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秋史 論書詩의 藝術境界

        김윤주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2 No.-

        秋史 金正喜는 서예에 대한 생각을 論書詩로 남겼다. 추사의 논서시는 서예에 대한 그의 이론과 사상을 가장 집약적이고 실질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에 『阮堂全集』 9, 10권의 시를 토대로 논서시를 정리하고 이를 분석했다. 추사의 시·서·화론을 보면 그가 藝術家로서 살아간 것을 알 수 있다. 그가 論文 형식의 글보다는 시와 서예, 전각 등의 예술작품을 위주로 創作活動을 했으며 創新을 위한 法古를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보다 창작을 위한 學習을 중요시했으며 이 때문에 여러 相反된 예술이론들도 綜合하여 받아들일 수 있었다. 보다 獨創적인 작품을 창작하기 위해 자신의 시대에게서 가까운 작품부터 個性을 살피고 그것의 法則性을 찾아나가는 식의 學習法을 택했다. 작가 자신이 누구보다 자기 분야의 專門家가 되기를 원했고 그러기 위해 많은 작품을 접하고 正統系譜를 熟知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본고는 추사 논서시의 배경이 되는 예술사상을 토대로 추사의 논서시를 모두 조사하고 여기에 드러난 추사의 藝術境界를 學書觀, 批評觀, 藝術觀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추사는 근원을 찾아가는 공부에 전력을 다해 책에서 사실을 조사하고 만권의 서적을 관철하는 것만이 實事求是라고 경계했다. 추사는 이를 토대로 금석학과 고증학과 관련한 시를 통해 실사구시적인 학습방법을 표현했다. 또한 書如其人의 논지로 그 사람의 서예를 비평한 시를 남겼다. 추사는 작품 자체에 주목하며 나름의 노력을 더해가는 일본의 작가들과 문화수준의 발전을 좋게 평가했다. 이는 사람이 작품을 만들어가며 인격을 완성해 나가듯이 작품이 또한 그 사람의 인격을 다듬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추사가 주목한 物我一體의 예술관은 마음속에 있는 楊家적인 감정을 글씨 하나로 모두 승화시킨 것을 말한다. 그는 자연과 사람들의 일상을 自由自在로 표현한 서예에 관한 시를 남겼다. 추사의 물아일체적 예술관은 도가와 그 맥이 닿아 있으면서도 추사가 본질적으로 추구한 유가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추사의 논서시에서는 실사구시의 학서관, 서여기인의 비평관, 물아일체의 예술관의 예술경계를 드러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추사의 논서시는 그의 서예관을 직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Chusa Kim Jung Hee handed down lots of poems on calligraphy. His poems provide his own superb overview of calligraphy and offer a discerning analysis of calligraphy. Furthermore, His poems on calligraphy present a comprehensive review of calligraphy itself. Therefore, the purpose of present paper is to offer an analysis of the poems and central to this paper will be 『阮堂全集』's Volume Ⅸ, Ⅹ. Chusa expressed his own thought on calligraphy in strong terms with feeling.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exploring his philosophy of art and considers that his philosophical backgrounds is based on poetics and the theory of calligraphy. When we study Chusa's theory, we can easily find that he was an artist, because his main works are not academic papers but artworks such as poems and calligraphy. And he insisted on 法古 for 創新. His main thought is that practice to create artworks is more important than others. So, he could accept lots of theories and combine incompatible theories of art. Chusa accepted unique methodology which examin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s and then find a rule. He wanted to be an expert in his field and insisted on having insight throughout much of art and authentic pedigree. This paper examines all of his poems on calligraphy on the basis of Chusa's philosophy of art and classifies them into three groups that are ‘學書觀’, ‘批評觀’, and ‘藝術觀’. Chusa kept strict watching to do ‘實事求是’ that investigates the fact in books and accomplishes the thousand books. He encouraged the study of looking for the origin. He wrote lots of poetry about ‘實事求是’ methods of study including epigraphy and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He also wrote critical poems on the calligrapher's works in the point of view of the ‘書如其人’. Chusa evaluated Japanese Calligraphers' works and their development of cultural level. Because his thought was not only that man makes works but also that works make man's personality. Finally, Chusa pointed out artistic points of view of ‘物我一體’ that sublimates conflicting feelings to Calligraphy. He handed down poems on the calligrapher's works that expressed nature and people's daily life. Chusa's artistic point of view of ‘物我一體’ has Taoist philosophy and Confucianism which Chusa pursued essentially. Chusa's poems on calligraphy express the point of view of Calligraphy in methodology of ‘實事求是’, and implicates critical point of view of ‘書如其人’ and ‘物我一體’. His poems on calligraphy are very important data that could travel his the viewpoint of the Calligraphy.

      • KCI등재

        김추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특징 연구

        심현섭(Sim, Hyun-sup) 한국서예학회 2014 서예학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추사 김정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체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핵심 내용은 추사의 서예인식과 심미의식 및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白坡碑-陰記>와 <蕅樞續展>이라는 간찰의 서체미를 점획ㆍ결구ㆍ장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것이다. 추사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가장 뛰어난 예술가의 한 사람이다. 금세기 들어 일어난 한류열풍이 더욱 확산 지속되기 위해서는 우수하고 아름다운 우리만의 전통문화가 튼실하게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면에서 추사의 서예작품은 매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추사는 서예라는 독특한 예술장르를 통해서도 유학의 본령인 聖門의 최고 경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보여주었다. 추사는 최고의 예술적 심미경계는 神妙한 기운이 깃든 예술작품에서 발현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그의 서예인식과 심미의식은 예술에 대한 동양전래의 '道本文末'적 패러다임을 바꿔놓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추사행서의 점획은 기본 필법을 충실하게 지키며 조금도 소홀히 처리한 부분이 없다. 太細長短의 변화가 매우 크며 금강력사가 쇠공이를 들고 모래사장을 긋는 듯한 剛健美를 보여준다. 추사행서의 점획은 陰柔美보다는 陽剛美가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결구의 특징은 보편적으로 상부는 소원하고 하부가 조밀하며(上疎下密), 좌부는 짧고 우부가 긴(左短右長) 결합 형태를 보여준다. 기둥 획은 매우 굵고, 두 직획이 있는 경우 좌획 보다 우획이 굵으며, 왼쪽이 짧으면 위쪽이 가지런하고 오른쪽이 짧으면 아래쪽이 가지런한 결구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그렇다는 것일 뿐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추사는 전체의 아름다운 조화를 가장 우선시하였다. 진정한 추사행서의 결구미는 이런 점에 존재한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추사행서의 장법 특징은 자간은 조밀하고 행간은 넓으며 글자의 크기 변화가 매우 심하면서도 전체가 잘 어울리는 영활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특히 글자의 대소차이는 거의 5:1 정도나 되는 경우도 흔하며 필획의 태세 또한 그 변화무쌍함이 범인의 상상을 초월한다. 각 행의 중심축선은 대개 수직을 이루지만 자연스럽게 약간의 流動性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심미적 요소들이 한 화면에 종합적으로 어울릴 때 추사의 작품은 빛이 난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이 <백파비>와 <우추속전>이라 할 수 있다. 추사 행서의 장법미는 大小廣狹의 靈活美가 발현된 최고의 심미경계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추사행서의 특징은 그의 '格聖門論'적 서예인식과 '致神妙境'적 심미의식이 점획ㆍ결구ㆍ장법에 골고루 발현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추사체의 가치는 무조건 추사의 진적이라고 해서 인정받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추사체의 면모가 확실하고 또 수준 높게 발현된 작품만이 진정한 추사체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study Chusa Kim Jeonghui's calligraphy awareness and formative features about his Haengseoche. The core contents are to analyze Chusa's calligraphy awarenes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alligraphic aesthetics of Ganchal (letters) called <Baekpabi-Eumgi> and <Woochusokjeon> that can be called as major works by classifying them into tittleㆍstructureㆍ composition technique. Chusa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rtists who can be presented proudly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In order to further spread and sustain the Korean Wave that happened in this century, our own excellent and beautiful traditional culture should support it solidly and Chusa's calligraphic work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at respect. Chusa showed an unshakable faith that one can reach the highest level of the holy gate, the specialty of Confucianism through the unique genre of art called calligraphy. Chusa thought that the highest artistic aesthetic level is expressed from art works with mysterious aura and his calligraphy awareness and aesthetic awareness became a great opportunity to change the 'Dobonmunmal (A literature is just a tool to express the truth)' paradigm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the East about art. The tittle of Chusa HaengSeo is to faithfully keep the basic calligraphic technique and never treats any trivial part carelessly. Taesejangdan (Large, thin and long, short) varies greatly and it shows the sturdy beauty like Vajrapani draws the sandy beach with his iron pestle. It can be said that strong yang beauty is more remarkable than yin soft beauty in the tittle of Chusa HaengSeo.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show the combined form that the upper part is distant, the lower part is dense, the left part is short and the right part is l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re as follows; The column strokes are very thick and if there are two straight strokes, a right stroke is thicker than a left stroke and if the left is short, the upper side is even and if the right is short, the bottom is even. However, this is often the case, but not always. Chusa gave priority to beautiful harmony of the whole. It will be right to say that true structural aesthetics of Chusa HaengSeo lies in this point. The features of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Chusa HaengSeo show the wonderful beauty that space between letters is dense, space between the lines is wide, the size of letters varies greatly and the whole is harmonized well.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large and small size of letters is almost 5:01 and the types of strokes or ever-changing are beyond the imagination of ordinary people. The central axis of each line usually forms perpendicularity but often shows slight liquidity naturally. When these aesthetic elements are comprehensively harmonized in a picture, Chusa's works shine by themselves. <Baekpabi> and <Woochusokjeon> can be said to be the corresponding works. The composition technique beauty of Chusa HaengSeo shows the best aesthetic boundary most satisfactorily in which the wonderful beauty of Daesogwanghyeop (Big, small, wide and narrow) is expressed. We think that the value of Chusache cannot be recognized for a reason that it is just Chusa's real trace. Only works in which the aspect of Chusache is certain and expressed at a high level should be valued as true Chusache.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이해 - 중국의 학회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박세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Chusa Kim Jung-hee(1786-1856) was a scholar and a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He interacted with Chinese scholars on academics and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modern China's understanding of Kim Jung-hee. For this, a total of 35 papers were analyzed by accessing the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an online database of Chinese thesis and journal articles. As a result, Chinese studies on Chusa focused on the academic dimension, the artistic dimension, and the cultural exchange dimension. Firstly, the Chinese scholars recognized Chusa Kim Jung-hee as a real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cholar. Especially, the practicality of Chusa’s theory and the aesthetics of poetry were valued. Secondly, they emphasized the originality of Chusa's calligraphy, which lies in his efforts and talents. The popular literary-painting sty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perceived to have followed the trend, rather than Chusa’s single impact. Finally, they understood that Chusa’s academic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were not based on a one-way influence from China to Joseon but were dependent on international friendships. In addition, they accoladed Chusa’s academic initiative.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이며 금석학자였다. 그는 24세 때, 북경 방문을 계기로 청(淸)의 학문을 접하게 된 이후 중국의 학인(學人)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학문과 예술에 정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과 중국의 학술문화교류사에서 중추적 인물인 김정희에 관해 현대 중국의 이해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의 학위 논문 및 저널 논문을 제공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인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에 접속하여, 총 3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국 내 연구는 크게 학술적 차원, 서법과 회화의 차원, 문화교류의 차원에 주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술적 차원에서 중국연구계는 추사 김정희를 실학자로 이해하고 있었고, 특히 추사의 ‘실사구시(實事求是)’가 가지는 실천적 함의에 주목했으며, 시학(詩學) 차원에서의 학문적 성취도 중시하였다. 둘째, 서법과 회화의 차원에서는 추사체의 독보적인 예술적 성취에 주목할 뿐 아니라, 추사체의 창안은 구습을 타파하고자 한 변혁의 결과로 이해하였다. 아울러 추사 서법의 근간이 되는 학문이 중국의 영향을 받았을지라도, 추사체에는 본인의 노력과 천재성 같은 추사만의 역량이 담보된 것임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중국풍 문인화 사조는 추사라는 한 개인의 영향력이라기보다 당시 문화교류에 의한 필연적인 시대의 흐름이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문화교류의 차원에서는 김정희의 학술 및 예술적 성취가 중국에서 조선으로의 한 방향적 전파를 답습한 결과가 아니라, 학문적으로 취장보단(取長補短) 하고자 한 양국 학자 간의 우의에 기초한 것으로 보았다. 특히 학문탐구에 적극적이었던 추사는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문화교류의 정점에 있었다고 이해하였다.

      • KCI등재

        추사가 한글편지에 나타난 남성들의 살림참여 양상

        정창권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0 No.-

        추사가의 한글편지는 추사체와 <세한도>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 집안에서나온 85건의 편지들을 말한다. 추사가 언간이 45건이고, 추사 언간이 40건이다. 이들 편지는 추사를 비롯한 선대와 후대 등 다양한 세대의 가족구성원이주고받은 한글편지라는 점에서, 18~19세기 가족들의 생활과 문화, 언어, 의식 등을 생생하게 엿볼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가족사 자료이다. 특히 추사가의 한글편지엔 당시 여성들의 역할과 의식 뿐 아니라 남성들의 살림에 대한참여 양상이 아주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조선후기는 완고한 가부장제 시대로 남성들은 오로지 바깥일에만 전념했을 뿐, 살림은 대부분 여성들의 몫이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단적인예로 추사가의 한글편지만 보더라도 당시 남성들은 여성들보다 오히려 더많은 살림에 참여하고 있었다. 추사가 여성들이 의식주 등 안살림을 주관하며 출산과 육아에 집중한 반면, 남성들은 가문관리, 가족관리, 노비관리, 살림살이, 집안행사 등과 같은 안팎의 살림에 두루 참여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추사가 여성들의 역할과 의식을 간략히 살펴본 후, 본격적으로 추사가남성들의 살림참여 양상과 의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 것이다. Hangul letters of the Chusa family are 85 letters of the Chusa KimJeong-hee’s family, famous on calligraphic style of the Chusa and thepicture of <Sehando>. The letters of the Chusa family are 45 letters, andthe letters of the Chusa are 40 letters. They are Hangul letters whichhave passed between previous generation and future generation, and theyare very important family history data that give us family life andculture, language and consciousness in 18~19th century. Especially, theHangul letters of the Chusa family show the participation aspect andmeaning of men's housekeeping as well as the role and awareness ofwomen. The late Joseon Dynasty is known to have had a rigidly patriarchalsociety and men have just focused on going on in the rest the world,and have thought that housekeeping was usually women's share. However, to review the Hangul letters of the Chusa family, men of thosedays were participating for housekeeping more than women. The female members of the Chusa family managed housekeeping, suchas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hey focused on childbirth andchildcare. On the other hand, the male members of the Chusa familyparticipated in family affair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me, such as his family, family members, household goods, family function. This paper isto examine the role and awareness of the female of the Chusa family,and then is to study in earnest about participation aspect and meaning inhousekeeping of the male of the Chusa family.

      • KCI등재

        동파와 추사의 유배시 비교 연구 - 동파의 술에 관한 시와 추사의 茶詩를 텍스트로

        김희성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7

        This paper looked into the literary world and spiritual world of Dongpo and Chusa, poets who share similarities in various genres, through their exile poetry. In exile poetry, this study focused on the liquor poetry of Dongpo and the tea poetry of Chusa. Both poets enjoyed drinking alcohol and tea as intellectuals who mastere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owever, Dongpo was familiar with the Taoist ideology combined with Buddhism because he controlled resentment and inspiration through liquor. Chusa had a strong Buddhist color because he favored tea. Whereas Dongpo boosted romance and conviviality using liquor, Chusa controlled the purity of mind with tea. Since liquor is extroverted and tea is introverted, the personality of the two persons is reflected in the symbolic background. Therefore, Su Shi’s poems have the conviviality of liquor based on the Taoist spirit embrac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husa’s poems have divine energy with a Buddhist overton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is paper examined the poetry worlds of the two poets using texts from the liquor poetry of Dongpo and the tea poetry of Chusa. Poems provide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the spiritual world and ideology of Dongpo and Chusa in depth. Accordingly, Dongpo studied poetry to expand his literary world. Chusa studied poetry to reevaluate his literary value that had been neglected because of calligraphy. The dense economic language is the essence of Chusa’s poetry pursuing substance over splendid skills, and this ethos especially stands out in poems written in Jeju Island. Meanwhile, Dongpo’s poems show a romantic tendency based on universal imaginations. This poetic tendency presents a philosophical state that is aloof about the mundane world while staying close to reality in the place of exile. Contrary to Chusa’s strict exclusion of skills and pursuit of ultimate substance, Su Shi exhibited an outgoing temperament that adequately delivered the content and reason through rich imaginations and skills. 본고는 다양한 장르에서 유사성을 공유하는 동파와 추사의 작품 중 流配詩를 통해 그들의 문학세계와 정신세계를 살펴보았다. 流配詩 중 동파는 술을 주제로 한 시에 집중하고, 추사는 차를 주제로 한 시에 집중해 고찰했다. 둘 다 기본적으로는 술과 차를 즐겼고, 유·불·도에 두루 통하는 지식인들이지만 술과 벗하며 한과 감흥을 다스린 동파는 불교를 혼융한 도가사상에 친숙하고, 평소 차를 애용한 추사는 불교적 색체가 강하기 때문이다. 동파가 술을 통해 낭만과 취흥을 북돋운 반면 추사는 차를 애용하며 정신의 청정을 다스렸다. 술이 외향적이라면 차는 내향적 성향을 상징한다고 볼 때 두 사람의 기호적 배경에는 각각의 성격이 반영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소식의 시에는 유·불·도를 통섭한 도가적 기풍에 술의 취흥이 배어있으며, 추사의 시에는 불교적 색체가 짙고 차의 신령한 기운이 감돈다. 이 점에 주목하고 본고는 동파의 술에 관한 시와 추사의 차에 관한 시를 텍스트로 삼아 둘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동파와 추사의 정신세계와 사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시는 중요한 단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둘의 시에 대한 연구는 동파에게는 그의 문학세계의 지평을 확장하는 작업이며, 추사에게는 書畵에 가려 지금까지 소홀했던 문학적 가치를 재평가하는 작업이기도 했다. 화려한 기교보다 실질을 추구한 추사의 시에는 밀도 깊은 경제적 언어가 시가의 핵심을 이루는데 특히 제주도에서의 시에서 이와 같은 기풍이 돋보인다. 한편 동파의 시에는 우주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낭만주의적 성향이 돋보인다. 이와 같은 시적 경향은 특히 유배지에서 현실과 유리되지 않으면서도 세속에 초연한 달관의 경지를 선보이고 있다. 추사는 기교를 철저히 배제하고 궁극의 실질을 추구하는데 비해 소식은 풍부한 상상력과 기교를 살려 내용과 사유를 적절히 담아내는 활달한 기질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추사 글씨의 미학과 문화콘텐츠화

        김규선,구사회,정영애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이 논문에서는 추사 김정희에 대한 콘텐츠 작업을 통해 그것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먼저 오늘날 소비자 입장에서 추사 글씨에 대한 미학적 특성으로 복합적 미감에 주목하였다. 그의 글씨는 고졸하면서 웅혼하고 기괴하면서도 허화의 경지가 있다. 유가적 선비 기풍과 불가의 선적 취향이 함께 느껴지고 단조로운 것 같으면서도 복합적이다. 사람들이 그의 글씨에 매료하는 까닭은 바로 그의 글씨가 던지는 복합적 아름다움에 있다고 보았다. 추사 글씨를 콘텐츠화하면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먼저 서체를 필요로 하는 비문이나 현판, 명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추사 서체의 시스템 개발로 추사체 폰트를 개발할 수도 있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타이포그래피와 같은 디지털 아트로 활용할 수도 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 학습 콘텐츠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학술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것에 앞서 무엇보다도 추사 글씨의 원천 자료를 확정하여 진위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이미지 프로세싱,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과 같은 추사 서체의 디지털화를 거친다. 1) 추사 서체를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진본의 추사 서체를 스캔한다. 2) 그것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어 스캔한 이미지 중 글자의 부분을 추출한다. 3)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여 추출된 추사 서체의 개별 이미지들을 기존의 한자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 마디로 추사에 대한 문화콘텐츠화는 그를 과거의 추사에서 현재 살아 있는 추사로 재생시킨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여러 명필에 대한 서체 콘텐츠 개발에 응용하여 문화적으로나 학술적으로 보탬이 될 수 있겠다. In this study, through contents work on Chusa Kim Jeong-Hee's style of handwriting, methods to practically utilize it was sought for. First, as an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husa style of handwriting, the complex sense of beauty was noted. If Chusa style of handwriting is made into contents, the contents can be utilized in many areas. The diverse Chusa fonts can be developed into a system or new Chusa fonts can be developed. In the aspect of designs, they can be utilized as digital arts such as typography. In the aspect of education, they can be use as study contents or can be utilized scientifically. Digitizing of Chusa fonts undergoes image processing and database design processes. To digitize Chusa fonts, the original Chusa fonts should be scanned first. Then, the scanned images should be cut to pieces in a certain size to extract the part of letters from the scanned images. Then, a database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individual images of Chusa fonts extracted as such can be applied using existing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databases. The database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font contents from many excellent handwriting styles so that the database can be helpful culturally or scientifically.

      • 간화선에 대한 추사와 백파의 인식 고찰 - 추사의 비판적 선학관을 중심으로

        오용석 ( Oh Yong-suk ) 세계불학원 2024 세계불학 Vol.4 No.0

        본 연구는 고증학과 실사구시를 추구했던 추사와 전통적 해석학에 충실했던 백파의 입장을 중심으로 추사와 백파의 선논쟁에 나타난 의의 및 간화선에 대한 추사와 백파의 인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추사의 학문관과 불교관을 그의 삶을 통해 살펴보았다. 추사는 실사구시의 연구 태도를 갖고 경학, 금석학, 예술, 불교학 등에 대한 객관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또한 불교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갖고 있었는데 특히 유가와 불교 모두를 긍정하는 입에서 이들을 화해시키는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추사와 백파의 선논쟁에 나타난 의의를 논의하였다. 추사는 백파에 대한 비판을 통해 당시의 선불교를 체험과 전통이 아닌 역사와 사실을 통해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사의 간화선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추사는 대혜종고가 묵조선을 비판했던 용어를 사용하여 다시 간 화선을 비판하였을 뿐 아니라 간화선에서 사용하는 공안 그 자체가 아무런 내용이 없는 의미 없는 말이라고까지 하였다. 그럼에도 논쟁의 승패를 떠나 호적과 스즈키의 선학 논쟁이 일어나기 110여 년 전 역사적 방법론과 철학적 해석학의 선구에 해당하는 새로운 형태의 논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Chusa and Baekpa’s perception of Ganhwaseon and the significance of Chusa and Baekpa’s Seon Debate, focusing on the positions of Chusa, who pursued historical research and Empirical tradition, and Baekpa, who was faithful to traditional interpretation. To this end, first, Chusa’s view of learning and Buddhism was examined through his life. Chusa tried an objec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sutras, epigraphs, art, and Buddhist studies, with the attitude of research on Empirical tradition. He also had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m, especially in affirming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ook an attitude of reconciling them. Next, the significance of Chusa and Baekpa’s Debate on Seon was discussed. Through his criticism of Baekpa, Chusa raised the issue that Seon Buddhism at the time had to be reviewed through history and facts, not experience and tradition. In particular, in the controversy over Seon with the Baekpa, he openly criticized the issue of Seon, which was claimed by the Baekpa at the time, bas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point of view. Lastly, Chusa’s perception of Ganhwaseon was examined. Chusa not only criticized Ganhwaseon again by using the terms that Dahui Zonggao criticized Silent-Penetrate Seon, but also said that the Gongan itself used in Ganhwaseon was a meaningless word without any content. Overall, Chusa’s critical view of Seon study was about how to position Seon in the reality of the time through questions such as ‘What is Seon study?’, ‘What is the essence of Seon study?’, and ‘What is Ganhwaseon?’ In particular, regardless of the outcome of the debat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a new form of debate that corresponds to the pioneering of historical methodology and philosophical hermeneutics about 110 years before the controversy over the study of Seon study between Hushi and D. T. Suzuki.

      • KCI등재

        秋史論畵詩(추사논화시)에 드러난 藝術境界(예술경계)

        김윤주 ( Yun Ju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7 No.1

        논화시는 주로 제발문에 나타나고 또 그 그림을 그린 이의 비평을 주로 하고 있지만 그 내용에서 그의 화론의 전반적인 내용이 모두 집약되어있다. 추사 논화시를 예술경계적 측면에서 보면 ‘格物致知의 學畵觀’, ‘書畵一致의 批評觀’, ‘不一不異의 藝術觀’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다.‘格物致知의 學畵觀’에서는 추사가 그림에 대한 학습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격물치지의 방법을 썼으며 이러한 성격을 드러낸 그의 논화시를 살펴보았다. 추사는 蘭畵에 대해 “대체로 이 일은 하나의 작은 技藝이지만, 그 전심하여 공부하는 것은 聖門의 격물치지의 학문과 다를 것이 없다”고 말한다. ‘격물치 지’를 직접 인용하며 회화와 학습의 연관성에 대해 말했다. 격물치지적 문예 미학사상과 그 기반을 함께한 추사는 서예에 있어서 격물치지적인 학습법을 한의 비에서 찾으려 했다. ‘비학파’의 추종자들은 자신들의 서체가 고대 사람들이 사용하던 원본의 서체와 더 가깝고 보다 충실하다는 고증적 주장을 해나갔다. 추사는 그림을 그리는 데에는 체계적인 학습과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래서 “다작한 연후에 가능하지 한순간 부처가 된다거나 맨손으로 용 잡을 수는 없”다고 말한다. 추사는 전통의 학습을 강조한 동기창의 화론에 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書畵一致의 批評觀’에서는 추사가 그림과 서예를 하나로 보고 그림을 그린인물과 그림에 대한 평가의 기준으로 삼은 것이 드러난 그의 논화시를 살펴 보았다. 여기서 말하는 ‘서화일치’는 서화용필상의 일치를 말하는 것이다. 동기창은 『화안』에서 글씨를 잘 쓰면 그림을 잘 그릴 수 있고 그림을 잘 그리면 글씨를 잘 쓸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는 이 두 가지 일이 결국 같은 일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림에 서예의 필법이 담겨 있고 이러한 필치가 살아있어‘쇠라도 녹일 만’하다는 것이다. 추사는 옹성원의 그림에 담긴 서예 필법을 보고 그림의 진가를 평가한다. 이는 추사가 서예의 필법을 그림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不一不異의 藝術觀’에는 추사가 추구하고자 했던 그림에 대한 생각이 불교의 선종적 측면과 물아일체적 성격을 드러내는 시를 살펴보았다. 추사는 『題蘭』에서 이십 년 만에 그린 난화에서 우연히 ‘性中天’을 드러냈다고 말한다. 추사가 性의 근원인 天을 이해하기 어려웠으나 우연히 난화에 ‘性中天’이 드러났다고 표현한 것은 난화를 통해 ‘性中天’을 이해하는 경지로 나아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추사가 『題蘭』 ‘유마의 불이선’은 『유마경』의 입불이법문품 에 나온다. 『유마경』은 평등의 不二사상의 실천을 담고 있다. 이러한 궁극적 깨달음의 경지는 언어와 문자를 초월해 있다. 추사는 禪과 예술의 일치적인 성격을 발견한다. 선과 예술 모두 감성에 가깝게 느껴지는데 선종 역시 이성의 체계를 거부한다. 이른바 ‘不立文字’, 즉 직관에 바탕을 둔다. 최수강은 『흑백지간』에서 “직관 감수의 勃興은 또한 돌 발성을 가지고 있다. 즉, 예술가는 부지불식간에 자신이 원하는 像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수로에 물이 이르는 것이고 삽시간에 심미적 쾌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한다. 『임천고치』에서는 “경계가 완숙해지고 마음과 손이 서로 어울리게 된 뒤에야 비로소 가로와 세로 어디로 움직여도 법도에 맞고 왼쪽과 오른쪽 어디로 움직여도 근원과 통하게 된다”라고 말한다. 이는 『논어』의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는” 상태인 것이다. 그리고자 하는 대로 그려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는 상태 즉 추사는 그림을 그리려는 법으로 그린 것이 아닌 경지에 이를 것을 요구한다 Chusa`s poems on drawing appear in postscripts. Although the main contents are comments on the drawing, the contents include Chusa`s theory of drawing. Chusa`s poems on drawing indicate ‘格物致知學畵觀’, ‘書畵一致批評觀’, and ‘不一不異藝術觀’ in the point of view of arts. In the point of view of 格物致知學畵觀, the method of drawing study is 格物致知itself and this character is appeared in his poems on drawing. Chusa demonstrated that 蘭畵is one of small 技藝, however studying hard is not different from the study of 聖門格物致知. Futhermore, he said 格物致知to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drawing and studying. Chusa found out aesthetics of 格物致知in Han dynasty 碑石. Therefore, he said that nobody can become Buddha suddenly and catch the dragon with bare hands. He thought that it is only possible when he has lots of exercises. The systematic study and efforts 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him. In the point of view of 書畵一致批評觀, drawings and writings are not different. It means that writing well is drawing well and these two things which are the same. In the point of view of the 不一不異藝術觀, we can find that Chusa`s thought of drawing was influenced by Zen of Buddhism. Therefore He thought that perfect enlightenment transcends the limits of language and letters. For him, Zen is same with arts, because they are based on intuition.

      • KCI등재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 재고찰

        서근식 ( Seo Geun-si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9 No.-

        실사구시는 실제 일에 있어서 옳음을 구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의미에 대해 다시 고찰해 봄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였다. 이러한 실사구시가 한송절충론과 관련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부분은 청(淸)나라의 고증학과 같은 것이다. 추사의 학문관이 실사구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추사는 실사구시라는 학문방법론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하학(下學)·상달(上達)과 박학(博學)·독행(篤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점은 추사의 학문이 고증학과 깊게 연관됨을 보여주고 있다. 학문방법으로서 추사는 고증학을 내세운다. 고증학에서 추사는 한(漢)나라의 훈고학을 중시했고 그 가운데 정현(鄭玄)의 주석에 대해 신뢰를 보냈다. 또, 고증학의 방법으로서 추사는 금석학을 내세우는데 그 가운데 「진흥이비고(眞興二碑攷)」에서 북한산순수비를 발견하게 되는 과정을 소개 하고 있다. 「진흥이비고」를 자세히 보면 본래는 무학대사의 비석이었다가 추사의 손을 거쳐 진흥왕의 순수비로 되었다는 기록되어 있다. 이는 실제 있는 일에서 옳음을 구한다[實事求是] 정신과 꼭 들어맞는 것이다. ‘Shishiqiushi(實事求是)’ means looking for what’s right in practical matters. In this paper, this meaning was examined again, and became clear. It was investigated that this ‘Shishiqiushi(實事求是)’ is related to ‘Hansongzhezhonglun (漢宋折衷論)’, which is similar to Kaozhengxue(考證學) of Ching(淸) Dynasty. It’s been examined that ChuSa(秋史)’s view of learning was based on ‘Shishiqiushi(實事求是)’. Regarding the matter of how to practice the academic methodology of ‘Shishiqiushi(實事求是)’, ChuSa(秋史) specifically emphasized Xiaxue(下學)·Sangda(上達) and Boxue(博學)·Duxing(篤行). It shows that ChuSa(秋史)’s studies were deeply related to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As for the academic methodology, ChuSa(秋史) insisted on Kaozhengxue(考證學). He attached importance to exegetic studies of Han(漢) Dynasty. among which, he paid credit to ZhengXuan(鄭玄)’s annotation.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methodology of Kaozhengxue(考證學), ChuSa(秋史) advocated epigraphy, and among which, the discovering process of the monument commemorating a king’s tour in Bukhan Mountain in 「Zhenxingerbeikao(眞興二碑攷)」. When 「Zhenxingerbeikao(眞興二碑攷)」 was closely investigated. it’s been found to have been recorded that it used to be the Buddhist Great Master Muhak’s tombstone, but came to be recorded as the monument commemorating King Jinheung’s tour through ChuSa(秋史)’s hands. It perfectly corresponds to the spirit of seeking righteousness in practical matters[實事求是].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한글 편지 해독과 의미

        김경순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秋史金正喜(1786~1856)의 한글 편지에 관한 연구는 한글 편지 자료, 문학적, 국어학적, 서예학적 연구는 많은 진척을 이루었으나, 추사의 한글 편지 판독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秋史한글 편지』영인본 중에서 오독이 많이 나타나는 제1편·제20편·제31편을 선택하고, 영인본의 판독문에서 발견되는 오독문제를 검토하고, 새로운 판독에 의하여 편지의 내용을 해독하였으며, 편지자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추사 한글 편지는 부정형의 진흘림 필사체로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변형의 글씨를 자유자재로 혼서하여 썼으며, 작품이 아닌 관계로 같은 뜻의 글자가 서로 다른 글자로 誤記되어 혼용하였으며, 당시의 한문 투로 글자가 붙여 쓰여 있어, 정확한 판독에 많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秋史한글 편지』의 영인본 글씨를 판독할 때 일차적으로 시각상으로 판단하고, 애매한 글씨는 문맥으로 판독하였다. 그 결과 오자라고 판정한 41자를 기존 판독문과 비교하여 해독하고,『秋史한글편지』의 영인본과, 필자가 판독한 새로운 판독문을 제시하고, 새로운 해독의 근거를 설명하며, 편지내용을 요약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기존 판독문을 비교한 결과, 오독으로 인하여 그 내용이 상당히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글 편지는 국어학적 측면에서 국어사 연구에 사회언어학적 접근 가능성을 열어 주기도 하며, 언해위주의판본자료를 보완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편지의사 연속에는 당시의 실생활이 그대로 녹아있어 생활사, 민속사, 사회사 등 여러분야에서 살아있는 자료가 될수 있다. 또한 추사체의 독특한 서체가 한글편지에도 반영되어 있으므로 서예사 자료로도 요긴하며, 한글 서예 교본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추사의 한글 편지를 정확히 판독하면 국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 한글 편지 3편만을 판독하였으나, 앞으로 편지 40편을 모두 판독하여, 서간 문학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한글 편지에 대한 오독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문학은 물론 국어학, 한문학, 서예학 등 학제간 교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정확한 판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tudies on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Chusa Jeong-hee Kim(1786~1856) have made advances in collection of data on Korean letters, literary, linguistic and calligraphic finding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a study on deciphering Korean letters of Chusa. This paper examines 1st, 20th, and 31st photoprints of “ Chusa’s Letters in Korean,” those with particularly frequent misinterpretations, and offers new interpretations as well as methods to better utilize the epistolary materials. Chusa’s Korean letters are written in irregular longhand with various types of letterings combined in a free style. As it is not a work of art, characters with the same meaning were confused with characters of different meanings. Moreover, the characters are spaced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 style of the time, creating further confusion inhibiting accurate interpretation. This paper first used visual methods and then contextual methods to interpret vague passages of Chusa’s Korean letters.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interpret the forty-one misspelled characters by comparing them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and presents the photoprints of Chusa’s Korean letters along with the interpreted version. It also provides explanations of the interpretations with evidences as well as summary of the content of the letter. Such effor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include many misinterpretations leading to largely in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ette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the Korean letters open up a new possibility for sociolinguistic approach within the field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It can also be used for complementing the original materials with annotations. The content of the letter directly reflects the events of the times which could serve as useful data of social, folk and everyday life history of the respective era. Moreover, Chusa’s unique handwriting style is shown in the letters making it an ideal reference material for history of calligraphy as well as a sample for Korean calligraphy. As mentioned above, accurate interpretation of Chusa’s Korean letters can contribute to various research efforts including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This paper limited interpretations to three Korean letters of Chusa but future endeavors will need to include all forty letters to contribute further to Korean epistolary literature. To minimize misinterpretations of Korean epistolary dat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Korean literature, linguistics, Chinese literature, calligraphy, etc. will be necessar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accuracy of the epistolary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