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인식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백사인,김경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지각에 따른 진로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취업장애 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 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즉 취업장애 지각이 높으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이 낮으며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5개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 요인만 유의미하게 정적영향을 미쳤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학 졸업반 학생의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서 목표설정(β=.322)만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으 로, 취업장애 지각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 변인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두 번째 회귀식에서 취업장애의 영향력(β=-.24)보다 세 번째 회귀식에서 취업장애의 영향력(β=.01)이 줄어들고 유의미하지 않는다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 다. 따라서 취업장애의 영향력이 β=-.24에서 β=.01로 줄어들었고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취업장애와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목표설정이라는 차원은 자신의 장기적인 미래설계와 관련되는데, 특히 취업준 비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 성공적인 역할모델, 장기적인 자신의 미래 계획과 관련하여 도움을 줄 수 있다면 노동시장의 불안에도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일 수 있 을 것이다. 또한, 취업준비생이 인식하는 취업장애가 높을지라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진로준 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취업준비생의 취업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능동적이며 유연한 취업행 동을 돕기 위한 취업상담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배경 속에서 대학생들에 대한 검증작업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대학 졸업반 학생 및 취업준비 생에 적합하게 개발할 필요와 취업과 진로의 차이점을 고려한 현실적인 척도개발이 요구된다.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의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보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effective 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eniors and provide 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ling and career counselling programs to career search and career decision. So among influencing variables of role performance and tasks that only University seniors ha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 chose employment barrie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variables and confirmed tasks of this study as following sentences. Here are the results of study: First, the perceived employment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enior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r perceived employment barrier is, the lowe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Second,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enior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only creating goals among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meaningful influences. Th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the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Third, we confirmed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employment barrier percep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barrier perception has meaningful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mediat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Unless they perceive employment barrier higher, if they hav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turned out to b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수진,박인숙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3

        신입생으로 대학에 입학하면 다양한 교양을 먼저 접하고, 전공으로 학습을 확대하면서 대학생은 자 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진로준비를 하게 된다. 대학 생활은 발달과업 상 자아실현을 하는 시기이고, 진로 탐색과정과 준비를 통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 간이다. 대학 시기는 진로와 관한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되면서 이를 해결하는 태도가 미성숙하여 중도 탈락하여 학업 포기와 학교생활에 활력을 잃어버리는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기도 한다. 대학생 본인의 진로에 대한 성숙한 의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더라도 진로를 준비하는 행동이 수반되지 않으면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간호는 타 직업 분야와 구분되는 전문직관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 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간호사라는 직업에 대한 전문직관도 환경적 요소에 따라 변화하리라 생각된다. 간호사로서 마지막 단계 준비를 하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에게 진로준비행동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간호학의 가치를 깨닫게 하여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스스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하여 준비를 할 수 있는 셀프리더십을 지지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진로준비행동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다. 연구결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비해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인 간호의 독자성, 간호계의 역할,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의 전문성, 사회적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셀프리더십은 건설적 사고, 리허설, 자기기대, 자기보상, 자기비판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 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1학년 때부터 학년별 맞춤형으로 진 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University freshmen first learn about various liberal arts subject, expand their learnings to the major courses, go through exploration on one's career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Their time in university is when the self realization happens from developmental task, and it is an important time when they choose the job that suits their interest and aptitude via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During this time, some might face various difficulties regarding career, and due to lack of mature attitude toward problem solving, it may end up in negative result such as giving up the studying or losing vibrancy in school life. Even when the student has mature thinking and attitude toward career, i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not follow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goals, thus, it is important for nursing to form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occupations. It is thought that the professional intuition for the profession of a nurs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also change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a very important element for graduate-year nursing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final stage as a nurse.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supportive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ehend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developing program about systematic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ducation. As the result,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 and to improve the behavior,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ach grade from the freshman to improve their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 KCI등재

        대학생의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은선,이희수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1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recognition of opportunity inequality in employment and socioeconomic achievement may influence th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o prepare for career when blind adoption is spreading.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constructed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planed to investigate whether opportunity inequality recognition affect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gender and the grade level among the three factors. For this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opportunity inequality,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students in a local university. Of the total 482 data, 415 answered sincerely were collect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were conducted. For the hypothesis test, t-test, multiple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female students in opportunity inequality perceptio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erms of grade, grade 4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students in grades 1-2 or grade 3.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of opportunity inequality perceptio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of recognition of opportunity inequality is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career resili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means that opportunity inequality recognition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career resilience. Opportunity inequality recognition and career resilience factors were analyzed to explain about 30%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is needed from the lower grades in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field of the career path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nder issues in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In order to facilit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programs to increase career resilience. It also raises the necessity to continue to set up and spread the system that guarantees equality of opportunity such as blind adoption and fairness in recruitment process under youth career crisis. 본 연구는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취업이나 사회경제적 성취에서의 기회불평등 인식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 세 요인은 성별, 학년별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세우고 실증적인 분석을 계획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지방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회불평등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및 개인별 특성에 관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82명의 자료 중 결측값을 제외하고 41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문항의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하여 t-검증과 다중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성별로는 기회불평등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요인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학년별로는 4학년 학생이 1-2학년이나 3학년 학생보다 진로준비행동 요인에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회불평등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의 세 요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고, 기회불평등인식 요인은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 요인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기회불평등인식이 직접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진로탄력성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두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을 30%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저학년부터 체계적인 교육과 상담 지원이 필요하며, 노동시장의 구조에서 젠더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또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진로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 취업난 속에서 블라인드 채용과 같은 기회의 평등과 채용과정에서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제도의 정착 및 확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당위성을 제기해 준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취업준비 여부,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개발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정영해(Chung, Young Hae),강희순(Kang, Hee Sun),김정숙(Kim, Jeong Suk)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1 사회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대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개발 준비도간의 관계와 진로개발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내재적 직업가치, 외재적 직업가치는 진로개발 준비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진로개발 준비도는 내재적 직업가치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또한 취업준비를 하는 학생이 진로개발 준비도가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외재적 직업가치는 다른 변수의 값이 동일한 상태에서, 그 값이 높을수록 진로개발 준비도가 낮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진로개발 준비도 관련 요인으로 내재적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 여부, 외재적 직업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진로개발 준비도를 향상시키고 지원할 수 있는 다각적이고 효과적인 상담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시 이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영향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개발 준비도와 대학의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와의 관계와 진로개발의 실제적인 성과물인 취업과의 연계성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employment preparation,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402 university students.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sks about employment preparation and uses instruments such as the Work value Inventor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Short Form(CDSE-SF) and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CDRl).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H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the SPSS/PC ver 18.0 program Results: It was foun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university student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intrinsic work value and was negatively related with extrinsic work valu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48% of the variance for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wa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by intrinsic work valu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employment preparation, and extrinsic work value. Conclusion: Findings suggests that employment preparation, work valu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김경아(Kyounga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1, 2, 3학년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유효한 264명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활용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직업가치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업가치관은 고려하지 않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 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에 따른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함께 투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가치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직업가치관은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가치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검증한 결과에서 내재적 직업가치관(적성, 성취감, 능력)은 내재적 동기(적성, 흥미, 재능, 미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진로탐색 활동을 향상시킴으로써 구체적인 진로결정과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충족 될 때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으로 더 많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은 학생들의 개인특성 및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교육과 지원의 방향을 다각화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대학교 저학년 시기부터 학생들의 능동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하여 직업가치관을 확립하고 진로 확신을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37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university, of which 26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maj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cuupational values. Second, the total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without considering ocuupational value, and as a resul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ocuupational value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by inputting both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job value did not.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bootstrap verifica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t was found that ocuupational value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factors of job value, it was foun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ttitude, achievement, ability) mediates the influence of intrinsic motivation (attitude, interest, talent, and futur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can make specific career decisions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actions by improving career 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re satisfied,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leads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Therefore, people in charge of the university field need to diversify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ocuupational value and increase career confidence for students'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rom the lower grades of university.

      • KCI등재

        대학생 진로준비도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이정윤,이경화 한국진로교육학회 2023 진로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진로준비도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진로준비도검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진로준비도의 개념과 영역 및 구성요인을 도출한 후 1차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즉, 진로준비도란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개인의 진로와 관련된 능력, 특성 및 실행’이라고 재개념화 하고, 진로준비도의 영역 및 구성요인을 능력, 특성, 실행이라는 세 영역과 일곱 개의 구성요인으로 확정한 후, 진로준비도검사의 예비문항(47개)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2차 전문가 조사에서는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여 초기문항 42개를 확정하였다. 둘째, 측정도구 타당화를 위하여 대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초기문항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22.0과 AMO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로 진로준비도검사는 능력, 특성, 실행의 세 영역과 총 여섯 개의 구성요인으로 구성된 3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본 진로준비도검사는 문항의 내적 일관성과 신뢰도가 확보되었으며,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그리고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어 구인 타당성의 근거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생 진로준비도검사는 진로준비가 졸업이나 취업과 같이 어느 특정 시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대학 생활 전반에 걸쳐서 꾸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준비도를 측정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대학생활 중에 체계적인 진로준비를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the concept of university student career readines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career readiness test. Accordingly, first, the concept, domain, and components of career readiness were deriv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imary expert was confirmed. In other words, career readiness is reconceptualized as 'the individual's career-related abilities,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that prepare to choose and decide on a career suitable for oneself' After confirming the domain and seven components, preliminary questions (47 items) of the career readiness test were developed. In the second expert survey, 42 initial questions were confirmed by check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Second, in order to validate the measurement tool, data were collected by applying the initial questions to 600 university students, and th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SPSS WIN 22.0 and AMOS WIN 22.0 programs were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career readiness test was composed of 32 items consisting of three areas of ability, characteristics, and execution and a total of six components. Second, in this career readiness test,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were secured, and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official validity were verified to secure the basis for recruitment validity. The university student career readiness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fact that career prepar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oint in time, such as graduation or employment, but requires steady preparation throughout university life. Therefore, university students can have an opportunity to measure their career readiness, and it will be useful for systematic career preparation during university life.

      • KCI등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박신영,이동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1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CPB)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CDL)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SAC) in multiple domains. Th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rvey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5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one of four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SAC was measured in four domains including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of CDL and CPB,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DL and four SAC domains. Correlations between CPB and SAC domains, except for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were also positiv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P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DL and SACQ were significant in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whil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academic adjustment was significant only if CDL was very high or low (not moderat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college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when CDL was very high.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DL, but not CPB,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on social adjustment. Finally, CDL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and CPB had a unique negative effect on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consistent positive effects of CDL on SAC domains, the nature of effects of CPB can vary across different CDLs and SAC domain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in detail.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과 다양한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역할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4 영역)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진로발달의 이차원적 개념화에 기초하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그리고 진로결정수준과 모든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도 개인·정서적응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는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 영역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학업적응이 뚜렷하게 높아지는 반면, 진로결정수준이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대학환경적응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진로결정수준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대학환경적응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동시에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진로결정수준만이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인·정서적응에 진로준비행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진로결정수준의 전반적인 긍정적 효과와는 달리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그 크기와 방향에 있어서 개인의 진로결정수준과 구체적인 적응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효과분석

        윤준현(Yoon, JunHyun),최지영(Choi, Jiyou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2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둘째, 진로장벽의 하위요인별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진로장벽은 성별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전 소재 4년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24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 및 AMOS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학생들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떨어지고 이러한 요인들이 진로준비행동을 낮추게 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은 학생들은 진로준비행동을 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로장벽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성숙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끼치는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은 자기명확성 부족과 직업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 여학생은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직업에 대해 흥미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 진로준비행동을 덜하게 된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에게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을 하는데 항상 방해요인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며 대학생의 진로상담에 있어서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남녀에 따라 진로장벽요인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d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a mediating effec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each sub-factor of the career barrier?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en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college students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Korea and 224 data were collected and verified by SPSS and AMO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tudent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as high have a low degree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maturity, and these factors lower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students with hi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found to be good at career prepar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recogni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career attitude maturity differed by gender. When male students feel lack of self-determination and a lack of job information, female college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or a lack of interest in the job, they engage in less career prepara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grea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male students. This means that career barriers do not always act as a hindrance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uring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areer barrier factors individually for male and female.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현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and impact of university student' personal characteristics on career in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total of 496 Participants in universiti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Grade, employment stress, leader experience, career course, career fair had difference on career in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niversity satisfaction, career goal had difference on career in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tern experience, career counseling, club had differ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rk has difference on career indecision. These result are used in career education and making career program. Results from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majo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employment preparation, leader experience, job search engine had impact on career indecision. Second, employment possibility, job search engine, employment preparation, major satisfaction, employment stress, leader experience had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employment preparation, career counseling, job search engine, employment stress had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order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career path and employment prepara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다양한 개인적 특성(일반특성, 진로특성, 경험특성)이 진로미결정과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떤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496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개인특성이 진로변인들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인 특성 중 학년과 취업스트레스, 리더경험, 진로과목수강, 진로행사참여는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학만족도, 희망진로, 전공일치는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상담, 동아리 참여유무와 인턴경험은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점수준은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효율적인 진로교육을 계획하거나 실행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특성을 발달시키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구체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개인특성들이 진로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에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전공만족도, 취업가능성, 취업준비여부, 리더경험, 취업진로사이트 순이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취업가능성이 높고, 전공만족도가 높고, 리더경험이 있고, 취업준비를 하고 있고, 진로사이트 이용경험이 있을수록 진로미결정수준이 낮았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취업가능성, 취업진로사이트, 취업준비,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 순이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전공만족도가 높고, 취업가능성이 높고, 취업준비를 하고 있고, 리더경험과 진로사이트 이용경험이 있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았고, 취업스트레스는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낮았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취업준비, 진로상담, 취업진로사이트, 취업스트레스 순이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취업준비를 하고, 진로상담을 받고, 진로사이트를 이용하고, 취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진로준비행동수준이 높았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체계적인 진로교육과 취업지도를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수준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백인선,정기수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employment possibility on college students who represent young people. For tha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204 collection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s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ir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possibilit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Fifth, employment possi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x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but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edness partly mediat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진로결정수준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촉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04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효과가 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용가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고용가능성은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고용가능성에 의한 간접적인 경로를 거치는 것을 밝힌 것으로 사회진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촉진을 위해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증진과 함께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나타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