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화심리학과 개인화

        오현미(Oh Hyeon-Mi),장경섭(Chang Kyung-Sup)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4 No.-

        1970년대 등장한 사회생물학은 페미니즘의 강한 반발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지적 유행이 되고 있는 진화심리학에 대해 페미니즘은 침묵으로 반응해왔다. 사회생물학은 핵가족을 자연적인 것으로 보며 핵가족의 결속이 영구적인 이유를 인간 여성의 성적 수용성에서 찾았다. 즉 사회생물학은 20세기 중반 남성 생계 부양자 가족 형태를 자연화하고 그 보편성과 영속성의 근거를 생물학을 통해 뒷받침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반면 1990년대 이후 등장한 진화심리학은 핵가족을 상대화하여 남녀 결합의 여러 형태 중 하나로 그 위치를 재조정하였다. 여기서 여성은 주체화된 개체로서 다양한 남녀 관계를 선택하는 전략적 행위자가 된다. 또한 진화심리학은 남녀 관계에서 조화뿐 아니라 갈등에 주목하고 그 이유를 남녀의 진화된 성 심리와 전략의 차이를 통해 설명한다. 이제 진화심리학은 핵가족을 보편적이고 자연적인 것으로 보지 않으며 남녀 관계의 다양성과 갈등의 진화적 원인을 설명하는 데로 초점을 이동하였다. 진화론적 사회과학의 이러한 변모는 한편으로 페미니즘과 같은 과거 비판 진영의 입장을 누그러뜨렸고, 다른 한편으로 관련 주제의 새로운 사회이론들과의 친화력을 강화시켰다. 예컨대 진화심리학의 관점은 사실상 동시대 사회학자인 울리히 벡의 개인화 논의와 많은 부분 공통점을 갖는다. 진화심리학은 분석의 초점을 가족 단위에서 남녀 개인으로 옮겼고, 또한 개인의 전략적 선택과 그 선택이 낳는 남녀 관계 갈등에 분석의 상당 부분을 할애한다. 이런 점은 벡이 말하는 남녀의 가족적 존재에서 개인적 주체로의 변화, 개인 중심의 선택이 불가피해지는 상황, 선택이 야기하는 남녀 갈등에 대한 논의와 친화력을 보인다. 그런데 최근 개인화 현상이 서구 이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의 차별적인 상황을 함께 감안하면, 진화심리학과 벡의 개인화론의 이론적 공통점은 기본적으로 서구의 후기 근대라는 특정한 역사·사회적 맥락에 기초한 것이며, 진화심리학적 논의가 비서구적 상황에 적용될 때 개인-가족-사회관계에 대해 내용적으로 훨씬 복잡하고 정교한 발전을 거쳐야 할 필요성을 암시한다. When sociobiology emerged on the scene in the 1970s, it was met by strong resistance from feminism. However, since becoming a popular intellectual current in the 1990s, evolutionary psychology has been met by silence from feminist camps. Sociobiology “naturalizes” the nuclear family and finds a biological reason for the eternal family bondage in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sexuality. As a result, sociobiology was inevitably criticized for its naturalizing and advocating of the nuclear family and patriarchy. Evolutionary psychology, on the other hand, relativizes the nuclear family and re-adjusts its position as but one of multiple forms of union between male and female. Here, women, as subjectivized individuals, are strategic agents who select from a variety of male-female relations. In addition, evolutionary psychology points not only to harmony but also to conflicts in male-female relations, explaining the conflicts in terms of the different sexual psychologies and strategies that have evolved for the two respective genders. Evolutionary psychology does not view the nuclear family as universal and “natural”, and moves its focus to the explanation of evolutionary causes for the various clashes in male-female relations. On the one hand, this development in evolutionary social science has allayed the erstwhile critical stance of feminism, while on the other hand, it has strengthened affinities with new, thematically-related social theories. For example,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bears many points in common with sociologist Ulrich Beck’s contemporary discussions of individualization. Evolutionary psychology shifts analytical focus from the family unit to the individual man and woman, and gives extensive analytical weight to the strategic choices made by the individual and the gender conflicts those choices cause. This point shows affinity with Beck’s discussions of the shift from family to individual subject, the conditions inevitably created by individual-centered choice, and inter-gender conflicts brought about by that choice. However, considering together the differential conditions of the East Asian region where the phenomenon of individualization is currently accelerating even faster than in the West, it is concluded that the theoretical commonality betwee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Beck’s thesis of individualization is fundamentally based in the particular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late modern West. Evolutionary psychology, if to be applicable to non-Western contexts, faces a necessity for much more complex and elaborate evolutions regard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 KCI등재

        진화심리학에 대한 제언

        김준홍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7

        Evolutionary psychology(EP), one of three perspectives of evolutionary social science that are reactions to old school sociobiology, has established a strong research tradition since its inception. However, there also have been sloppy EP researches that are criticized by other disciplines including other evolutionary social scientists. Most criticisms stem from the mismatch between EP’s core assumption and recent findings from related disciplines such as genetics, developmental biology, archeology, evolutionary biology, neuroscience and other evolutionary social sciences. EP’s key assumption that natural selection has shaped human mind during hominin evolution and it explains much of current human behavior is not wrong. However, all human behavior cannot be explained by past adaptation. Contrarily, genetic evolution can be very fast and between group diversity due to culture and developmental process is typically larger than between group genetic variation. In this paper, I give five suggestions based on current findings from related disciplines that EP can use to overcome its shortcomings. 사회생물학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한 진화사회과학의 세 분과 중의 하나인 진화심리학은 지금까지 강력한 설명을 제공하기도 했지만, 진화사회과학계 외부 및 내부에서 비판을 받은 연구 결과도 생산하였다. 비판의 이유는 순전한 연구자 간의 논쟁이거나 혹은 진화심리학자 개인의 실수 때문일 때도 있지만, 진화심리학자들 간에 널리 공유되는 가정 중에서 현대 유전학, 발달생물학, 고고학, 진화생물학, 뇌과학, 인접 진화사회과학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더 이상 주장할 수 없는 가정 때문인 경우도 있다. 인간 마음의 진화에 있어서 과거에 작용한 자연선택이 주요한 작용을 했다는 진화심리학의 기본 주장은 틀리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인간 행동을 과거에 성립된 적응만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은 문제가 있다. 진화심리학의 예측과는 달리 유전자의 진화 속도는 때로는 매우 빠를 수도 있으며, 문화 및 발달 과정이 만들어 내는 변이도 상당하다. 본고에서는 진화심리학을 일방적으로 비판하기보다 진화심리학이 보여주는 한계를 어떻게 헤쳐 나가갈 수 있을지 인접 학문의 발견들을 중심으로 다섯 가지 제언을 건네고자 한다.

      • KCI등재

        진화심리학의 이론적 토대와 쟁점들

        전중환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4

        지난 이십여 년 동안 진화심리학은 빠르게 발전을 거듭하면서 인간의 마음을 연구하는 새로운 흐름으로서 전세계 심리학계에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진화심리학을 전공한 학자가 매우 부족한 국내의 실정상, 진화심리학에 대한 오해나 선입견이 심리학자들 사이에도 종종 발견된다. 본 논문은 국내 심리학자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진화심리학의 이론적 토대를 명확히 설명하고 진화심리학에 대한 흔한 오해들을 바로잡고자 한다. 먼저, 마음의 적응적 설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진화심리학은 모든 심리현상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틀을 제공함을 설명한다. 다음으로 1) 진화심리학은 경험적으로 반증불가능하다는 오해, 2) 진화심리학은 유전자 결정론이라는 오해, 3) 인간 행동은 생물학적 진화보다는 학습에 의해 더 잘 설명된다는 오해, 4) 집단 간의 차이는 생물학이 아니라 문화로 설명된다는 오해 등을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진화적 시각은 단편적인 사실들을 매끄럽게 통합해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미지의 사실들에 대한 신빙성 있는 예측을 제공해주는 유용한 도구임을 강조한다. For the past two decades, evolutionary psychology has rapidly developed as a novel theoretical perspective that studies the human mind and behavior, thus gaining much attention from psychologists working worldwide. Unfortunately, Korea has few psychologists specialized in evolutionary psychology, which often results in a number of misunderstandings or prejudices of evolutionary psychology among mainstream psychologists. To overcome this difficulty, I hereby attempt to clar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o redress the common misunderstandings about it. Evolutionary psychology aims to elucidate the adaptive design of the human mind and hence provides the organizing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 utilized to study any psychological phenomena. I then discuss four common misunderstandings of evolutionary psychology: 1) evolutionary psychology is empirically unfalsifiable, 2) evolutionary psychology is a form of genetic determinism, 3) human behavior stems from learning, rather than from biological evolution, and 4) between-group differences are best explained by culture, rather than biological evolution. I conclude that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not only unify scattered findings within a coherent explanation, but also provides a heuristic guide to unknown facts.

      • KCI등재

        진화심리학의 도덕 개념과 유가의 도덕 개념의 비교 연구

        권영화 ( Kwon Young-hwa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유가 도덕은 혈연관계의 친소에 따라 규범을 상대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자는 『논어』에서 양을 훔친 자기 아버지를 고발함으로써 ‘정직한 자’(直躬)라고 주장하는 자의 행위를 비판하며, 오히려 아버지의 잘못을 숨겨주는 것이 정직함(直)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혈연관계에 기초해서 도덕규범이 차등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유가 도덕이다. 그리고 그는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한 도덕이 집단에 대한 헌신과 희생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혈연 중심의 유가 도덕은 근대화를 거치면서 낡고 편협한 이념으로 전락했다가 20세기 중반 사회 생물학과 진화심리학이 등장하면서 새롭게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진화심리학의 최근 성과들은 도덕성을 진화론적 설명에 근거하여 해석하고 있으며, 이런 해석들은 유가 도덕에 대한 과학적 토대를 제공해준다. 따라서 진화 윤리학은 유가 도덕을 과학화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유학과 진화심리학이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본질적으로 다르다. 진화심리학은 다윈의 진화론에 근거해서 인간도 동물 종의 하나로 간주하는 반면, 유학은 인간이 동물과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인간이 갖는 감정이 사고를 유발시키고 도덕적 행위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 유학과 진화 심리학은 동일한 출발점을 갖는다. 맹자는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 ‘측은지심’(惻隱之心)이라는 감정을 도덕적 행위의 토대로 보며, 진화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이 유전과 적응의 상호작용으로 진화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공자는 “태어날 때의 본성은 비슷한데, 습관에 의해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는 유가 도덕에서 유전과 적응을 인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어떤 측면에서 도덕의 기원이 감정에 기초하고 있을까? 연구자는 ‘이타성’과 ‘도덕감’이라는 감정을 중심으로 유가 도덕성과 진화심리학의 도덕성이 어떻게 동일한 출발점을 갖게 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혈연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감정만으로는 도덕 법칙을 수립할 수 없음을 살펴볼 것이다. 진화심리학은 도덕법칙이라는 감정이 이성화되는 부분을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단순한 감정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보편적 도덕성을 공자의 仁 개념을 통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Confucius asserts that a moral concept of Confucianism must be worked relatively based on a blood relationship by criticizing a man who believes that he is honest by reporting his father for stealing a sheep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He says that honesty should be overlooking his father’s misdeed in this case, in that Confucianism claims that moral standards should be differentially applied depending on blood relationships, and then that expands to the society. However, the moral norms of Confucianism which are based on a blood relationship became a conservative concept after the modernization. Interestingly, in the mid-20th century, this moral concept was re-illuminated by the appearance of evolutionary psychology. New perspectives from evolutionary psychology give scientific grounds for the Confucianism. It is clear that the notion of a human is fundamentally different between Confucia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Evolutionary psychology regards humans as an animal species. In contrast, Confucianism insists that humanity has unique traits in of itself. However, both have the same starting point, given that emotions cause thinking and activate moral behavior. Mencius sees the feelings of disinception and self-interest as the basis of moral behavior. Evolutionary psychology claims that human behavior evolves into an interaction between heredity and adaptation. Also, Confucius argues that although the nature of birth is similar, it is subsequently changed by habit. So, in what aspects is the origin of morality based on emotion? This paper will look at how Confucius' morality and evolutionary psychology have the same starting point, focusing on feelings of altruism and morality. Then, it will ascertain the fact that emotions arising from blood relationships alone cannot establish moral laws. Finally, evolutionary psychology does not explain the rationalization of emotions as moral laws, so this paper aims to explain universal morality that cannot be explained by simple emotions through Confucius' concept.

      •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의 원인과 입법적․정책적 제언

        안성조(Seong Jo Ah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4 No.11

        본고는 학교폭력의 원인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입법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진화심리학의 통찰을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진화심리학의 목표는 진화론의 관점에서 인간의 마음과 뇌의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회과학자들과,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인간의 특질과 행동이 거의 전적으로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진화심리학은 이러한 환경결정론자들과 달리 생물학적 요인이 환경적 요인보다 중요해서가 아니라 두 가지가 적절히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특히 ‘본성’을 강조한다. 진화심리학적 연구에 의하면 인간의 폭력성, 특히 청소년기 젊은 남자의 공격적 성향은 진화적 적응환경에서 초기인류가 직면했던 다양한 적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한 심리적 기제의 하나이다. 특히 일부다처제 사회에서 폭력적 수단을 써서라도 후손을 남기기 위해 극심한 경쟁을 벌인 결과 만들어진 심리적 기제이다. 남성들, 특히 사춘기 이후 첫 자손을 낳기 전까지의 젊은 남성들은 동성 경쟁자를 제압하고 자신의 유전적 자질을 과시하기 위해 폭력을 휘둘렀다. 이러한 성향이 현재까지 남아서 ‘오’작동하고 있는 결과로서 학교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남성이 절대적으로 많다. 기존의 환경적 요인에 치중한 학교폭력 대책에 더하여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입법적 대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8조의 학교폭력 대책위원회의 구성원에 단순 상담심리가 아닌 진화심리학 등 전문가를 추가하자는 것과,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의 도덕성을 일깨우기 위해 학생자치법정을 확대, 실시하고 학교폭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음악치료기법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또한 현행 특강법상의 소년감경의 제한규정을 삭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factors inducing school violence from an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assumption that some other methodology than social and environmental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to prevent and cope with school violence more efficiently. In general, criminological theories are usually framed in sociological terms but always entail psychological assumptions. Psychological accounts, in their turn, entail assumptions about the adaptive design of evolved mental mechanism and processes. Thus, explicit attention to recent theory and research on psychology and evolution can some times help us generate productive hypotheses. School violence is one of the illustrative ones. We believe that evolutionary insights should not be viewed as alternatives to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analyses but as complementary components of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From these methodology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counter measures for school violences including autonomous student court, music therapy, and revision of some related regulations.

      • KCI등재

        인간 본성의 진화: 진화심리학의 이해

        류지환 ( Ji Han Lyou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7 No.1

        진화심리학은 표준사회과학모델과 사회생물학의 한계를 넘어서 인간 본성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진화심리학은 인지혁명의 계산주의와 진화생물학의 적응주의를 결합시킨다. 진화심리학은 계산주의로부터 인간의 뇌와 마음을 일종의 정보처리 체계로 보는 인식을 수용하고, 적응주의로부터 그와 같은 정보처리 체계가 진화적 적응이라는 견해를 받아들인다. 따라서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이해한다. 즉, 진화심리학은 보편적 인간 본성을 구성하고 있는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을 상세히 그려내는 과학적 프로젝트이다. 진화심리학에서 마음은 우리의 수렵-채집인 조상들이 진화적 적응의 환경(EEA)에서 반복적으로 직면했던 적응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연 선택에 의해서 설계된 것이다. EEA에서 우리 조상들이 직면했던 적응적 문제는 매우 다양하고 특수하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은 다양하고 특수한 적응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알맞도록 기능적으로 전문화되고, 문제-특수적인, 다수의,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들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음을 구성하는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은 세계에 대한 생득적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환경의 방해로부터 비교적 안정적으로 발달하고, 모든 인류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메커니즘이다. Evolutionary psychology attempts to give scientific explanations of human nature beyond the limits of standard social science model and sociobiology. To achieve this goal, evolutionary psychology combines the computationalism of the cognitive revolution with the adaptationism of the modern evolutionary biology. That is, evolutionary psychology combines the recognition that the human brain and mind are the system of information processing from the computationalism with the point of view that such system is the evolutionary adaptations from the adaptationism. Therefore according to the evolutionary psychology, the human mind is the set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evolved to process the informations about survival and reproduction. Evolutionary psychology is the scientific project of mapping out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The human mind were designed by natural selection to solve the adaptive problems regularly faced by our hunter-gatherer ancestors in the environment of evolutionary adaptedness(EEA). Because there were the great number of the adaptive problems in EEA and the problems were are very different and problem-specific, the human mind is composed of a crowed network of the many, different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which is functionally specialized and problem-specific. And the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is universal, crediblly developing, and equipped with the innate knowledge which reflects the world.

      • KCI등재

        진화정신의학 관점에서 본 <에쿠우스>

        허재성 ( Heo Jaesung ) 한국드라마학회 2021 드라마연구 Vol.- No.64

        어느 시대든 과학기술은 세계관의 한계를 규정지어 왔다. 예술 작품의 제작과 해석은 이러한 세계관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기에, 과학의 발전은 예술 작품의 재해석을 자극한다. 프로이트가 발견한 무의식이 삶과 예술에 관한 정신분석적 해석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듯, 다윈의 진화론은 인간 심리의 제반 면모를 진화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진화심리학의 발전을 이끌었다. 본 논문은 진화심리학에 기반하여 발전한 진화정신의학의 관점으로 <에쿠우스>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석을 더 한다. 구체적으로는 알런이 보인 모습에서 불안, 중독, 망상이라는 정신병리적 특성이 드러나는 지점을 진화정신의학의 관점으로 해석한다. 진화심리학과 진화정신의 학은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진화적 시간에 걸쳐 파악하여 정상과 비정상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발견하였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사회, 문화적 맥락에 따라 변동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알런의 불안, 중독, 망상 증상에 잘 드러나고 이는 다이사트와 관객으로 하여금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대해 계속된 혼란을 갖게 만든다. 결국 이러한 혼란은 인간 심리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진화하는 과정에서 발달한 본능에 기인한 것이다. 본 논문은 지난 세기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쓰인 예술 작품을 지금의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과학의 발달에 따른 인식의 변화에 발맞춘 예술 해석의 한 시도가 될 것이다. Science and technology have defined the limits of the worldview in any era. Since the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works of art are based on this worldview, the development of science stimulates the reinterpretation of art works. Just as Freud's discovery of the unconsciousness presented a new perspective on life and art as a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Darwin's theory of the evolut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evolutionary psychology that understands all aspects of human psychology from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This paper adds a new interpretation by analyzing Equu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iatry, a branch of psychiatry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Specifically, we interpret from the evolutionary psychiatry point of view where the psychopathic characteristics of Alan's behavior reveal anxiety, addiction, and delusio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evolutionary psychiatry have identified the interactions between genes and their environment over evolutionary time to discover a variety of factors affecting normal and abnormal judgments, many of which vary acros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se features are well-illustrated in Alan's anxiety, addiction, and delusional symptoms, which continue to confuse Dysart and the audience about the boundaries between normal and abnormal. After all, this confusion is due to instincts developed in the evolving process of human psychology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This paper will be an attempt at art interpretation in line with changes in percep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by understanding an artwork written from the psychoanalysis perspective of the past century with a state-of-the-art point of view of evolutionary psychiatry.

      • KCI등재

        인간 본성의 진화: 진화심리학의 이해

        류지한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7 No.1

        Evolutionary psychology attempts to give scientific explanations of human nature beyond the limits of standard social science model and sociobiology. To achieve this goal, evolutionary psychology combines the computationalism of the cognitive revolution with the adaptationism of the modern evolutionary biology. That is, evolutionary psychology combines the recognition that the human brain and mind are the system of information processing from the computationalism with the point of view that such system is the evolutionary adaptations from the adaptationism. Therefore according to the evolutionary psychology, the human mind is the set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evolved to process the informations about survival and reproduction. Evolutionary psychology is the scientific project of mapping out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The human mind were designed by natural selection to solve the adaptive problems regularly faced by our hunter-gatherer ancestors in the environment of evolutionary adaptedness(EEA). Because there were the great number of the adaptive problems in EEA and the problems were are very different and problem-specific, the human mind is composed of a crowed network of the many, different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which is functionally specialized and problem-specific. And the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is universal, crediblly developing, and equipped with the innate knowledge which reflects the world. 진화심리학은 표준사회과학모델과 사회생물학의 한계를 넘어서 인간 본성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진화심리학은 인지혁명의 계산주의와 진화생물학의 적응주의를 결합시킨다. 진화심리학은 계산주의로부터 인간의 뇌와 마음을 일종의 정보처리 체계로 보는 인식을 수용하고, 적응주의로부터 그와 같은 정보처리 체계가 진화적 적응이라는 견해를 받아들인다. 따라서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이해한다. 즉, 진화심리학은 보편적 인간 본성을 구성하고 있는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을 상세히 그려내는 과학적 프로젝트이다. 진화심리학에서 마음은 우리의 수렵-채집인 조상들이 진화적 적응의 환경(EEA)에서 반복적으로 직면했던 적응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연 선택에 의해서 설계된 것이다. EEA에서 우리 조상들이 직면했던 적응적 문제는 매우 다양하고 특수하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은 다양하고 특수한 적응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알맞도록 기능적으로 전문화되고, 문제-특수적인, 다수의,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들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음을 구성하는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은 세계에 대한 생득적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환경의 방해로부터 비교적 안정적으로 발달하고, 모든 인류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메커니즘이다.

      • KCI등재

        도덕의 기원과 정당화에 대한 진화 심리학과 유학의 유사성에 대한 비판

        권영화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4

        This paper deals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Evolutionary psychology resists of the existing moral such as metaphysical philosophy, based on rational and instruction but it claims the Altruism of biological basis and understands the moral’s fundamental contents with the biological facts. There are som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bout Confucia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for these have common in that based on the biological facts, Confucianism emphasizes the filial duty and kinship which are based on biological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paper, Confucianism also contains the scientific objectivity by comparing with evolutionary psychology. However, it is important not to regard the biological evolution is the ultimate virtue, following the survival of the fittest. Moreover, it is significant to recognize the empathy. It is clear that Mencius’s mind theory internalizes the conventional moral and relates both moral ethics and metaphysics phsychology. However, when we relate moral theory with biological basis, it is easy to consider more about the moral psychological aspect, overlooking psychological experiences through the Confucianism’s spiritual cultivation. As a result, it overlooks the meaning of Confucianism’s self-discipline and spiritual transcend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both theories are based on moral and empathy but dealing with different dimensions during comparing the Confucia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이 논문은 유학과 진화심리학의 차이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진화심리학은 기존의 도덕 이성의 명령이나 신의 명령에 근거한 형이상학적 윤리학에 반대하며 이타성이라는 생물학적 사실에 근거해서 도덕의 기원과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유가의 도덕도 생물학적인 혈연에 근거한 친족우선주의와 효 사상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이런 공통분모 때문에 유학과 진화심리학의 연관성을 찾아보려는 선행연구들이 다수 존재한다. 유학과 진화 심리학의 대화를 통해서 유학이 이런 과학적 성과들을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서 과학적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생물학적 사실이 도덕적 가치로 넘어가는 것은 자연주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또한 생물학적 진화가 절대 선으로 간주될 경우 적자생존이라는 약육강식의 논리가 마치 도덕의 근본 전제인 것처럼 간주되게 될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공감이라는 도덕 심리학과 도덕 형이상학의 구분점을 상실하는 것이다. 물론 맹자의 심성론에서 유학은 전통적인 덕을 심성의 범주로 환원되어 내면화시킨 부분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선진 유학의 심성론은 도덕 형이상학과 도덕 심리학을 유기적으로 연관시키고 있다. 그러나 만일 진화심리학처럼 생물학적 사실에 입각해서 도덕 심리학적 내용만을 강조한다면 유학의 고유한 도덕 형이상학을 심리적 경험과 생물학적 사실로 치환하는 위험을 갖게 된다. 이는 유학의 심성론과 우주론과 수양론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초월의 의미를 상실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진화 심리학과 유학을 비교 검토할 때 유학의 심성론과 수양론이 내포하고 있는 주요 목적과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둘은 도덕 정감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에서는 유사하지만 도덕의 영역과 관련해서 전혀 다른 차원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진화심리학의 성적 편향성과 그 정치철학적 함축 비판

        조현진 한국여성철학회 2015 한국여성철학 Vol.24 No.-

        이 의 목적은 진화심리학이 성적으로 편향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 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진화심리학의 핵심 논제인 대량모듈성 논제를 지지하는 두 논증 뿐 아니라 웨이슨 선택과제와 신경과학적 증거 같은 경험적 증거 역시 대량모듈성 논제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배경으로, 진화 심리학이 페미니즘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재생산하고 매우 소극적인 성차별규 제정책으로 이끌며, 우호적 성차별을 조장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덧붙여, 이 런 이론적·실천적 편향 기저에는 ‘현대인의 고대적 기원 논제’가 있음을 보여주 었다. 이상의 논의로부터 나는 대량모듈성 논제에 기반을 둔 좁은 의미의 진화 심리학이 충분한 근거를 갖고 있지 못하며 성적으로 편향되어 있다고 결론 내렸 다. 나의 비판이 맞다면, 사실적인 차원과 규범적인 차원을 구분함으로써 성역 할을 당위적인 것으로 만들려고 하지 않는다고 주장함으로써 진화심리학의 성 적 편향성을 부정할 수 없다. 사실적인 차원과 규범적인 차원을 나눈다고 해도 고정된 성역할을 가정함으로써 우호적 성차별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궁극 설명과 근접 설명의 구분을 통해 진화심리학이 사회과학적 설명과 상보적 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진화심리학의 환원주의적 성격을 부 정할 수도 없다. 극단적인 방법론적 개체론의 수용 때문에 사회나 문화는 설명 항의 역할을 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