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 건강증진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방안

        조규필,황순길,김명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of out of school adolescents, and to propose the health service support system for them.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the relevant literature and policy status data. Next, a health behavior survey, on diet and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checks for the 13 targeted domains, was conducted with 162 out of school adolescents in 16 citie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are vulnerable to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system was not also existed. In addition, we did FGI(focus group interview) with field practitioners, and interviewed experts to construct health service support system. Finally, we proposed health service support system which is focused on targeted inform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service contents for out of school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관리의 사각지대에 있는 학교 밖 청소년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건강증진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문헌과 정책현황자료를 분석하였고, 전국 16개 시도의 학교 밖 청소년 162명을 대 상으로 13개 영역에 대한 건강검진과 식생활 및 신체활동에 관한 건강행태조사를 실시 하였다. 건강실태조사 결과 학교 밖 청소년들은 취약한 건강상태를 보였으며, 건강관리 체계 역시 부재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시한 학교 밖 청소년 및 실무자 면접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건강증진 서비스 대상, 서비스 전달체계, 서비스 내용을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건강증진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수준에 따른 식생활 행태 및 관련 요인 분석: 제16차-제18차 (2020년-2022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계은슬,이정우,김유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제16차(2020년) - 제18차(2022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한 2차 분석 연구로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수준에 따른 식생활 행태의 연관성 및 인구통계학적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청소년의 범불안장애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성별, 연령, BMI, 학교급, 거주 형태, 아버지의 국적, 흡연과 음주 경험, 경제 수준, 학업 성적, 주관적 건강 상태, 주관적 체형 상태, 신체 활동, 앉아 있는 시간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범불안장애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청소년의 범불안장애에 따른 식생활 행태를 분석한 결과는 물 섭취 빈도, 단맛 음료 섭취 빈도, 패스트푸드 섭취 빈도, 과일 섭취 빈도와 아침 식사 빈도가 범불안장애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청소년의 범불안장애에 따른 우울 및 자살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우울감, 자살 생각, 자살계획, 자살 시도 모두 범불안장애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해당하는 요인들을 보정한 후에도 범불안장애 수준이 우울 및 자살 경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범불안장애 수준에 따른 식생활 행태 및 인구통계학적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의 건강한 신체 및 정신적 발달을 위해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수준에 따른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 심층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in adolescents. The results of analyz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AD showed that gender, age, BMI, type of school, residence type, father's nationality, smoking and drinking experience,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ption of body shape, economic status, academic achievement, physical activity, sedentary time and smartphone usage time were related to the GAD (p<0.01). The results of analyzing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the GAD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water intake, sweetened beverage intake, fast food intake, fruit intake and breakfast intake were related to the GAD (p<0.001). The results of analyzing depression and suicidality according to the GAD showed that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planning, and attempts were all related to the GAD (p<0.001). Even after adjusting for factors correspon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G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suicida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on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by analyzing dietary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GAD.

      • KCI등재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변인이 자살시도 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승진(Lee, Seung Jin),유난숙(Yu, Nan Soo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분석하고, 개인심리(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건강상태(주관적 건강인식,BMI), 주관적 학업성적이 청소년 자살시도 유형(계획적 자살시도자와 충동적 자살시도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위해 제 15차(2019년) 청소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 자살시도자 1,731명중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1,575명(91%)으로 충동적자살시도자 156명(9%)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67.3%)이 남성(32.5%)에 비해 자살시도가 높게나타났고, 학교유형별로 보면 중학생(62%)이 고등학생(38%)에 비해 높은 자살시도율을 보였다. 둘째, 자살시도 유형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이었다. 우울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그렇지않은 학생들에 비해 계획적 자살시도를 실행할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청소년의 경우에도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인식의 경우 충동적 자살시도자가 계획적 자살시도자와 비교하여 1.32배 건강하다고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청소년의 경우 계획적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BMI,주관적 학업성적의 경우 청소년들의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가정과수업이나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잠재적 청소년 자살시도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pattern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sonalpsychology (subjective depression, subjective stress), health status (BMI,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subjective academicperformance on the types of youth suicide attempts. For this research, data of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were analyzed employing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1,731 youth suicideattempts 156 (9%) were impulsive and 1,575 (91%) were planned. Girls(67.3%) attempted suicide more than boys (32.5%),and middle school students (62%) attempted suicide more than high school students (38%). Second,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affect suicide attempt types were subjective depression, subjective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fter controlling forgender, grade level, school type, and SES. The rate of planned suicide attempts was higher among those who experienced depressionthan among those who did not. In the case of subjective stress, adolescents who felt stressed were likely to commit plannedsuicide attempts. Those who attempted impulsive suicide showed 1.32 times highe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scores than thosewho attempted planned suicide, indicating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y were not healthy were more likely to attempt plannedsuicide. BMI and subjective academic perform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ypes of youth suicide attempts.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intervention in Home Economics classes or extra-curricular programs, toprevent potential youth suicide attempt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식이행태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제15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이용

        서은주,안성윤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식이행태를 파악하고, 식이행태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추후 알레르기 질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빅데이터를 이차분석하였으며,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천식을 진단받은 청소년은 아침식사 빈도, 과일 섭취빈도, 탄산음료 섭취빈도, 에너지음료 섭취빈도, 단맛 나는 음료 섭취빈도, 패스트푸드 섭취빈도, 채소 섭취빈도, 편의점 식사 경험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은 청소년은 아침식사 빈도, 과일 섭취빈도, 탄산음료 섭취빈도, 에너지음료 섭취빈도, 단맛 나는 음료 섭취빈도, 채소 섭취빈도, 우유 섭취빈도와 관련성을 있음을 보였다. 아토피피부염을 진단받은 청소년은 탄산음료 섭취빈도, 채소 섭취빈도, 우유 섭취빈도, 편의점 식사경험과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청소년의 경우 올바른 식이행태를 교육하여 습관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etary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with allergic diseases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9. Complex-sampl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SPSS. Adolescents diagnosed with asthma had a relationship with frequency of breakfast, fruit, soda, energy drink, sweet drink, fast food, vegetable and convenience store eating experience. Adolescents diagnosed with allergic rhinitis were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breakfast, fruit, soda, sweet drinks, vegetables, and milk. Adolescents diagnosed with atopic dermatitis were associated with soda, vegetables, milk, and convenience store eating experiences. Therefore, in the case of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on correct dietary behavior so that they can have correct habits.

      • KCI등재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 –

        이주재,김순규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과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통해 아동기 건강불평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더불어 건강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는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건강행태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셋째,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이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초등학교 4학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22.0을 통해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 간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심리사회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아동의 건강불평등을 완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in Korea. The three main research inquiries were as follows. First, do socioeconomic factors, healthy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have an effect on children’s health inequality? Second, do healthy behaviors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Third, do psychosocial factors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The data for analysis came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nd 2607 four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Results show that experiences of socioeconomic factors, healthy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all affect children’s health inequality. Also,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s to reduce children’s health inequality.

      • KCI등재

        비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살행동 관련요인 비교 :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지승연,박현섭,홍성애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behavio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dolesc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An analysis of 39,987 people was conducted using raw data from “the 16th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nd Rao-Scott x2-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Ver.27.0 program. Results: While most variables of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affect adolesc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the overall risk cost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higher than that of adolesc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Conclusions: To prevent suicid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mental health factors and problematic behavior factors need to be systematically managed.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violent damages, and drug experience are factors that represent a very high risk for suicidal behavior in multicultural families, so continuous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be practically helpful is requir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비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2020년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원시데이터를 활용하여 39,9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IBM SPSS Ver. 27.0 program 사용하여 복합표본분석(complex samples analysis)을 적용한 Rao-Scott x2-test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비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경우에는 정신건강, 문제행동 대부분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경우에는 정신건강, 문제행동 중 일부의 변수들이 영향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비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오즈비를 보였다. 결론: 청소년의 자살행동 예방을 위해서는 정신건강 요인과 문제행동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우울과 폭력피해 경험, 약물경험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매우 높은 오즈비를 보이는 요인이므로, 지속적인 관리와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맹성준,한창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신체이미지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제12차(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총 48,5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이미지 왜곡을 하는 청소년일수록 우울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은 직접적으로 우울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부분적으로 신체이미지 왜곡은 스트레스를 높게 하여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청소년 우울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간의 관계를 샘플사이즈가 큰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결론에서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청소년이 올바른 신체이미지 확립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body image distortion influences depression in youths and whether the influence is mediated by stress. Data come from the 12th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sample consists of 48,511 youths in the 7th to 9th grades. Ke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tortion of body image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depression in youths. Second, str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distortion and depression. While body image distortion has direct impacts on depression of youth, the stress has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depression.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is based on the large sample size of youth. This study conclude with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n youth’s body image distortion, stress, and depression.

      • KCI우수등재

        청소년 비만율 조사 결과의 차이 및 원인에 관한 고찰

        박은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0 No.6

        Different obesity rates for the same population from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and Student Health Survey samples motivated us to look into these two surveys looking for causes in terms of obesity criteria, survey methods, and distribution. Our exploration presen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BMI boxplots and we analyzed obese students depending on their obesity levels. For all students and obese students, respectively, heights and weigh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surveys. Analysis on Student Health Survey Sample Statistic revealed that obese students entered their heights and weights incorrectly, which is the major reason to the different obesity rates. 교육부의 학생건강검사 표본통계와 질병관리본부의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는 동일한 모집단을 갖고 있지만 비만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임에 주목하여 두 기관에서 제공한 자료를 통해 청소년 비만율의 차이를 보이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각 조사가 사용한 비만율 기준과 조사방법 및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조사의 체질량지수에 대한 상자 그림과 청소년 중 비만 학생들만 따로 분류하여 경도, 중등도, 고도 비만 학생들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전체학생들과 비만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각 키와 체중에 관한 두 조사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키와 체중을 왜곡하여 입력하여 두 조사에서 비만율이 차이를 보임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BMI, 수면시간과 구강질환경험과의 관련성 융합연구

        박신영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 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BMI, 수면시간과 구강질환경험과의 관련 성을 알아보아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자료분석은 청소년 총 57,30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표본설계에 따라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 귀분석을 실행하였고,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BMI 는 구취증상과 관련이 있었고, 수면시간은 외상, 통증, 출혈, 구취의 증상과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구강질 환관리 및 예방을 위해서는 BMI와 수면시간이 고려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BMI, sleep time and experience of oral diseases in adolescents. We want to help develop basic data for improving oral health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sample design of the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a total of 57,303 adolescent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of composite samples, x2-test of composite samples, and logistic regression of composite samples, and the IBM SPSS Statistics 20.0 program was used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BMI was associated with bad breath, and sleep time was associated with tooth break, pain, bleeding, and bad breath . Therefore, BMI and sleep tim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oral diseases in adolescents.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불안

        최혜선,신미아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불안 수준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국가자료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통계분석은 SPSS 2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루에 60분 이상 신체활동을 하는 청소년은 60.9%, 하지 않는 청소년은 39.1%였다. 청소년의 불안 수준은 경도 불안 22.2%, 중등도 불안 7.6%, 심한 불안 3.6%로 나타났다. 청소년의신체활동은 불안 수준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따라서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국가 정책에 신체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