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에 따른 노년층의 시력 및 시기능 변화와 자각적 만족도

        유덕현,박미정,김소라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1

        Purpose: The study was aimed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color of the tinted lenses by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prescription with tinted lenses on the visual quality of the elderly at the age of the sixty or more. Methods: The visual acuity of fifty subjects at the age of sixty or more (17 males, 33 females with the averaged age of 71.0±6.3) were corrected to have the visual acuity at a far distance of 0.5 or more using a trial lens frame, and non-tinted, brown-tinted, and gray-tinted lenses were randomly applied on the trial frame. The minimum legibility and minimum separability were measured at a far distance in the aspect of the visual acuity and calculated as LogMAR and then, the visual acuity was compared. The stereopsis and contrast sensitivity were also estimated at a near distance in the aspect of the visual function. Th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inted lenses and their subjective symptoms of the visual perception and the movement were further surveyed. Results: The best minimum legibility and minimum separability was shown when wearing non-tinted lenses, and brown-tinted and gray-tinted lenses were in the next. The stereopsis and the contrast sensitivity at a near distance and the visual perception was the best when wearing brown-tinted lenses. It was surveyed that the subjective discomfort was the biggest when wearing gray-tinted lenses, and brown-tinted lenses were the best in the aspect of the subjective preference. Conclus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visual acuity and visual function could be improved by the use of tinted ophthalmic lenses however, its change of visual acuity and visual function was not completely correlated with the subjective satisfaction. Therefore, the appropriate color of ophthalmic lenses should b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 visual perception and the main vision lifestyle in the elderly generation. From the present study, the use of non- or brown-tinted lens and brown- or gray-tinted lens can be recommended for distance work and near work, respectively, in the elderly generation under the illumination of about 1,000 lux. 목적: 본 연구는 60대 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착색안경렌즈의 처방이 시력교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가장 효과적인 착색렌즈의 색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60대 이상(평균 71.0±6.3세)의 50명(남17, 여33)을대상으로 원거리 시력이 0.5 이상이 되도록 시험테를 이용하여 교정한 후 무착색,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를덧댐하였다. 각각 착색안경렌즈 덧댐 시의 시력은 원거리 최소가독시력 및 최소분리시력을 측정한 후 LogMAR 시력으로 환산하여 비교하였으며, 시기능은 근거리 입체시와 대비감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대상자들의 착색안경렌즈 선호도와 시지각 및 움직임에 대한 자각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원거리 최소가독시력과 최소분리시력은 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았으며,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 순으로 나타났다. 근거리 입체시, 대비감도 및 시지각은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각적 불편감은 그레이착색렌즈 착용 시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상자가 선호하는 안경렌즈는 브라운착색렌즈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으로 노년층의 시력과 시기능이 개선될 수 있으나, 시력 및 시기능의 변화가 자각적 만족도와는 반드시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1,000 lux정도의 조도에서는 원거리 시생활이 보편화된 노년층에게는 무착색 및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을, 근거리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브라운 및 그레이착색렌즈의 사용을 제안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선글라스용 렌즈의 착색농도에 따른 시력의 변화

        김흥수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Vol.17 No.3

        목 적: 선글라스용 렌즈의 착색농도에 따른 시력 및 망막의 대비감도 변화를 확인하여 선글라스의 생산 및 유통 관리의 선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나안 또는 교정시력이 0.7 이상이고 안질환이 없는 평균 22±3세의 대학생 30명(60안)을 대상으 로 80cd/㎡의 검사실에서 5m용 란돌트 고리 시표를 이용하여 회색 및 갈색의 선글라스용 렌즈의 착색농도 를 80%, 60%, 40%로 하여 각 단안의 시력검사를 실시하였고 F.A.C.T.(Functional Acuity Contrast Test., Stereo Optical, USA) 시표를 이용하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착색렌즈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시력이 착색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보다 더 좋았으며 착색농 도가 진해짐에 따라 시력의 감소가 나타났다(P=0.000). 80% 착색농도의 회색렌즈에서는 착색렌즈를 착용하 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0.28±0.03, 갈색렌즈에서는 0.28±0.04의 시력감소가 나타났다. F.A.C.T. (Functional Acuity Contrast Test., Stereo Optical, USA)를 사용한 대비감도 검사에서도 회색 및 갈색렌 즈 모두에서 80% 착색농도의 렌즈에서는 전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60% 착색농도에서는 1.5 cpd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고 40% 착색농도에서도 6 cpd 이상의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다. 회색 및 갈색렌즈 모두에서 1.5 cpd를 제외한 공간주 파수에서 대비감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선글라스의 착색렌즈의 농도는 미용적인 요소에 의하여 선택되어지고 있으므로 안경사의 처방 시 착색농도에 의한 시력 및 대비감도의 감소를 고려하여 선글라스의 용도에 따른 착색농도가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o identify the changes of visual acuity and retina’s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tinting concentrations of sunglasses lens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experiment were 30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older than 19 and younger than 25. (60 eyes) In addition, none of them had any ocular disease and their unaided visual acuity were above 0.7. Examination of visual acuity was done by using Chart of Landolt’s ring of 5m in the laboratory in which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80cd/㎡. Monocular vision acuity examination was also carried out with changing tinted concentration of either brown color lenses or gray color lenses at the rate of 80%, 60%, and 40% respectively. Furthermore, contrast sensitivity test was executed by using F.A.C.T.(Functional Acuity Contrast Test., Stereo Optical, USA). Results: Visual acuity of the subjects without tinted lense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subjects with tinted lenses. As tinted concentration came to be darker, visual acuity became worse(P=0.000). In the case of gray lenses of 80% tinted concentration, the subjects’ visual acuity decreased by 0.28±0.03 compared to the case of not wearing tinted lenses. Similarly, in the case of brown lenses with same condition, their visual acuity decreased by 0.28±0.04. Moreover, the contrast sensitivity test using F.A.C.T. illustrated that lenses of 80% tinted concentration did not reach normal range at all of cycles per degree, and lenses of 60% tinted concentration did not reach normal range at all of cycles per degree except at 1.5 cpd, and lenses of 40% tinted concentration did not reach normal range at cycles per degree above 6 cpd. For both gray lenses and brown lenses, Contrast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all of cycles per degree except at 1.5 cpd. Conclusion: Since tinted concentration of lenses for any sunglasses is currently decided by aesthetic elements, possible damages at visual acuity and decrease of contrast sensitivity and tinted concentration in accordance with usage of sunglasses should be essential elements at any time of prescription and optometric dispensing of sunglasses.

      • KCI등재

        산란계 사료에 천연 및 합성착색제 첨가가 산란성적, 난질 및 난황의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창혁,이성기,이규호 한국가금학회 2002 韓國家禽學會誌 Vol.29 No.4

        본 시험은 시판 착색제의 형태 및 혼합 수준에 따른 산란성적, 난황 착색도 및 난황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 1과 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이 동일하게 배합하였으며, 시험 1의 옥수수 0%사료는 xanthophylls 이 함유되지 않았으며, 시험2의 옥수수 54% 사료는 xanthophylls 수준이 19.34 ppm이었다. 시험 1에서 갈색산란계 480수는 각 처리당 60수씩 8처리로 구분하여 4주간 옥수수가 함유되지 않은 사료에 여러 수준의 천연 및 합성 착색제를 첨가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 2에서는 갈색 산란계 600수를 각 처리당 60수씩 10처리로 구분하여 옥수수가 54%함유된 사료에 천연 및 합성 착색제를 혼합 첨가하여 4주간 시험하였다. 시험 1과 시험 2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사료효율은 착색제의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며, 난질에 있어서도 난백고와 haugh unit은 착색제 첨가와 전혀 관련이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1에서 난황 착색도가 Roche color fan 12∼13에 근접하기 위한 천연 적색착색제 첨가 수준은 25∼30 ppm이었고, 합성 red 착색제는 15∼20 ppm이었으며, 본 시험의 조건에서는 천연착색제보다 합성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2에서 착색제 혼합에 따른 착색 효과는 천연 적색착색제를 첨가한 TM2구와 동일한 양의 합성 적색착색제를 첨가한 TM6구를 비교하였을 때, 천연 적색착색제보다 합성 적색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첨가 수준이 높은 TM3와 TM8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천연 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착색제 첨가로 인한 영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natural and synthetic commercial pigments on the laying Performance, Pigmentation and fatty acid contents in e99 yolk of laying hen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have isocalories and isonitrogen. In experiment I, the diet does not contain the com in which the xanthophylls are free, and in experiment II, the diet contained 54% of corn in which the level of xanthophylls are 19.34 ppm/kg (calculated levels). In the experiment 1, 480 ISA Brown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eight groups. Each group has 60 birds fed the 0% of corn with 8 types of pigment levels for 4 weeks. in the experiment 2, 600 ISA Brown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ten groups. Each group has 60 birds fed the 54% of com diet with 10 types of pigment levels for 4 weeks. Feed intake, e99 Production, egg weight and feed efficiency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s I and II.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experiments. In order to approach the yolk pigmentation to 12∼13 of Roche color fan, addition level of natural red pigment was 25∼30 ppm. In the case of synthetic red pigment, the level was 15∼20 ppm.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the pigmenting effect of the synthetic pigment was better than that of the natural pigment. In the experiment 2, the pigmenting effect of mixing pigments were investigated between TM2 mixed with natural red pigment, and TM6 mixed with synthesis red pigment. The pigmenting effect of synthetic red pig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natural red pigment. However, the pigmenting effect of natural pig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synthetic pigments when the levels of synthetic and natural red pigments in diet are higher in TM3 and TM8. The fatty acid content in yolk was not affected by pigment addition.

      • KCI등재

        크리핑 벤트그래스 퍼팅그린에서 동절기 및 그린업 시기 잔디 착색제 활용

        이상진(Sang-Jin Lee),장석원(Seog-Won Chang),김기동(Ki-Dong Kim),심경록(Kyung-Rok Shim),이정호(Jeong-Ho Lee)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0 Weed & Turfgrass Science Vol.9 No.4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착색제는 잔디 품질의 시각적 측면에서 동계 잔디의 녹색을 선명하게 하고 녹색유지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연구는 착색제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자 국내 골프장에 식재되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동계기간 중 착색제의 활용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겨울동안 착색제가 처리된 벤트그래스는 착색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착색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식생지수와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착색제 처리 기준량의 1/2 배액 보다 기준 배액을 처리할 경우 식생지수와 엽록소 함량이 더 높았다. 잔디착색제의 녹색도 유지기간은 착색제 별로 다르게 나타나 착색제 선정 시 착색능력과 동계 지속력을 고려해서 착색제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뿌리길이와 지상부 밀도 측정 결과 실험에 사용된 잔디착색제는 잔디 생육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이듬해 봄에 전체 실험구에서 그린업도 정상적으로 진행되었고 잔디 생육도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결론적으로 잔디의 휴면기간 착색제를 사용할 경우 녹색 유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이듬해 봄철 그린업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동절기 퍼팅그린의 시각적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내장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From the visual aspect of turf grass quality, turf colorant has been used to keep the vividness of green color and extend the duration of green color of turfgrass during the winter season of Korean golf co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rf colorant application on creeping bentgrass planted in domestic golf courses during the wint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colorant-applied zone, regardless of dilution rate and colorant types, showed higher or simila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chlorophyll contents than in the control during the winter or the period of greenup. In addition, the NDVI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higher in 1x treatment than 1/2x treatment.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green color duration of the colorants, the selection of turf colorant should consider its properties like coloration r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root length and turf density, the colorant applied in the experiment had little effect on the growth of turfgrass, green-up started at the experiment zone in March, while as turf grass grew normally. In conclusion, the coloration rate and duration should be considered selection of turf colorant.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reen color duration by using the colorant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damage to green-up in the following year. Also, using colorants will be one of the ways to maintain the visual quality until the recovery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 KCI등재

        금속 조형 녹청착색 연구 -동과 브론즈의 녹청착색을 중심으로

        최하나,장현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Blue-green patina is the traditional metal coloring expressed with the colors of greenish brown, green and blue green. The patination using a chemical is to use the natural property of metal and has the advantage of getting natural metal color so that many artists and researchers are using it to express the color of metal moulding. However,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create the desired color, and 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results depending on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study was started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blem through the consideration and experiment on patination by using a chemical and through the proposal of a work. As a research metho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pper and copper alloy becoming the basis of patination in metal moulding were explained with the patination effect considered by adopting the artists’ works using patination as examples. Moreover, the types and techniques of patination were organized with the patination experiments done. The experiments were done for copper and bronze specimens in the 12 conditions such as the chemical mixing and the heating method to enhance objectivity. The effect of chemical surface treatment on patination was experimented with the result derived. Furthermore, the new application of metal moulding patination was proposed through the various kinds of surface treatment and the works using patination.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continue and diversify the study on the metal patination technique and achieve usage for expressing the metal moulding color as the base data of metal molding patination. 녹청착색(綠靑着色)은 녹갈색, 녹색, 청록색 등의 색상으로 표현되는 전통적인 착색기법이자(Blue-green patina), 화학약품과 일정량의 부식을 통해 색을 입히는 금속착색기법을 아우르는 단어(Patination)이기도 하다. 약품을 이용한 금속착색은 금속 본연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자연스러운금속의 색감을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작가와 연구자들이 금속 조형의 색채 표현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원하는 색을 만들어 내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품을 이용한 녹청착색의 실험, 작품의 제안을 통해 녹청착색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작품 제작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연구 방법은 금속 조형에서 착색의 바탕이 되는 동과 동합금의 종류 및 특징을 설명하고 착색을 활용한작가들의 작품을 예시로 하여 착색의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약품 착색의 종류와 기법을 정리하고 염화암모늄, 염화아연, 초산동을 이용한 녹청착색 실험을 진행하였다. 녹청착색 실험은 동과브론즈 시편으로 나누어 약품 배합, 가열법 등 12가지 조건에서 실험하여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착색 뿐만 아니라 화학적 표면처리 통해 표면 질감이 착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하고 결과를도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표면처리와 착색을 이용한 작품을 통해 금속 조형 착색의 새로운 활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금속 조형의 표면처리와 착색의 기초자료로서 금속 조형 색채 표현에 활용되고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착색단고추 품종에 따른 cyflumetofen과 penthiopyrad의 잔류특성

        신희정,이래근,김창조,노현호,이은영,경기성,김단비 한국농약과학회 2022 농약과학회지 Vol.26 No.4

        이 연구는 품종별 착색단고추 (Capsicum annuum L.) 중 농약의 경시적 잔류특성을 구명하여 작물의 크기와형태가 잔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일반 및 미니 착색단고추 중 cyflumetofen과 penthiopyrad의경시적 잔류 특성을 확인하고 품종과 착색단고추 꼭지 유무에 따른 잔류량을 비교하였다 . 시험농약은 안전사용기준에 준하여 7일 간격으로 cyflumetofend의 경우 2회, penthiopyrad는 3회 살포한 후 최종약제 처리일 (0일차 )을 포함하여 14일차까지 5회 시료를 채취하였다 . 형태와 크기에 따른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비표면적을 측정하였으며 , 잔류량 비교를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정 Duncan analysis)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p<0.05). 잔류농약은 QuEChERS 방법과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일반 및 미니 착색단고추 중cyflumetofen과 대사체 B-1의 회수율은 78.42~117.21%이었으며 , penthiopyrad와 대사체 PAM, 753-A-OH의 경우71.73~101.30%이었다 . 일반 착색단고추 중 cyflumetofen의 잔류량은 경시적으로 유의한 감소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미니 착색단고추에서는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5). Penthiopyrad의 경우 일반 및 미니 착색단고추 모두 경시적 잔류감소 경향을 보였다 (p<0.05). 안전사용기준의 수확 예정일 (최종 약제살포 후 2일차 )의 착색단고추 품종별 가식부위 잔류량은 시험농약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일반 착색단고추와 미니 착색단고추 중 cyflumetofen과 penthiopyrad의 잔류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cyflumetofen과 penthiopyrad의 경과일수별잔류량은 모두 잔류허용기준 미만이었으므로 일반 착색단고추의 안전사용기준을 미니 착색단고추에 외삽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 KCI등재

        착색렌즈의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기능 변화

        장정운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착색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라 눈의 조절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폭주값이 정상, 안위이상과 색각이상, 안질환이 없으며,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20대 남녀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와 50%, 80%로 농도로 착색된 gray, blue, brown렌즈를 착용하고 조절기능을 측정하였다. 조절기능검사는 조절력, 조절효율, 양성·음성 상대조절검사 및 조절래그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자들은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력과 조절래그가증가하였으며, 음성상대조절력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하였을 때 양안, 단안, 좌안에서 증가하였다. 양성상대조절력은 blue 50%착용 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용이성은 증가하였으나, 착색렌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용이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착색렌즈의 농도에 따라 조절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착색렌즈 농도 및 색상 선택 시 작업거리, 착색렌즈 착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t color density and color of colored lenses. Methods : Participant had a normal NPC and no dyschromatopsia, phoria and eye disease, also had no histories of eye surgery in 31 students of university. Their accommodative functions were measured according to 50%, 80% density of the gray, blue, brown lens and non-colored lenses. Tests of accommodative functions performed include amplitude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relative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ve lag. Results :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on lag were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was more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than achromatic.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increased when wearing the blue color lens density by 50%. Also, accommodation facility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but, as the density of the color increased, the accommodation facility was decreased. Conclusion : As since the accommodation function changes according to density of the colored lenses, working distance and environment of the wearing colored lens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density and color of colored lenses.

      • KCI등재

        합성 녹청에 의한 니이로 착색 연구 _ 동과 황동에 적용한

        장희방 ( Chang¸ Hee Bah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착색기법은 금속의 제한된 색상과 변색 등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개발된 것으로 금속공예의 예술적 가치를 높여준다. 그중에서도 일본의 전통 기법인 니이로 착색(Niiro Patina)은 동 표면에 미려한 적갈색을 형성하여 많은 작가들에게 선망이 되어왔지만 주재료인 로쿠쇼(綠복, Rokusho)가 일본 현지에서만 구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접근이 용이하지 못했다. 이러한 점을 충족시키고자 로쿠쇼를 대체할 수 있는 합성 녹청에 대한 몇 가지 조건들이 문헌을 통해 전해지고 있으나 약품의 성분과 조건에 대해 제시되어 있을 뿐, 착색의 결과에 대한 보고는 거의 찾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제시된 합성 녹청의 조건들을 주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동과 황동에 적용했을 때 색상의 재현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 기존의 니이로 착색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고자 시작되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곱게 연마된 동 표면에 시행하는 착색이 혼합 약품(Black-C)에 의한 검은색 효과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는 현실에서 일본 약품에 의존하지 않고 붉은색 착색을 실현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였고, 그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니이로 착색의 역사적인 배경과 착색방법에 대해 조사하여 합성 녹청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정리하였다. 2) 문헌에 나타난 초산동(Copper Acetate)을 기본으로 조성된 조건과 로쿠쇼의 성분표기에 근거한 탄산동(Copper Carbonate)을 대입한 4종류의 합성 녹청에 대한 조건을 도출하였고, 3) 4가지 조건을 동과 황동에 적용하여 착색을 실험한 결과 황동에는 바람직하지 못한 반응이 나타났지만, 탄산동과 염화나트륨으로 조성된 합성 녹청에서 동 표면에 대해 안정적이고 선명한 붉은색이 나타났다. 4) 탄산동에 의한 긍정적인 결과는 차후의 다양한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주어 동 표면에 대한 붉은색 구현이 니이로라고 명명된 일본의 착색이 아니라 일반적인 방법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정량화된 착색기법으로 자리 잡아 접근하기 쉽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효과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Various Patination of Metals were develop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metals including limited colors and discoloration, enhancing the artistic values of metalwork. Of them, a traditional Japanese method called Niiro Patina has been an object of envy for many artists for its beautiful reddish brown on the surface of Copper. Realistic access to the method has not, however, been easy due to the obstacle derived from the restricted availability of its main material Rokusho only to Japan. There are pieces of literature derived from Japan about alternate Rokusho to replace Rokusho and satisfy desire for such effects, but they offer no reports on the outcomes of coloring by presenting merely the ingredients and conditions of chemicals. This study was star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and Niiro Patina of Copper and Brass when the conditions of alternative Rokusho were applied. The purpose of this is to realize the redish color without relying on Japanese Rokush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loring methods of Niiro Patina were investigated. 2) Alternate Rokusho is organized into 4 types including 3 types based on Copper Acetate and 3 types with Copper Carbonate based on Rokusho's ingredient list. 3)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 undesirable results on Brass, but a stable and redish color appeared on the copper surface in alternate Rokusho with Copper Carbonate and NaCl. 4) The positive result is tha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red color of the copper surface without relying on Japanese Rokusho, so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established as a quantitative coloring technique, so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it and obtain the effect efficiently.

      • KCI등재

        광흡수율 분석에 의한 플라스틱 렌즈의 착색 연구

        정미아,이혜정,원찬희,권용성 대한시과학회 2000 대한시과학회지 Vol.2 No.2

        플라스틱 착색렌즈의 표준화 필요성올 밝히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플라 스틱 착색렌즈 중 A사 파란색올 농도별 (AA, A, B, C)로 선정하여, 이률 기준으로 착 색 전문가가 비색하여 설정한 시간에 맞추어 착색한 후, 표준광원을 이용하여 자외광 선부 (250-400 nm), 가시광선부 (380-780 nm), 근적외광선부 (600-1100 nm) 로 나누어 측정된 분광투과율로부터 염료의 홉수율을 얻었다. 다시 시간올 재 셜정하여, 5O"C 증류수에 혼합시켜 0.6% 용액으로 만든 다음 염색 용액의 온도를 9O"C로 유지시키면 서 착색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분광투과올을 측정하고 홉수율로 변환하였다. 이 결 과를 바탕으로 A사 파란색 렌즈 (AA, A, B, C) 의 홉수스펙트럼올 Lorentz 함수로 fitting 하였다. 광 홉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중가하였지만 홉수율에서 %때의 위치는 일정하게 나타났다. 시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간에 대한 상대적인 염료 두께를 구해 비교 분석한 결과 Blue AA 착색렌즈는 최대시간 0.76분, 최소시간 0.24분, 평균시간 0.55분, Blue A 착색렌즈는 최대시간 1.65분, 최소 시간 1.21 분, 평균시간 1.41 분으로, Blue B 착색렌즈는 최대시간 4.89분, 최소시간 3.1 1 분, 평균시간 3.89분, 그리고 Blue C 착색렌즈는 최대시간 10.1 1 분, 최소시간 9.14 분, 평균시간 9.61 분으로, 착색시간이 짧올수록 착색 전문가가 제시한 시간과는 오차 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the tinting of plastic lenses. We chose 4 kinds of blue plastic lenses tinted by A company prevailing in the marketplace on the basis of their shading (AA, A, B, C). We had 5 dyeing specialists apply blue tint to 4 each of white plastic lenses according to their best vi~ual judgements and measured its tint time. The dyeing specialists reproduced the four tint levels represented by the samples chosen. We measured the spectral transmittance of the tinted lenses they reproduced in the following three ranges: U. V.(250-400 nm), Visible(380-780 nm), and IR(600-1100 nm). By analyzing these results we set the series of tinted time by 30 s, 1 rnin, 2 min, 3 min, 4 min, 5 min, 10 min, 15 min, 20 min, 30 min, and 50 min and measured the spectral transmittance. To account the relative thickness of tinted material depending on the time, we transformed the spectra1 transrnittance to the spectral absorption. We found one peak on the absorption spectrum. It seemed to appear because the transition metal in the tinted material were concemed with energy transition. We then calculated the absorption area after fitting with Lorentz and polynomial func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 time of blue AA tinted lens was 0.55 minW.24-0.76 rnin), for blue A tinted lens was 1.41 rnin( 1.21 - Hì5 min), for blue B tinted lens was 3.89 min(3.1l -4.89 rnin), and blue C tinted lens was 9.61 min(9.14 -10.11 min). The results of tinted time were not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values suggested by the tinting specialists, especia11y in A\, A shading.

      • KCI등재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Jung Un Jang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착색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라 눈의 조절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폭주값이 정상, 안위이상과 색각이상, 안질환이 없으며,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20대 남녀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와 50%, 80%로 농도로 착색된 gray, blue, brown렌즈를 착용하고 조절기능을 측정하였다. 조절기능검사는 조절력, 조절효율, 양성·음성 상대조절검사 및 조절래그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자들은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력과 조절래그가증가하였으며, 음성상대조절력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하였을 때 양안, 단안, 좌안에서 증가하였다. 양성상대조절력은 blue 50%착용 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용이성은 증가하였으나, 착색렌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용이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착색렌즈의 농도에 따라 조절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착색렌즈 농도 및 색상 선택 시 작업거리, 착색렌즈 착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t color density and color of colored lenses. Methods : Participant had a normal NPC and no dyschromatopsia, phoria and eye disease, also had no histories of eye surgery in 31 students of university. Their accommodative functions were measured according to 50%, 80% density of the gray, blue, brown lens and non-colored lenses. Tests of accommodative functions performed include amplitude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relative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ve lag. Results :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on lag were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was more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than achromatic.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increased when wearing the blue color lens density by 50%. Also, accommodation facility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but, as the density of the color increased, the accommodation facility was decreased. Conclusion : As since the accommodation function changes according to density of the colored lenses, working distance and environment of the wearing colored lens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density and color of colored l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