then of finding its basic components and methods. The identity of humanities therapy is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ose fields such as medical therapy, psychological therapy, and religious therapy which are related closely to humanities therapy. After discussing the identity problem, I shall suggest an outline of basic components of humanities therapy by using the Kuhn's notion of paradigm. 인문치료학은 마음과 관련된 문제들을 예방하고 치유하여 정신적 건강과 행복을 확보하기 위해 인문학 및 관련 분야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이론과 방법을 개발하는 분야이다. 신생 연구 분야로서 인문치료학이 학으로서의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학문적 요소들을 구비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인문치료의 정체성, 목적, 방법 등이 규명되어야 한다. 이 글의 목적은 인문치료 패러다임의 윤곽을 제시함으로써 그러한 요청에 대답하는 데 있다. 우선 이 글은 인문치료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방식을 검토하고 이어서 인문치료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와 방법을 검토할 것이다. 인문치료의 정체성은 의학치료, 심리치료, 종교치료와 같은 인문치료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분야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된다. 인문치료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방식을 논의한 이후에 과학 방법론에서 제시된 쿤의 패러다임 개념을 이용하여 인문치료 방법을 구성하는 요소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 KCI등재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체계와 문학교육과의 소통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8 No.-

        이 연구는 문학치료 연구 및 교육의 체계를 제안하기 위해 국어교육학이 학문적 정체성을 모색하고, 연구와 교육의 체계를 정립한 과정을 참조하였다. 두 학문 분야는 순수학문이자 응용학문이며, 내용학문이자 방법학문이고, 이론학문이자 실천학문이라는 공통적 성격을 지니며, 인간학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바람직한 변화를 계획적으로 도모하려는 목표를 공유한다. 이러한 유사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어교육학이 학문 체계 정립을 위해 거쳐 간 경로들을 추체험해하면서 개념을 검토하고, 학문적 목표와 대상을 확정하며, 연구의 내용과 영역을 분명하게 설정하려 하였다. 먼저 개념과 관련해 논하자면, 문학치료학은 인간 내면의 문학을 문학작품을 매개로 치료하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정리 ①>)으로, ‘문학’이 문학치료학의 성격을 규정하는 한편(<정리 ②>, ‘치료’의 시각이 문학 연구의 성격을 규정한다.(<정리 ③>) 문학치료학 연구의 자료와 대상은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를 함축한) 문학작품(<정리 ④>)이다. 문학치료학의 연구 영역은 내용 연구, 활동 연구, 방법 연구로 나누어질 수 있다. 문학치료학에서 서사이론을 기반으로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에 대해 연구하는 영역이 곧 문학치료학의 ‘내용 연구’이다. 다음 단계에서는 문학치료가 이루어지는 원리에 따라 문학작품과 자기서사가 원활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나 책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들은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실현케 하는 ‘활동 연구’이다. 마지막 단계는 치료적 실천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방법 연구’라 할 수 있다. ‘내용 연구’는 연구의 자료와 대상에 대한 연구로서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에 대한 연구로 대별된다. 자기서사에 대한 내용 연구는 주체의 범위, 이상 심리 여부에 따라 나뉘며(<정리 ⑤>), 문학작품에 대한 내용 연구는 서정, 교술, 극(희곡), 서사 등 갈래에 따라 나뉜다.(<정리 ⑥>) 문학치료 고유의 방법론인 ‘서사이론’은 내용 연구를 통어하는 핵심 이론이다.(<정리 ⑦>)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행적 방안이나 책략을 연구·개발하는 ‘활동 연구’는 작품 읽기, 해석하기, 비평하기, 변용하기, 창작하기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정리 ⑧>) 치료 계획을 세우고 치료를 실행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는 책략과 방안을 연구·개발하는 ‘방법 연구’는 그 목적에 따라 예방과 치료 영역으로 대별되며, 진단, 목표 설정, 자료 선정과 구성, 치료 전략, 평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정리 ⑨>) ‘활동 연구’나 ‘방법 연구’는 자기서사 및 문학작품에 대한 내용 연구를 기반으로 할 때 심화될 수 있다.(<정리 ⑩>) 마지막으로 문학치료학의 연구 목표는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문학작품으로써 자기서사를 치료하는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정리 ⑪>) 문학치료를 연구·실천하는 데 있어서도 지도(map)가 필요하다. 현재 내가 하는 연구가 어느 영역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는 어떤 것이어서 어떤 연구를 참조하고 비판하며, 어디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가늠해야 한다. 이 연구가 문학치료학 연구들의 성과를 갈무리하며, 새로운 영역의 연구로 나아가려는 의욕을 추동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 This study attempts to revisit the steps taken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stablish an academic system based on the parallels between literary therap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allowed for a thorough evaluation of the concept, the confirmation of academic objectives and goals, and the precise definition of the subject matter and areas of research. Let us begin with a brief explanation of the term. Literary therapy is a therapeutic approach that involves the treatment of human inner literature through literary works (< summary ① >). ‘Literature’ defines the nature of literary therapy (< summary ② >), while the perspective of ‘therapy’ defines the essence of literary research (< summary ③ >).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serve as the materials and objects of literature therapy research (< summary ④ >). Literary therapy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content, activity, and method research. ‘Content research’ is the study of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based on the epic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 next step,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literary therapy, is to study plans or strategies that enabl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literary works and self-epics. These are ‘activity studies’ that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The final stage, ‘method research’ involves a study of specific methods of therapeutic practice. ‘Content research’ is a study of the materials and subjects of research and is roughly divided into research on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Content research on self-epics is divided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subject and abnormal psychology (< summary ⑤ >), whereas content research on literary works is divid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genre (< summary ⑥ >). ‘Epic theory,’ a methodology unique to literature therapy, is the core theory that governs content research (< summary ⑦ >). ‘Activity research,’ which investigates and develops performative methods or strategies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between self-narrative and literary works, can be conducted in the areas of reading, interpreting, criticizing, transforming, and creating works (< summary ⑧ >). ‘Method research,’ which studies and develops strategies and methods for formulating a treatment plan, executing treatment, and evaluating the results, is broad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Diagnosis, goal setting, data selection, organiza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can be performed in the area of evaluation (< summary ⑨ >). ‘Activity research’ or ‘method research’ can become more in-depth when it is based on content research on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 summary ⑩ >). Finally, to summarize the goals of research in these areas, the research goal of literature therapy is to develop a theory to treat self-epics with literary works based on theories about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 summary ⑪ >).

      • KCI등재

        창의적 인지(Creative Cognition) 계발에 초점을 맞춘 문학치료 방법론 모색

        나지영 ( Na Ji-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와 작품서사 사이에 일어나는 공명 현상을 치료의 원리라고 보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문학치료학 연구자들이 문학치료의 핵심 방법으로 `창작 활동`에 주목해왔는데, 그것은 창작 활동 중에 자기 서사와 작품서사 사이의 공명 현상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치료 방법론의 핵심은 자기서사와 작품서사 간의 공명 현상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창의적 인지(creative cognition)가 자기서사와 작품서 사의 공명 현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창의적 인지 계발에 초점을 맞춘 문학치료 방법론을 모색해 보았다. 2장에서는 창의적 인지의 핵심 속성이 확산적 사고(divergent thought)와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ought)임을 논하면서, 서사지도 구축 원리와 창의적 인지와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또한 문학치료 방법론은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가 동시에 활발히 작동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논의 하였다. 3장에서는 서사지도 구축의 원리를 문학치료 방법으로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창의적 인지 계발에 초점을 둔 문학치료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In literary therapeutics, resonance is the principle of the change of the epic of self. The reason many literary therapist are interested in `creative activity` as a literary therapy method is that creative activity can stimulate resonance between the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rive resonance as a literary therapy method. In this paper, `creative cognition` is seen as the driving force of resonance between the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chapter 2, the core properties of creative cognition are studied which are divergent thought and convergent thought. From a literary therapeutic view, the principle of establishing `epic map` is related to these core properties of creative cognition. In chapter 3, the literary therapy method focusing on developing creative cognition is studied. This method includ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pic map. Also case study applying the new method is analyzed.

      • KCI등재후보

        놀이치료자의 알아차림 경험 분석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한영신 ( Young Shin Han ),박현숙 ( Hyun Sook Park ),김광웅 ( Kwang Woong Kim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놀이치료사를 대상으로 놀이치료에 의 알아차림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과 생각을 알아 보고자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놀이치료학회에서 인정하는놀이치료 자격증 소지자이며 10년 이상의 놀이치료 임상경력을 가진 연구 참여자 10명을 선정하여 비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한 후 이들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으로 분석하여 10개의 중심영역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실 안에서의 알아차림 경험 요인은 치료자에 대한 알아차림과 내담아동에 대한 알아차림의 2가지로 분석되었다. 둘째, 알아차림이 놀이치료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긍정적인 영향·부정적인 영향·영향 없음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셋째, 알아차림을 방해하는 요인은 치료자요인·내담 아동 요인·외적요인의 범주로 나타났다. 넷째, 알아차림 능력을 키우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전문적 방법·일반적 방법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의 알아차림에 관한 전반적인 경험에 대한 생생한 보고를 통해, 놀이치료자의 알아차림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들과 알아차림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여 놀이치료자의 발달 및 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pecific situations and concerns related to play therapists`` awareness in a play therapy room. Non-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0 participants who held certification as a play therapist recognized by the Korea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and who also had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ool. The results revealed 10 themes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awarenes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awareness in the play therapy room revealed two dominant themes: awareness related to the therapist and awareness related to children. Second, the impact of the awareness in the course of play therapy was divided into three other themes: positive impact, negative impact, and no impact. Third, factors disturbing the awareness involved three themes: therapy factors, client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Finally, two themes arose from efforts aimed at improving skills regarding awareness: a technical method and personal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awareness of the play therapist and strategies to improve skills related to awareness. This present study provides a plethoraof valuable data to improve the training of therapists a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ir skills.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주력 임상 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 적용 현황 조사

        권수지,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의 주력 임상 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 적용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음악치료 관련 최종 학력이 학사 졸업 이상이며 현재 임상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최종학력, 음악치료철학에 따라 주력 임상대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 세션 및 환경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만족도는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 대상의 주된 증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로, 치료 목적은 의사소통 향상, 중재 방법은 노래 부르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청소년 대상의 주된 증상은 정서 및 행동 장애로, 치료목적은 의사소통 기술 향상, 중재 방법은 음악 감상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성인 대상의 주된 증상은 조현병으로, 치료목적은 즐거움 제공, 중재방법은 기악 재창조연주였다. 노인 대상의 주된 증상은 치매로, 치료목적은 긍정적 정서 증진, 중재방법은 노래 부르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주력 임상 대상에 따른 치료사의 어려움 및 고려사항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치료사의 어려움과 고려사항 모두 내담자와 관련된 문항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내담자와 관련된 사항은 치료사가 임상에서 가장 크게 고려하고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임과 동시에 치료사에게 가장 큰 만족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and the present state of interventional applications through the main clients of active music therapists in Korea.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urvey of 148 music therapists who have at least Bachelor’s degre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with main clients depend on music therapis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ir philosophy.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session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rapists turn out to be above an average. Third, the main symptom of children is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therapy is for improving in communication throughout singing a song. Most teenagers are suffering from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goal of the therapy is to improve a communication skills throughout listening to music. For the adults are Schizophrenia. The main purpose of the treatment is to provide pleasure through re-creative playing. In case of elderly people are suffering dementia. The therapy is to help enhance emotional wellness throughout singing a song. La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rapists’ difficulty or consideration according to main clients. However, the most difficult part for the therapists is the things that related to cli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therapists consider, the relavant things with their clients, as the most challengeable task and also the key factor of the biggest satisfaction of their car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