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정진화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to and the processes underpinning the school reform movement that was initiated and led by teachers in the 2000s. This teacher-initiated school reform movement, which is referred to as the New School Movement, emerged from the cauldron of conflict and strife over key educational problems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TU), an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in the 1990s. The KTU, which was founded in 1989, conducted the ChamGyoYuk (Cham-education) movement that brought qualitative changes in terms of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union also achieved some measure of democratization within schools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creation of school governing bodies and the publication of school budgets and settlements of accounts; however, since the declaration of the 5ㆍ31 educational reform in 1995, the Korean government strengthened autonomy, accountability, school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and implemented a policy of school diversification. Due to these Neo-liberal policies, teachers were faced with a new series of frustrations and limitations to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Since the KTU was legalized in 1999, the practice of ChamGyoYuk was left to individuals and it was criticized as being marginalized. Through this reflection, individual teac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ChamGyoYuk Movement initiated voluntary meetings, formed groups to seek an ideal school, and implemented the ideas in the field of school. In 2000, Namhansan elementary school was at a risk of being closed down; however, its teachers, parents, and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endeavored to save and to change the school. As a result, they initiated and implemented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created a system of self-government for the school, and moved towards an eco-friendly school environment. This small school revival movement was later to grow into the New School Movement. Since the beginning, this movement slowly expanded through groups of teachers; however, growth of the movement accelerated by the openning up of the recruiting system for principal employment, which was initiated in 2007, and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which began in 2009. Furthermore, a variety of teachers, parents groups, and interested scholars engage in the movement via professional networ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acher-initiated movement, in which teachers have stood up for school reform, upgraded Korean education, and improved their own expertise and autonomy, is expected to be the first step to solve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problems.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공교육 체제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배경과 계기 및 전개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은 조직적인 교사운동에 의해 공교육 체제 내의 학교를 개혁하려는 움직임으로 새로운학교운동이라고 불리고 있다. 새로운학교운동은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동 속에서 새롭게 나타난 교육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응과 전교조운동 및 대안교육 운동이 상호교섭과 충돌을 일으키는 가운데 등장하였다. 1989년 결성된 전교조의 참교육운동은 교과ㆍ주제ㆍ교육문화ㆍ학생활동 영역의 실천을 통해 학교 현장 교사들의 수업과 학급운영 방법에 변화를 가져왔다. 또 학교운영위원회 구성, 예결산 공개 등 학교 민주화를 상당부분 이루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1995년 5ㆍ31 교육개혁안 발표 이후, 정부가 자율과 책무성을 강조하면서 단위학교 책임경영제를 도입하고, 학교평가와 교원평가 등 평가를 강화하며, 학교 다양화 정책을 실시하자 학교 간 격차와 입시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신자유주의 정책들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교육활동에 대한 좌절과 한계를 느끼게 되었으며, 1999년 전교조가 합법화된 이후 제도 개선 투쟁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면서, 참교육 실천은 조합원 개인에게 맡겨지고 주변화되었다는 비판이 내부에서 제기되었다. 이러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참교육 활동에 관심이 많은 교사들은 자발적 모임을 만들어 새로운 학교상(像)을 모색하고 실현해보고자 하였다. 2000년, 폐교 위기에 놓인 남한산초등학교를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들이 함께 새로운 학교로 변화시킴으로써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은 새로운학교 만들기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남한산초등학교에서는 낡은 관행을 타파하고, 아이들을 중심에 두는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하였으며, 교사ㆍ학생ㆍ학부모에 의한 학교자치가 이루어지고, 낡은 시설과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바꾸는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을 공교육의 학교개혁 모델로 삼아 자발적인 교사모임을 통해 서서히 확산되던 새로운학교운동은 2007년 교장공모제 도입, 2009년 혁신학교 추진을 계기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교육연구소를 비롯한 학자, 교사, 학부모들이 네트워크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개혁의 대상으로 여겨져 온 교사들이 개혁의 주체로 나서서 학교를 재구조화함으로써 교사운동을 한 차원 발전시키고, 교사들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이 한국 교육문제 해결에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민주교육, 참교육 그리고 행복―1980년대-1990년대 초 교육민주화운동과 교육운동극

        박상은 한국극예술학회 2023 한국극예술연구 Vol.- No.80

        이 글은 1980년대 중후반 한국의 교육운동과 맞물려 창작된 극들을 통시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변혁기의 문화적 형식과 이 시기 떠오른 교육에 대한 질문을 추적하고자 했다. 1980년대 중반 경쟁식 교육환경 속에서 연달아 일어났던 학생들의 자살에 관한 깊은 정서적 동요와 진정한 ‘교육’에 대한 교육 현장의 질문들은 한국 사회의 변혁기와 맞물려 1989년 전교조 결성이라는 굴곡점을 만들어냈다. 연이은 학생들의 자살이 사회 문제화 되었을 때, 1980년대 교육민주화운동은 이를 개별 행위자의 문제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입시 및 경쟁 위주의 교육 및 압축적 근대화를 겪어 내는 한국 사회구조의 문제로 사유하기 시작했다. 교육민주화운동은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연계되었지만,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모순과 연계된 근대화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시작되었다는 점, 교사뿐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가 연대하고, 각각이 교육현장의 행위자로서의 개별성을 탐색하는 시간을 생성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 일련의 교육운동극은 근대식 교육 환경에 대해 본격적으로 질문을 던지고자 했던 교육운동의 행위자들의 움직임에 민중문화운동의 조직들이 응하며 떠올랐다. 대학의 안과 밖에서 극·탈춤·노래·풍물 등 문화적 형식을 만들고 수행하던 문화운동 주체들은 교육민주화운동 차원에서 이루어지던 집회에 대한 지원과 떠오른 사회적 의제의 창작화 차원에서 교육문제를 극화하기 시작했다. 창작춤판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1987.12)가 1980년대 중반 활성화되었던 교육민주화운동 집회의 맥락에서, 동명의 영화가(1989) 교육문제의 심각성을 대하는 대중의 자각·청소년 관객층의 관객성·도시 중산층의 문화의 맥락 속가 창작되었다. <선새앰요>(1989), <마지막 수업>(1989), <선생님 힘내세요>(1989)에서는 1987년 6월 항쟁 이후 1989년 전교조 결성에 이르는 변혁운동기, 교육 현실을 바꾸는 주체로서 교사의 행위자성·교육하기라는 노동의 조건에 대한 성찰·실제 교육현장에서 마주하는 주체들의 미숙성이 만들어내는 갈등과 혼란들 그리고 교육 현장이란 무엇을 배우고 가르치는 곳인가에 대한 대안적 성찰과 질문이 구체화 된다. <해직일지>(1992)는 해직 이후의 시간성을 ‘변혁기의 형식’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고발극과 심화된 성찰성의 형식으로 담아내고, <김선생님, 지금 뭐하세요>(1995)는 교육개혁의 가능성에 대한 열망이 사그라들고 난 이후, 여전한 학교의 현실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운동 이후 갈라진 삶의 길들 혹은 참교육을 지속한다는 것의 의미를 더 이상 확정하기 어려운 시기의 머뭇거림과 환멸을 담아냈다. 이 시기 교육운동극은 교사들의 집단 행동과 학생운동에서 파생된 반체제 민중운동의 문화적 기호들에 의해 정치적인 것이자 불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교육운동극에서 제기된 ‘정치적인 것’은, 공교육에서 공유해야 할 교과의 내용과 교육의 방법·학교 밖 직업적이고 문화적인 위계·개인의 역량·놀이와 공부의 본질·좋은 사회와 행복한 삶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있어서의 몫과 의견들의 질문과 조율 과정이라는 한국의 근대화 교육에 대한 질문과 모색에 있었다. This article seeks to trace the cultural forms of the transformative period and the questions about education that emerged during this time by examining the plays produced in response to the educ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in the mid-to-late 1980s. In the mid-1980s, a series of student suicides in a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coupled with deep emotional agitation and questions about what constitutes true "education," coincided with a period of transformation in Korean society, culminating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in 1989. As we have seen, a series of educational activist theatres emerged in response to the cultural movements of Korea during the Transformation. In the context of the rallying nature of the education democratisation movement and the folk national cultural movement in relation to a series of student suicides, the creative dance version <Happiness is not in Grading Order> (December 1987) was created, and the film of the same name (1989) was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public's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educational problems, the audience of the youth audience, and the culture of the urban middle class. In <Sunsae Imyo> (1989), <Last Class> (1989), and <Good Luck Teacher> (1989),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from the June 1987 uprising to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Teachers' Union in 1989, the agency of teachers as agents who change the reality of education, reflections on the labour conditions of teaching, conflicts and confusions created by the immaturity of the agents encounter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nd alternative reflections and questions about what is the educational field as a place of learning and teaching are embodied. <Dismissal Diary (1992)> captures the temporality of the post-dismissal period in the form of an accusatory drama and in-depth reflection, rather than in the form of a 'transformation period', and <Teacher Kim, What Are You Doing Now (1995)> shows the reality of the school after the aspirations for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reform have faded, while at the same time capturing the hesitation and disillusionment of a time when it is no longer possible to confirm the divergent paths of life after the movement or the meaning of continuing true education. The collective action of the teachers' union movement and the cultural symbols of the dissident folk movement derived from the student movement during this period were judged to be political and disturbing. However, the 'political' that was raised in the various educational movement plays was the questioning and exploration of the modernisation of education in Korea: the content and method of teaching that should be shared in public education, the professional and cultural hierarchy outside of school, individual competence, the nature of play and study, and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d reconciling the shares and opinions in the social consensus on a good society and a happy life.

      • KCI등재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건립의 과정과 의의

        허권수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8 No.-

        Shinjae Chu Se-pung was a literati, academic, and educator who lived during the mid-Chosŏn era. Many great scholars were active around his time; Shinjae made sure to communicate with them academically to widen his scholarly perspective. Shinjae treated his seniors like teachers, and also reached out to both T'oegye and Nammyŏng-who were both six years his junio-whereas T'oegye and Nammyŏng themselves never met each other. Shinjae also had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loyalty to his government post. In life, he always tried to practice what he had learned, and thus, he was able to remain in a government post all his life. Shinjae regarded Confucianism as the correct form of edification, and thus endeavored to disseminate Confucian teachings. He also made an active effort to apply Confucian ideology to politics. His founding of Paegundong Seowon reflects this mentality. As the first Seowon built in Chosŏn, Paegundong Seowon invigorated the autonomy of scholarship and enhanced the pride of Korean scholars by enshrining them for the first time. This had a great impact on Korean scholarship, culture, and education among other areas. Shinjae’s founding of the Seowon allowed Korean scholars to be methodically trained, and scholarly thinking came to be established. At this time, government schools-Seonggyungwan and local Confucian schools-had already become vessels of perfunctory education, oriented towards studies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stead, the Seowon came to be the site of a novel and authentic academic innovation, providing an education that focused on the learning of “the Way” (道學). Paegundong Seowon primarily dedicated its efforts t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Neo-Confucianism, such as the ed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scholarship, rather than theoretical research. The one who succeeded the tradition of founding Seowon was T'oegye Yi Hwang, who not only supported such projects, but went on to construct Seowon himself. Approximately one thousand Seowon had been constructed by the end of the Chosŏn dynasty’s rule, serving as headquarters for academic research and the edification of the people. A collection of Shinjae’s works, Various Writings of Murŭng, is more structured in its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literati and academics of his time, making it a valuable resource in studying the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of the period. In particular, there are invaluable materials for researching the history of Seowon and the scholarly mind of Korea.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 1495-1554)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면서 학자이자 교육자였다. 신재의 시대에는 동시대에 대학자들이 많았는데, 신재는 이들과 모두 학문적 교류를 하여 자신의 학문적 안목을 넓혔다. 신재는 선배를 스승처럼 모셨고, 퇴계와 남명보다는 6세 많은 중간에 위치한 인물로서 두 사람과 다 교류하였다. 퇴계와 남명이 직접 만난 적이 없는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벼슬에 대하는 자세도 매우 적극적으로 책임감과 충성심이 강했다. 배운 바를 최대한 실현하려고 노력하였으므로 평생 관직에 있었다. 그는 유학(儒學)을 교화(敎化)의 방도로 여겨 유학의 보급을 위해 정성을 쏟았고, 또 유학의 이념을 현실정치에 그대로 적용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한 인물이다. 그가 백운동서원을 창설한 것은 이런 그의 정신적 자세의 반영인 셈이다. 조선 최초로 창설된 서원인 백운동서원은 최초로 우리나라 학자를 향사(享祀)함으로 해서 우리 학문의 자주성을 높이고, 우리나라 학자의 자존심을 세웠다. 이후 우리나라 학문, 문화, 교육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신재가 서원을 창설함으로 해서 우리나라의 선비가 비로소 체계적으로 양성되고 선비정신이 정립되게 되었다. 이때 오랜 역사를 지닌 관학(官學)인 성균관과 향교는 이미 과거시험 위주의 형식적인 교육으로 추락하여, 새로운 참된 학문적 전기를 마련한 곳이 서원이었다. 특히 도학(道學)을 위주로 하는 참교육을 실시하였던 것이다. 백운동서원은 성리학의 이론적인 연구보다는 학문을 통한 백성 교화 등 현실 적용에 더 비중을 두었다. 신재의 서원 창설의 전통을 계승하여, 자신이 직접 서원을 창설하거나 서원 창설을 적극 지원한 인물이 바로 퇴계 이황이었고, 조선후기에 이르면 근 1천여 개의 서원이 건립되어, 학문연구와 백성교화의 본부가 되었다. 신재의 문집인 무릉잡고(武陵雜稿) 는, 동시대의 여타 문인ㆍ학자들에 비해서 비교적 완비된 체재를 갖추고 있어 당시의 정치, 사회, 문화 등을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우나라의 서원의 역사와 선비정신을 연구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는 자료가 많다.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 속 ‘참교육’ 콘텐츠와 현대인의 의식구조

        김세연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전교조 핵심 이념이었던 ‘참교육’은 뉴미디어 시대의 자장 안에서 재전유된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활발히 사용되는 이 단어는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 되는 사람 대한 응징’을 뜻한다. 최근 인터넷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참교육 콘텐츠’의 특징으로는 첫째, ‘단편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참교육 콘텐츠들은 분량이 짧고, 내용이 매우 지엽적이다. 이는 총체성이 사라지고 작은 이야기들을 소비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반영한다. 둘째, 선악을 가르는 기준이 지극히 ‘자의적’이라는 것이다. 기존 권선징악 서사들은 사랑·배려·평화 등 어느 정도 보편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었던 데 비해, 참교육 콘텐츠는 지극히 편협한 시선으로 선악을 구분한다. 자의적 기준에 대한 정당성을 얻기 위해 택하는 방법은 공공의 분노를 부추기는 것이다. 셋째, ‘유머’가 가미되어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유머는 혐오의 정서와 결합하며, 사람들의 비판의식을 약화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True education’, which was the core ideology of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al Workers Union’, is re-appropriated in the new media era. This word, which is actively used by young people, means 'punishment against the object of social condemna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ue education contents' commonly seen on the Internet is that it shows a tendency to 'fragmentation'. True educational contents are short in length, and the contents are very local.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postmodern society where totality disappears and small stories are consumed. Second, the standard for dividing good and evil is extremely 'arbitrary'. Whereas the existing stories of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had universal values ​​such as love, consideration, and peace, the content of true education distinguishes good and evil with an extremely narrow perspective. The way to justify arbitrary standard is to incite public outrage. Third, 'humour' is added. Here, humor is combined with the emotion of hatred, causing the problem of weakening people's critical consciousness.

      • KCI등재

        ‘삼육교육’ 구성 요소 표기에 관한 고찰 - 엘렌 G. 화잇의 ‘참교육 이상’에 근거하여 -

        김상래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학문 Vol.3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엘렌 G. 화잇의 ‘참교육 이상’에 근거하여 ‘삼육교육’의 기존 의 표기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을 찾으려는 것이다. 현재 삼육교육의 표기는 ‘지덕체(知德體),’ ‘지덕체(智德體),’ ‘덕지체(德智體),’ ‘영지체(靈知體),’ ‘지영체 (智靈體)’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지덕체(知德體)에 기반한 일반 삼육 교육론의 영향과 화잇의 ‘참교육 이상’에 대한 이해의 진전에 따른 것이다. 이 연구는 ‘영지체(靈智體)’를 기독교 가치관에 근거한 화잇의 ‘참교육 이상’을 가장 적확하게 나타내는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것이 지덕체(知德體)에 근거한 일반 삼 육론과 차별화된 재림교회 삼육론의 특징을 바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아울러 ‘영 지체’ 표기도 인간의 구성 요소를 ‘영혼몸’으로 보는 삼분론과 연결된 개념이 아니 라 분리 불가능한 전인적 개념임을 재확인하였다. This article aims 1) to critically examine the existing notation of ‘Sahmyook Education’ (Korean version of Adventist education, literally meaning ‘nurturing of the three’) and 2) to suggest a notation of different character and sequence, based on Ellen G. White’s vision of ‘true education’. The notation of holistic dimensions of Sahmyook education is currently expressed in various ways such as: ‘zhī dé tǐ(知德體 transliterated to the preceding Pinyin and translatable to knowledge-virtue-physical health),’ ‘zhì dé tǐ(智德體, wisdom-virtue-physical health),’ ‘dé zhì tǐ(德智體, virtue- wisdom-physical health),’ ‘líng zhī tǐ(靈知體, spiritual ity-knowledge- physical health),’ ‘zhì líng tǐ(智靈體, wisdom-spirituality-physical health).’ This complicated phenomenon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general Sahmyook education theory based on ‘knowledge-virtue-physical health,’ and the progress of Adventists in their understanding White’s vision of ‘true education.’ This article presents ‘líng zhì tǐ(靈智體 ‘spirituality- wisdom-physical health’ as an alternative notation which represents White’s vision of ‘true education’ most appropriately. This alternative more meaningfully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ventist’s educational theory differentiating it from the general educational theory of ‘knowledge-virtue-physical health.’ In addition, this study also makes an important point that the notation integrating ‘spirituality-wisdom- physical health’ does not espouse the tripartite concept of three part human being with ‘mind, body and spirit’ as separate entities. White clearly uses mind-body-spirit as inseparable human dimensions in education or growth by using adjectives ‘spiritual, mental and physical’ together to describe holistic human experience.

      • KCI등재

        “참교육” 논의에 포함된 “교육” 개념의 해체

        이상준 한국교육원리학회 2014 교육원리연구 Vol.19 No.2

        Most people define education as schooling. But school is life space where exist many different kinds of phenomenon. Educational phenomenon is distinguished by structure of unique theory. If we don't distinguish educational phenomenon from the other phenomenons, term of “school education” would have ridiculous meaning as ‘school school’ or ‘education education’. Thus, research for solving educational problem in school should distinguish between educational phenomenon and schooling. I assumed that teachers organization had influence on many people's view of education. Furthermore, school was the center axis which was created or used terms of “education”. So in this paper, I made an attempt to deconstruct the concept of “education” included in “ChamGyoYuk” discussion of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Firstly, I selected the typical examples using the term, and reviewed existence of the unique meaning. Secondly, I quoted the paragraph which had ambiguity, vagueness, contradictoriness, and redundancy of terms, and then I made critical analyses of those conceptions of “education”. Finally, I tried to replace those wrong concepts of “education” with appropriate terms restoring accurately with the context. 교육이라는 현상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그것을 고유한 이론체계로 포착되는 현상이 아닌 ‘학교라는 삶의 공간에서만 일어나는 일’ 또는 ‘학교라는 삶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로 인식하는 관례가 통용되어 왔다. 우리의 인식체계가 이러한 관례의 지배를 받을 경우 우리는 학교라는 삶의 공간과 교육이라는 삶의 양상을 구분할 수 없게 되며, “학교교육”이라는 용어는 ‘학교학교’라는 우스운 의미를 담아낼 수밖에 없다. 학교의 교육적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교육학의 고유한 이론체계를 통하여 학교 안의 교육현상을 포착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이라는 용어가 생성되고 사용되는 중심부인 학교에서 다수에게 영향을 미치는 소수로 가정되는 집단을 교직단체로 보고, 그 중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참교육”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논의에 포함된 “교육”개념을 해체하였다. 이를 위하여 “참교육”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현재까지 사용된 대표적인 용례들에 공통된 의미가 존재하는지를 검토하였으며, 용어의 중의성, 애매성, 모순성, 잉여성이 드러난 전형적인 사례를 인용하여 개념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맥락에 적절한 의미를 찾기 위한 되돌리기를 실시하였다.

      •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학술대회지)

        정진화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4 No.-

        이 연구는 2000년대에 공교육 체제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배경과 계기 및 전개과정 을 분석하였다.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은 조직적인 교사운동에 의해 공교육 체제 내의 학교를 개혁하려는 움직 임으로 새로운학교운동이라고 불리고 있다. 새로운학교운동은 “2000년대 이후 공교육 제도로서의 학교 단위에서 학교 운영체제와 교육과정 및 수업을 개혁하려는 교사들의 자발적 집단적, 지속적 움직임”이라고 정의할 수 있 다. 새로운학교운동은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동 속에서 새롭게 나타난 교육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응과 전 교조운동 및 대안교육 운동이 상호교섭과 충돌을 일으키는 가운데 등장하였다. 2000년에 폐교 위기에 놓인 남한산초등학교를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들이 함께 새로운 학교로 변화시킴으로써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은 새로운학교 만들기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남한산초등학교에서는 낡은 관행을 타파하고, 아이들을 중심에 두는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하였으며, 교사·학생·학부모에 의한 학교자치가 이루어지고, 낡은 시설과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새롭게 변화시켰다. 이를 공교육의 학교개혁 모델로 삼아 자발적인 교사모임을 통해 새로운학교운동이 서서히 확산되다가 2007년 교장공모제 도입, 2009년 혁신학교 추진을 계기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교육연구소를 비롯한 학자, 교사, 학부모들이 네트워크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개혁의 대상으 로 여겨져 온 교사들을 개혁의 주체로 세워 학교를 재구조화함으로써 교사운동을 한 차원 발전시키고, 교사들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실현시키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이 한국 교육문제 해결에 갖는 의미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