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天皇制이데올로기와 植民地朝鮮

        朴晋雨(Park, Jin-Woo) 한일민족문제학회 2012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3 No.-

        本稿の目的は、天皇制イデオロギーと植民地朝鮮の關係を解明するための方法論的な手掛かりとして、最近までの植民地朝鮮と「植民地近代性」をめぐる硏究動向を檢討するところにある。日本內地で國民統合に中核的な役割と機能を果たした天皇制イデオロギーが植民地朝鮮でいかに擴張された行き、また朝鮮ではこれをいかに認識し、受け入れていたかを明らかにすることは、近代日本の植民地支配のイデオロギー的な特徵をより深層的に理解するためにも当然問われるべき問題であるといえるだろう。 本稿では、このような問題意識に基づいて、まず植民地支配での宗敎政策、敎育政策、そして皇民化政策のように思想史と關わる分野で天皇制イデオロギーの側面がいかに認識され、また硏究されて来たかを檢討し、次には最近活發に展開されている「植民地近代性」をめぐる議論のなかで天皇制イデオロギーと植民地朝鮮に關する問題がいかに認識されているか、あるいはいかに排除されているかを檢討した。結論的にいえば、植民地朝鮮と「植民地近代性」論をめぐる最近までの硏究動向のなかから、天皇制イデオロギーと植民地朝鮮の關係を總体的に捉えることができるようなビジョンは未だ提示されていないのが現狀である。現在としては、これまで蓄積されてきた植民地朝鮮での敎育政策、宗敎政策などに關する實証的な硏究成果と、「植民地近代性」に關する硏究方法論をめぐる議論を基にして、今後の課題と方法を設定する初期的な段階にあるということができるだろう。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the recent colonized Chosun and ‘Colonial Modernity’, through which to get a methodological clue to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eror system ideology and colonized Chosun. It might be helpful to understanding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 in modern Japan’s colonial rule to make clear how the Emperor system ideology, which did a core role and function in national unity in Japan, was expanded in colonized Chosun, and also how Chosun perceived and accepted it.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aspect of the Emperor ideology system has been addressed in the research field on religious policy, and educational policy, etc. under the colonial rule based on such a critical min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mperor system ideology issue is perceived in the discussion about ‘Colonial Modernity’, which is briskly in progress. Conclusively, the present condition is that the vision is not offer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cret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 system ideology in the recent research trend on colonized Chosun and ‘Colonial Modernity’. At the present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research on colonized Chosun and ‘Colonial Modernity’ stays at an early stage for setting up the researching method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research performance on the religious policy and educational policy in colonized Chosun, which has been accumulated up to now,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on ‘Colonial Modernity.’

      • 일본 천황제와 일본 기독교

        김승태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3 No.-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nature of the religious policy of Japanese colonialism and delineates the responses of Japanese Protestantism to the religious policy.First, it outlines the nature of the “emperor system” of the modern Japan. Modern Japan was an absolute monarchy nation-state formed by the ideology of “emperor system.” This ideology, which combined traditional Japanese Shintoism with Confucian ethic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made the personality and authority of the “emperor” absolutely sacred and inviolable. It dominated over every aspect of the people's lives and required them to render their absolute submission and loyalty to the state power. The ideology of the “emperor system” was an amalgamation of religions, fascism, and irrationalism. It was infused systematically into the Japanese people through the educational and military institutions, and reinforc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and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The Japanese religious policy was formed in period of the Meiji Restoration. Its keynote was to grant the highest privilege to state Shintoism or shrine Shintoism; keep three “authorized religions” --religious Shintoism, Buddhism, and Christianity--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and illegalize the other religions as “pseudo-religious organizations” and oppress them with the help of the police force. Because of social condemnation and rejection to Christianity from the beginning Christianity in Japan was not developed so much and did not resist to the country's religious policy but adapted themselves by their usefulness. They took the way of compliance with national policy. They recognized the emperor worship and the shrine worship. Moreover Christianity in Japan has cooperated in the war of aggression. Sinc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in the 1930s was resumed, Christianity in Japan altered the doctrine and faith of Christianity as so called ‘Japanese Christianity.’ After the promulg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Act in April 1939, all the Protestant denominations in Japan by the consolidation formed the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 by 1940, and actively cooperated in the war of aggression as one of the country's edification organizations. 일본의 근대 ‘천황제’ 국가는 ‘천황제’ 이데올로기에 의해 형성된 절대군주제 국가였다. 이 ‘천황제’ 이데올로기는 일본의 고래의 신도사상(神道思想)과 충효의 윤리를 바탕으로 한 전제적이고 가부장적인 유교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천황’의 권위를 신성시하고 절대시함으로써 국민의 일상은 물론 정신세계까지 지배하여 국가 권력에 대한 국민들의 절대적인 복종과 충성을 얻어내려는 것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종교적, 반민중적, 반이성적 성격이 들어있었다. 일본 메이지시대 전반기에 형성된 이러한 ‘천황제’ 이데올로기는 의무화된 근대교육 기관과 군대, 교화기구를 통해서 자국민에게 체계적으로 주입되었으며, 청일전쟁, 러일전쟁 등 침략전쟁을 통해서 해외 식민지를 강점․지배하면서 더욱 강화되고 정교화되어, 지배이데올로기로 활용되었다. 일본의 종교정책은 메이지유신기에 형성되었는데 그 기조는 국가신도 내지 신사신도(神社神道)를 정점으로 하여, 그 하위에 교파신도와 불교, 기독교를 국가의 공인종교로 삼고 국가 시책에 충실히 따르도록 통제․이용하면서, 그 외의 종교는 ‘유사종교단체’라 하여 불법화하고 경찰력을 동원하여 통제․탄압하는 것이었다. 일본에서 기독교는 전래 초기부터 사회적인 비난과 배척을 받아 교세가 크게 발전하지 못했으며, 국가와의 관계에 자신을 적응하여 자신의 유용성을 변증하고자 하였다. 일본 기독교는 초기부터 국가의 종교정책에 저항하기보다는 순응하고 협력하는 길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일본 기독교는 천황숭배와 신사참배를 인정하고, 침략전쟁에 협력하였으며, 대륙침략을 재개한 1930년대 이후에는 일본적 기독교라고 하여 교리와 신앙의 본질적인 부분까지 변질시켰다. 1939년 4월 종교단체법이 공포된 이후에는 개신교 교파들이 통폐합하여 일본기독교단을 만들고, 적극적으로 침략 전쟁에 협력함으로써 국가의 교화단체의 하나로 전락하고 말았다.

      • KCI등재

        재일한국인2세 작품에 나타난 ‘무사도’

        이승진(Lee, Seung-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8 No.-

        본고는 재일2세 문학을 ‘무사도’라는 유교이념의 근대주의적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일본의 제국주의화에 깔려 있는 정신적 기원을 해명하고, 그 발현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일본의 경우, 무사도적 유교이념은 ‘가족국가관’과 ‘천황제이데올로기’라는 근대적 사상, 그리고 그에 기초한 근대시스템 창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부장제적’집 질서 구조가, 신민과 국민을 이어주는 상상된 공동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은 일본 근대 제국주의 형성에 주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한편 ‘천황제이데올로기’에 내재된 유교문화적 가치는 식민지 조선인, 그중에서도 종주국에서의 삶을 강요받았던 재일에게, 때로는 자신들의 생활원리를 지지하는, 때로는 그 생활원리 자체를 부정하는, 매우 이중적이며 모호한 모습으로 다가 온다. 고사명과 이회성의 작품에는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작용이 상징적으로 그려지는데, 이들 작품에 전경화된 심상풍경은 그야말로 천황제이데 올로기의 이면에 감추어 있는 내밀한 확장 원리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여기에 주목할 때, 종래의 식민 · 피식민이라는 경직된 이분법적 구도에서 ‘민족성’의 회복이라는 단선적인 해석에 머물러 온 재일문학 연구에 새로운 시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a mental origi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examining its representational aspects by reinterpreting the 2nd generation Korean-Japanese literature in terms of the modern expansion of the Confucian ideology of the ‘Bushido’. In Japan, the Confucian ideology of Bushido had a critical effect on the modern ideas of the ‘Family-State’ and ‘Emperor System’ ideologies and also on the creation of a modernized system based on such ideologies. A process that "patriarchal" familial order structure developed into an imaginary community connecting the subjects and the people acted as a primary basis for establishing the Japanese modern imperialism. On the other hand, for the colonized Joseon people, particularly for Korean-Japanese who lived a forced life in a suzerain state, the Confucian cultural values inherent in the ‘Emperor System ideology’ were very dual and ambiguous ones sometimes supporting or sometimes denying their living principle. Such an ideological effect is shown symbolically from works by Ko Sa Myeong and Lee Hoe Seong. Mental landscape foregrounded from their works shows a secret expansion principle hidden in the back of the Emperor System ideology.

      • KCI등재

        근대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조선인 ‘위안부’ 정책의 역사적 특수성

        강경자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24 日本 硏究 Vol.- No.60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ficity of the Korean “comfort women” policy, which is organically linked to the modern Japanese emperor ideology. It also historically examines the actual damage caused by human rights violations, including the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 “comfort wome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emperor’s ideology and the strategies and policies that Japan implemented to rule Korea through the Korean Governorate, we analyzed primary sources such as documents, decrees, and notices from the Japanese military and administration, including from the governor general of Korea, considering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Korean “comfort women” policy and the modern emperor ideolog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Korean “comfort women” policy was a coercive state policy,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which involved the Japanese military, the Korean governorate, and the executive branch, and that the Japanese forcibly mobilized Korean women at the bottom of the social hierarchy as instruments of sexual exploitation. The issue of Korean “comfort women”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facts of Japanese supremacism, contempt for other people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strumentalization of human beings, and brutal human rights abuses, including forced labor, which are inherent in the modern emperor ideology.

      • KCI등재후보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식민지조선 - 1910~20년대를 중심으로 -

        박진우 일본사학회 2007 일본역사연구 Vol.26 No.-

        This paper intend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ideological domination and the meaning of it in the thought history,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emperor ideology, formerly created within Japan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nation-state of Japan, in the colonized Chosun from the 1910s to the 1920s. First, I looked into the formation of the stereotypical view of Chosu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in regard to the emperor ideology. Secondly, I examined how the ishidonzin(favor of the emperor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theory and nisendocho(Japanese and Korean nations have the same forefathers) theory, which appeared in the 'annexation' period, played a part in justifying colonialist rule over Korea, by hiding the contradiction of it. Thirdly, I showed how the emperor ideology continued and strengthened in the 1920s in the context of education and religion policy. The ishidonzin and nisendocho theories, as part of the emperor ideology, were the very two central concepts that ideologically determined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ose theories developed to the theory of naisennyuwa and naisennittai that the two nations should be harmonized and ultimately united as one. The ideology played a large role as camouflage of the violent nature of the colonial rule and means of justifying the severe oppression against those who did not conform to their rule. In the end, the emperor ideology had the complex duality of accommodation and discrimination, embracement and exclusion in the colonized Korea.

      • KCI등재

        포스트제국의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이세신궁 수학여행-오사카(大阪)시 재일조선인 아동을 중심으로

        김현아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翰林日本學 Vol.- No.40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공교육을 받는 재일조선인 아동의 이세신궁 참배와 포스트제국의천황제 이데올로기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1985년에 오사카지역 전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수학 여행지를 조사했는데 약 6할 정도가 이세 방면으로 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재일조선인 아동들이 일본인 아동들과 함께 이세신궁을 참배하는 일은 과거 식민지지배 하의황국신민화 교육에 의한 내선일체화와 연속성을 갖는 것으로 포스트제국의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문제시할 필요가 있다. 일본은 1918년 이후부터 1945년 패전 시까지 학교행사인 수학여행이라는 명분을 통해 이세신궁을 참배하게 하였다. 이는 천황에 대한 경신 사상과 국체관념을 교화하는 수단으로 이용했다는 점이다. 또한 1980년에 들어 국가권력과 연계된 황국사관과 교과서검정의 역사관이 대두된 점도 천황제의 이데올로기와 상관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일본의 정치 권력은공교육을 수단으로 교과서검정에 의한 천황제의 국가의례와 황국사관 교육을 통해 자국 중심적인 애국심과 민족의식을 강화해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재일조선인 아동들이 학교행사라는 명분 아래 이세신궁을참배하는 것은 식민지시기의 일방적인 황국신민화 교육이 재현되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재일조선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 공교육에 가려진 황국신민화 교육은 재일조선인을 독자적인문화를 가진 민족임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본 정부의 내선일체적 동화정책과 깊게 연동하는문제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태평양 전쟁기 『아이생활』의 친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박영지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6

        During the Pacific War, “Child Life” walked a serious pro-Japanese path, abandoning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that were shown until the 1920s and mid-30s and the nationalist characteristics of the weak countries under colonial rule. This fact wa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background of “Childhood,” the conversion of Christians, and the activitie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Japanese tried hard to spread ‘Japanese Christianity’ and ‘Hwangdo Christianity’, which combined the ideology of the emperor with Christianity, to the colonial Joseon Dynasty. It was also part of efforts to remove the nationalistic nature of the church and reject Western missionaries. Missionaries were not Koreans but foreigners who belonged within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Christianity, and were able to accu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irrationality and violence against Japan’s colonial rule. In addition, because of diplomatic issues, missionaries were a nuisance that Japan could hardly control, so Japan made various efforts to divide the church by using methods such as strategy, division, and conflict-promoting. Leaders of the colonial Joseon Dynasty also actively cooperated with Japan to meet their desire for control and protection. They used to work for major independence groups before taking the pro-Japanese path, but most of them turned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Pro-Japanese literature can remain a blemish of history, but only honestly face-to-face can one have a sense of history that one should not repeat the same mistake through reflection and reflection, and when one does so, the problem of pro-Japanese affairs can be overcome. This is also necessary for the complet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n Korea. 태평양 전쟁기의 『아이생활』은 1920년대와 30년대 중반까지 보여주었던 기독교적 특성과 식민 치하에 있던 약소국이 지닌 민족주의적 특성을 버리고 심각한 친일의 길을 걸었다. 이러한 사실은 『아이생활』의 배경에 있던 기독교의 역사와 기독교인들의 전향, 식민 통치국이었던 일제의 활동과 깊은 관련성이 있었다, 일제는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기독교를 결합한 ‘일본식 기독교’, ‘황도적 기독교’를 식민지 조선에 전파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것은 교회의 민족주의적 성격을 제거하고 서구권 선교사들을 배척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도 했다. 선교사들은 조선인이 아닌 외국인들로서 기독교의 국제적 네트워크 안에 속한 존재들이었고, 일본의 식민 통치에 대한 불합리성과 폭력성을 국제사회에 고발할 수 있었다. 또한 외교적 문제로 인해 선교사들은 일본이 함부로 좌지우지하기 힘든 성가신 존재였기에 일본은 획책, 분열, 갈등 조장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교회를 분열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했다. 식민지 조선의 지도자들 역시 자신들의 지배욕과 보호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일제에 적극 협력했다. 그들은 친일의 길을 걷기 전 주요 독립운동단체에서 활동했으나 일제 말에는 대부분 전향해 버리고 만다. 친일문학은 역사의 오점으로 남을 수 있지만 정직하게 대면해야만 성찰과 반성을 통해 같은 과오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으며, 그렇게 할 때 친일의 문제도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 아동문학사의 온전한 서술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 KCI등재

        사진그림엽서로 본 러일전쟁과 프로파간다

        황익구(HWANG IKKOO)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3

        이 논문은 일본이 국민국가 형성 과정에서 수행한 러일전쟁을 국민적 기억으로서 이미지화(통합)하고 나아가 그 기억을 전승하고 변용해 가는 과정을 사진그림엽서라는 시각매체를 통해서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그 분석을 통해서 일본의 전쟁프로파간다와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의 전개양상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러일전쟁을 제재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프로파간다가 내재되어 있다. 먼저, 전황을 전달하는 미디어의 기능과 함께 전쟁이미지를 취사선택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작위적인 전쟁프로파간다이다. 다음으로는 ‘총후’의 여성상을 통해 여성의 국민화를 모색하려는 프로파간다이다. 그리고 또 하나는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동시에 전파하는 프로파간다이다. 러일전쟁을 계기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는 국민들 사이에 회자되고 재현됨으로써 공적기억을 형성하는 장치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러일전쟁이 ‘자랑스럽고 위대한’ 전쟁으로 각인되고 기억되는데 일조를 하였다. 즉 러일전쟁을 계기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는 러일전쟁이라는 동시대적 기억을 집합적 기억으로 통합시키는 한편 후대의 전쟁 프로파간다의 수단으로서도 재활용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by which Japan consolidated the Russo-Japanese War as a national memory and propagated its memory through the visual media of the picture postcar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Japanese war propaganda and imperialist ideology will also be considered in the analysis. Picture postcards issued under the theme of the Russo-Japanese War played the role of disseminating war propaganda by depicting war images together with functions as media that conveyed war situations. The postcards were also a means of dispersing propaganda to support women’s nationalization by expressing the image of the female in defense of the home front. In addition, the postcards fulfilled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emperor’s ideology while propagating it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picture postcards issued on the occasion of the Russo-Japanese War consolidated the contemporaneous memories of the Russo-Japanese War as a collective memory, and were also reused as a means of war propaganda when carrying out the subsequent war.

      • KCI등재

        천황제와 성차별·이성애주의의 재생산: 일본의 국가 이데올로기 장치의 종언을 향해

        호리에 유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24 일본비평 Vol.- No.30

        The modern emperor system in Japan is an institution that reproduces the norms of sexism and heterosexism in Japanese society. However, most people living in Japan are so accustomed to the state system of the “symbolic emperor syst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ven problematize it. This paper will first describe the situation in Japanese society during the two replacements of the emperor, and clarify the issues of sexism and heterosexism with regard to the imperial succession.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the emperor system itself, Japanese feminists have also pointed out the system’s significant social impact on people’s consciousness and resulting customs of gender roles. However, such discussions had failed to include the perspective of heterosexism. For this reason, this paper will hypothetically present an analysis from the positionality of “lesbian,” which has been othered by both male-centeredness and heterosex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