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한국 농민층 분화의 양상과 그 함의

        윤수종(Yoon, Soo J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20 農村社會 Vol.30 No.1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농민층분화의 장기적인 양상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몇몇 경영형태에서 나타나는 상층농화 실태에 주목하면서 분화의 모습을 확인해 나간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의 중농표준화와 달리 1990년대 이후에는 양극분화가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미작, 축산, 채소(원예) 부문에서 경지면적을 늘리거나 정부의 지원을 받아 시설에 투자하는 상층농들이 등장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농사에 관심이 적은 많은 하층농민이나 겸업 농민이 나타났다. 1990년대 이후 농민층분화의 양상은 일부의 상층농(3-5%)의 등장과 침전층(60-70%)의 확산으로 요약할 수 있다. 상층농은 경영자형 농업양식을 지향하며, 특히 축산업은 점차 계열화를 통해 자본에 수직적으로 통합되어 왔다. 반면에 침전층은 농민의 성격을 잃어 가고 있다. 농민층 간에는 고용-피고용 관계, 기계작업자와 작업위탁자(작업수위탁), 농지임대차 등과 관련하여 갈등이 있지만 잠재화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층농들은 농촌 생산력의 담당자층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동시에 자본과의 관계에서 수직적 통합에 빨려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비추어, 소농의 조직화라는 주장과는 달리 상층농과 중농(10-20%)을 포함한 활동적인 농민들을 조직화하는 방안을 제기해 볼 수 있다. After 1990’s, new aspect of peasant differentiation appeared in rural Korea. Unlike middle class standardization in 1960’s-1980’s, bi-polar differentiation has appeared since 1990’s. On the one hand, there appeared upper class peasants who enlarged their farming acreage or invested in facilities from help of government or financing. On the other hand, there increased lower class peasants or side-job peasants who were less interested in farming. A small number (3-5%) of upper peasants and a large number of sedimented strata(60-70%) are the patterns of peasant differentiation in Korea. Upper peasants’ farming is becoming a entrepreneurial farming, and especially livestock farming has been almost invoked as an enterprise farming. It is thought that the sedimented strata is losing its peasant character. It can be said that the accumulation of sedimented strata is a de-peasantization rather than a re-peasantization. The conflicts have appeared between employer and employed, machine worker and work truster, farmland lease and rental. We can see such conflicts as springing from exploitative relation. But such conflicts within peasantry has been latent, and active peasants including upper peasants has tended to protest against agricultural politics of government and global capital. In these situations, we can pay attention to upper peasants as agents of rural productive force. However, upper peasants has tended to be included in vertical integration and global situation. Against this tendency, active peasants including upper peasants and middle peasants(10-20%) made an attempt to construct networking collectives (or cooperatives) in the field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rocessing.

      • KCI등재

        새로운 주체의 등장과 사회운동의 방향

        윤수종(Yoon Soo-jong),문성훈 (서평자)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2 No.-

        이 논문은 ‘공포와 희망의 정치’의 사유노선에 서서 대중의 등장과 그에 따른 사회운동의 방향변화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대중 개념은 군중, 인민, ‘대중’, 국민 개념과 대비되며, 상이한 문화, 인종, 인종성, 젠더, 성적지향, 상이한 노동형태, 상이한 생활방식, 상이한 세계관, 상이한 욕망 등등 수많은 내적 차이들로 이루어져 있어 통일적인 혹은 단일한 정체성으로 결코 환원될 수 없다. 그리고 맑스주의적 계급개념이 배제적인 개념인데 반해서 대중 개념은 포괄적인 개념이며, ‘자본주의 아래에서 살고 일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특히 임금노동을 하지 않는 다양한 주민층인 빈민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대중은 서구에서는 68혁명 이후에, 한국에서는 1987년 노동자ㆍ농민 대투쟁 이후 다양한 욕망을 담지한 채 나타났다. 노동자계급의 내적인 분화와 다양화 속에서 대중의 노동형상이 다양화되고 더욱 더 비물질적 노동의 특성을 띠어 간다. 이러한 새로운 주체로서의 대중의 등장과 함께 사회운동의 투쟁방식과 방향이 변하고 있다. 1960년대에 나타난 게릴라 투쟁모델은 집중제의 단말마를 보여주며 네트워크 투쟁으로 나아가는 과도적 형식들이라고 할 수 있다. 1970년대 이탈리아의 자율운동에서 나타난 네트워크투쟁은 그 이후 사회운동의 방식으로서 널리 확산되며 대안세계화운동에서 절정에 달한다. 또한 네트워크투쟁으로의 변화과정 속에서 대중의 욕망투쟁과 주체성생산투쟁이 활발히 전개되기 시작한다. 기존의 이해투쟁과 대비되는 욕망투쟁의 전개 속에서 대중은 자본이 부과한 자본주의적 주체성생산에 대항하여 각종 시설들 속에서 다양한 일상적 파업을 통해 자본의 훈육을 거부하면서 색다른 주체성 생산(특이화)을 시도한다. 자신의 특이성을 확인하고 색다른 자유의 공간을 만들어 가려고 한다. 더욱 다양한 코뮨에 대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자율운동들, 다양한 욕망투쟁들, 소수자운동들이 자율성에 기반하여 활성화되고 기존의 운동들과 접속되면서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tries to describe the appearance of multitude and the change of orientation of social movement according to the thought line of 'the politics of fear and desire'. The concept 'multitude' is contrasted with concepts like crowd, people, mass, nation. It is composed of internal differences which are diverse culture, race, ethnicity, gender, sexual orientation, labouring form, lifestyle, world-view, desire, et cetera. It can not be reduced to the unitary or single identity. Contrasted with the exclusive concept of class,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It is extended to mean the 'all person who live and work under capitalism'. Especially it includes the poor who are working without receiving the wage. This multitude appears with diverse desires since the 68 revolution at western societies and since the labourer and peasant struggle of 1987 in Korea. With the internal differentiation and complication of labouring class, the labouring form of multitude becomes more and more diverse and immaterial. With the appearance of multitude as a new subject, the way of struggle and the orientation of social movement have changed. The guerilla model which reappeared at 1960s revealed the end of centralism and was transitionary forms to network struggle. The network struggle which began at the autonomous movement in Italy in 1970s has been diffused as a way of struggle of social movement, and reaches the summit at the alternative globalisation movement. With the development of network struggle, desire struggles and struggles for the another production of subjectivity have began to develop explosively. Developing the desire struggle contrasted with the existing interest struggle, multitude tries to refuse the discipline imposed by Empire and make alternative production of subjectivity(singularisation) through the diverse ordinary strikes in social equipments against capitalist production of subjectivity. Multitude identifies their singularities and makes alternative spaces of liberty. In future, we must make an articulation of diverse movements. Autonomous movements, minority movements, molecular revolutions and existing social movement can come together and make an explosive transformation.

      • KCI등재
      • KCI등재
      • 농촌조직의 다양한 양상

        윤수종 ( Soo Jong Yoon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5 No.-

        이 글은 농촌조직의 양상에 대해 총괄하는 그림을 그려 보고자 한 것이다. 농촌조직에 대해서 몇 가지 유형화를 시도하고 그에 입각하여 농촌조직의 변화과정을 조직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공동체적 조직의 해체라는 방향에서 전통적인 조직들의 변화과정을 살피고, 현재 다양한 조직들의 양상을 생산조직, 농업관련조직, 농민조직, 지배통제조직으로 다시 분류하여 각각 살펴보았다. 생산조직은 기계화 이전과 이후로 확연히 구분되며 회사법인과 영농조합법인 등이 등장하고 있다. 농업관련조직으로는 품목별생산자조직, 유통조직, 금융조직을 들 수 있으며 농업생산을 지원하고 다른 산업과 연관짓는 조직들이다. 농민조직으로는 국가권력과의 관계 속에서 양분되는 조직의 모습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농민들의 주체적인 움직임을 담아내는 농민운동 조직을 살펴보았다. 지배통제조직으로는 국가기관 및 준국가기관들과 각종 끄나풀조직들을 다루었다. 이러한 각종 농촌조직은 전지구화라는 조건 속에서 급속히 변형되어 가고 있으며 앞으로 살아남거나 전진하는 것과 사라져 가는 것들 사이에 간격이 더욱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농촌조직은 다양한 양상을 띠면서 농업위기에 대응해 왔으며 앞으로 전지구적 상황 속에서 새롭게 적응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ttempts to figure the various aspects of rural organization. First of all, it tries to distinguish several categories of rural organization and then explain the changing process of rural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categories. This article searches the changing process of traditional rural organizations in the light of the dissolution of communal organization, and then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rural organization under the sub-categories such as producing organization, agricultural organization, farmers` organization, and rule-control organization. The forms of the producing organization before the machinization definitely differ from those after the machinization. Agricultural organizations are divided into producers` organization, circulational organization and financial organization. These organizations support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onnect agricultural business with the other industrial sectors. Farmers` organizations have been divided into supporting pole and protesting pole in respect to the state power. Among the farmers` organizations, the movement organizations carry the activity of subjective farmers. State apparatus, quasi-state apparatus, and every stooge organization also belong to the rule-control organizations These rural organizations have been transformed drastically at the plan of globalisation. In this situation, some will survive and others will disappear according to the ability to react to the globalisation.

      • KCI등재

        영원한 개량 - 전남지역 YMCA농민회의 활동

        윤수종(Soo Jong Yoon) 한국농촌사회학회 2015 農村社會 Vol.25 No.1

        이 글은 농민운동주체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끊임없는 상담과 교육 활동을 해 온 YMCA농촌사업과 YMCA농민회의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YMCA농민회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던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YMCA농촌사업과 YMCA농민회는 체제변혁적인 농민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 하지는 않았지만, 농민들을 계몽하고 나아가 의식화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하도록 현장에서 촉진해 나갔다. 이러한 끊임없는 활동의 축적 위에서 나중에는 권력의 횡포에 맞서는 투쟁에 적극 결합해 나갔다. 전남지역에서 YMCA농촌사업은 신용협동조합, 양곡(곡물)협동조합, 축산협동조합, 시범부락개발사업 등으로 전개되었고, 광주Y에서 주도하다가 1980년대 들어서는 지역Y가 해 나갔다. 특히 해남Y와 순천Y는 농촌사업을 전개하면서 농민들을 교육시키고 조직활동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해남Y의 농촌청년들은 1970년대 말부터 YMCA농민회를 구성하여 교육 및 조직 활동을 해 왔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농민운동이 활성화되면서 이들 농민들은 YMCA농민회를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농민운동에 관여해 나갔다. 해남YMCA농(어)민회는 수세투쟁을 촉발하고 투쟁과정에서는 몽리민들이 직접 수세거부를 수세폐지까지 밀고나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순천YMCA농민회도 1985년에 구성되어 교육 및 조직활동을 전개하고 이어서 수세투쟁에 개입하고 농민투쟁에 개입하였다. 이 YMCA농민회들은 농민운동의 활성화 과정에서 점차 YMCA에서 분리되어 농민운동 통일과정에 흡수되어 갔다. YMCA농민회의 활동은 국가권력과 직접 부딪치기 보다는 농민들의 실생활상의 요구들을 함께 해결해나가는 지난한 과정이었다. 권력장악이나 급속한 변혁을 통해서가 아니라 영원한 개량을 통해서 지형도를 바꿔나갔다. 끊임없이 농민들을 교육시키고 조직활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농민운동의 폭발에 그리고 그 이후 농촌을 지켜나간 주체들을 육성하는데 이바지하였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rural business of YMCA and the activity of YMCA nongminhoe which had made perpetual counsel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create subjects of peasant movement. Especially with regard to movements, this article looked around the Jeonnam region in which the activities of YMCA nongminhoe had been most active. The rural business of YMCA and the activity of YMCA nongminhoe did not go out to make a peasant revolution, but did further enlighten peasants and actively promote their conscious activities in field.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the YMCA nongminhoe showed the figure combining actively in the struggle against the tyranny of power. The rural business of YMCA in Jeonnam region had been deployed throughout the organization of rural credit cooperatives, grain cooperatives and livestock cooperatives, and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t first Gwangju Y led the business and later it subjected to regional Y. In particular, Haenam Y and Suncheon Y educated peasants to experience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in managing the rural businesses. Peasants of Haenam Y have configured the YMCA nongminhoe from the late 1970s and then did training and organizational activities. As the peasant movement has been activated since the mid-1980s, these peasants become more involved in the peasant movement through the activites of YMCA nongminhoe. Haenam YMCA nongminhoe led the struggle ‘refusal of water-tax’ and initially led the refusal of water-tax struggle and later help concerned farmers to organize themselves and go through to the struggle ‘abolish of water-tax’. Suncheon YMCA nongminhoe which was organized in 1985 also involved in ‘refusal of water-tax’ struggles and peasant struggles. The Y nongminhoe are increasingly disconnected from the YMCA, and then went to be absorbed in unification process of the peasant movement. In particular, activities of the YMCA nongminhoe and rural businesses of YMCA have contributed to foster the peasant movement and later peasants carrying out rural areas by educating them to experience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I think these activities are the foundation of the peasant movement and the main driver in the subsequent activation of rural areas. Not transient revolution but permanent reform.

      • KCI등재

        나주지역 농촌시장의 변화와 실태에 관한 연구

        윤수종(Soo Jong Yoon)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1

        나주지역의 농촌시장은 정기시장과 가축시장을 중심으로 오래전부터 발달해 왔다. 정기시장은 1970년대를 고비로 기초시장들이 위축되고 중간시장들이 유지되는 변화를 보여 왔다. 가축시장도 여러 기초시장에서 시도되었으나 남평장과 영산포장에서만 유지되다가 1997년 통합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들어서 정기시장 부근에 중형 마트(주로 하나로 마트)가 들어서면서 정기시장 기능을 일부 흡수하고 있다. 각 장들은 규모와 위치 및 교통 입지 등에 따라 여러 수준의 변화를 겪고 있다. 우선, 오래전에 정기시장으로 시작했던 읍내 시장은 상설시장으로 유지되어 오다가 장옥 이전(移轉) 국면을 맞고 있다. 도심 인근의 정기시장은 입지에 따라 계속 활성화된 채 유지되고 있다. 성북장, 영산포장, 남평장과 같은 중간시장은 활성화되어 있다. 또한 장옥의 현대화를 앞세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비해 면 단위의 기초시장인 정기시장들은 급속히 쇠퇴해 가고 있다. 활성화되고 있는 중간시장들에는 많은 노점이 함께 열리며, 정기시장과 노점, 농협 마트가 공존하고 있다. 기초시장들에서는 농협의 마트나 일반 마트가 정기시장의 기능을 흡수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시장은 경매방식을 채택하여 축산농민의 소 거래를 촉진하고 있다. 장옥상인과 노점상인 간의 갈등과 협력, 상인회의 등장, 마트의 등장, 당국의 관리정책 등에 따라 정기시장들은 역동성을 띠고 움직이고 있다. 정기시장의 역동성에 주목하면서 다양한 주체들을 포괄하는 농촌시장 활성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Rural Market at Naju Region had been developed as periodical markets and markets for livestock animals from long time ago. As for periodical market, its basic markets has waned since 1970`s and its middle markets has been maintained. Cattle markets had been tried at several sites but only Nampyung Market and Youngsanpo Market survived and integrated into one. And in 2000`s middle-size Markets(mainly Hanaro Mart) entered near the periodical markets. The in-town market which had been periodical market has become the permanent market and will be moved to another place with Seongbug Market. The middle periodical markets near the core of city such like Seongbug Market, Nampyung Market and Youngsanpo Market has been activated according to the plan of modernization of market place. These Markets are revitalized according to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of building(jangok) merchant and booth(street stall) merchant, merchants` organization, advent of Mart, adminstration policy of local state. In the middle periodical markets, many a street stall sell its own goods and coexist with Hanaro Marts. To the contrary, the basic periodical markets at Myun(basic unit of administration) rapidly have declined. It seems that Hanaro Marts and Civil Marts has absorbed the function of periodical markets in basic periodical markets. Cattle market promotes cattle exchange by choosing the means of auction. This study can suggest the measures of vitalizing rural markets which include various subjects in focusing on the dynamics of periodical markets.

      • KCI등재

        카오스모제의 생태학

        윤수종(Soo Jong Yoon)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3

        이 글은 프랑스의 생태운동에서 횡단적인 운동 방향을 제시했던 가타리의 논의를 정리하면서 앞으로의 생태운동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가타리는 1970년대에는 분자혁명론을 제기하면서 기존의 맑스주의적 실천방식의 혁신을 촉구하였으며, 1980년대 들어서는 생태운동에 개입하였다. 프랑스의 생태운동은 68혁명이후 자연 환경에 대한 관심에서 점차 반핵운동으로 발전했고 1990년대 초에는 녹색당과 생태세대라는 당 형태를 띠고 있었다. 가타리는 당시의 생태운동과 생태인식이 환경오염이나 핵문제 등에 치우쳐 있는 것에 의문을 품고, 환경생태학에 사회생태학과 정신생태학을 추가하여 세 가지 생태학을 제기한다. 환경생태학은 환경문제를 자본주의 권력구성체와 관련시켜 나가고, 사회생태학은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인간관계의 재구축을 향해 나가며, 정신생태학은 정신적 대상들과의 관계 속에서 주체성을 예술적 방식으로 재구성해 가야 할 것을 주문한다. 물론 이 세 가지 생태학은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이 세 가지 생태적 작용 영역들의 접합을 통한 생태 철학을 통해서만 생태 위기에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새로운 생태적 실천은 이질발생적이고 잡종적인 전선들 위에서 접합되어야 한다고 한다. 횡단적인 실험들을 통해서, 이질발생적인 재특이화를 통해서, 다시 말해서 카오스모제 속에서 예술적 생성을 통해 새로운 자기 준거를 만들어 갈 것을 촉구한다. 가타리가 생태문제와 관련하여 제기한 중요한 문제는 바로 다양한 생태철학적 대상들 사이를 횡단하면서 결국은 주체성 생산을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특이한 욕망을 집합적으로 구성해 가면서 집합적인 책임을 지는 새로운 생태 민주주의로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Felix Guattari`s argument which suggested the transversal praxis in French ecological movement, and then aims to think about the its future orientation. Guattari promoted the innovation of old marxist praxis by suggesting the theory of molecular revolution in 1970s. In 1980s he engaged in ecological movement. Since 68 revolution, the french ecological movement moved from concern about natural environment to anti-nuclear movement, took the party form such as Green and Ecological Generation in the beginning of 1990s. Guattari had a question on the fact that the ecological movement and cognition of those day was biased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nuclear issue. He suggested tree ecologies by adding the social ecology and the mental ecology to the environmental ecology. The environmental ecology should relate environmental issue to the capitalist power formation, the social ecology should go to reconstruct the human relation at all level, the mental ecology should artistically recompose the subjectivity in relation to mental objects. These tree ecologies, of course, can not be separated, but we can cope with the ecological crisis only by the ecosophy which articulates the registers of tree ecologies. The new ecological praxis should be articulated on the heterogeneous and hybrid fronts. Guattari promotes to make self-reference through the transversal experimentations, heterogeneous resingulariz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he artistic becomings in chaosmose. The key point which Guattari suggests in regard to ecological problem is the very fact that although we must transverse various ecosophic objects we finally concentrate on how to product the subjectivity. He suggests us to march toward new ecological democracy which composes the collective assemblages of singular desires and have a collective responsibility for them.

      • KCI등재

        이탈리아의 사회센터운동

        윤수종 ( Soo Jong Yoon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8 지중해지역연구 Vol.10 No.2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Social Center(``centri sociali``) Movement in Italy and tries to find its meanings. In the 68 revolution of Italy, student movement went hand in hand with worker`s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continued all through the 1970s. In the course of such stream, ``Reclaim the city`` slogan had emerged, and then the social center movement had begun. Radical youth occupied vacant buildings and sites, transformed them into their own free spaces. These social centers had survived during 1980s by making concerts and struggling against the eviction of police. Since the second half of 1980s, social center movement has been activated against the privatization and reduction of public space. New occupation wave reactivated the social center movement which made more positive activities than before. Social centers did not only make cultural events but also perform political campaigns, diverse social services. And social centers self-produce and have a principle of self management. They tried to orient toward spaces and management independent from capitalist market and state. Also they have created another market relation and tried to cooperate closely with local society. Recently the issues of the legalization of occupied site and the intervention in local politics has been disputed within and among social centers. Still, social centers deployed various activities at the margin between legality and illegality. Moreover, members of social centers go beyond regional scene, involve in the movement at the national and global scene. Social centers made organizations such as ``Tute Bianche`` and ``Ya Basta association``, exhibited new form of demonstration, and involved in global solidarity and alternative(anti)- globalization movement. Social center movement in Italy reveals the process by which minor movements have been transformed into global movements. Social centers construct free spaces by creating deterritorialized zones within a country, perform diverse social services at a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 Moreover, social centers creates other communes by experimenting new form of cooperation and lifestyle. This current is the way to weaken the state power by creating various alternative micro-communes free from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