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성으로서의 총체성과, 문학비평담론 연구

        김세준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6

        이 논문은 문학비평담론 연구에 있어 총체성의 관점이 제시할 수 있는 바를 고찰하기 위해 쓰여졌다. 리얼리즘의 근본개념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총체성’ 개념은, 리얼리즘의 퇴조와 함께 자연스럽게 그 의의를 상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조적 문예방법론이 아닌 ‘리얼리즘 정신’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리얼리즘은 비평 그 자체와 의미 범주를 함께 한다. 이는 문학적 소통이 (재)생산하는 모든 의미가 사회정치적이기 때문이다. 더 이상 리얼리즘의 이름으로 비평을 행하지 않는 현재에도 리얼리즘과 총체성의 의의를 살리려는 논의들이 끊이지 않는 까닭은, 이 ‘리얼리즘 정신’ 측면의 비평 정신의 의의를 공유하는 의식 때문이다. 맑스 이래로 ‘총체성’에 대한 고찰은 개념적 세공에 치중돼온 것이 사실이다. 이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론의 방법론적 강령에 의해 ‘총체성’ 개념이 고착됐다는 것에 가장 크게 기인한다. 하지만 ‘총체성’ 자체가 유물변증법적 관점에서 사회구조를 적확하게 포착하기 위해 그 틀로서 설계돼왔다는 데에도 그 원인이 있다. 맑스에서부터 루카치를 거쳐 제임슨에 이르기까지 세공된 ‘총체성’의 개념은, 헤겔의 변증법적 총체성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사유함으로써 초점을 달리할 수 있다. 이때 지젝의 라캉-헤겔에 대한 고찰이 운동성으로서의 총체성 개념으로 향하는 데에 길잡이 역할을 해준다. 본고는 정신분석적 개념인 ‘충동’과 헤겔의 변증법적 인식의 ‘운동성’이 갖는 상동성에 주목하는 지젝의 논리에 초점을 맞춰, ‘총체성’이 모순을 구조적 조건으로 삼는다는 것을 개념적 전제로서 이해하고자 했다. 나아가 여성성의 윤리를 ‘총체성’의 변증법과 만나게 하여 라캉과 헤겔을 연결하는 지젝의 논리를 통해, 운동성으로서의 총체성이 담론의 사회적 환상을 가로지르기 위한 선결 조건이 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확인되는 것은 문학비평담론의 연구의 지향점이다. 총체성을 운동성으로 이해하는 분석의 관점은, 문학비평담론에서 총체화가 이뤄지는 지점을 구조적으로 이해한다. 문학비평이 개별 문학의 총체성과 비평적 관점의 총체성을 충돌시킴으로써 이데올로기를 구조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기여한다면, 문학비평담론 연구는 이 이데올로기의 분석 및 재구성의 운동을 구조적으로 이해하여 그 형식적 과정을 분석해야 한다. 이는 담론의 층위에서 ‘환상 가로지르기’의 잠재성과, 새로운 이데올로기 생산의 토대를 검증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헤겔에서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황순호 ( Hwang Soon-ho ) 한국헤겔학회 2021 헤겔연구 Vol.- No.50

        본 논문의 목표는 헤겔의 사상에 나타나는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의 변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보편적 이념이 개별 민족의 특수한 현실에 따라 실현된 결과물이다. 따라서 개별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보편적 이념으로서의 보편자와 개별 민족의 구성원인 개별자의 통일이다. 개별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두 가지 방식으로 변화한다. 첫째, 개별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보편적 이념을 명시화하는 구성원들의 활동을 통해 변화한다. 개별 민족의 구성원들은 보편적 이념을 명시화함으로써, 보편적 이념을 표현하는 인륜적 총체성을 생성해나간다. 민족 구성원들이 전개하는 명시화 활동은 민족의 특수한 역사적 현실에 근거하여 보편적 이념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편자와 개별자가 통일되어 산출된 인륜적 총체성은 정당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고, 민족 구성원의 도야를 이끈다. 반면, 개별 민족의 역사적 현실과 연결고리를 상실한 인륜적 규정들은 쇠퇴와 소멸의 길에 들어선다. 둘째, 개별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세계사적 개인의 행위를 통해 변화한다. 세계사적 개인의 행위는 은폐되고 억압된 보편적 이념을 전면적으로 해방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럼으로써 세계사적 개인의 행위는 기존의 질서와 조직을 혁파하고, 새로운 이념에 부합하는 새로운 질서와 조직을 설립하는 결과를 낳는다. 세계사적 개인의 행위를 통해 새로이 설립된 질서와 조직은 개별 민족에 올바르고 유익하며,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내용을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method of change of the nation’s holistic ethical life that is unique to each nation.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a nation is the result of realizing a universal idea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each nation. Therefore,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an individual nation is the unification of the universal as a universal idea and the individual as a member of each nation. And holistic ethical life of this individual nation changes in two ways. First,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an individual nation changes through the activities of its members who articulate the universal idea. By articulating the universal idea, the members of each national group create the holistic ethical life that expresses the universal idea. The articula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members of the nation express a universal idea based on the specific historical reality of the nation.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each nation,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 universal and the individual, secures validity and continuity, and makes the cultivaion of member of the nation possible. On the other hand, ethical life that lose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reality of individual nation enter the path of decline and extinction. Second,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individual nation changes through the activities of individuals in world history. The World-historical individual completely liberate the concealed and repressed universal idea. In this way, the World-historical individual first destroys the existing order and established organizations, and establishes a new order and organization that conforms to the liberated new idea. Orders and organizations newly established by World-historical individual are right and beneficial to individual nation, and have essential and necessary contents.

      • 역량의 총체성에 기반한 2022 개정 사회과와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

        이동건 ( Lee Dong Geon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역량의 총체성은 역량 함양 교육과정을 담보하는 요건 중 하나이다. 2022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함양 교육과정을 표방하였기에 역량의 총체성을 구현하기에 타당하고 적합한 모습으로 개발되었는지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량의 총체성이 지니는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적용하여 2022 개정 초등 사회과와 과학과 성취기준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의 총체성은 ‘역량이 구성 요소들의 총화 이상으로 작동하는 성질’로 규정될 수 있다. 역량의 총체성이 지니는 세 가지 측면은 망라성, 연결성, 맥락성으로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사회과의 일반 사회영역을 제외한 타 영역과 과학과의 모든 영역은 역량의 총체성이 지니는 세 가지 측면이 모두 잘 투영되어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고 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향후 역량의 총체성 구현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안 등 역량 함양 교육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as a requirement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this criter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otality of competency can b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 of competency operating beyond the aggregation of its constituent components’. The three aspects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are inclusiveness, connectedness, and contextualization.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totality of competency in th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when analyzed based on inclusiveness, both subjects' achievement standards include most components related to knowledge/understanding and processes/skills, while the components related to values/attitudes have relatively lower representation. A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ims to cultivate holistic individuals by considering not only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in-depth factors such as values and attitud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orporate the aspects of values and attitud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Secondly, when analyzed based on connectedness, it was found that only a portion of the overall achievement standards exhibited a closely interconnected structure, incorporating all three categories of competency. To achieve a high level of connectedness,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inclusion of categories of competency and to consider their interconnections. Furthermore, it was evident that the implementation of connectedness varied across sub-disciplines within the same subject. Considering that bo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are broad-fields curriculum which requires the consistency among sub-disciplines, there is a need for consistency in the development of sub-disciplines in order to implement the totality of competency. Lastly, when analyzed based on contextualization, some achievement standards lacked practical guidelines to assist teachers in implementing contextualization based on these standards. Practical guidelines broaden teachers' discretion, support the diver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nhance teachers' autonomy as designers of the curriculum. Therefore,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are needed for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s they do not provide guidelines for implementing contextualization. Summariz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across subject areas, achievement standards of social studies were developed to a certain extent to achieve the totality of competency, with the exception of the ‘history’. Specifically,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general social studies’ fulfilled inclusiveness, connectedness, and contextualization to a high degree. In the case of science, while contextualization in the ‘science and society’ was achieved, inclusiveness and connectedness were not fulfilled to a high degree. Other areas, albeit not at a significantly low level, did not fully satisfy inclusiveness, connectedness, and contextualization. Consequently,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areas other than the ‘general social studies’ domain fully reflect and incorporate all three aspects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defining the aspects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and analyzing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in th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various subsequent studies related 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uch as analyzing other subjects based on the totality of competency and suggesting approaches for implementing the totality of competency in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정지용 수필의 낭만적 총체성 연구

        이정인 ( Lee Jeong-i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1

        본고는 정지용 수필의 의미망을 낭만적 총체성으로 보고 그런 관점으로 해석을 시도하였다. ‘낭만적’이라는 말의 개념은 낭만주의의 정신적 기조인 동경에 초점을 둔 것으로 부재하는 대상에 대한 그리움을 의미한다. 정지용 작품세계에서의 향수는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한 과거에 대한 동경이자 피상적 현실인식으로 인한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으로써 이러한 특성을 낭만적이라 규정하였다. 자연순환의 흐름이 곧 삶이었던 근대 이전은 총체성이 지배하던 시대로 ‘총체적 삶’이 지배했던 고향에서 벗어나 떠도는 정지용은 끊임없이 ‘선험적 고향’을 찾아 나섰다. 정지용은 원형적 공간과의 분리는 상실감을 낳았고 낯선 근대에서 파편적 존재 같은 소외감에 빠져들었다. 가톨릭신앙은 그 극복의지의 방안으로 자기구원을 얻고자 하였으며 리런드ㆍ라이컨(Leland Ryken)의 말처럼 문학과 종교가 삶의 가치와 의미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접맥이 된다면 정지용의 가톨릭시즘은 그런 맥락에 있다고 할 것이다. 1930년대 일본의 문화정책으로 옥죄는 시대의 암울함 속에서 근대문인의 소외ㆍ상실감은 데카당한 혼으로 나아가고 정지용은 30년대 후반 ‘지금-여기’를 떠나 현실의 굴레를 잠시나마 벗어던지는 여행길을 나선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정지용의 기행여정을 메를로 퐁티(Merleau Ponty)의 말에 따라 ‘몸’으로 ‘세계에로’ 나아가는 작가의 총체적 몸짓으로 보았다. 모더니즘 사조의 시와 가톨릭신앙이라는 의식에 가두어온 내재된 동경을 쫓아 직접 몸으로 느끼고 체험하고자 했던 것이다. 정지용이 여행지 곳곳을 다니며 총체성의 표상들을 보고 느낀 소회를 쓴 것이 기행수필이라는 점에서 기행수필은 곧 그의 ‘몸말’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이미 오래전 체화된 향수는 잃어버린 총체성의 표상들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다시 그의 몸말이 된 것이다. 정지용 작가의식의 근저인 향수와 그것의 종교적 변용 같은 가톨릭신앙, 그리고 ‘몸적’ 기행은 삶의 근원적 그리움, 즉 근대이전의 삶이 간직한 총체성을 희구하는 낭만적 문학적 여정으로 읽을 수 있다. The study considers the semantic network of Jeong Jiyong`s essays as the romantic totality and tries to analyze based on such view. The word of ‘romantic’ refers to the missing for absent objects focusing on the yearning which is the psychological stance of the Romanticism. Nostalgia shown in the works of Jeong Jiyong is the yearning for the past due to negative recognitions on realities and for the unknown world due to superficial recognitions on realities. Such feature is defined as ‘romantic’. In the pre-modern times, the flow of natural circulation was life itself. Leaving his home where the ‘life of totality’ prevailed, Jeong Jiyong ceaselessly wandered to seek the ‘a priori home’. Separation from the spatial prototype resulted in a sense of loss and Jeong Jiyong felt left out as a fragmentary being in a strange modern era. Catholicism was the way to overcome and to save oneself. As Leland Ryken said, if literature and religion have a common in that they explore the value and meaning of life, Jeong Jiyong`s Catholicism would lie in such context. In the gloomy times suppressed by the 1930s Japanese cultural policies, alienated and bereft modern writers progressed decadent spirits and Jeong Jiyong set out on a trip to free himself from the reality by leaving the late 1930s ‘Now-Here’. According to the words of Merleau Ponty, this study deemed the travel of Jeong Jiyongas the holistic gesture of the writer advancing from the ‘body’ ‘toward the world’. He was to experience in person pursuing the yearning underlying and oppressed in the modern poem and Catholic mindset. Jeong Jiyong wrote about what he felt and thought seeing the presentations of totality in his travel essays. In that respect, his travel essay could be deemed as his ‘body language’. The missing embodied long before became his body language again by seeing and feeling the presentations of lost totality. The yearning which is the basis of Jeong Jiyong`s writer consciousness, the Catholic faith of its religious transformation, and the ‘bodily’ travel were a romantic literature travel in pursuit of the totality of pre-modern times or the fundamental missing of life.

      • KCI등재

        모홀리-나기의 총체성(totality) 개념 연구: 바우하우스의 교육목적과 미국적 실천을 중심으로

        손영경 ( Young-kyung S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모홀리-나기의 독일 바우하우스와 미국 이주 후 시카고에서의 교육 활동의 양상과 변화를 그의 ‘총체성(totality)’ 개념에 주목하여 고찰해보고, 이를 통해 바우하우스 교육의 사회적 실천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고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Ⅱ장에서는 독일 바우하우스 설립 시기의 교육 이념의 형성과 맥락을 살펴본다. 전후 독일의 붕괴된 사회질서를 재건할 정신적, 물질적 토대로서의 조형예술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출발한 바우하우스는 창조적 예술과 사회적 생산의 이중적 경계 위에 전개되었다. 이념과 현실, 예술과 기술의 분열과 대립 속에서 모홀리-나기는 이를 통해 역동적 전체를 향해가는 분석과 통합의 변증법을 교육의 방법론으로 설정하였다. 그가 조형교육의 목적으로 설정한 ‘전인(whole man)’이라는 개념은 바우하우스의 이원론적 세계를 인간의 생물학적 경험의 범주로 전환시킴으로써 예술을 유기적으로 인간과 현실에 연결시키려는 시도들과 맞물리는 것이었다. Ⅲ장에서는 모홀리-나기가 미국이 부여한 바우하우스의 기능적 가능성을 부정하고 ‘총체성(totality)’이라는 운동의 법칙을 통해 새로운 변증법적 종합으로 나아가는 지점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모홀리-나기의 교육 이념이 미국이라는 새로운 예술 생산의 조건 안에서 어떻게 재구성되고 실행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1919년 그로피우스가 바우하우스의 설립이념으로 ‘총체예술(Gesamtkunstwerk)’을 언급했을 때 이는 시대적 요청과 충돌하는 예술의 고립을 극복한 근대적 예술행위의 표상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미국의 자본주의 생산양식은 산업생산품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 근대 디자인 양식으로서 바우하우스의 성과를 재편하였다. 모홀리-나기는 독일 바우하우스가 설정하였던 예술적 과제를 상속하며 삶의 창조성과 유리된 채 산업생산의 단선적 언어로 제한된 당대 디자인의 상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는 인간의 삶을 중심에 둔 광범위한 지적 탐사로서 예술교육의 형질변화를 촉구하는 방법론으로 ‘총체성’의 개념에 이르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논리는 조형예술의 사회경제적 영향력을 분명히 강화시켰다. 그러나 모홀리-나기는 이러한 영향력을 삶의 다른 모든 측면 즉 과학, 철학, 도시, 경제, 정치로 확장시킴으로써 미국 조형교육에 있어 개인적 성취와 공공의 진보를 모두 수행하는 종합적 실천의 기반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자신이 위치한 역사의 전환점에서 인간의 삶에 조응하는 유기적 교육의 통합으로 그 사회적실천을 성취해내는 바우하우스의 가능성을 본고는 모흘리-나기의 총체성을 통해 논증하고자 한다. This paper follows the shifting phases of Laszlo Moholy-Nagy``s teaching career at the Bauhaus in Germany and then in Chicago after his emigration to the U.S. During this process, we focus on Moholy-Nagi``s visions of totality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praxis of the Bauhaus teachings. The paper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in chapter Ⅱ, we review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the Bauhaus’ teaching principles during the school``s founding stages. The Bauhaus initially started out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ormative arts, and as a physical and spiritual foundation on which Germany could rebuild its collapsed social order after the war. When the school first opened its doors, it did so on an ambivalence of creative art and social production. Because this was a time when ideology and reality, and art and technology was divided and torn between conflict, when Moholy-Nagy came to set his teaching methodology, he decided on a dialectical way of thinking towards a dynamic whole, through analysis and integration. His vision of the ‘whole man’ - which he set as his purpose in formative art education . also coincides with the attempts at that time to connect art with the human reality through an organic network - that is, by associating the theological world of the Bauhaus with a physical human experience. In Chapter Ⅲ, we examine the phase where Moholy-Nagy negates the functional possibilities of the Bauhaus opened up by the U.S., and instead heads toward a new dialectic integration by adopting the principles of a movement called totality. Here we put the focus on how Moholy-Nagy``s teaching ideologies were restructured and practised under a novel condition for his artistic production called the U.S. When Walter Gropius mentioned the Gesamtkunstwerk as the founding principle of the Bauhaus, this was a symbol of the modern artistic praxis that had overcome isolation which occurs when art fails to meet the demands of its time. However, the capitalist manufacturing of the late-1930s U.S. reduced the Bauhaus’ achievements as a modern style of design that merely contributed to qualitative improvements in manufactured goods. Moholy-Nagy, who had inherited the artistic responsibilities of the Bauhaus and left behind with the creativity of life, criticized the designs at that time as being restricted by the simple language of industrial manufacture. Thus he arrived the concept of totality, a far-ranging intelligent exploration with the human life at the centre, as his proposed methodology to advocate for changes in form of artistic education. Without a doubt, the capitalist theories of the market economy had reinforced the socioeconomic influence of the formative arts. However, Moholy-Nagy went a step further and expanded their influence to all areas of life, including science, philosophy, urban issues, economy, and politics. In other words, he proposed a platform for a more comprehensive praxis that serves to both personal achievement and public advancement. As such, by examining Moholy-Nagy``s vision of totality, we discuss the dynamism of the Bauhaus to achieve social praxis through an integration of an organic education with the human condition at the turning point of history.

      • KCI등재

        ‘자본주의의 총체성’과 ‘사회체계의 기능적 분화’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4 법철학연구 Vol.17 No.1

        Niklas Luhmann uses the general framework of system theory as a functionally-differentiated social system. Given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ety no subsystem can avoid autonomy. Functional subsystems of society are always self-referential system. The core of Luhmann's system theory lies in the conception of system an a self-referential system. System is open to cognitive information but closed to operative control. In my article I propose the concept of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al system as norm conception. I believe this concept is suited to solve problems of modern capitalism. In my opinion the core problem of modern capitalism is the problem of totalisation. The power of capitalistic economy system has been bigger and bigger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The problems of society that the totalisation of capitalistic economy system has caused are so serious that we cannot overlook them any longer. The totalisation of capitalistic economy system invades the autonomy of other systems (political system, Wissenschaft system, welfare system and so on). I suppose that the concept of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 conception can be key antidotes to the totalisation of capitalistic economy system. But I should confess that my article is just unfinished thought experiment. 필자는 ‘자본주의’가 문제가 아니라 ‘총체화된 자본주의’가 문제이며, 자본주의의 총체성은 자본의 세계화와 더불어 강력해지고 있다고 본다. 특히 오늘날 자본주의의 ‘총체성’으로 말미암아 사회 부분체계의 기능적 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신자유주의 경제체계는 정치, 학문, 예술을 지배하며, 다른 기능체계의 자율성(자기준거성)을 파괴하고, 자율성을 형성하려는 시도마저 무너뜨린다. 이에 필자는 자본주의의 총체성(총체화된 자본주의)에 대한 해답으로 ‘규범적 개념으로 기능적 분화’를 제시한다. 체계이론을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활용하면서, 루만(Niklas Luhmann)의 자기준거성 개념을 사실적 개념이 아닌 규범적 개념으로 주장한다. 루만은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체계를 체계이론의 근간으로 사용한다. 그에 따르면, 사회체계가 기능적으로 분화되었다면 이를 피할 수 있는 체계는 없다.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의 부분체계는 자기준거적 체계이며, 루만 체계이론의 핵심은 체계의 개념은 자기준거적 체계로 파악하는 데 있다. 자기준거적 체계로서 부분체계는 정보에 대해 인지적으로는 개방되어 있지만, 작동상으로는 폐쇄되어 있다. 루만의 자기준거성 개념을 규범적 개념으로 환치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은 필자의 의문이기도 하고, 아직 해결되지 못한 숙제이다. 다만 이제까지 떠오르는 필자의 대답은 ‘자연법’, ‘공공선’, ‘인간존엄’, ‘인권’, ‘복지’ 등의 규범적 언어로는 자본주의의 총체성에 대한 “실효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점이다(이는 ‘자연법’, ‘공공선’, ‘인간존엄’, ‘인권’, ‘복지’ 등의 규범적 언어가 불필요하다는 점을 뜻하지 않는다. 필자는 ‘인간존엄’, ‘인권’, ‘복지’와 관련한 규범적 주장을 다른 곳에서 펼친다). 무엇보다도 ‘사회체계의 기능적 분화’라는 해결책이 불충분해 보이지만, 불충분하다 하더라도 실효적이라는 점이 필자에게는 큰 매력으로 다가왔다. 필자의 주장에 대해, 체계가 자기준거성에 따라 안정화되었다고 할지라도 체계가 사용하는 이원적 코드 속에 ‘권력/비권력’, ‘민주/독재’, ‘진리/비진리’ 등을 구별하는 기준이 있는지를 묻고 있고, 완성된 기능적 분화의 상태 자체만으로는 사회구성원들의 정당성 판단을 어떻게 통과할지에 대한 추가적 논증이 필요할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한 필자는 (논문 각주 82에 소개된) 뒤르켕((Emile Durkheim)의 한마디가 소박한 대답이 될지 않을까 생각된다. “인간들은 같은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한 도시 속에서 서로 다른 직업들이 서로가 서로를 파괴해야 할 운명에 빠지지 않고 공존할 수 있다. 이는 그것들이 서로 다른 목표들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병사는 군인으로서의 영예를 추구하며, 성직자는 도덕적 권위를, 정치인은 권력을, 사업가는 부를, 학자는 학문적 명성을 추구한다.”필자의 논문은 ‘미완(未完)의 사고실험’이다. ‘기능적 분화’를 규범적 개념으로 주장하는 필자의 주장은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함을 이해해 주시길 바란다. 더불어 여러 사상가(루만, 베른슈타인, 뒤르켕 등)의 이론을 서술하면서 나무는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지는 않았는지, 특히 체계이론을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활용하면서 루만의 체계이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라는 점을 고백하지 않을 ...

      • KCI등재

        K.코지크에 있어서 실천철학으로서 휴머니즘적 마르크스주의 -『구체성의 변증법』에서 인간과 세계의 변증법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권기환 한국헤겔학회 2018 헤겔연구 Vol.0 No.44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 and the world through the meaning of Marxism as a practical philosophy in Karel Kosík. He analyzes the abolishment of philosophy as the realization of philosophy for Marx in three aspects from Dialectics of the Concrete. The first is abolished by the realization of philosophy. The second is abolished by the transformation of philosophy into the social theory. The third, philosophy is abolished when it survives as formal logic or dialectical logic. However, he criticizes these points of the view and makes his Marxism into humanistic Marxism by capturing the activities of the human subject in the philosophy of the practice. It defines the position of the human beings in the world and contributes to clarifying the moments of the practice in the human being as a meaning of the labour and the existence. Human beings are defined not by the totality pseudo-wholeness or fiction but by concrete totality. In order to grasp the true reality, we have to combine the concrete totality with the dialectics that pursue the things themselves. Furthermore, through the dialectical thinking, the human being can orient themselves toward an the open world through the practice, not only as the sum of the processes of the relations and facts, but also as the structures, occurrences, and totals. Eventually, such practice is established when the man is defined through the totality of the world revealed in the history. 이 글은 카렐 코지크에 있어서 실천철학으로서의 인간적 마르크스주의의 의미를 통해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있다. 그는 "구체성의 변증법"을 통해 마르크스에게 있어 철학의 실현으로서 철학의 지양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 철학이 실현됨으로써 지양된다. 둘째, 철학이 사회이론으로서 변형됨으로써 지양된다. 셋째, 철학은 형식논리학이나 변증법적 논리학으로 살아남을때 지양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관점들에 대한 비판을 통해 실천철학에 있어서 인간주체의 활동을 포착함으로써, 자신의 마르크스주의를 인간적 마르크스주의로 만든다. 그것은 세계에서 인간의 위치를 규정해서 인간에게 있어 실천의 의미를 노동과 실존의 계기로 해명하는 데 기여한다. 인간존재는 사입 총체성 혹은 허구의 총체성이 아니라, 구체적 총체성을 통해서 규정된다. 참돤 현실을 파악하기 위해, 우리는 구체적 총체성을 사태 자체를 추구하는 변증법과 결합해야만 한다. 더 나아가 우리가 변증법적 사유를 통해현실을 관계와 사실에 의한 과정의 총합일 뿐만 아니라 구조아 발생 및 전체로서 파악할 경우에, 인간은 실천을 통해 열린 세계를 지향할 수 있다. 결국 그와 같은 실천은 인간이 역사 속에서 밝혀진 세계의 총체성을 통해 규정될 때 성립한다.

      • KCI등재

        ‘총체성’과 문화연구의 미래 - 프레드릭 제임슨의 신 광 현주제에 의한 변주

        신광현(Shynne Gwanghyun) 한국비평이론학회 2006 비평과이론 Vol.11 No.2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future of cultural studies depends on the way in which the concept of totality is incorporated in their practices, arguing that cultural studies ne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concept of totality in order to come to terms with the global capitalist system. As an attempt to recuperate "totality" in cultural studies, this paper considers Fredric Jameson"s Marxist hermeneutics, which involves or indeed is predicated on the idea of totality that is arguably the most exhaustive and relentless one in recent theoretical debates.<BR>  After providing a survey of various concepts of totality extended by such theorists as Louis Althusser, Ernesto Laclau and Chantal Mouffe, Antony Easthope and Stuart Hall, this paper takes a more detailed look at Jameson"s own concept.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wo aspects of Jameson"s theory of totality, discussing his idea of the negativity of totality and hi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totality.<BR>  Jameson"s idea of the negativity of totality, despite its usefulness in defending the concept of totality from post-structuralist attacks, leads to the view that the totality is beyond a cultural representation. As a result, his idea of negative totality ends up with a preemptive view of culture, theorizing it as being able to grasp the totality only symptomatically, that is only in its failure to do so. In critiquing Jameson"s idea of the negativity of totality, this paper compares it with Georg Luk?cs"s idea of "approximation," which dislodges itself from any kind of positive view of totality yet still approves and even invites tantalizingly more and more artistic representations of totality. This paper also critiques Jameson"s reluctance to theorize the multiple strands and layers of experience that the subject employs when engaged with the totality. By examining the way Jameson uses Jean-Paul Sartre"s text, Search for a Method, this paper illustrates how he is not familiar with respecting the language of subject as much as the language of totality in spite of his claim that Marxism has both as two complimentary codes.

      • KCI등재

        역량의 총체성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윤지영 ( Ji-young Yoon ),온정덕 ( Jung-duk O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역량의 특성인 총체성을 듀이의 경험 개념에 비추어 고찰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역량 기반 교육에 제기되는 비판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비판에 대해 역량의 총체성을 중심으로 듀이의 경험 개념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그리고 역량의 총체성 실현을 위해 학습자 경험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을 지식의 성격, 사고기능 및 과정, 가치 및 태도의 측면에서 탐구하고, 구체적인 교육과정 설계의 사례로 싱가포르 과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으며,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구성방식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기반 교육은 역량의 총체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경험의 원리에 따르면 계속되는 학습 경험의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과정은 내적 특성이 총체적으로 발휘되는 역량 발현의 과정이고, 경험을 통해 얻은 총체적 형태의 결과는 학습자의 역량이다. 역량 기반 교육에서 학습 경험은 다음 경험의 상호작용에서 이전 경험이 전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다음 경험에 영향을 주는 가치와 태도를 습득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교과 교육과정에서 학습 내용은 전이 가능한 지식, 사고기능과 사고과정, 가치 및 태도를 포함하며 이는 서로 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지식, 사고기능과 사고과정, 가치 및 태도 측면에서의 학습내용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학습의 결과는 성취기준에 반영하여 제시할 수도 있으며, 교수ㆍ학습의 과정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y focusing on the holistic nature of competency. To accomplish this goal, we have examined major criticism regard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discussed the holistic nature of competency in light of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In addition, we explore the type of knowledge, thinking skills and processes, and attitudes and values required in the growth of students’ experiences to embody the holistic nature of competence. We then consider the case of the Singapore science curriculum document as an example of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and critically examine the Korean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document.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ccording to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both interaction and continuity enable the growth of experienc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all competencie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and the result of experience remains a holistic construct or whole knowledge as competency; here, whole knowledge as competency is used when students make sense of new experience. Second,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petency, the curriculum should contain transferable knowledge, thinking skills and processes, and values and attitudes; these should be taught in an integration way each other. Third, in terms of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processes, values and attitudes, the learning outcome can be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or embodied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 KCI등재

        딜타이 사상에서 총체성 개념의 이해

        손세훈 ( Sehoon So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기존의 차이점만 강조된 딜타이와 독일관념론자들 사이의 유사성을 밝히기 위해, 예술, 윤리, 역사, 종교 이론에 들어있는 총체성의 개념을 통해 비교해 본다. 연구 방법: 딜타이의 해석학적 방법을 토대로 하여 총체성의 개념은 객관적인 자연을 탐구하는 과학적 특성의 의미와 유사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학문의 다양한 총체적 발전단계들은 개체의 발생과 같이 개인의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자연과학의 법칙을 파악하는 수단으로 삼을 수 있다. 연구 내용: 세계의 대상을 탐구하는 자연과학적인 세계관은 독일관념론의 자의식의 철학과 그 형태나 성격이 무척이나 닮아 있다. 자의식은 우리의 사고에서 경험을 제공하는 바탕이 되며, 전체를 형성하여 우리들의 사고를 부분화 한다. 그리고 넓은 우주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하나의 근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론 및 제언: 그러므로 종교적으로 추상적인 본질이 감각적 미학과 윤리적인 것으로 변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은 해석학과 독일관념론의 근본사고인 총체성의 의미를 밝혀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rough the concept of totality of art, ethics, history, religion, etc. in order to reveal the similarities between Dilthey and German idealists, who have emphasized only the existing differences. Based on Dilthey’s hermeneutic method,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e concept of totality is similar to the meaning of scientific characteristics that explore objective nature. The natural scientific worldview that explores the objects of the world is very similar in form and character to the philosophy of self-consciousness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individuality in German idealism. Self-consciousness is the basis for providing experience in our thinking, forming a whole and subdividing our thinking to provide a sourc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wide universe. Therefor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eligiously abstract essence can be transformed into sensuous aesthetics and ethical ones reveals the meaning of totality, the fundamental thought of hermeneutics and German ide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