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문법 학습 교재의 5문형 분류 체계

        엄태경(Tae-Kyung U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한국의 많은 영문법 학습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5형식 문형 분류에 대한 설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외국어 학습자를 위해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문법을 ‘학습 문법’으로 명명하고, 교재 집필자가 학습 문법을 설정하고 교재를 구성하기 위해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문법을 ‘참조 문법’으로 규정한 후, 이 두 문법에서의 문형 설명을 비교하여 국내 영문법 학습 교재에서 나타나는 설명의 단순화 및 오류를 검토하였다. 5문형 체계는 일본식 문법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이 분류 방식은 C. T. Onions에 의해 1929년 처음 소개된 이론으로서, 오히려 영어학적 이론 문법이 영문법 학습 교재에 반영된 예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필수적 부사구’와 ‘유표적 구문’ 등에 관해 참조 문법의 내용이 반영된 새로운 설명의 시도들도 영문법 학습 교재 내에서 확인되었다. 정확성과 타당성에 기초한 학습 문법을 마련하기 위해 교재 집필자와 교사들이 해외의 권위있는 참조 문법서 및 이론 문법의 연구 성과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영문법 학습 교재에서 발견되는 문법 설명의 오류를 피하고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도 더욱 정확한 문법 체계를 교수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5 sentence patterns which have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 ‘learning grammar’, which is defined as the grammar in learning materials, was compared with ‘reference grammar’ derived from linguistic grammar with theoretical accuracy and validity. Although the notion of 5 sentence patterns has been assumed to be vestiges of old Japan textbooks,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originally established in 1929 by C. T. Onions. Particularly, new explanations regarding ‘obligatory adjuncts’ and ‘marked construction’ were provided in the learning materials, which could be seen as examples of the reflection of linguistic grammar theories on sentence patterns. If reference grammarbooks and the fruits of linguistic grammar research are used actively, material writers can avoid the errors of grammar description and more correct learning grammar can be taught to advanced learners.

      • KCI등재후보

        인지문법을 토대로 한 영어 전치사 of와 about에 대한 의미연구

        남승흥(Nam, Seung-he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영어전치사는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명새 형용새 통새 부사처럼 자족적인 의미를 갖추고 있는 내용어와는 달리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기능어에 포함되었을 뿐 아니라 변형생성문법에서도 의미가 없이 문장구조상에서 빈틈을 메워주는 문법적인 목적을 위한 통사규칙으로 취급되었다. 하지만 인지문법의 창시자로 알려진 랑가커(Langacker)는 한 낱말의 의미는 그 낱말이 가지는 여러 개별 의미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의미망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전치사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를 기속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문법을 토대로 하여 영어전치사 of와 about의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를 연구 분석해보고 전치사 of와 about의 의미를 세가지로 분류하여 참조점 모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해본다 첫째, 지표 Y의 탄도체X가 명사인 경우, 전치사 of는 참조점(지표)의 관련 영역 속에 있는 여러 개체 중 하나의 개체만이 목표(탄도체)가 되어 현저성이 부여되고 있는 반면에, 전치사 about의 경우에는 참조점의 영역 속의 여러 개체들이 탄도체에 함축되어 현저성이부여되고 있다. 둘째, 지표 Y의 탄도체 X가 형용사인 경우, 전치사 of에서 주어는 지표 그 자체에 대한 사항만을 탄도체와 결부시키며, 전치사 about에서 주어는 활성화 되지 못한 채 참조점 주변에서 산재되어 있는 여러 속성들과 탄도체를 결부시키고 있다. 셋째, 자표 Y의 탄도체 X가 비어있는 경우에 전치사 of는 참조점의 영역속에 있는 개체들은 목표로 설정되지 못하고 참조점에 내재되어있기 때문에 주어는 참조점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이 아니라 참조점 그 자체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다. 전치사 about는 참조점 영향하에 있는 탄도체는 구체성을 띠지 않아도 관찰자는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않고 잠조점 주변에 내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주어는 참조점과 관련된 여러 속성에 관심을 두고 았다. 따라서 전치사 of와 about은 그 기본의미와 일관성을 유지하여 X of Y의 구조에서주어는 지표Y 그 자체를 그리고 X about Y의 구조에서 주어는 지표Y의 주변에 관한 사항을언급한다. In structural linguistics, unlike content words which have self-contained meanings such as nouns, adjectives, verbs and adverbs, English preposition were regarded as function words which have no meanings and also in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they were treated as syntactic rules for the grammatical purpose of filling a gap in sentence structure. However, Langacker(l987) known as the founding father of cognitive grammar, by insisting that the meaning of a word is a semantic network that several individual meanings that the word has become closely intertwined, accelerated a cognitive linguistics study. I have studied and analyzed the prototypical sense and the extension sense of the preposition of and about based on cognitive grammar and have classified the meanings of the preposition of and about as three forms according to a reference point model. First, in case of trajector, X of landmark, Y being a noun, in the preposition of, only one entity of several entities involved in the domain of a reference point is given salience while, in the preposition about, several entities involved in the domain of a reference point are given salience, being connoted in trajector. Second, in case of trajector, X of landmark, Y being an adjective, in the preposition of, the subject connects the information of landmark itself with trajector but in the preposition about, the subject connects several entities scattered around a reference point, not being activated with trajector. Third, in case of trajector, X of landmark, Y being empty, in the preposition of, because several entities involved in the domain of a reference point, not being established as the object, are inherent in a reference point, the subject shows an interest not specific information of a reference point but a reference point itself. In the preposition about, because several entities involved in the domain of a reference point, though having no concreteness, are cognized by an observer, they, being not activated, are inherent around a reference point. Therefore the subject shows an interest several entities which are relevant to a reference point. Thus, as the preposition of and about maintain consistency in the basic meanings, in 'X of Y structure,' the subject refers to landmark, Y itself and in 'X about Y structure,' the subject refers to circumferential information of lan따nark, Y.

      • KCI등재

        학교문법 정립에 있어서 표준문법의 역할

        유현경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3 No.-

        학교문법은 국어교육 현장에서 규범문법으로 교육되는 문법이 다. 그러나 검인정 체제에서의 학교문법은 기존의 국정 체제의 문법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방향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학교문법은 규범 성과 통일성이 약화되어 있다. 2013년에 시작되어 2017년 개발 완료를 목 표로 하는 표준문법은 학교문법이 좀 더 유연한 체계와 내용으로 기술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표준문법은 규범성과 통일성을 가지게 되므로 향후 학교문법의 기술에 중요한 참조문법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 이다. 표준문법의 범용성과 보편성은 학교문법이 실제 언어생활에 부합 되는 체계와 내용으로 기술될 수 있는 기반문법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고 본다. 앞으로의 학교문법은 학습자에게 새로운 문법 체계를 습득하게 하기보다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국어지식을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 주고 학습자가 스스로 국어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해야 한다. 문법 교육은 규범적 국어지식을 주입시키는 대신 국어 자료에 대한 귀납적인 탐구 학습을 통한 논리적인 사고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 로 나아가야 한다. 학교문법은 이러한 탐구 학습적 문법 교육의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문법에서의 ‘이다’의 범주 설정과 제시 방안

        최은지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7 No.-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pedagogical grammar for foreign learners categorizes and presents ‘ida’, and discuss it in terms of ease and efficiency for teaching Korean grammar. In the gramma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t may be questioned whether categorizing ‘ida’ into case particle would be effective for teaching it.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discussion on the categorization of ‘ida’ and looked at how grammar 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 are dealing with ‘ida’.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e reference grammar mainly classifies ‘ida’ as case particle or verbs, while Korean textbooks seems more like dealing it as a suffix. This paper examines three perspective on ‘ida’ and argued it is appropriate to categorize ‘ida’ as affix to teach the morphological complexity of ‘ida’ effectively and also argued that ‘ida’ must be integrated with endings when it is presented for learners. 이 연구에서는 규범 문법에서 서술격조사로 분류하고 있는 ‘이다’에 대해 한국어교육 문법에서는 이를 어떻게 범주화하고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수월성과 효율성의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다’에 대해서는 이론 문법 안에서도 많은 논의가 존재한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문법에서도 ‘이다’를 서술격조사로 범주화하는 것이 ‘이다’의 교육하는 데에 효율적일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다’의 범주에 대한 국어학적인 논의와 함께 한국어교육 문법에서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교육을 위한 참조용 문법을 보여주는 한국어교육용 문법서들과 교수-학습 문법을 보여주는 한국어 교재에서 ‘이다’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참조용 문법에서는 주로 ‘이다’를 서술격조사나 용언 중 하나로 범주화하고 있는 반면, 한국어 교재에서 ‘이다’를 다루는 방식은 그것을 접사로서 바라보는 관점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다’에 대한 세 가지의 관점, 즉 서술격조사로 보는 관점과 용언으로 보는 관점, 접사로 보는 관점을 검토하고 ‘이다’가 보이는 형태적인 복잡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한국어교육에서는 이를 접사로서 범주화하는 것이 적절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표준 문법』의 의의와 한계-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참조 문법의 관점에서-

        김중수 ( Kim Jung-su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9 어문론총 Vol.79 No.-

        국립국어원의 연구 용역으로 시작된 ‘표준 국어 문법 개발’에 관한 연구가 2013년의 기초 연구와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의 보고서를 거쳐 2018년 12월 20일에 『한국어 표준 문법(집문당, 692면)』이라는 책으로 발표되었다. 이 책은 한국어 문법의 다양한 쟁점을 모두 다루고 있어서 문법 교육에 관련된 사람들에게 좋은 참조 문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다’, ‘보어’ 등의 설명에서 일관성이 있고, 단순성, 보편성, 범용성, 개방성이 확보된 문법이라는 의의가 있다. 반면 본문, 각주, 박스, 적용의 역할이 엄격히 구분되어 있지 않고 본문에서 설명과 논증이 섞여 있어 단순성의 면에서 참조하기 어려운 면이 있고 설명이 지나치게 상세하거나 너무 소략하거나 아예 생략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어의 일관성이나 전성 어미의 명칭, 높임의 용어, 관형절의 명칭, 다양한 학설의 인정 여부 등에서 더 검토할 점이 보이는 한계가 있었다. ‘Standard Korean Grammar’ was developed by Research service grant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Grammar Research’ was published as Standard Korean Grammar(Hangugeo Pyojun Munbeop). The Significance of this book are as follows: It deals with various issues of Korean grammar. It can be a good reference grammar for people involved in grammar education. it Ensures simplicity about description of ‘-ida’, ‘complement’, and so on. It has Universality, generality, and openness. The limitations of this book are as follows: The roles of texts, footnotes, boxes, and samples applied are not strictly classified. Explanation and argument are mixed. The description is too detailed, the description is ambiguous, or the description is omitted.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further: Consistency of Terms, Name of the ‘function-converting endings’, Honorifics, The name of the ‘adnominal clause’, Whether to accept various theories.

      • KCI등재

        한국어 교육 활용을 위한 『한국어 표준 문법』 음운론 분야 개선 방안

        장향실(Chang, Hyangsil)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참조 문법으로서 『한국어 표준 문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음운론’ 영역을 중심으로 설명의 구체화가 필요한 부분, 누락되어 설명을 추가해야 할 부분, 기술이 불필요하여 삭제해도 무방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한국어 교육에의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기에, 한국어 교육적 목적과 관점을 고려한 내용을 ‘적용 문법’ 기술부에 제시하였다. 그런데 한국어 표준 문법 적용 문법 기술부의 내용이 원론적 수준의 필요성만을 언급하거나 혹은 중요한 내용을 누락한 경우, 불필요함에도 기술된 경우가 있어 이를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먼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변이음 교육, 삼지적 상관속을 이루는 자음의 교육, 변별적 자질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것인데, 이 내용들은 설명이 좀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추가가 되어야 할 내용도 있는데, 운소 부분에서 음운구 억양의 특징이나 억양구 마지막 음절의 특징, 음절 부분에서 음절구조제약, 음소결합제약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 음운 현상 부분에서는 교수-학습이 불필요한 음운 규칙에 대한 기술이 추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표준 문법』에서는 ‘ㅂ’ 불규칙과 같은 현상에 대해 다중 기저형을 통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에서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굳이 제시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향후 개선을 전제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표준 문법』에 개선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용 음운론 교재 집필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thesis aims to propose various points to improv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include making detailed explanations, adding missed explanations, an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s in phonology. Standard Korean Grammar was schemed for many possible diverse applic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Korean Grammar reflect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urpose and view, which i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grammar part.” However, its content is still at the level of “principal,” and even more missed some essential explanations. The following com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First, there is a need for detailed explanations. The teaching of allophones, the teaching of distinguishing among the three-way plosives in Korean, and the use of distinctive features are necessary for detailed explanation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dding missed expla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phrase tonal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st syllable in the intonation phrase are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and unnecessary item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honological rules are also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Thir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 is needed. A teaching method using multiple underlying forms of irregular conjugation such as “ㅂ” was proposed in Standard Korean Grammar. However, there is no need for explanations because the teaching method is not effective. This thesis is meaningful as it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about Standard Korean Grammar.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of the phonological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 KCI등재후보

        최현배의 『우리말본』에 기술된 일본어 문법 비평 연구

        와다다카히로 ( Wada Takahir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9 漢城語文學 Vol.40 No.-

        일제시대인 1937년에 서울에서 출판된 우리말본은 지금까지 한국의 학교 국어문법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한국어 학자라면 누구나 아는 유명한 한국어 문법서이다. 저자인 최현배는 이 문법서를 쓰기 전에일본에 몇 년 동안 유학한 바 있고 거기서 배운 일본어 문법도 참고해서 집필한 것이 알려져 있으며 그 내용에 대해서 한국어 학자들이 그 동안 연구해 왔다. 그런데 이 책에는 한국어 문법을 논하는 과정에서 일본어 문법에 대해서 직접 비평한 부분이 곳곳에 있는데 그것들에 대하여 고찰한 논문은 물론 그 부분의 구체적 존재를 밝힌 문헌조차 지금까지 없었다. 그래서 본고는 우리말본에 기재된 일본어 문법에 관해서 직접적으로 언급된 기술이 어떤 분야에 얼마나 있고, 그에 대한 비평을 최현배가 어떤 태도로 기술했는지 4가지로 분류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선 전체 비평적 서술이 27군데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 중 실질적으로 중복된 내용 6건을 감안한다면 내용별 비평 건수는 전체 24건이다. 그중 부정적인 것은 10건, 긍정적이거나 단순히 참조한 것은 13건이었다. 그리고 우리말본의 제2장 ‘詞論’에는 「詞의 분류」의 절(節)에서 일본문법을 단순 또는 긍정적인 태도로 참조한 기술이 집중되고 있다. 그리고 제3장 ‘文章論’에서는 전체 10군데 중에서 부정적인 것이 9군데 있어서 압도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고, 그 중 6군데는 「文의 組成部分 或은 成分」의 절에 분포하고 있다. 제2장과 제3장을 합쳐서 생각해 본다면, 전체 27군데 기술은 부정과 참조가 반반이었다는 점에서 우리말본은 일본어 문법을 비판이나 칭찬도 아닌 균형감 있는 태도로 파악했다는 점을 귀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Urimalbon” which was published in Seoul in 1937 which was the Japanese government age is having an influence on the present Korean school Japanese grammar, and when I'm a Korean linguist, an understood famous Korean grammar. Before Che where he's an author Hyonbe writes this grammar, it's learned in Korea that he went to Japan for several years, also consulted the Japanese text way he knew there and wrote, and more than Korean grammarians have studied about the contents of the reference. But, the part which was criticized directly about a Japanese text way by the process with which Korean grammar is argued is here and there in this book actually, there even were no research works which indicated the partial concrete existence as well as theses considered about those so far. So we looked at four categories of the techniques directly mentioned in the book, “How many areas are there in the field and how Choi described the criticism of the Japanese grammar.” As a result, 27 points of whole description first. However, considering the six cases that are substantially duplicated, the total number of criticisms per content is 24. Among them, 10 were negative, 13 were positive or simply referenced. And in Chapter 2, “詞論”, the points referring to Japanese grammar in a simple or positive manner is concentrated in the And in Chapter 3, “文章 論”, out of the ten, the negatives are overwhelmingly negative in nine, If we think about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together, we can confirm inpart that “Urimalbon” have identified Japanese grammar in a balanced manner, not in criticism or praise, in that the total of 27 points were half favored with negativity and references.

      • KCI등재

        표준 문법의 개념과 필요성

        유현경 ( Hyun Kyung Yoo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 문법 교육 Vol.19 No.-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standard grammar`` that can be the basis of various types of grammar. To this end, this study describes the concept of standard grammar, and examines the need to develop standard grammar. Standard grammar is defined as a kind of ``reference grammar``. Standard gramma as a reference role offers a criterion for the description of other grammar. Standard grammar is the ``base grammar`` as well. Standard grammar as base grammar will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a grammar system. Since 2002, the accumulated result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rammar education and Korean linguistics have been hardly reflected on the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In additi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grammar was integrated into ``reading`` and became a part of the ``grammar and reading``. As a result, the grammar part became easier than that of 2002 and its contents was reduced. However, this innovation of grammar education system was also impossible and grammar educational content was not sufficient under this syst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new grammar system should be required to mediate the gap between school grammar and scholar grammar. Moreover, grammar is required to use as a reference grammar in mass media and publishing industries.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s of standard grammar is urgent to guide our education, academia and language life.

      • KCI등재

        표준 문법의 개념과 필요성

        유현경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 문법 교육 Vol.19 No.-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standard grammar’ that can be the basis of various types of grammar. To this end, this study describes the concept of standard grammar, and examines the need to develop standard grammar. Standard grammar is defined as a kind of ‘reference grammar’. Standard gramma as a reference role offers a criterion for the description of other grammar. Standard grammar is the 'base grammar' as well. Standard grammar as base grammar will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a grammar system. Since 2002, the accumulated result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rammar education and Korean linguistics have been hardly reflected on the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In additi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grammar was integrated into 'reading' and became a part of the 'grammar and reading'. As a result, the grammar part became easier than that of 2002 and its contents was reduced. However, this innovation of grammar education system was also impossible and grammar educational content was not sufficient under this syst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new grammar system should be required to mediate the gap between school grammar and scholar grammar. Moreover, grammar is required to use as a reference grammar in mass media and publishing industries.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s of standard grammar is urgent to guide our education, academia and language life.

      • KCI등재

        한국어의 핵심을 꿰뚫어 본 교육 문법서

        목정수(Mok, Jungsoo) 형태론 2013 형태론 Vol.15 No.1

        Yeon & Brown(2011)은 라우틀리지 출판사가 기획한 세계 언어 총괄 문법 시리즈의 하나로 기획 출간된 한국어 교육 문법서이다.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철자, 발음부터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에 이르기까지 한국어 전반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연구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지금까지 영어로 출간된 한국어 문법서 가운데 문법요소들을 중심으로 가장 체계적이고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연스러운 한국어의 실제적인 예를 풍부하게 제공하면서 문법적 설명을 베풀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매우 유익하게 읽힐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저서의 전반적인 체제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이 저서의 특징적인 면을 부각시키려고 노력하였다. 더 나아가 국어학과 언어유형론의 학술ㆍ이론적인 차원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응용적인 입장에서 어떤 점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지를 논점으로 제시하고, 구체적인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본서가 더 체계성을 갖추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Yeon & Brown (2011), Korean: A Comprehensive Grammar, published by Routledge, is an excellent reference grammar book for those involved in general Korean studies. This book, in particular, will be helpful to both students and researchers who are learning Korean or engaged in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because it tries not only to avoid complicated linguistic terminology, but also provides plenty of information on grammatical patterns. Of course, this book guides readers to useful contents in relation to Korean phonology and lexicology. In this review, we offer a general introduction of the outline of the book and make some critical remarks on the grammatical system proposed by the authors. These critical suggestions are intended to make the core of Korean grammar clear. We also expect the errata made in this article to facilitate the perfect revision of the original book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