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제위험 지각과 축제 만족도의 관련성에 미치는 축제참가자 관여도의 매개효과

        이화진 대한경영학회 2015 大韓經營學會誌 Vol.28 No.6

        The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festival participants’ risk perception on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estival participants’ involvement. The findings from the sample of 390 participants in “Namdo Food Festival” participants are as follows: As to festival participants’ risk perception, its three construct factors, namely, ‘psychological risk’, ‘economic risk’, and ‘social risk’, were all negatively related with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Second, all the construct factors of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to ‘materiality and interest’ factor of involvement. But to the ‘pleasure’ factor of involvement only ‘psychological risk’ and ‘economic risk’ were significantly negative. The influence of ‘social risk’ to the ‘pleasure’ factor of involvement was non significant. Third, all the construct factors of involvement, that is, ‘materiality and interest’ and ‘pleasure’ were all positively related with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Finally, ‘materiality and interest’ factor of involvement played as a complete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participants’ risk perception and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However, there wes no empirical evidence for the mediating effect of ‘pleasure’ factor of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for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social risk’ variable to the ‘pleasure’ variable was non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cientific meaning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참가자의 위험지각이 축제참가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축제참가자의 관여도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축제참가자의 위험지각과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위험지각의 모든 구성요인 즉, ‘심리적 위험’, ‘경제적 위험’, 그리고 ‘사회적 위험’이 모두 만족도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참가자들의 위험지각과 관여도와의 관계에서 관여도 구성요인 중 ‘중요성과 관심’에는 위험지각의 모든 구성요인이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즐거움’에는 ‘심리적 위험’과 ‘경제적 위험’은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나 ‘사회적 위험’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제참가자들의 관여도와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관여도의 모든 구성요인 즉, ‘중요성과 관심’, ‘즐거움’이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축제참가자들의 위험지각과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관여도의 구성요인 중에서 ‘중요성과 관심’은 위험지각과 만족도와의 관계에 유의적인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즐거움’의 경우에는 위험지각의 구성요인 중에 ‘심리적 위험’ 및 ‘경제적 위험’과 만족도와의 관계에만 유의적인 매개효과를 보이고 ‘사회적 위험’과 만족도와의 관계에는 매개효과가 유의적이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축제의 위험요인에 대한 축제참가자의 지각이 축제만족도와 관여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일반적 예측을 지지하면서도 축제의 위험요인별로 그 영향이 다르며 특히, 관여도가 중요한 매개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축제경험이 갖는 무형성과 이질성 때문에 “남도음식문화큰잔치” 참가자들이 느끼는 위험요인이 매우 다양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들의 위험지각이 낮을수록 그리고, 관여도가 높을수록 축제경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본 연구결과가 다양한 축제현장에 대한 위험지각 및 관여도에 대한 연구들로 이어지고 축제의 기획 및 운영과정에 반영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축제이미지-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관광객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축제 관여도를 매개변수로-

        박양우 ( Yang Woo Park ),손원성 ( One Sung Soh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화관광축제 관람객을 대상으로 지각되는 축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축제에 대한 관여도가 축제이미지-자아이미지 일치성과 관람객 만족 및 행동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면서 이것이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항목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을 완성하여 축제 관람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관람객의 축제이미지-실제적 자아이미지 일치성 중 고전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이 각각 정(+)과 부(-)의 방향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제이미지-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성 중에서는 활력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모두 부(-)의 방향으로, 고전적 요인이 행동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축제이미지-자아이미지의 일치성 요인과 관광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축제상품에 대한 개인적 관심 또는 심리상태로 설명되는 관여도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축제 관람객의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찾는 주체인 관광객의 이미지 일치성을 고려하여 그들의 관여를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축제 기획자들이 축제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세분화 및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할 경우, 관람객 축제-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관여도에 대해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congruences between festival-images and self-images perceived by the visitors of a cultural festival on thei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is also discussed whether the involvement of the festival visitors affects thei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to its role as a mediator.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actual self-image congruences, the traditional factor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respectively and the affectional factor negatively affects them. The vital factor and the affectional factor among ideal self-image congruences negatively affect on both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traditional factor has been proved that it has partial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the involvement h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ruence factors of self-images and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ors. Therefore, consideration of the image-congruency of visitors who plan cultural festivals, the rate of their involvement needs to be increased to maximize their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y suggests that festival visitors` congruency between festival-image and self-image and their involvement rate need to be considered when festival planners set segmentation and positioning strategy in festival markets.

      • KCI등재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여도 조절효과‘2019 거제 바다로 세계로’축제를 중심으로

        최수용,한정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8

        본 연구는 대표적인 해양 축제 중 하나인‘2019 거제 바다로 세계로’축제를 배경으로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또한 관여도가 지역축제 서비스품질과 방문객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축제 기간인 2019년 08 월 01일 부터 08월 04일까지 4일 동안 축제를 방문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구조라해수욕장 등 4군데의해수욕장에서 총 367부의 유효한 설문자료를 통해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 중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 이상 3가지 항목 모두 참여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여도가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과 방문객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효과를 실시한 결과는지역축제 서비스 품질과 방문객 참여행동의 개별적인 조절효과를 보면 확신성*관여도는 방문객 참여행동에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고려될 수 있는 시사점은 지역축제를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지속가능한성공적인 축제가 될 것이 자명함으로 축제 관계자들은 이점을 유념해서 축제를 기획해야 될 것이고, 진행요원을 잘 교육시켜 역할 비중을 높여 적극적인 서비스 제공을 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중요하게 인식하지 못했던 곳으로부터 의외의 긍정적 고객행동이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축제 관여도, 몰입경험 및 지속적 참여의도간의 관계연구

        강순화 한국자치행정학회 201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No.2

        본 연구는 축제 관여도, 몰입경험(flow experience), 지속적 참여의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여도유형은 F1(방문욕구), F2(축제관심)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둘째, 축제 관여도유형인 방문욕구와 축제관심은 몰입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경험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몰입경험의 정도에 따라 만족과 지속적 참여의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 몰입 경험집단이 저 몰입 경험집단에 비해 전반적 만족과 지속적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지속적인 축제 참여활동에 있어서 관여도와 몰입경험은 참가자들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며 몰입경험 단계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밀접한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축제참가자들의 축제경험의 순간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정서적 경험과정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지방정부 및 축제기획자들이 축제참가자의 지속적인 참여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마케팅전략 수립에 기여하는데 있다. This research analyze the festival involvement, flow experience, and causal sequence between continue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From factor analysis, the result shows 2 involvement types of 'importance of visiting festival', 'festival Information'. The festival involvement was exposed to have an effect on the flow experience. And the flow experience was exposed to have an effect on the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In addition, the high flow experience population showed the whole satisfaction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 comparison with I flow experience population high. As to the continued research result and festival participation activity, the action of the participants was understood and the involvement and flow experience could know to be the important variable. And in the flow stage of experience, we could know to be the interacting and close relation.

      • KCI등재

        충주세계무술축제의 축제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축제관여도의 조절효과

        조성균 ( Sung Kyun Cho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 구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 ) 201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제13회 충주세계무술축제’ 관람자가 인식하는 축제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축제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2011년 충주세계무술축제를 방문한 20 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 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적이미지가 지역수준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방문욕구가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수 준에 대한 인식은 축제이미지와 개인 특성의 결합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며, 방문욕구가 축제이미지와 지역수준의 영향관계에 직·간접으로 관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서적이미지가 지역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방문욕구가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욕구는 지역호감에 대해 정서적이미지와의 결합을 통해 이를 보다 강화하거나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활력적이미지가 지역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축제관심이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주세 계무술축제는 활력적이미지를 통한 지역호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축제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이러한 관계를 강 화하는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축제내부적으로 활력적이미지를 강화함과 동시에 외부적으로 다양한 잠재적 관람자와 접촉할 수 있는 채널을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넷째, 고전적이미지가 지역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축제관심이 정(+)의 조 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미지의 일치수준은 관람자의 축제관심에 의한 판단에 의존하게 되며, 충주세계무술 축제와 관련한 고전적이미지는 이러한 축제관심과의 결합에 의해 지역호감이 강화되거나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festival involvement about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image and regional image of ``2011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Spectato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ubjects were chosen from ``2011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in Chungju cit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subjects and the 398 questionnaires that were reliably answered were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linear regressing using SPSS Windows V 13.0. Result revealed from these research methods and analyses of data areas follows: First, traveling desir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traditional image and regional level. Second, traveling desir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affectional image and regional likability. Third, Festival-concern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vital image and regional likability. Forth, festival-concern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traditional image and regional likability.

      • KCI등재

        지역축제의 매력성 및 관여도가 관광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2018 마산어시장수산물축제를 중심으로 -

        김범진,고호석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estival attraction and involvement on tourist loyalty inMasan Fish Market Marine Products festival.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visitors to Masan Fish Market Marine Products festival, then withdrawn the 362 copies to beanalyzed using the 344 data,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SPSS 23.0 to validate the hypothesis. Studies have shown that first, the attractiveness of Masan Fish Market Marine Products festivalinfluenced overall satisfaction and tourist loyalty. Second, the involvement of Masan Fish MarketMarine Products festival influenced overall satisfaction and tourist loyalty. Third, the overallsatisfaction of Masan Fish Market Marine Products festival influenced tourist loyalt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information of the event site and movement line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ourists, and toprovide different programs an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need and desire of tourists should beactively reflected, and a festival evaluation system through academics and professional experts isneeded. 본 연구는 마산어시장수산물축제 관광객을 대상으로 축제의 매력성 및 관여도가 관광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한 연구이다. 마산어시장수산물축제 관광객을 대상으로 총3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362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344부의 데이터를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3.0을 통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마산어시장수산물축제의 매력성은 전체 만족도 및 관광객충성도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산어시장수산물축제의 관여도는 전체 만족도 및 관광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산어시장수산물축제의 전체 만족도는 관광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축제장을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도 및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행사장 안내와 이동동선을 관광객 편의에 맞게 제공하고, 타 지역축제와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다양한 정보제공이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관광객들의 필요와 욕구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학계와 현업의 전문가를 통한 축제 평가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축제 위험지각과 망설임 - 코로나19 관련 이슈관여도와 이슈노출도를 중심으로 -

        양승훈(Yang, Soung-Hoo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0 觀光硏究論叢 Vol.32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축제에 대한인식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일상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력히 실행되고 있는 즈음에서 대면적·밀집적 접촉을 특징으로 하는 축제가 다수 취소되거나 온라인 언택트 등 변형된 형태로 개최되고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상황에서 축제참가에 대한 위험지각이 결과변수로서 축제참가 망설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산지역 내 S대학 캠퍼스와 인근 B산 산책로 방문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152개의유효 표본을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수간의 영향 관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회귀분석, t-검정을 진행하였다. 가설1 검정결과축제 위험지각은 망설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19로 인해 축제참가에 대한 위험지각의 존재를 확인하고 위험지각과 망설임 등의 사결정과정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설2 검정결과 이슈관여도와 이슈노출도가 높낮이 집단 간에 축제위험지각, 망설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이슈에 대한 개인 간의 차이가 존재하며 아울러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학문적 시사점과 현장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논문의 한계점은 결론에 포함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how perception about festivals cre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risis. As social distancing is strongly enforced in everyday life to prevent the spread of diseases, festivals featuring face to face interaction and dense contacts are mostly canceled or held in different ways such as online contact. Therefore, how risk perception on festival participation affect the hesit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ill be verified. Self-administered survey was administered to tourists who have visited the S university campus in Busan and the nearby mountain trail, and 152 effective samples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issue group differences. Result is that festival risk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sitation(H1). The existence of a risk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was confirmed in Corona 19 and affect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such as risk perception and hesitation. Differences exist in festival risk perception and hesitation between groups with high and low issues involvement and issue exposure and differently affect to decision making process(H2).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included in the conclusions.

      • KCI등재

        신생 도시축제의 지역영향인식 구조모형

        서용석(Yong-Seok Seo),이훈(Hoon Lee),임동일(Dong-Il Lim)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에서는 신생축제가 지역과 관광의 상생적이고 내발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지에 대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에 대한 관여도 및 지역에 대한 애착도를 지역축제로 인한 영향인식 과 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축제관여도와 영향인식과의 관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장소애착도와 영향인식과의 관계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을 밝혀냄으로서 신생 축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즉, 지역축제 자체가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주민들은 축제가 대외이미지 향상과 여가편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 서울에 대한 장소애착도가 높을수록 신생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에 대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거나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축제가 지역에 천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지역과 소통하는 노력과 장소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s of a newly developed festival based on place attachment and involvement theories using SEM. The results are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estival involvement and festival impacts, but there are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the impacts. The results mean that residents may have not enough interaction with the newly developed festival.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organizers and managers are need to make efforts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and to enlarge place attachments with the festival.

      • KCI등재
      • KCI등재

        SNS의 홍보특성이 축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축제 몰입의 매개효과와 축제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민정 ( Kang Min Jung ),황두현 ( Hwang Doo Hyun )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2021 이벤트 컨벤션 연구 Vol.17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actically test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publicity characteristics, festival flow, and festival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pecific plans for festival SNS promotion marketing to festival-related practitioners.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survey of 128 festival visitors who had experience using SNS related to festival promo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PLS) analysis method using SmartPLS 3.0. Result - The results shown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teractivity and up-to-dateness, which are 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directly significantly affected festival loyalty. Second, it was found that reliability, entertainment, and convenienc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SNS festival promotion,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immersion of festival participants, affecting festival loyalty. Conclusions - This study informed festival-related practitioners the importance of SNS publicity strategy during the festival planning stag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SNS publicity strategy method based on customer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fest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