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베이즈주의에서의 실험의 역할

        이영의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6 철학탐구 Vol.20 No.-

        이 글의 목표는 베이즈주의 입장에서 정지규칙과 가능도 원리를 분석하여 베이즈주의에서의 실험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나는 이글에서 구체적으로 베이즈주의자들이 정지규칙을 거부하는 이유를 검토하고, 이어서 그들이 정지규칙과 관련된 경험적 요소를 베이즈주의에 반영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실험이 제공하는 경험적 증거가 베이즈주의에 적절히 반영될 수 있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지규칙이 제시되고 그것에 대한 베이즈적 비판 이 분석된다. 이어서 정지규칙에 대한 베이즈주의자들의 비판에서 주요한 논거에 해당하는 가능도 원리가 검토된다. 마지막으로 베이즈주의가 실험적 측면을 보다 더 잘 반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정지규칙을 수용하는 수정된 베이즈주의와 표준적 베이즈주의를 확장하는 입장이 차례로 검토된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analyze the stopping rule and the likelihood principle from a point of Bayesianism in order to explicate the role of experiment in Bayesianism. More specifically, I shall examine the reason for Bayesians to reject the rule, and then search for some way to incorporate empirical factors connected to the rule into Bayesianism. In this search we can understand a new method that Bayesians accommodate empirical evidence originated from experiments. First, I shall make a brief about the stopping rule, and then review Bayesian criticisms of it. Second, I shall examine the likelihood principle as Bayesians' principal reason for rejecting the stopping rule. Third, in order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that Bayesianism can well deal with experimental aspects I shall suggest two kinds of Bayesianism, the modified version of Bayesianism and the expanded version of Bayesianism; the former accepts the stopping rule by making some radical theoretical change, and the latter expands the standard Bayesianism by adding some new elements to its theoretical framework.

      • KCI등재

        의도, 내러티브, 그리고 철학상담

        이영의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7 No.2

        이 글의 목적은 철학상담의 맥락에서 의도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그 개념과 관련된 목적 및 내러티브를 연결하여 구체적인 상담 모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의도 개념이 과학기술의 시대에서 철학상담을 실천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과 철학상담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한다는 점이 주장될 것이다. 논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2절은 앤스콤의 이론을 중심으로 철학상담에서 왜 의도 개념이 필요한지를 검토한다. 3절은 의도 개념과 목적 개념에 기반을 둔 철학상담을 위한 모형을 검토한다. 폰 리히트가 제안한 실천추리에 기반을 둔 행위에 대한 목적론적 설명 모형의 구조를 검토하고 그것의 문제점을 통해 수정된 목적론적 설명 모형을 제시한다. 4절은 목적론적 모형에서 내러티브적 요소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이어서 그 두 가지를 결합한 상담 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매킨타이어의 이론을 활용하여 내러티브적 철학상담의 미시적 철차와 거시적 절차를 구성하고 이어서 그것들을 앞에서 제안된 수정 모형과 결합하여 목적론적이고 내러티브적인 철학상담 모형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notion of intention i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o discuss such subjects related to it as purpose or narrative. I shall argue that the notion of intention plays a fundamental role in doing philosophical counseling, especially in the technologically oriented times. The paper goes as follows. In section 2, I shall discuss why we have to consider the notion of intention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 start from G. Anscombe’s theory of intention that discriminates its three usages. In section 3, I shall examine the teleological explanation of action as a basi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at focuses on the notion of intention and telos. I introduce von Wright’s model that is based on a scheme of practical inference and then point out an important problem related to the intentional connective and then suggest a revised model. In section 4, I shall combine the notions of intention and purpose in the context of narrative by discussing A. MacIntyre’s theory of narrative, and then to suggest a teleological- narrative model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the combination.

      • KCI등재

        인문도시의 구조와 내용 : 춘천시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영의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시민인문학 Vol.28 No.-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초점은 어떻게 참다운 인문도시를 구성할 수 있는가에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해서 우리는 인문도시란 무엇이고, 왜 그것이 필요한 지를 알아야 한다. 우리는 모두 인문도시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 하고 있지만 우리의 지향점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잘 모르고 있다. 인문도시가 정 확히 무엇인지, 어떻게 그것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 요한 실정이다. 글의 전개 순서는 다음과 같다. 2절에서는 한국연구재단이 제시한 인문도시의 개념을 중심으로 현재 상황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인문도시 개념을 검토한다. 3 절에서는 구조와 내용이라는 개념 쌍을 이용하여 인문도시에 대한 인문학적 모형을 구성하고, 이어서 구조와 내용, 시민을 적절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내러 티브적 접근을 제안할 것이다. 4절에서는 2014년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의 프로젝트인“춘천, 호반의 인문힐링도시”를 중심으로 춘천시의 지정학적·사회 문화적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고 이어서 그 내용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체적 으로 제시할 것이다. The main focus of the InMunDoSi Project is upon how to build a city with a face of humanistic identity. Here we have interests in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InMunDoSi? Why do we need it? How can we construct it? Even though there is a consensus in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InMunDoSi, it is not clear what we are going to direct toward. We seem to understand the demand of InMunDoSi, for the InMunDoSi is necessary in order to live humanistic lives. However, we don’t have a clear idea of what it is and how to approach it.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In section two I shall examine the idea of InMunDoSi around the notion sugges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section three I shall suggest a model by utilizing the analyzing tool of structure and content of a city and argue that it will be better to take a narrative approach for establishing InMunDoSi project, which can bridge over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a city and its citizens. In section four I shall introduce the InMunDoSi projec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as the lakeside InMunhealing city”

      • KCI등재

        자살에 대한 치료적 설명: 정신분석, 로고테라피, 목적론적 상담의 비교

        이영의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2 No.1

        It is necessary for us to give some proper explanation about why people relinquish their will to live and commit suicides in order to prevent the suicidal epidemics that has been prevalent in our society and to cure the pain caused by it. In this paper, I shall carry out two works. First, I shall contend that the proper type of explanation for human actions including suicidal is not the causal explanation used in empirical science and psychology, but the teleological explanation. Second, I shall examine Freud’s psychoanalysis as a typical example of the former, and Frankl’s logotherapy and my teleological counseling as typical examples for the latter. Going through those works, it will turned out that theory of psychoanalysis has a fundamental limit, for it presuppose some causes of suicide by which it tries to give causal explanation such that it disregards reason, meaning, telos that trigger human actions, and that theories of logotherapy and teleological counseling are beyond the limit of psychoanalysis and furnish the proper explanation to suicidal action. 현대 사회에 만연된 ‘자살 전염병’을 예방하고 그로 인한 고통을 치유하려면 사람들이 살고자 하는 의지를 버리고 자살을 시도하는 이유를 해명해야 한다. 나는 이 글에서 두 가지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첫째, 자살을 포함한 인간의 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적절한 설명 유형은 과학이나 심리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과적 설명이 아니라 목적론적 설명이라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둘째, 전자의 예로서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을 검토하고, 후자의 예로서 빅터 프랑클(Frankl)의 로고테라피와 나의 목적 지향적 철학상담을 비교할 것이다. 이런 작업을 통하여 정신분석 이론은 자살의 원인을 가정하고 그것에 의존하여 자살을 인과적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행위를 유발하는 이유, 의미, 목적을 도외시한다는 점에서 근본적 한계를 갖는다는 점과 로고테라피 이론과 목적 지향적 이론은 정신분석 이론의 이런 한계를 넘어서 자살에 대한 가장 적합한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이 주장된다.

      • KCI등재

        스피노자 정서 이론의 치료적 함의

        이영의 국제언어인문학회 2014 인문언어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pinoza’s theory of emotion and its therapeutic implications. To put it concretely, I shall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ffect and reason as expounded in Ethics and then draw its therapeutical implications in philosophical contexts. As can be witnessed in his method of demonstration in geometric order, Spinoza’s philosophy is totally different from Descartes’ in style as well as in metaphysics. Descartes’ metaphysics is substance dualism whereas Spinoza’s can be summed up as monism and dual aspects theory.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Spinoza’s theory of emotion lies in that it considers affect and reason as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individual; that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m as Descartes does, which is, after all, a logical implication of his double aspect theory.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Spinoza’s theory of emotion is that it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reason and aspect through the notion of conatus, the individual’s instinct of preserving himself. Conatus is a logical source of emotion and affect, and accordingly, emotion contains rational elements and can manage affect in Spinoza’s philosophy. For Spinoza, affect is bodily as well as mental, so we cannot escape from negative affect unless we scrutinize it. The paper proceeds as follows. I shall deal with Spinoza’s metaphysical concepts such as substance, attribute, and mode in comparison with Descartes’ counterparts. I shall then examine Spinoza’s theory of emotion and its contents, including the list of forty-eight emotions, and its nature of embodied cognition. Next, I shall discuss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Spinoza’s theory of emotion such as therapeutic principles and technics, especially in the frame of philosophical therapy as well as cognitive therapy and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대표 감성으로서의 한(恨)의 구조

        이영의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49

        “한국인의 기본 정서는 恨이다”, “한국인은 恨이 많다”는 말이 있듯이, 恨은 예로부터 한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단골 주제가 되어 왔다. 이 글의 목표는 이처럼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로 간주되고 있는 恨을 인지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의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恨이 하나의 정서 유형이라면 우리는 그것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과학적 관점에서도 접근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런 점에서 나는 恨의 체화적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별도로 수행되어 왔던 두 가지 접근, 즉 恨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과 경험과학적 접근을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 글의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2절에서는 恨에 대한 기존의 문학적 담론을 통하여 드러난 恨의 특성과 구조를 검토하고, 그런 접근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이 글에서 恨은 한국적 환경에서 발달한 고유한 정서라고 간주될 것이다. 3절에서 나는 그런 특징을 갖고 있는 恨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인지과학에서 최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는 체화된 마음 이론(theory of embodied mind)을 추천한다. 우선 마음과 정서가 어떻게 몸과 환경에 체화되는지를 설명하고 정서가 신경생리학적으로 처리되는 방식을 제시한 다음, 정서의 구조에 대한 하나의 인지과학적 표준 모형(OCC model)을 검토할 것이다. 4절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恨의 체화적 구조를 밝히는 데 필요한 사항들을 검토한다. 먼저 恨에 대한 기존의 접근들을 통하여 드러난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표준 모형을 수정하고,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역동적 관계를 추가하여 수정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 방식을 제안할 것이다. As they say that the basic emotion of Koreans is Han, hitherto Han has been a popular theme in Korean literature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ze Han, which has been thought of as indigenous to Koreans, in the cognitive scientific frame and to suggest its emotive structure. If Han is a type of emotion, we can approach it in a scientific way as well as in humanistic way, and by adopting the former I shall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two approaches to Han which has been studied separately. The paper goes as follows. The section two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Han which have been turned out through the previous discussions mainly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points out their main problems. The section three recommends the theory of embodied mind, a new paradigm emerging in cognitive science, as the best theoretical frame which can be used to explain Han. I shall explain how the mind and emotion can be embodied in the body and environment, and how is emotion processed neurophysiologically, and examine a well-known standard model, OCC model of the structure of emotion. The section four deals with some theoretical factors necessary to study the structure of Han. First, I shall modify the OCC model by using the emotive elements in the previous discussions and then suggest a research procedure in developing a dynamic model of emotion by adding dynamic relations amo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