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배의 문화수용에 관한 초월성 연구

        김병석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예배는 문화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다. 예배자는 문화의 옷을 입고 예배에 참여한다. 하지만 예배는 문화에 의존되어 있지 않으며, 예배에서 절대적인 문화란 없다. 한편, 인간은 문화를 벗어나서 생활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에덴동산에서 하와가 선악과를 보고 그 열매를 먹고, 아담에게 나눠준 사건에서부터 인간의 먹는 문화, 나눠주는 문화가 시작된 것과 같다. 이처럼 인간은 문화에 대한 불가피성에 놓여 있다. 그러나 문화는 절대적인 인간 가치형성의 핵심은 아니다. 문화는 삶의 양식이며 공유하는 인간의 체계, 즉 수단이며 도구의 물리적 체계이기 때문에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신앙의 본질적 내용은 변함이 없다. 다만 그것을 담는 도구와 수단이 변할 뿐이다. 문화는 물리적이고, 신앙의 본질은 비 물리적이다. 그리고 예배는 어떤 문화에도 지배받지 않는 초월적 신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예배는 어떤 문화도 수용할 수 있는 포용력이 있다. 이것이 예배의 ‘초문화성’이다. 예배의 초문화성은 물리적 한계에 놓인 방식이 아닌 신앙의 신비적 초월형식의 예배 속성이다. 예배자는 이와 같은 초문화적 신비와 초월에 동참하는 자이다. 이처럼 예배는 초문화성을 가지고 예배자를 초청하며 시공간의 모든 환경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초월적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즉 예배는 문화에 자유롭고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하지만 문화는 예배에 어떤 절대성도 부여할 수 없다. 따라서 사회문화, 인간의 심리적 환경이 어떠함으로 예배가 어떠하다는 논리는 적절하지 않다. 하지만 예배가 어떠함으로 세상의 문화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논리는 가능하다. 이런 면에서, 신앙의 본질적 내용을 완전하게 담을 수 있는 문화적 틀은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것이 가장 좋은 예배라고 누구도 말할 수 없다. 예배자인 인간은 예배양식과 함께 늘 한계적 현실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배자는 겸손해야 한다. 본 연구는 예배와 문화 사이에 있는 여러 가지의 것을 수용할 만한 포용력이 예배의 속성인 초문화성에 있으며, 예배의 초문화성은 문화에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단서이자 가능성이라는 것을 예배 신학적 통찰력으로 조망한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해서, 현 예배가 예배전쟁에 놓인 현실에 예배 신학적 통찰을 재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orship has a cultural environment. Worshiper wears the clothes of a culture. But worship is not dependent on culture, no culture is absolute in worship. On the other hand, human beings can not live outside the culture. Culture is a form of life, human systems to share, that means a physical system can vary because of the tool. But the essence remains unchanged. Essential content of faith is not changed. Just change only the tools and means. Worship has a transcendent mystery that is not dominated by any culture. In addition, worship it is free to all cultures. This is "Transculture" in worship. The worshiper is participated in such a mysterious and transcendent in worship. Culture is tools. And the essence of faith is the non-physical. Worship is free within the culture. But culture can not give any absolute to worship. So worship of human is not perfect. Because of the culture of human is limited. So the worshiper should always humble. This paper studies the transcendence between worship and culture. This paper presents the view that the transcultural of worship overcome the physical limits of culture, on worship.

      • KCI등재

        의미와 초문화적 의사소통의 가능성

        프로이덴베르거, 실자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4 철학연구 Vol.0 No.27

        이 논문에서는 문화들에 있어서 상호문화적인 것으로부터 초문화적 관점들로 이동하는 데 있어 단지 문화라는 개념뿐만 아니라, 의미의 개념도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우선 상호문화성과 초문화성의 개념들을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상호 문화적 환경으로부터 의미 이론을 구성하려는 콰인의 ‘gavagai’라는 실험적 사유를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초문화적 의미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것이 요구되며, 이것은 퍼스와 그의 기호론을 통해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초문화적 관점에서 의미들은 고정될 수 없고, 의미 전개가 항상 의사소통적 과정 속에서 존재하는 개념을 선호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I want to present the thesis that in a shift from an intercultural to a transcultural perspective on cultures not only the concept of culture but also the concept of meaning must undergo a change. To argue for this, I will first briefly sketch the ideas of interculturality and transculturality. In a next step I will shortly review Quine's thought experiment of the 'gavagai' to construct a theory of meaning from an intercultural setting. In conclusion, I want to argue, for a transcultural concept of meaning more is needed. And this 'more' we might very well find in looking back to Peirce and his process-oriented semiotics. I hold that in such a transcultural perspective, meanings can't and should not be fixed, and therefore a conception, where the developing of meaning is always in a communicative process is to be preferred.

      • KCI등재

        문화혼종화 양상에 대한 문화이론적 연구 : 1970년대 이후 한독 문화교섭을 중심으로

        이수안 한독사회과학회 201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3 No.3

        한국과 독일 간의 문화교섭은 간호사·광부의 인력송출로부터 본격화하였 으며 파독 인력들의 현지 장기체류로 인한 독일인들과의 인적 교류는 오늘날 한류를 통한 실질적이고도 적극적인 문화교섭의 양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 한국과 독일 간의 본격적인 문화교섭의 결과로 생겨난 문화혼종화는 지난 50년간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이 론적 논의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이 연구는 문화교섭의 다양한 양상과 단계에서 드러나는 개념들,이를테면 문화적응,문 화흡수,문화혼종,상호문화,다문화, 초문화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현실세계의 현상을 주요쟁점으로 삼음으 로써 혼종된 문화를 그 자체의 문화로 상정하고 그 문화의 형성과정을 보다 깊이 있게 들여다보자는 의도를 갖고 출발한다. 특히 문화혼종은 단순한 문 화접변이 아니라 문화 간의 상호침투하는 상호문화적(inter-kulturell), 다문 화적(multi-kulturell), 그리고 초문화적(trans-kulturell) 문화교섭의 다양 한 층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의 다양한 개념 정의를 통해 문화교섭과 문화혼종의 다양한 양상에 반영되는 문화의 의미를 문화연구와 문화사회학적 맥락에서 이론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독 문화교섭의 과정과 단계를 예시적으로 짚어봄으로써 문화교섭의 다양한 방식, 즉 문화접변으로부터 시작하여 문화적응, 문화흡수, 문화혼종이 진행되는 과정의 의미를 추적해보 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한독50년 간의 문화혼종의 과정 추이가 사례를 통하여 제시되고 그 근간을 이루는 문화혼종의 매개변수들이 이론적 논의와 연결하여 분석된다. 이 연구의 결과 두 문화가 만났을 때 양쪽이 갖고 있는 문화적 위치가 크게 한쪽으로 기울지 않는다면 어느 한쪽에 일방적으로 문 화흡수당하거나 문화통합되는 빈도가 적어진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미 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일방적인 문화흡수의 경우는 점차 사라지고 다양한 문화가 만나면서 초문화성(Transkulturalität)이 발현될 가능성이 더 커지고 있다는 것도 예상 가능하다.

      • KCI등재

        베르그송의 웃음 담론을 활용한 < JUMP >의 희극적 요인 분석 -transculturality에 관하여

        김효 ( Hyo Kim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4 No.-

        코믹은 그 속성상, 문화적 국지성이 강하여 문화적 경계를 넘어 유사한 코믹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JUMP >는 문화의 장벽을 넘어 글로벌 차원에서 효력을 발휘하는 코믹을 창출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베르그송의 웃음 이론에 기대어 < JUMP >가 구현하는 코믹의 성격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그것이 과연 글로벌코믹을 창출하는데 어떤 효력을 발휘하는지 밝혀 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 JUMP >는 전통코드가 갖는 문화적 국지성을 오히려 역이용 하여 어색함과 부조화 코드를 형성하는데 십분 활용함으로써 창의적이면서도, 문화적 경계를 넘어 흥미를 촉발할 수 있는 코믹물을 창조해 낼 수 있었다. Laughter is difficult to induce naturally across cultural borders, due to cultural locality. It is even more difficult when using factor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outside its cultural borders. However, Jump makes it possible to create international comic entertainment effectively in terms of transculturality. This article reveals which comic elements of Bergson’s laughter theory the non-verbal comic performance Jump utilizes and how they create internationally recognized comic entertainment in terms of transculturality. Utilizing a strategy that transforms cultural locality withi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nto awkwardness and dissonance, Jump becomes creative and interesting comic entertainment that extends beyond cultural borders.

      • KCI등재

        싸이의 <강남스타일>에 나타난 코믹의 특성 연구 - 모롱의 웃음 담론을 활용한 transculturality의 분석을 중심으로 -

        김효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3

        There are growing demands on comic entertainment as the realm of mass media art expands. However, comic entertainment has difficulty in acquiring global recognition due to strong cultural locality; a comic phenomenon in one society does not always bring about laughter in another. Therefore, it is remarkable that Psy’s music video Gangnam Style became a great international success. This success prove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comic entertainment that crosses over cultural borders as well as its magnificent influential power when the comic mode raises international responses.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iscover how Gangnam Style succeeded in creating powerful comic effects that appeal all over the world, transcending cultural locality. This article refers to the discourse on the laugher and comics that Charles Mauron developed in his book, Psychocritique Du Genre Comique(Psychocritics of The Comic Genre) to analyze the comic aspects of Gangnam Style. An analysis on the music video reveals the following three important factors. First of all, the background settings in the music video are common municipal places that are omnipresent in the world and lack the cultural locality of any one nation. This spatial anonymity undermines the conditions which can create cultural locality. Second, Gangnam Style creates a dissonance between the ordinary life displayed in the background places and Psy’s acting in his extraordinary costumes and dance style. This gap brings about laughter and magnifies the effect. Third, the sexuality code, which has universal popularity, is combined with comic codes and depicted in caricatures in Gangnam Style. The sexuality combined with the comic code increases the pleasure derived from the exposure to the sexuality alone. These three elements - spatial omnipresence, discord between the background places and the acting of Psy, and the caricatured sexuality – play crucial roles in attaining the amazing international success of Gangnam Style. 대중예술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코믹물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웃음은 문화적 국지성이 강하기 때문에 글로벌 차원에서 큰 흥행을 이끄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싸이의 뮤직 비디오 <강남스타일>의 세계적 흥행은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즉, 보편적 호소력을 가진 코믹물을 창조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며 코믹 모드가 글로벌 지형에서 반향을 일으킬 경우 어떤 폭발력을 가지는지 입증해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강남스타일>의 코믹 코드가 어떻게 문화적 국지성의 함정을 피하면서 강력한 코믹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었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코믹의 양상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샤를르 모롱이 자신의 저서 『희극적 장르의 심리비평』에서 개진한 웃음의 이론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뮤직비디오를 시퀀스 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크게 세 가지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익명성이 강한 도시 공간을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문화적 국지성이 작동할 수 있는 물적 토대를 약화시켰다. 둘째, 공간과 그 속에서 일어나는 주인공 싸이의 행동 사이의 부조화를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웃음의 효과를 증폭시켰다. 셋째, 보편적 흥행 코드인 성적 코드에 코믹 모드를 결합시킴으로써 해방감을 배가시켰다.

      • KCI등재
      • KCI등재

        줄리아 조의 가지 에 나타난 죽음, 기억, 애도의 의미 읽기

        김지혜 문학과영상학회 2023 문학과영상 Vol.24 No.3

        . Julia Cho’s 2013 play Aubergine offers a new way of imagining a transcultural community that traverses and connects individuals of different races, classes, ethnicities, and generations by utilizing universally relatable themes of food and death. In the narrative, Ray, a Korean-American chef, realizes his father’s love for him at the very moment of his father’s passing. The death prompts Ray to contemplate the nature of mortality, attain a state of self-acceptance, and consequently reconcile with his father, with whom he previously had a strained relationship. Cho examines ”loss” and ”death” as shared aspects of human existence that transcend generational differences, illuminate the Korean diaspora, and show the universality of humanity. Moreover, Aubergine skillfully employs the motif of comfort foods to conjure the intersections and convergences of diverse memory tales among its protagonists. These evocative environments capture and manifest the utopian instances of communitarian connection and unity when individuals share memories and embrace others. Cho sees death and mourning as a valuable resource that facilitates significant transformations in life. Additionally, Ch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haring food and cultural memory as a foundational element of social solid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