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계 대학의 취업중심 교육과정개편과 졸업생의 취업경쟁력 관계 분석 : 한국의 농학계열 학과를 중심으로

        김정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reforming university education courses considering employment at agricultural-based universities on employment. The analysis data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employment rates of the National Agriculture and Agriculture Departments and the Korea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and the Employment Rates of Each University in 2013 and 2014. After the data selection process, 180 departments from 22 agricultural universities nationwide were used to analyze shift-share analysis by using data that examined the academic fields of each department (major) and related Job field and number of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reform have a certain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rate due to the effects of the national growth and the agricultural industry, but They have weakened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jors' employment, and They do not help the employment in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mployment of the major's has competitiveness when They are employed in fields related to the major field, and It is shown that strengthening the major field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students have. These results can be suggested not only for the agriculture college but also for the competitive - specialization course and th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various departments at the front line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본 연구는 농학계열 대학을 대상으로 취업을 고려한 대학교육과정의 개편이 취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 자료는 (사)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2013년, 2014년 전국 농학계열 대학의 취업률을 조사한 자료로서, 자료선별과정을 거쳐 전국 22개 농과대학 180개 학과를 대상으로 각 학과(전공)별 학문분야와 이와 관련된 취업처, 취업자 수를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변이할당분석과 성장률시차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교육과정개편의 효과는 국가성장, 농산업효과에 의해 취업률에 일정한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지만, 전공자들의 취업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었으며, 비전공분야로의 취업에는 전혀 도움을 주지도 않고, 개인의 경쟁력은 가장 취약하였다. 분석결과는 전공분야와 관련이 있는 분야로의 취업이 이루어질 때 전공자의 취업경쟁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공영역을 강화하는 것이 학생들의 취업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농학계열 대학뿐 아니라, 비인기학과 등으로 전락하여 대학구조조정의 일선에 있는 다양한 학과들의 개편방향 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년층 취업선호도와 노동시장 진입의 관계

        최율(Yool Choi),이왕원(WangWon Lee)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5

        취업선호도는 개인이 직장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다양한 경제적, 비경제적 요소를 지칭한다. 최근 청년층의 취업선호도는 청년층 실업이나 중소기업 인력난 등과 연계되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보통 언론들은 취업눈높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청년층 취업선호도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대부분의 기사들은 청년층 대졸자들의 너무 높은 취업눈높이가 그들의 구직과정과 노동시장에 미치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취업선호도에 대한 논의가 언론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이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을 활용하여 청년층 대졸자가 지닌 취업선호도가 이후 그들의 노동시장 진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우선, 대졸자의 다양한 취업선호를 반영하는 16가지 문항을 이용하여 대졸자의 취업선호도를 유형화할 수 있는 잠재집단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해진 취업선호도 잠재집단이 대학졸업 후 첫 취업에 미치는 효과를 생존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대졸자의 취업선호도는 총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되었다.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은 취업선호를 갖는 집단과, 가장 낮은 취업선호를 갖는 집단, 서로 다른 영역을 중요시하는 두 개의 중간 집단의 네 가지 유형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 대졸자의 취업선호도 잠재집단이 위계적 차이와 질적인 차이를 모두 가지는 매우 이질적인 집단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생존분석에서는 취업선호도가 높을수록 대기업 정규직에 취업할 확률은 높은데 반해 중소기업 정규직에 취업할 확률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취업선호도가 좋은 직장의 취업에 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언론의 취업눈높이 담론과는 사뭇 다른 결과라 할 수 있다. 높은 취업선호도를 가진 집단은 취업과정에서의 전략적 선택을 통해 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선호도 또는 취업눈높이를 단순히 개인이 수용할 수 있는 최저 취업기준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청년층이 가지고 있는 취업 목표와 희망, 나아가 전략까지도 담고 있는 복합적인 가치로 판단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preference on labor market outcomes upon the transition from college to the labor market in Korea. College graduates’ job preference is a highly controversial issue in Korea. The key argument is that the job preferences with too much expectations by the graduates hinders their employment and causes severe manpower shortage in relatively smaller corporation. Although the social discourse around graduates’ job preference is actively ongoing, surprisingly a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examined the effects of job preference on labor market outcomes.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we investigate how the level of college graduates’ job preference differentiates their labor market entry after the college graduation. We employ a Latent Class Analysis(LCA) to verify a typology of job preference among college graduates, using 16 questions covering the multiple dimensions of job preference. Next, we use Cox regression and Competing-risk model to examine how job preference affects college graduates’ first employment. Our findings indicate that four latent classes represent job preference of current college graduates and these four groups are not only quantitatively hierarchical in job preference but also qualitatively different that each group puts emphasis on different dimensions. Using these four groups and various control variables, we find that the highest job preference group is more likely to get a standard job in a large firm but i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job in a small firm and non-standard job.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job preference of college graduates has positive effects on getting a better job in Korea.

      • KCI등재

        중고령자 재취업 결정 요인 분석: 임금 및 비임금 일자리 경쟁 모형을 중심으로

        이주영(Lee, Jooyoung)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3

        이 연구는 중고령기 재취업 일자리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주된 일 퇴직 후 재취업을 ‘임금근로직 재취업’과 ‘비임금근로직 재취업’ 경로로 나누고, 경쟁사건사 분석을 하였다. 활용한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6~19차 데이터이며, 분석 대상은 노동패널 제6차 부가조사 시점(2003년)에 만 50~68세인 중고령자로 당시 생애 주된 일자리에 취업하고 있던 자 중 그 이후 퇴직한 776명이다. 이들의 주된 일 퇴직과 재취업 이력을 패널 데이터를 통해 총 13년간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노동이력의 경로의존성 경향은 종사상지위에 따라 나타난다. 즉, 생애 주된 일이 상용직 등 임금근로직인 중고령자는 다시 임금근로자로 조기 재취업하고, 자영업에 종사했던 자는 비임금근로직으로 빠르게 재취업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둘째, 중고령자 재취업 노동시장이 저학력 비임금근로직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고학력자가 임금근로직으로 진입하는 효과는 없는 가운데, 비임금근로직에는 저학력자가 더 빨리 흡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가구 부채는 비임금근로직 재취업 발생 속도를 높여줄 뿐, 임금근로직 재취업에는 영향력이 없다. 이는 중고령자가 부채를 통해 새 사업을 시작하고 있을 가능성을 드러낸다. 넷째,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은 임금근로직과 비임금근로직 재취업에 모두 통계적 영향력을 미치지 못해 그 효과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중고령 인구의 인적자본이 노동시장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향후 사업 역량이 부족한 중고령자를 위한 창업 코칭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한편, 이들의 역량과 취업 욕구를 반영한 차별화된 직업훈련 과정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This analysis aims to investigate factors contributing to reemployment of old-aged workers under competing risk model. It is assumed that reemployment as a wage worker is the only event that competes with that as a self-employed worker after leaving a major career job. The data are drawn from the 6~19th waves files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arget population group is composed of the 776 persons aged 50 to 68 in 2003, who worked at the major career jobs then and left the careers after that time. Their career histories are tracked for thirteen years through the panel data. First, path dependency of unretirement process after lifetime career appears to the target population. The effect that workers reenter the same work statuses occurs to the employed and the self-employed. Second, the Korean labor market for the aged is structured by the low-educated and the self-employed. The high-educated are hard to rework as wage workers, and the low-educated are rapidly absorbed in the self-employed occupation. Third, those having household debts have higher failure rates of getting self-employed. Lastly, job training program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for reemployment as a wage worker and a non-wage worker at the stage of elderly.

      • KCI등재

        국내 상업계 여자고등학교의 취업경쟁력 측정: DEA(CCR, BCC, 비방사, Tier)접근

        박노경 한국상업교육학회 2009 상업교육연구 Vol.23 No.4

        현재 상업계 여자고등학교들의 문제는 중학교에서 진학하는 학생들의 성적저조, 상업전문교과의 어려움과 분량과다, 차별화되지 못한 교육과정, 낮은 학교생활만족도, 현장실습교육기회미비, 교과과정의 대학진학중심화로 이동, 우수학생유치의 부족 등등의 문제점 때문에 원래 고교진학 시에 목표로 했던 취업 면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2008년도 국내 20개의 여자상업고등학교를 대상으로 2개의 투입물(교사 수, 졸업생 수)과 1개의 산출물(취업생 수)을 이용하여 다양한 DEA분석(CCR, BCC, 비방사 Tier)을 통해서 효율성 측면에서 취업경쟁력 순위 및 비효율적인 여자상업고등학교들의 정확한 투입물의 과다분과 산출물의 과소분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Tier분석을 통해서는 매우 비효율적인 여자상업고등학교들이 단기, 중기, 장기적으로 벤치마킹해야만 하는 여자상업고등학교들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사-비방사 CCR, BCC분석에서 서울, 대구, 광주, 경북, 부산, 충청지역의 순서로 효율성 측면에서 취업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ier분석결과를 보면 대구와 서울1이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났으며, 비효율적인 울산의 경우는 단기적(경기, 충남), 중기적(충북1, 대전), 장기적(광주1, 대구)으로 벤치마킹해야만 하고, 경남의 경우는 단기적(경기, 충북2, 충남), 중기적(충북1, 경북2), 장기적(광주1, 대구)으로 벤치마킹해야만 하고, 제주의 경우는 단기적(경기, 충남), 중기적(충북1, 대전), 장기적(광주1, 대구)으로 벤치마킹해야만 한다. 본 논문의 정책적인 함의는 본 논문에서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상업계 여자고등학교를 운영하는 경영관리자는 벤치마킹대상이 되는 여자상업고등학교들의 경영관리방식을 도입하여 취업측면에서 경쟁력과 효율성을 높이도록 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competitiveness of 20 girl's commercial high schools in Korea by using DEA(CCR, BCC, Non-radial, and Tier) approach with suggesting the shortage of outputs and the surplus of inputs for the inefficient girl's commercial high schools. Also, according to the Tier analysis, benchmarking schools are suggested with short-term, middle-term, and long-term bases. The2 inputs(number of teachers, and number of graduation students), and 1 output(number of student taking the job) for the data in 2008 are used. The current problems of girl's commercial high schools in Korea are the content difficulties of subjects, general subjects which are not differentiated from special job education, unsatisfactory school life, insufficient opportunity for job practice in the actual company, trend change from job education to going on the university, the invitation shortage of the excellent applicants from junior high schools. All those factors effect on the difficulties of taking the actual jobs after graduation. The empirical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CCR, BCC, Non-radial showed the job competitiveness by the ranking order of Seoul, Daegu, Gwangju, Gyungbug, Busan, and Chungcheng areas. Second, Tier analysis showed that Daegu and Seoul 1 are the most efficient, and the inefficient girl's commercial high schools should benchmark the efficient schools according to the periods as follow. Woolsan should benchmark in short -term(Gyunggi, and Chungnam), middle-term(Chungbug1,and Daejun), and long -term(Gwangju1, and Daegu). Gyungnam: short-term(Gyunggi, Chungbug2, and Chungnam), middle-term(Chungbug1, and Gyungbug2), long-term(Gwangju1, and Daegu), Jeju: short-term(Gyunggi, and Chungnam), middle-term(Chungbug1, and Daejun), and long-term(Gwangju1, and Daegu).

      • KCI등재

        고용서비스 민간위탁기관 간 경쟁도와 위탁 규모가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혜원 한국노동연구원 2015 노동정책연구 Vol.15 No.4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market structure of PES(public employment service) contracting-out on the employment rate for the unemployed, using the data of Employment Success Package program which is the representative ALMP program in Korea.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relation between employment performance, contracted quantity and competition intensity. Firstly, the current contracted size is less than the optimal size which maximize the employment rate of job seekers. In case of for-profit firm, the employment rate is the highest when 400〜540 job seekers are assigned to the firm but average size of assigned people is 313. Secondly, when the number of competitors in the local market increases, the employment performance is improved but after the certain point of number, the employment performance does not improve. The strategy of increasing the size of job seekers per organization and moderating the number of competing firms in the local market is recommended.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공공 고용서비스 제공 사업인 취업성공패키지 사업의 민간위탁 제도 설계를 시장 구조 측면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 질문은 현재의 위탁 배정물량 규모가 최소효율규모 이상인가, 아니면 이하인가이다. 두 번째 질문은 과연 시장이 경쟁적일수록 취업성과가 높아지는가이다.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분석 결과, 취업률을 가장 높일 수 있는 규모에 비해 현재의 배정물량 규모가 못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분석 결과, 경쟁이 강화될수록 취업성과는 더 제고되었으나 일정 수 이상이 경쟁할 경우에는 취업성과 제고의 효과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현재 지역 내 기관 수가 충분히 많을 경우에는 기관별 위탁 규모를 늘리는 전략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경쟁취업, 부분취업, 미취업 조현병 환자에서의 임상 요인 비교

        오세민(Se Min Oh),임창덕(Chang Duk Lim),김철권(Chul Kwon Kim)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1 신경정신의학 Vol.6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variables among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competitive and partial employed and unemployed group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68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s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at is, competitive (n=20), partial (n=28), and unemployed (n=120) groups, based on employment status. Job and psychopathology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an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self-stigma, will to recover, family attitude, perceived social support, insight into disease, self-esteem, hopelessness, and attitude to drugs). Results The proportion of male patients in the competitive employment group was greater than in the partial or unemployed groups.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mpetitive group than in the unemployed group. Levels of self-stigma, will to recover,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levels of self-esteem and hopeless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mpetitive and partial employment groups than in the unemployed group. Patients in these two groups also reported a more positive family attitude, more insight into the disease, an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drugs than patients in the unemployed group. Conclusion Most clinical variables were similar in the competitive and partial employment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environmental and systematic factors are more important for the employment of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an disease-associated factors.

      • KCI등재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통한 대학생 취업능력 향상 방안

        정기섭(Jung Ki-Sup),장영수(Jang Yeong-Su)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직업학교,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직업기초능력이라는 개념적 틀을 대학에 접목시켜 대학 졸업자의 취업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직업기초능력을 대학교육에 적용하고 있는 외국사례를 비교, 분석해 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는데, 각 대학마다의 교육이념과 특성을 고려하여 직업기초능력요소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운영방법, 평가 및 지원체제를 마련, 적용하며 이러한 틀 속에서 종합진로교육체계를 구축하고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Major advanced contries have developed the policy and measures to improve the employability of university student by developing basic job skills. In today's knowledge society, basic job skills have been regarded as essential for forming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In this study, framework of basic job skills known as key skills, generic skills etc. was adopted in university education process or curriculum and through that we derived plans improving the employability of universty student For this, we analyzed comparatively examples of major advanced contries From the analysis, some impliations for the policy directions and system of supporting basic jobe skills of universty student were suggested To begin with, we should draw basic job skills considering ideals of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ty The second. we should make how to operate basic job skills, assessment and support system of this for universty The third, we should to make and develop total job consulting system

      • KCI등재

        중국관련학과의 경쟁력확보에 관한 연구 : 대학정보공시를 활용한 전국대학의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김시용,채동우 한국중국문화학회 2020 中國學論叢 Vol.0 No.67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대학환경의 급변은 중국관련 학과의 경쟁력 제고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전국대학에 설치된 중국관련학과의 지리적 위치, 타과와의 융합성, 모집인원, 입시경쟁률, 장학금, 취업률등 학생만족도에 종합적 영향을 주는 다각적인 제 요인 등을 통하여 재학경쟁력과 탈락률을 복합적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탈락률에서는 다중회귀분석과 분위회귀 분석등을 통하여 탈락 분위별 맞춤형 학과전략 차별화를 취하는 등 대학이 중국관련 학과의 재학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논고가 중국관련학과의 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정책결정과 판단이 될 수 있는 준거가 되기를 기원한다. The rapid change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call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China-related departments. In this paper, the university s competitiveness and dropout rate were studi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geographical location of Chinese-related departments set up at national universities, convergence with other departments, competition rate for entrance exams, scholarships, and employment rate that have a comprehensive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dropout rate presented research results that could help universities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in China-related departments, such as by differentiating customized academic strategies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elimin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quantile analysis. We hope this thesis will be the basis for policymaking and judgment in China-related departments. 由于学龄人口的减少, 大学环境急剧变化, 要求提高中国相关部门的竞争力。 本文结合国立大学设立的中国相关系的地理位置,与其他系汇合,入学考试竞争率,奖学金,就业率等综合影响因素,对大学竞争力和退学率进行了研究。学生满意 特别是,退学率提出了有助于大学加强中国相关部门的竞争力的研究成果,如通过多重回归分析,量子分析等,根据淘汰氛围,对量身定做的学术战略进行区分。 我们希望,这篇论文将成为中国相关部门的决策和判断依据。

      • KCI등재

        대학 취업경쟁력 강화와 직업진로지도 방안

        안관수(An Kwan-Su) 한국경영교육학회 2006 경영교육연구 Vol.43 No.-

        심각한 청년실업난 시대에 취업은 곧 대학경쟁력이 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취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주로 학생 직업진로지도와 졸업인증제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즉, 한편으로 수요자 중심의 인재양성을 위해서 학년별 단계적인 진로교육의 로드맵 제시와 비정규 교육과정에서의 취업지원 기능 강화를 기초로 한 직업진로지도 방안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취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인재양성 방안으로서 산학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수요-공급상의 제도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는 ‘졸업인증제’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In this paper, the effective occupational career guidance and the graduation validation system for reinforcing the competitive power for employment in the university were studied. First, for developing user-centered ability people to satisfy the demand of business, step-by-step course road map which can be generally applied in the university and integrated occupational career guidance which reinforces the function for job application in the non-regular educational system were presented. Next, for developing the issue about business competitive power, the graduation validation system which is the plan for constructing confidential systematic network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was studied.

      • KCI등재

        대학생의 역량과 구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장욱희(Jang, Wook Hee),이상호(Lee, Sang Ho)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3 No.1

        최근 많은 기업에서는 구성원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따라서 구성원 선발에서도 역량이 중시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도 취업을 앞 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 새로 진입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역량과 구직성과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국가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취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요소를 도출하고 이들과 취업을 포함한 구직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역량은 구직성과에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신규 취업자들은 미취업자와 비교하여 역량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 뿐 아니라 취업을 지원하는 대학교나 기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수인재를 선발하려는 기업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ompetencies and their employment outcomes. First,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entry-level employment were identified based on various studies from several countries. Second, the competencie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various employment outcomes using university senior students who were about to enter into labor markets. The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ir employment. For example, th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mployed had higher level of competencies than the university students who remained unemployed. Based on the result,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university programs supporting for the employment of students as well as company selection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