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과 내용의 범위와 계열 선정에 관한 숙의 : 초등 국어과를 중심으로

        김경자,유은경,송희승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3

        이 연구에서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을 교과 지식에 대한 질적 제고라 보고 교과 내용의 범위와 계열을 선정하고 체계화하는 과정을 초등 국어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 창의성을 ‘국어과 특성을 반영한 문제를 새롭고도 적절한 아이디어나 산출물로 해결하는 능력’으로 보았다. 그리고 국어과 특성은 국어과 내용에 담겨진다고 보아,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분석, 국내외 국어과 교육과정 관련 문헌들에 나타난 전문가 제언 분석, 현장 초등교사들의 조언, 국어 교과 전문가 및 교육과정, 교육심리학, 교육철학 전문가들의 숙의를 거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어 사용으로부터 추상 · 표상되는 지식을 선정하고 논리-연역적 추론을 통해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그 결과, 국어과 교육내용을 2차원적으로 체계화하였는데, 국어과 교육내용영역을 텍스트 지식, 과정과 전략에 대한 지식, 언어의 체계 및 구조에 대한 지식으로 선정하였고 국어사용기능을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보기, 시각화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년별 내용 위계와 내용기준을 구체화하였다. 현대적 지식론에 대한 오해로 창의성 증진을 활동에만 의존하는 것을 지양하고 교과의 지식과 활동이 함께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연구의 기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Current studies indicate that threshold content knowledge in subject areas is needed to produce creative produds or solutions. Many studies in cognitive science confirm it. Reviewing the studies, subject specific creativity can be defined as "an ability to produce a novel and appropriate produds or solutions based on a subject (domain) specific knowledge". The mental process of creativity is the same across the subjects. But creative products or solutions are different across the subjects because each subject has its own distinguished logical structures and ways of thinking. Then, it can also be concluded that subject specific knowledge determines subject specific creativity. Accepting the meaning of subject specific creativity and assuming the importance of content knowledge of subject areas to enhance creativity in students, this study deliberated to select and organize scope and sequence of content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rts in elementary schools in a manner to enhance creativity in students. To do so, the 7th amended national Korean Language Arts is analyzed. Suggestions from Korean Language Arts specialists, current researches, and Language Arts curriculum in various countries were also explored. As a result, domains of knowledge in Korean Language Arts were identified as a broad range of texts, processes and strategies, and systems and structures of Korean Language. Content of language usage skills were defined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viewing, and visualizing. A graphic two-dimensional chart was employed to conveniently structure grade level content knowledge without omitting important knowledge. On the left vertical column, language usage skills were shown and on top of the horizontal line, texts knowledge, processes and strategies knowledge, and systems and structures of Korean Language were laid. Using the two-dimensional chart in this way, scope and sequence of Korean Language Arts and grade level content standard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alancing content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to promote creativity in students.

      • KCI우수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체육교과서의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 초등학교 3, 4학년 경쟁영역을 중심으로

        장병권 ( Byungkweon Chang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교과서 경쟁영역에 담긴 창의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체육교과서 내 창의성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2015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3, 4학년 검정교과서 16종이다. 자료 분석은 Rhodes의 4P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사람 관점에서 고른 활동주체를 대상으로 ‘탐구심’ 관련 활동이 많았다. 둘째, 창의적 과정 관점에서 ‘학습’이 대부분이었으며 게임을 적용, 변형하거나 개발하는 활동이 많았다. 셋째, 창의적 산출물 관점에서 활동방식은 ‘생각하기’가 많았으며 창의성 요소는 비교적 골고루 나타났다. 넷째, 창의적 환경 관점에서 공간과 매체는 제약이 없었으나 간접체험활동이 많았다. 체육교과서의 창의성 교육 내용은 창의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단순한 게임 변형과 만들기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향후 체육교과서의 창의성 교육 내용은 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과정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reativity education contained in the competition area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grades 3 and 4 of elementary school. The collected data are 16 types of 3rd and 4th grade certified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e 2015-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data analysis, a framework for analyzing creativity education content in a physical education textbook developed based on Rhodes’ 4P model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erson, there were many activities related to ‘inquiry mind’.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rocess, ‘learning’ was the most, and there were many activities to apply, transform, or develop games. Thir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roduct, the way of activity was ‘thinking’ a lot, and the elements of creativity appeared relatively evenly. Fourth,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ress, there were no restrictions on space and media, but there were many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xtbooks, simple game transformation and making were the mainstays in the state of lack of understanding of creativity education. Creativity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a systematic form that includes a creative process.

      • KCI등재

        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STEAM 교육

        서동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수학교육학연구 Vol.24 No.3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backgrounds, main claims, and teaching and learning of STEAM education, and analysed STEAM education on the viewpoint of didactics of mathematics. The core competences of STEAM are creativity, communication, convergence, and caring. We found th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aring among these competences is relatively very weak, and the main principles for teaching and learing are mainly included the theories of didactics of mathematics and of creativity. We need to approach very carefully and progressively to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STEAM, and also need to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mathematical creativity.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논의되고 있는 STEAM 교육에 대하여 등장 배경, 주요 주장, 교육 방안 등을 살펴보고, 수학교육학의 관점에서 STEAM 교육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STEAM 교육에서 기본적으로 가정하는 창의, 소통, 내용융합, 배려라는 네 가지 핵심 역량 중 다른 것과 달리 내용융합에 대한 근거는 매우 미약하며, STEAM 교육의 주요 원리는 그 동안 수학교육학이나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논의되어 온 것에 상당히 유사함을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STEAM 교육을 너무 급진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조심스러우며, 기존에 수학교육학 분야나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논의를 고려하여 보다 많은 기초 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앱 활용 수학 수업을 위한 예비교사의 TPACK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김부미 한국학교수학회 202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가 고등학생들의 집단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바일 수학 학습 콘텐츠인 애플리케이션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E-learning 고등수학”을 활용하여 사범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함양하고 수학 수업에서 학생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사전교육, 목표설정, 수업계획, 수업실습, 수업평가 단계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테크놀로지 도구를 평가하였고, 앱의 두 활동에서 고등학생들이 집단창의성을 발현하도록 지도하기 위해 과제대화록, 레슨 플레이, 반성적 저널,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적용 결과, 예비수학교사의 TPACK을 함양할 수 있었고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학생과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 초등 과학교과서 기반 창의적 에너지ㆍ기후변화 교수·학습 방안 제안 -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ㆍ4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신동훈 ( Shin Donghoon ),조은별 ( Jo Eunbyul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내용과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해당 단원의 학습 목표를 충족시키고 학습한 과학적 개념과 연관시켜 학습자로 하여금 창의적 학습 방법을 통해 에너지·기후변화 관련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의적 에너지·기후변화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 3·4학년군의 1학기와 2학기 교과서와 실험관찰에 제시된 전 단원의 학습내용과 탐구활동 중 기후 변화 현상, 원인, 대응지식, 기후 현상에 대한 탐구, 기후 문제에 대한 해결, 기후에 대한 감수성과 배려, 기후 변화 대응의 실천 등의 범주와 연관시킬 수 있는 과학적 개념 및 내용과 탐구활동을 선정하였다. 초등 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의 지속적인 세미나 및 논의를 통해 미리 선정된 과학 내용 및 탐구활동에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내용과 활동 및 과학 창의성 요소를 접목시켜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교과서 기반 창의적 에너지·기후변화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아닌 초등 과학 교사 2명과 개발한 에너지·기후 변화 교수·학습 방안의 현장 적용 가능성 및 보완점에 대한 협의 과정을 거쳐 현행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창의적 에너지·기후변화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reativ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ergy and climate change by analyzing the 3rd and 4th grade group’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is, all th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in the 3rd and 4th grade group’s science textbooks and experiment observation workbooks were analyzed. Th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hich were related to climate change phenomenon, cause of climate change, corresponding knowledge, exploratory about the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solution about the weather issue, susceptibility and consideration for the climate change were selected. Through out the seminars and discussions with two experts of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dding the creative elements and energy and climate change concepts, contents and activities to the pre-selected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e developed the creativ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ergy and climate change based 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addition with the two elementary science teacher, who is no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discussed about the applicability and complements of the creativ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ergy and climate change. The data from the group discussion were also proposed the direction of the methods that can proceed in conjunction with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리더십 敎育의 必要性과 深化를 爲한 一考察

        김대규,이갑두 경주대학교 창의력개발연구소 2000 創意力開發硏究 Vol.-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leadership program and build the theoretical model to intensify leadership program in educational curriculum. Under the shif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of knowledge-based society,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s knowledge. Knowledge is embedded to individual, therefor how we can exploit, shard and utilize individual knowledge is main issue in the new society. University has a role to educate the creative and challengeable man who is leading a new society. In Korea, many university attempt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to cultivate 'knowledge people'. Expecially, this paper concentrates on leader ship program of Kyongju University, in Korea. Kyongju University restructured the educational curriculum, named KBC(Kyongju Boot Camp) in 1999. Leadership program is one of the key content to practice the new curriculum, KBC. We can't evaluate the performance of leadership program at present stage because it's only starting point. But from the last year's experience and the questionary research, we can require the positive evaluation and recognize the necessity of leadership program. Of course, it's very important to introduce adaptable model and method to intensify the program. The model's key point is interrelationship of student, facul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t's effective to utilize the discussion and dialog method in small group.

      • KCI등재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검정 체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최지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authorization system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uthorizing, and adopting the textbook as a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through analyzing the unit organization structure and materials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aim, I analyzed four problem items of 23 kinds of 'Kukeo(Korean language)' and 'Kukeo Saenghwal(Living Korean language)' 1-1 in secondary school, as follows : ① flexibility on applying achievement standards, ② creativity on content organization, ③ propriety on text adopting, and ④ association between the textbook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 ascertained that the common problem among the above items was the fact that the textbook had developers spontaneously given up their self-regulation, one of the fundamental values of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system, and that this matter was caused by inflexibility in this system. In response, I suggested the three solutions. The first, authorization standards of textbook must be clarified and particularized. The second, to ensure the speciality in adopting the textbook, educating to help appreciate the good textbook should be offered for teachers. And the third, the objective qualification criteria as the subjects both in authorizing and developing the textbook must be required to upgrade.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개발, 검정, 채택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 과정에 배태된 구조적, 제도적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에서는 23종의 ‘국어’ 및 ‘생활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 ① 성취 수준 적용의 유연성, ② 내용 조직의 창의성, ③ 제재 선정의 적정성, ④ 교재 간의 연계성. 분석의 결과, 일반적으로 이들 검정 교과서에서는 검정 교과서 체제의 근본 가치 중 하나인 자율성이 자발적으로 포기되고 있으며, 이는 검정 체제의 경직성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는 세 가지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그 해결을 모색하였다. 첫째, 교과서 검정 기준은 명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둘째, 교과서 채택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교과서를 분별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셋째, 검정 및 개발 주체로서의 자격 요건을 강화하여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