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 타당화 연구

        진성희(Jin, Sunghee),성은모(Sung, Eunmo),최창욱(Choi, Changwoo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평생진로 발달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흥미와 적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소질을 발굴하고 이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진로개발역량의 정의 및 세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외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진로개발역량의 정의 및 세부지표를 개발하였고 개발한 진로개발역량의 구성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 및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진로개발역량지수의 타당성 조사는 청소년 관련 전문가 총 28명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된 진로개발역량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 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 중고등학생 719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9개의 세부지표가 개발되었는데 진로설계역량의 세부지표로는 자기이해, 진로 및 직업 탐색, 진로결정능력, 여가활용역량의 세부지표로는 여가필요성 인식, 여가 조절, 여가 몰입, 개척정신의 세부지표로는 차별화 태도, 도전정신, 위험감수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진로개발역량 및 지표는 그동안 유사 다른 선행연구보다는 사회적 변화 및 청소년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접근하고, 청소년 학계 및 청소년 관련 현장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합의를 도출된 결과이기에 보다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소년들의 진로개발 관련 다양한 체험활동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리라 기대된다. Many researchers have undertaken work to develop competencies related to youth careers due to the increasingly highlighted importance of these particular areas of competence. Howeve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limitations in this previous work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chiefly the fact that such work has not reflected current you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nges. This is mainly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have dealt with “career” as the notion which is focused largely on the idea of “job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for assessing you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caree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research aim, the indicators for assess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were drawn up from a systemic literature review and they were then validated and modified by the expert review method and finally developed into two surveys targeting youth. 28 youth experts participated in the expert review. The participants comprised 333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first survey and 791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second survey. In terms of results, nine indicators were developed: self-exploration, career and job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 ability for assessing career design competency, needs for leisure, leisure control, leisure commitment for assessing leisure use, attitude for differentiation, challenge spirit, and risk-taking for assessing the pioneer spir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guidelines for developing various activities and establishing youth policies related to youth career development.

      •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IV : IEA ICCS 2016-대학생용 기초통계보고서-

        장근영,성은모,이경상,진성희,최효선,김균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지식과 기술전수 중심의 교육에서 역량(competencies) 개발 중심의 교육으로의 전환은 OECD, UNESCO 등의 국제기구에서 추진하는 미래세대 육성정책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개발과 추진에는 이와 같은 추세가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 보고서는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IEA ICCS 2016’ 정책연구의 4차 년도 연구이자 2016년도 3차 년도 연구의 후속연구이다. 올해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를 통해 측정된 우리나라 청소년의 역량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민주적 역량의 국제비교를 위한 IEA ICCS 2016 본 조사 결과를 개요 하였다. 2016 청소년 역량지수의 실태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의 초·중·고등 학생과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초등학생 2,836명, 중학생 2,710명, 고등학생 3,500명 (총 9,046명) 및 대학생 1,041명으로 구성된 총 10,087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5대 청소년역량 영역인 생애학습역량, 생활관리역량, 진로개발역량, 대인관계역량의 측정결과의 문항의 정규성과 신뢰성과 함께 청소년 역량지수 단축문항 측정도구의 일관을 재확인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에 대한 연도별 비교분석 결과, 전체적으로는 유사한 양상을 확인하였다. 단, 2017년 청소년 역량에 있어 2015년과 2016년 대비 전체적인 평균 점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은 감소하고 진로개발역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의 차이를 확인했다. 특히 역량군 별로 성별차이가 유의미했는데, 생애학습역량과 진로개발 역량은 남자가, 생활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량에서는 여자가 더 높았다.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 시기에 따른 청소년 역량지수 저하현상을 다시한번 확인하였으나 연령별 격차는 전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애학습역량, 생활관리역량, 그리고 진로개발역량의 점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대인관계역량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 역량의 지역 차이도 발견되었으나 그 원인이 다양하게 작동될 수 있기 때문이 이에 대해서는 보다 조심스러운 해석이 요구되며, 그 원인을 심도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청소년 역량지수의 연도별 추세를 살펴본 결과, 생애학습역량 지수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점차 증가하다, 2017년 조사에서는 감소했으며, 특히 학습적응성역량은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관리역량 지수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7년 조사에서는 유지하는 양상을 보였다. 진로개발역량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7년에 대폭 상승하였으며,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특히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지수가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반면 고등학생은 미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역량의 경우 조사년도가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기할 것은 학교급별 대인관계역량 변화추이가 서로 달랐다는 점이다.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에 대한 문항반응이론(IRT) 분석결과, 청소년의 발달시기별 청소년 역량측정 문항에 반응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청소년 역량지수는 청소년의 성장시기별 발달적 특성이 반영되어 측정되었기 때문에 청소년의 발달시기별 청소년 역량측정 문항에 반응이 상이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교급별 평균 점수를 단순히 비교분석하기 보다는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의 요인 동일성을 확보하는 작업을 우선 실시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은 학교급별 반응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점별 동일성 모형의 적합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의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DIF) 분석결과,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지수 측정문항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별문항들을 확인하였다. 각 역량영역별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에 남녀 청소년들에게 각각 유리한 문항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지적도구 활용’의 ‘정보통신활용능력’에 해당하는 문항 중 일부가 차별기능문항이었으며 생활관리역량지수 측정문항 중 일부와 진로개발량지수 영역의 ‘진로설계’의 ‘진로 준비’에 해당하는 문항중 일부가 초,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차별기능문항으로 확인되었다. 전 세계 25개국이 참여하는 2016년도 국제시민의식 및 시민성 비교연구(ICCS 2016)는 한국에서 총 106개 중학교 2학년 학생 3,004명과 담당교사 1368명, 교장 106명을 대상으로 IEA의 조사절차를 준수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EA의 규정상 허용된 범위 내에서 1차 분석결과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개요 하였다. 특히 2016년 ICCS는 2009년에 실시했던 동일한 조사와의 시계열 비교가 포함되어 좀 더 많은 시사점을 제공했다. 2016년 조사결과, 2009년 대비 한국 청소년(중학교 2학년)들의 민주시민역량의 인지영역에 해당하는 ‘시민지식 점수’는 소폭 향상되었으나 그 수치는 보다 많은 향상을 기록한 스웨덴, 홍콩, 대만 등의 국가들에 비해서는 적었다. 특히 대만은 아시아 국가로서는 HDI가 낮으면서도 매우 높은 수준의 시민지식 점수 성취도를 나타낸 예외적인 사례로서 추후 대만의 사례 분석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또한 벨기에는 시민지식 점수가 높으면서도 남녀간 성차이가 1점 내외로 매우 적어서 추후 연구에서 시민교육의 양성평등성을 달성한 사례로 주목된다. 청소년 민주시민역량의 정의적-행동적 영역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SNS를 통한 정치참여 현상은 조사 참여 국가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으며, 성인이 되어 선거에 입후보할 의사나 적극적인 정치참여의사 등은 남자 청소년들에게서 더 뚜렷했다. 청소년들의 교내 시민참여수준은 2009년에 비해 매우 크게 향상된 반면, 학교밖 시민참여 경험은 좀 더 향상될 여지가 발견되었다. 전반적으로 시민지식 수준이 낮을수록 적극적 정치참여의사가 높은 경향이 발견되었는데 이 결과의 시사점과 정책 대응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정책 및 활동프로그램 현황분석 결과. 생애학습역량의 경우 많은 정책들이 ‘지적도구활용’ 역량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생활관리역량의 경우 ‘건강관리’와 ‘상황대처’ 역량 분야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개발역량의 경우, 정책들이 ‘진로설계’와 ‘여가활용’ 영역에 편중되어 개척정신 영역에 대한 정책이 요구되었다. 대인관계역량의 경우, ‘관계형성’ 영역에 정책이 편중되어 있는 반면 가장 부족한 ‘리더십’이나 ‘협동’ 역량에 관한 정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역량의 경우, 정책들이 ‘개인시민성’과 ‘세계시민성’ 영역에 편중된 반면 현재 청소년들에게 가장 부족한 ‘공동체시민성’ 에 관한 정책적 관심 요구되었다. 청소년시설의 활동프로그램에 대한 역량영역별 현황 분석 결과, 생애학습역량의 경우, 사고력과 지적도구활용 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요구되었으며, 생활관리역량의 경우, 상황대처와 정서조절 관련 프로그램들이 공통적으로 부족했다. 진로개발역량의 경우, 개척정신 관련 프로그램들이 가장 부족했다. 대인관계역량 범주의 경우, 특히 리더십 영역에 대한 활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청소년들의 역량개발에 있어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회참여역량의 경우, 특히 공동체시민성 관련 활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사 결과의 논의 이후에 이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conversion from ‘knowledge and skill’-centered to ‘competencies’-centered educaton system is one of the core keywords of policy for future generation in 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ECD and UNESCO. This trend i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his research. This is the fourth year of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 IEA ICCS 2016. This year's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Korean youth competencies measured through past research and explained the outline of IEA ICCS 2016 findings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of democratic competencies. 2016 Survey on youth competencies index consists of 2836 elementary school students, 2,71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2,510 high school students (total 9,046 people) and 1,041 college students, from the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s a population. For a total of 10,087 specimens. The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we reconfirmed the consistency of youth competencies abbreviations for compressed measurement tool, along with the normal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of measurement results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life management competencie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ie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year for the youth's competencies index measurements from 2015 to 2017, the same pattern was confirmed overall. However, in the competencies of adolescents in 2017, the overall average score rose slightly compared to 2015 and 2016, whereas the youth's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decreased. We also confirmed differences in youth's competencies index measurement results by gender. Especially,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among the competency groups.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higher in males and life - management competenc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etencies were higher in females. We confirmed the decline of competencies scores again according to the time of youth' s growth and development, but it turned out that the disparity by age decreas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Especially the score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y, liv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ended to be low, but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ies tended to be high. Regional differences in youth capacities have also been discovered, but the causes can be diversified, so for this, a more careful interpretation is need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s by year for the Youth Competencies Index, the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scores are gradually increased from 2014 to 2016, but it decreased in the 2017. As a result of item response theory (IRT) analysis of youth competencies scale, we confirmed that the responses to items of youth competencies measurement by age were different. Since the youth competencies index was measured reflect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growth period of the youth, it seems that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youth competencies measurement by the time of adolescence development differs. Therefore, rather than merely comparing the average score by school class, it was confirmed the necessity of prioritizing the work to ensure factor identity of the youth's competencies index measurement question by school grade. Especially the items confirmed that the response by school class is different. As a result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DIF) analysis by gender of youth competencies index, we confirmed gender discrimination question at youth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items. An advantageous question was found for each gender area for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high school time sexes and young people respectively. It seems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 groups were commonly confirmed by the discrimination function question. The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 in 2016 (ICCS 2016) participating in 25 countries worldwid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second graders 3,004 students and 1,368 teachers, 106 principals 106 junior high schools. In this research, outl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primary analysis result report within the range permitted to publish the result based on the regulation of the IEA. In particular the 2016 ICCS provided a little more suggestion that it included a time series comparison with the same survey conducted in 2009. As a result of the 2016 survey, the citizen's knowledge score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domain of Korean youth (junior high school second grader) competence of democratic citizens improved slightly as compared with 2009, but the figure improved more It was less than the recorded countries such as Sweden, Hong Kong and Taiwan. In particular, Taiwan is judged to need Taiwan case analysis in the future as an exceptional case showing the achievement of the knowledge score of a very high level of citizens although HDI is low as Taiwan as a country in Asia. In addition, Belgium has a high knowledge score of citizens, and the sex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s extremely small in one point and outside, and it will be noticed as a case of achieving the training equality of citizen education in futur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ttitude- behavioral domain analysis of youth democratic citizen competencies, political participation phenomena through young people 's SNS have been discovered in common by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nd they are intention to become candidates for election and become aggressive as adults The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more pronounced from boys. The level of citizen participation among young people h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2009, whereas the experience of citizen participation outside the school was found to be more improved. Overall, as the level of citizen 's knowledge level was lower, the tendency to actively participate in political participation was discovered, but suggested the results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policy response. Results of analysis of youth policy and activity program situation. In the case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many policies were biased towards ability to utilize intellectual tools, and in the case of life management competencies, we found that biased toward the field of health care and ability to deal with situations . In the case of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policies in the pioneering spirit area were sought, biased towards the course design and leisure utilization areas. In the case of interpersonal skills abilities, policies on the competencies of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that are the most deficient are urgent, while policies are biased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 area . In the case of social participation abilities, while policies were biased towards person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we also demanded policy attention on community citizenship which is the shortage of current young people It was done. As a result of the current situation analysis of the activity program by the competencies area of the youth facility, in the case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 program of part utilizing thinking power and intellectual tool is needed, and in case of life management competencies, coping with the situation Programs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commonly lacked. In the case of career development abilities, pioneering spirit-related programs are the shortest. In the cas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ies category, it was estimated that development of activity program of leadership area, in particular, can make the greatest effect in youth competencies development. In the case of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ies, it was appreciated that development of community citizenship-related activity program is urgent. After discussion of the survey results, policy suggestions on this were presented.

      •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IV : IEA ICCS 2016 -초·중·고등학생용 기초통계보고서-

        장근영,성은모,이경상,진성희,최효선,김균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지식과 기술전수 중심의 교육에서 역량(competencies) 개발 중심의 교육으로의 전환은 OECD, UNESCO 등의 국제기구에서 추진하는 미래세대 육성정책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개발과 추진에는 이와 같은 추세가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 보고서는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IEA ICCS 2016’ 정책연구의 4차 년도 연구이자 2016년도 3차 년도 연구의 후속연구이다. 올해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를 통해 측정된 우리나라 청소년의 역량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민주적 역량의 국제비교를 위한 IEA ICCS 2016 본 조사 결과를 개요 하였다. 2016 청소년 역량지수의 실태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의 초·중·고등 학생과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초등학생 2,836명, 중학생 2,710명, 고등학생 3,500명 (총 9,046명) 및 대학생 1,041명으로 구성된 총 10,087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5대 청소년역량 영역인 생애학습역량, 생활관리역량, 진로개발역량, 대인관계역량의 측정결과의 문항의 정규성과 신뢰성과 함께 청소년 역량지수 단축문항 측정도구의 일관을 재확인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에 대한 연도별 비교분석 결과, 전체적으로는 유사한 양상을 확인하였다. 단, 2017년 청소년 역량에 있어 2015년과 2016년 대비 전체적인 평균 점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은 감소하고 진로개발역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의 차이를 확인했다. 특히 역량군 별로 성별차이가 유의미했는데, 생애학습역량과 진로개발 역량은 남자가, 생활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량에서는 여자가 더 높았다.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 시기에 따른 청소년 역량지수 저하현상을 다시한번 확인하였으나 연령별 격차는 전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애학습역량, 생활관리역량, 그리고 진로개발역량의 점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대인관계역량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 역량의 지역 차이도 발견되었으나 그 원인이 다양하게 작동될 수 있기 때문이 이에 대해서는 보다 조심스러운 해석이 요구되며, 그 원인을 심도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청소년 역량지수의 연도별 추세를 살펴본 결과, 생애학습역량 지수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점차 증가하다, 2017년 조사에서는 감소했으며, 특히 학습적응성역량은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관리역량 지수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7년 조사에서는 유지하는 양상을 보였다. 진로개발역량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7년에 대폭 상승하였으며,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특히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지수가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반면 고등학생은 미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역량의 경우 조사년도가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기할 것은 학교급별 대인관계역량 변화추이가 서로 달랐다는 점이다.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에 대한 문항반응이론(IRT) 분석결과, 청소년의 발달시기별 청소년 역량측정 문항에 반응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청소년 역량지수는 청소년의 성장시기별 발달적 특성이 반영되어 측정되었기 때문에 청소년의 발달시기별 청소년 역량측정 문항에 반응이 상이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교급별 평균 점수를 단순히 비교분석하기 보다는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의 요인 동일성을 확보하는 작업을 우선 실시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은 학교급별 반응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점별 동일성 모형의 적합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의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DIF) 분석결과,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지수 측정문항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별문항들을 확인하였다. 각 역량영역별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에 남녀 청소년들에게 각각 유리한 문항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지적도구 활용’의 ‘정보통신활용능력’에 해당하는 문항 중 일부가 차별기능문항이었으며 생활관리역량지수 측정문항 중 일부와 진로개발량지수 영역의 ‘진로설계’의 ‘진로 준비’에 해당하는 문항중 일부가 초,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차별기능문항으로 확인되었다. 전 세계 25개국이 참여하는 2016년도 국제시민의식 및 시민성 비교연구(ICCS 2016)는 한국에서 총 106개 중학교 2학년 학생 3,004명과 담당교사 1368명, 교장 106명을 대상으로 IEA의 조사절차를 준수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EA의 규정상 허용된 범위 내에서 1차 분석결과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개요 하였다. 특히 2016년 ICCS는 2009년에 실시했던 동일한 조사와의 시계열 비교가 포함되어 좀 더 많은 시사점을 제공했다. 2016년 조사결과, 2009년 대비 한국 청소년(중학교 2학년)들의 민주시민역량의 인지영역에 해당하는 ‘시민지식 점수’는 소폭 향상되었으나 그 수치는 보다 많은 향상을 기록한 스웨덴, 홍콩, 대만 등의 국가들에 비해서는 적었다. 특히 대만은 아시아 국가로서는 HDI가 낮으면서도 매우 높은 수준의 시민지식 점수 성취도를 나타낸 예외적인 사례로서 추후 대만의 사례 분석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또한 벨기에는 시민지식 점수가 높으면서도 남녀간 성차이가 1점 내외로 매우 적어서 추후 연구에서 시민교육의 양성평등성을 달성한 사례로 주목된다. 청소년 민주시민역량의 정의적-행동적 영역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SNS를 통한 정치참여 현상은 조사 참여 국가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으며, 성인이 되어 선거에 입후보할 의사나 적극적인 정치참여의사 등은 남자 청소년들에게서 더 뚜렷했다. 청소년들의 교내 시민참여수준은 2009년에 비해 매우 크게 향상된 반면, 학교밖 시민참여 경험은 좀 더 향상될 여지가 발견되었다. 전반적으로 시민지식 수준이 낮을수록 적극적 정치참여의사가 높은 경향이 발견되었는데 이 결과의 시사점과 정책 대응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정책 및 활동프로그램 현황분석 결과. 생애학습역량의 경우 많은 정책들이 ‘지적도구활용’ 역량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생활관리역량의 경우 ‘건강관리’와 ‘상황대처’ 역량 분야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개발역량의 경우, 정책들이 ‘진로설계’와 ‘여가활용’ 영역에 편중되어 개척정신 영역에 대한 정책이 요구되었다. 대인관계역량의 경우, ‘관계형성’ 영역에 정책이 편중되어 있는 반면 가장 부족한 ‘리더십’이나 ‘협동’ 역량에 관한 정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역량의 경우, 정책들이 ‘개인시민성’과 ‘세계시민성’ 영역에 편중된 반면 현재 청소년들에게 가장 부족한 ‘공동체시민성’ 에 관한 정책적 관심 요구되었다. 청소년시설의 활동프로그램에 대한 역량영역별 현황 분석 결과, 생애학습역량의 경우, 사고력과 지적도구활용 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요구되었으며, 생활관리역량의 경우, 상황대처와 정서조절 관련 프로그램들이 공통적으로 부족했다. 진로개발역량의 경우, 개척정신 관련 프로그램들이 가장 부족했다. 대인관계역량 범주의 경우, 특히 리더십 영역에 대한 활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청소년들의 역량개발에 있어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회참여역량의 경우, 특히 공동체시민성 관련 활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사 결과의 논의 이후에 이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conversion from ‘knowledge and skill’-centered to ‘competencies’-centered educaton system is one of the core keywords of policy for future generation in 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ECD and UNESCO. This trend i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his research. This is the fourth year of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 IEA ICCS 2016. This year's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Korean youth competencies measured through past research and explained the outline of IEA ICCS 2016 findings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of democratic competencies. 2016 Survey on youth competencies index consists of 2836 elementary school students, 2,71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2,510 high school students (total 9,046 people) and 1,041 college students, from the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s a population. For a total of 10,087 specimens. The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we reconfirmed the consistency of youth competencies abbreviations for compressed measurement tool, along with the normal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of measurement results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life management competencie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ie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year for the youth's competencies index measurements from 2015 to 2017, the same pattern was confirmed overall. However, in the competencies of adolescents in 2017, the overall average score rose slightly compared to 2015 and 2016, whereas the youth's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decreased. We also confirmed differences in youth's competencies index measurement results by gender. Especially,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among the competency groups.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higher in males and life - management competenc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etencies were higher in females. We confirmed the decline of competencies scores again according to the time of youth' s growth and development, but it turned out that the disparity by age decreas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Especially the score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y, liv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ended to be low, but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ies tended to be high. Regional differences in youth capacities have also been discovered, but the causes can be diversified, so for this, a more careful interpretation is need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s by year for the Youth Competencies Index, the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scores are gradually increased from 2014 to 2016, but it decreased in the 2017. As a result of item response theory (IRT) analysis of youth competencies scale, we confirmed that the responses to items of youth competencies measurement by age were different. Since the youth competencies index was measured reflect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growth period of the youth, it seems that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youth competencies measurement by the time of adolescence development differs. Therefore, rather than merely comparing the average score by school class, it was confirmed the necessity of prioritizing the work to ensure factor identity of the youth's competencies index measurement question by school grade. Especially the items confirmed that the response by school class is different. As a result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DIF) analysis by gender of youth competencies index, we confirmed gender discrimination question at youth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items. An advantageous question was found for each gender area for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high school time sexes and young people respectively. It seems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 groups were commonly confirmed by the discrimination function question. The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 in 2016 (ICCS 2016) participating in 25 countries worldwid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second graders 3,004 students and 1,368 teachers, 106 principals 106 junior high schools. In this research, outl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primary analysis result report within the range permitted to publish the result based on the regulation of the IEA. In particular the 2016 ICCS provided a little more suggestion that it included a time series comparison with the same survey conducted in 2009. As a result of the 2016 survey, the citizen's knowledge score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domain of Korean youth (junior high school second grader) competence of democratic citizens improved slightly as compared with 2009, but the figure improved more It was less than the recorded countries such as Sweden, Hong Kong and Taiwan. In particular, Taiwan is judged to need Taiwan case analysis in the future as an exceptional case showing the achievement of the knowledge score of a very high level of citizens although HDI is low as Taiwan as a country in Asia. In addition, Belgium has a high knowledge score of citizens, and the sex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s extremely small in one point and outside, and it will be noticed as a case of achieving the training equality of citizen education in futur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ttitude- behavioral domain analysis of youth democratic citizen competencies, political participation phenomena through young people 's SNS have been discovered in common by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nd they are intention to become candidates for election and become aggressive as adults The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more pronounced from boys. The level of citizen participation among young people h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2009, whereas the experience of citizen participation outside the school was found to be more improved. Overall, as the level of citizen 's knowledge level was lower, the tendency to actively participate in political participation was discovered, but suggested the results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policy response. Results of analysis of youth policy and activity program situation. In the case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many policies were biased towards ability to utilize intellectual tools, and in the case of life management competencies, we found that biased toward the field of health care and ability to deal with situations . In the case of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policies in the pioneering spirit area were sought, biased towards the course design and leisure utilization areas. In the case of interpersonal skills abilities, policies on the competencies of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that are the most deficient are urgent, while policies are biased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 area . In the case of social participation abilities, while policies were biased towards person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we also demanded policy attention on community citizenship which is the shortage of current young people It was done. As a result of the current situation analysis of the activity program by the competencies area of the youth facility, in the case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 program of part utilizing thinking power and intellectual tool is needed, and in case of life management competencies, coping with the situation Programs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commonly lacked. In the case of career development abilities, pioneering spirit-related programs are the shortest. In the cas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ies category, it was estimated that development of activity program of leadership area, in particular, can make the greatest effect in youth competencies development. In the case of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ies, it was appreciated that development of community citizenship-related activity program is urgent. After discussion of the survey results, policy suggestions on this were present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의 구조적 관계

        선곡유화(Seongok, Yuhoa),임현정(Lim Hyun Jung),서우석(Seo, Wooseok)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첫째, 진로개발역량과 관련변인 간의 가설적 연구모델을 설정하여 적합도를 판정하고, 둘째,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구명하며, 셋째, 진로개발역량의 구조모델 내에서 나타나는 자기주도 학습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세부 목표를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의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6/2017/2018)의 고등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최종적으로 최신 데이터(2018년 n=9,546)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진로개발역량모델은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검증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모델 내에서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는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및 진로개발역량에 각각 직접적 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은 진로개발역량에 직접적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개발된 진로개발역량모델 내에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은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 및 진로개발역량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CDC), career education experience(CEE), parent support(PS), self-directed learning(SDL) of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analysis data was used by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of prim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2016/2017/2018)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KRIVET). Finally, the latest data of high school’ students(2018’s n=9,546) was mainly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mong CEE, PS, SDL and CDC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CEE and PS was verified within the validated CDC Model. And CEE and P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SDL and CDC, and SDL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DC. Third, SDL within the CDC model had the partial mediation between CEE, PS and CD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국내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고성민,박윤희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대학생 대상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연구의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기간을 지정하지 않고 2023년 8월 기준에서 학술정보서비스(RISS)에서 ‘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또는 ‘경력개발역량’ 을 키워드로 사용하여 학술논문 총 25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연구물 특성 분석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는 2002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발표됐으며, 2015년에 4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게재지별 분석 결과 교육관련 학회에 투고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많았다. 셋째, 연구주제는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밝혀 진로교육의 내실을 강화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의 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모두 횡단연구를 사용했다. 다섯째, 진로개발역량 측정에는 성희진과 나승일(2012)의 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진로개발역량의 하위요인은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지식, 진로결정 확신도, 의사결정 효능감, 관계활용 효능감, 구직기술이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은 종속변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주로 대학의 진로취업서비스경험, 경력탐색행동, 고용가능성, 전공만족도, 진로결정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술지에 작성된 주제어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주제인 진로개발역량, 대학생, 경력개발역량, 진로역량, 경력개발 등의 주제어가 빈출 횟수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연구에 대한 제안과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 total of 25 papers were analyzed, selected from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RISS) using keywords 'undergraduate' or ‘college’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02, peaking in 2015, primarily in education-related journals. Second, the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were 4-year college students. Third, most studies focused on enhancing career education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related variables.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as cross-sectional studies were the most. Fifth, the measures of Heejin Sung and Seung-il Na(2012) were the mostly used to measure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sub-factors were self-understanding, major and occupational knowledge, career decision certainty, decision-making efficacy, relationship utilization efficacy, and job search skills. Six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were most often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upport service experienc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employment possibi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ever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area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re provided.

      • 대학생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개발 핵심역량

        진미석,이강주,이상아,김하령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직업세계의 변화와 더불어 복합적인 진로개발과제를 안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서 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은 학생들에게 전공교육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경험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는 21개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 참여 대학: PRIME, 이하 프라임 대학) 대상으로 2,906명의 소속 대학생들이 학교로부터 제공받는 진로교육경험을 분석하고 진로교육경험에 따라 진로개발을 위한 기초역량, 즉 진로개발 핵심역량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진로개발핵심역량으로 진로개발준비도, 대학생핵심역량, 기업가정신 등을 살펴보았다. 진로교육경험은 12개의 대표적인 진로교육활동으로 구성하고 양적인 경험과 질적인 만족도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진로경험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 비교과중심 유형과 학교주도 진로교과목 중심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었다. 진로교육경험 분석결과 21개 대학 공히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비교과중심 교육보다 학교주도 진로교과목중심의 진로 교육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개 대학 별로 학생들의 진로교육경험의 정도는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진로교육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진로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3점(4점 만점)의 만족도에 근접하고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도 학교간의 편차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도와 만족도의 두 가지 영역 모두에서 평균을 하회하는 학교가 있는가하면, 두 영역에서 평균을 현저하게 상회하는 학교가 있었고, 경험은 상대적으로 풍부하나 질적으로 만족도는 낮은 학교도 있었다. 진로교육경험도와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진로개발준비도, 기업가정신, 대학생 핵심역량(K-CESA)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별, 학년, 학교, 계열을 통제하고 회귀분석한 결과 진로교육경험도 특히 진로교과교육경험과 진로개발역량과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 진로교육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관계활용효능감, 의사결정효능감, 기업가 역량, 태도, 의지,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의사소통역량, 자원정보활용역량, 글로벌 역량 등 K-CESA의 인지적 역량으로 자가진단이 아닌 수행형 진단도구로 측정된 역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진로교육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진로교육경험에 비해서는 그 관계가 뚜렷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책당국이나 대학기관에서는 학생들의 진로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진로개발활동 경험을 양적으로 확충하고 질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진로교육경험의 유형과 분류기준은 진로교육의 실태와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과 정부의 학생진로개발정책과 전략을 이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에서 진로교육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준비행동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조영아,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support of high school and their family. The study used the data of the Korean Survey on the Career and Occupation of Youth in 2009 applying 531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final analysi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d a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level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Concretely, the level of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was the highest, and the level of ‘career/occupation knowledge’ was the lowest. Second,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development behavior and have relatively high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pport of their family than support of high school. Third, the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on al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tors was career development behavior.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positively affected ‘self-understanding’ section and ‘career/occupation knowledge’ section. The support of family was positively affected career decision-making.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사회적 지지 변인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분석 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한국 청소년 진로·직업실태 조사’자료 중 고등학생의 자료 531명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은 평균적으로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진로개발역량 중 합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았으며 3학년이 1,2학년에 비해, 일반계 고등학생이 전문계 고등학생에 비해 진로개발역량 전반에 있어 높은 인식수준을 보이고 있다. 둘째, 진로준비행동 중 정보를 탐색하는 진로탐색행동 보다는 실제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진로개발행동이 진로개발역량과 보다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족의 지지가 학교의 지지에 비해서 진로개발역량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인구통계학적인 변인들을 통제하고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을 검증한 결과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개발역량 하위영역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진로준비행동 하위영역의 진로개발행동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탐색행동은 진로개발역량 하위영역 중 자기이해영역과 진로직업지식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실제적인 진로의사결정에 있어서는 사회적 지지 중 가족의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성희(Sung-Hee Jin),성은모(Eunmo S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진로개발역량은 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고 자신의 직업뿐만 아니라 개인 및 사회생활을 적극적으로 개척할 수 있는 관점에서 진로개발역량을 접근하고 그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진로개발역량의 개념과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기 진로개발역량 측정문항에 대해 총 45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표본표집을 통해 총 663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타당화 검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문항분석, 정규성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개발역량 측정문항의 구성체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개발역량 측정문항은 진로설계 15문항(자기탐색 4문항, 직업탐색 4문항, 직업가치관 3문항, 진로준비 4문항), 여가활용 16문항(여가태도 6문항, 여가 유능감 4문항, 여가만족 2문항, 여가몰입 4문항), 개척정신 8문항(차별화태도 5문항, 도전정신 3문항) 등 총 39개의 최종 측정문항이 개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측정문항 개발에 대한 의의와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you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Youth should not only be able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but also be able to pioneer their own career and everyday life. A total of 45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initia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easurement items through the concep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previous studies. The total of 6637 youth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alysis of items, normalit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nstruc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easurement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5 item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4 items of selfexploring, 4 items of job search, 3 items of job value, 4 items of career preparation), 16 items of leisure usage (6 items of leisure attitude, 4 items of leisure efficacy, leisure satisfaction 2 items, and leisure immersion 4 items), 8 pioneering spirit (5 differentiated attitude, 3 challenging spirit). Th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영국(잉글랜드)의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 분석 - CDI의 2021 개정 진로개발 틀을 중심으로

        장현진(Jang, Hyunji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잉글랜드)의 진로개발원(CDI)에서 2021년 개정 발표한 진로개발 틀을 중심으로 영국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위한 정책 틀(blueprint framework)을 심층적 및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Hooley 등(2013)의 분석 틀을 수정 적용하여 문헌분석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의 2021년 개정 진로개발 틀의 진로개발 영역(역량)은 선행 국가 및 영국의 기존 진로개발 영역(역량)에서 벗어나 평생진로개발 관점에서 대폭 개정하여 6개 영역(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이 틀은 개인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의 방식에 따라 나선형 학습모형을 도입하고, 영국의 교육단계에 따라 유아기부터 Post-16까지의 6단계로 설정되었다. 셋째, 이 틀의 실행을 위해 진로개발원에서 자원(자료)을 개발·제공하고, 학교 진로교육 실천가의 실행 공동체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있다. 넷째, 영국은 교육법의 진로교육 조항과 교육부의 중장기 진로교육 전략 및 학교 진로교육 필수기준(Gatsby Benchmark)을 마련하여 지역교육청 및 학교 단위의 진로교육 책무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영국은 민간 진로개발 실천가 협회를 중심으로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을 개발 및 운영하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 실행이 어려운 한계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국이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은 미국이나 캐나다에 비해 후발주자지만 영국의 환경여건에 특화된 진로개발 정책 및 틀을 개발・실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술적으로 논의하고 한국의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and critically the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blueprint framework) for career development skills in the UK, focusing on the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revised in 2021 by the Career Development Institute (CDI) of England. For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Hooley et al. (2013).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velopment areas (competencies) of the UK s 2021 revised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was significantly revised and composed of 6 areas (competenci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career development,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career development areas of previous countries and the UK. Second, this framework introduces a spiral learning model to foste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sets six phases from early child to Post-16 according to the education stage of the UK. Thir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framework, the CDI develops and provides the necessary resources, and solidifies the community network of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Fourth, the career education provisions of the Education Act and the recent mid-to-long-term career strategies at the level of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the Gatsby Benchmark have been prepared to increase the career education accountability of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K is operated mainly by the private career practitioners associatio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discussions were conducted, and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의 온라인 진로활동과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김재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생의 온라인 진로활동 여부에 따른 진로개발역량과 자기주도학습의 차이를 분석하고, 온라인 진로활동이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ㆍ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6~2019년 초ㆍ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중학생 및 고등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독립변수인 온라인 진로활동은 진로정보탐색과 직업정보탐색 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을 통해 진로정보탐색 및 직업정보탐색 활동을 하는 중ㆍ고등학생 비율은 2016~2019년 동안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진로정보탐색 활동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활용 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자기주도학습 수 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정보탐색 활동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활용 학생이 진로개발역량은 높지만, 자기주도학습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진로정 보탐색은 중ㆍ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온라인 직업정보탐색은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ㆍ고등학생이 온라인 진로ㆍ직업정보탐색 활동을 통하여 진로개발역량과 자기 주도학습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진로교육 관련 교육적ㆍ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DC) and Self-Directed Learning (SDL) according to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it examines the effect of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on CDC and SDL. The study use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ata for analysis from 2016~2019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The independent variable,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lassify into Educational Information Search (EIS) and Job Information Search (JIS) activit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use online for EIS and JIS have increased from 2016 to 2019. Second, the student group that uses the online for EIS has a higher CDC and SDL level than the offline use group. However, the student group who uses the online for JIS has a higher CDC level and a lower SDL level than the offline use group. Third, the online EIS activity positively affects the CDC and SDL. However, online JIS activity negatively influences student’s CDC and SD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online EIS and JIS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