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차적 소명의 관점으로 보는 이차적 소명으로서의 직업과 기독교상담

        임헌만 ( Hun Man Im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9 복음과 상담 Vol.13 No.-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삶이 의미가 없고 불행한 이유를 직업에의 불만족에 둔다. 그러나 자신의 삶의 이유를 아는 사람은 어떠한 삶도 극복해 간다라는 주장을 하는 Viktor Frankl 로고테라피는 직업의 종류가 아니라 그 직업을 대하는 사람의 마음 가짐이 삶의 가치와 의미 그리고 행복을 가져다준다라고 한다. 본 소고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적 소명인 일차적 소명과 직업적 소명인 이차적 소명을 나누어서 직업의 의미를 살펴 보았다. 곧 직업이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어원적 의미와 성경적 의미 그리고 기독교 역사적 의미를 통해 직업은 단순히 재화를 벌어들이는 생업(job)이나 사업(business)이 아니라 하나님이 부르신 이차적소명(second vocation)으로서 이해해야하며 이 이차적 소명은 하나님이 그 직업을 통해 부르신 일차적 소명 (first vocation) 곧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그 의미가 회복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프로테스탄트적 소명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곧직업을 이차적 소명이 아닌 일차적 소명으로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두 번째 장으로, 직업 상담은 사실 예방이 더 중요하기에 하나님이 이차적 소명으로 부르시는 직업을 분별하는 원리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독 상담적 관점에서 직업의 의미와 실업(失業)이 가져오는 실업신경증 그리고 그 치유에 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참으로 직업은 하나님께서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임하게 하는 도구로 주신 소명이다. 하나님이 부르시는 소명적 직업을 지혜롭게 분별하고 또한 그 직업을 통해 기뻐하고 감사하며 사는 것이 살아계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사는 삶일 것이다.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reason their lives seem meaningless and unhappy is due to their dissatisfaction of jobs. But according to Viktor Frankl’s logotherapy which states that a person who knows the meaning to their life can overcome any hardships in life, it is not the type of work that brings happiness, meaning and value to one’s life, but the way a person sets his mental attitude toward his or her job. This article, with a Christian viewpoint, explores the meaning of work by dividing the relational vocation with God as the first vocation and job-related vocation as the second. Thus through the etymologic, biblical, and Christian-historic meaning of the word “job”, one must understand the meaning of a job not simply as something that brings in wealth, but as a second vocation of calling from God; and that this second vocation would be able to recover its true meaning through the calling of the first vocation from God, or in other words through the restoration of a relationship with Him. But this article also indicates a problem of the protestant viewpoint of vocation as understanding a job not as a second but first vocation. Secondly, since in career counseling prevention is actually important, the article depicts about the principles distinguishing the jobs God calls as second vocation. Lastly, through the viewpoint of Christian counseling, the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job and the treatment of unemployment neurosis caused by unemployment. Truly a job is a vocation given by God as a tool for making this world fit for the coming of Kingdom of God. By recognizing wisely the calling of a vocational job from God and by rejoicing and being thankful through that job would be the way of life to return glory to the living God.

      • KCI등재

        진로와 직업 분야 소명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현황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애,강혜영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calling of career and vocation research in Ko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career research. To do this, we analyzed 111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18 through curr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First, it is the result of current analysis. ① By year, the current situation was insufficient until 2013, but it increased to 12(10.8%) in 2014 and 15(13.5%) in 2015. Since 2016, research has shown a high distribution of 68(61.2%). ②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adults(51.4%) and university students(39.6%). ③ The current status of the measurement tools were CVQ-K(50.3%), MCM-K(11.7%), Wrzesniewski et al(6.3%) and VCS-K(5.0%). ④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the majority(89.2%). Second, network analysis results. ① The frequency of appearance in the order of 'title of paper' analysis, calling sense, vocation calling, college students, career calling, life satisfaction etc. Keywords with high connection centrality were analyzed in order of calling sense, life satisfaction, career calling, university student, vocation calling. Keywords of mediation centrality were analyzed in order of calling, calling sense, career calling, life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se results, we could find out the topic of study and the subject of study which are actively studied with the importance of calling in career and vocation. ②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the main subjects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career calling, calling sense, life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level. The main subjects of adult research subjects were vocation calling, calling sense, job satisfaction, teachers, and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use of the subject-specific calligraphy. ③ In the result of 'main word' analysis, the main topic of connection center was life satisfaction, calling sense, meaning of life, career calling. The mediation centered subjects were analyzed in order of life satisfaction, career calling, calling sense, meaning of life. Key words were derived from three research themes: G1(career adaptation and career calling for university students), G2(job adaptation and vocation calling for workers), and G3(meaning, satisfaction and calling for life and work).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calling as an adaptation to the meaning and satisfaction of life and work by subject in career and va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진로와 직업 분야 소명연구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소명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황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2000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의 최근 19년 동안 발표된 11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황 분석 결과이다. ① 연도별 현황은 2006년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는 미흡하였으나 2014년 12편(10.8%), 2015년 15편(13.5%)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2016년 이후 연구는 68편(61.2%)의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② 연구대상 현황은 성인(51.4%)과 대학생(39.6%)으로 대다수 연구가 이루어져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③ 측정도구 현황은 CVQ-K(50.3%), MCM-K(11.7%), Wrzesniewski et al.척도(6.3%), VCS-K(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④ 연구방법은 양적연구(89.2%)가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이다. ① ‘논문제목’ 분석 결과, 소명의식, 직업소명, 대학생, 진로소명, 삶의 만족 등의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결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는 소명의식, 삶의 만족, 진로소명, 대학생, 직업소명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매개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는 직업소명, 소명의식, 진로소명, 삶의 만족, 조직몰입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진로와 직업분야에서 소명의 중요성과 더불어 활발히 연구되는 주제와 확장이 높은 연구주제를 알 수 있었다. ② ‘연구대상’ 분석 결과, 대학생 연구대상의 주제어로는 대학생, 진로소명, 소명의식, 삶의 만족, 진로결정수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 연구대상의 주제어로는 직업소명, 소명의식, 직무만족, 교사, 직장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대상별 연구주제의 차이점이 분석되어 대상별 소명의 사용명칭 구분이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③ ‘주제어’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로는 삶의 만족, 소명의식, 삶의 의미, 진로소명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로는 삶의 만족, 진로소명, 소명의식, 삶의 의미 순으로 분석되었다. 주제어는 G1(대학생의 진로적응과 진로소명), G2(직업인의 직업적응과 직업소명), G3(삶·일에 의미·만족과 소명)의 총 3개의 연구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하여 진로와 직업에서 대상별로 삶과 일의 의미와 만족에 적응으로서 소명의 중요성이 시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일차적 소명의 관점으로 보는 이차적 소명으로서의 직업과 기독교상담

        임헌만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09 복음과 상담 Vol.13 No.-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reason their lives seem meaningless and unhappy is due to their dissatisfaction of jobs. But according to Viktor Frankl’s logotherapy which states that a person who knows the meaning to their life can overcome any hardships in life, it is not the type of work that brings happiness, meaning and value to one’s life, but the way a person sets his mental attitude toward his or her job. This article, with a Christian viewpoint, explores the meaning of work by dividing the relational vocation with God as the first vocation and job-related vocation as the second. Thus through the etymologic, biblical, and Christian-historic meaning of the word “job”, one must understand the meaning of a job not simply as something that brings in wealth, but as a second vocation of calling from God; and that this second vocation would be able to recover its true meaning through the calling of the first vocation from God, or in other words through the restoration of a relationship with Him. But this article also indicates a problem of the protestant viewpoint of vocation as understanding a job not as a second but first vocation. Secondly, since in career counseling prevention is actually important, the article depicts about the principles distinguishing the jobs God calls as second vocation. Lastly, through the viewpoint of Christian counseling, the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job and the treatment of unemployment neurosis caused by unemployment. Truly a job is a vocation given by God as a tool for making this world fit for the coming of Kingdom of God. By recognizing wisely the calling of a vocational job from God and by rejoicing and being thankful through that job would be the way of life to return glory to the living God.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삶이 의미가 없고 불행한 이유를 직업에의 불만족에 둔 다. 그러나 자신의 삶의 이유를 아는 사람은 어떠한 삶도 극복해 간다라는 주장을 하는 Viktor Frankl 로고테라피는 직업의 종류가 아니라 그 직업을 대하는 사람의 마음 가짐이 삶의 가치와 의미 그리고 행복을 가져다준다라고 한다. 본 소고는 기 독교적 관점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적 소명인 일차적 소명과 직업적 소명인 이차적 소명을 나누어서 직업의 의미를 살펴 보았다. 곧 직업이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어원적 의미와 성경적 의미 그리고 기독교 역사적 의미를 통해 직업은 단순히 재 화를 벌어들이는 생업(job)이나 사업(business)이 아니라 하나님이 부르신 이차적 소명(second vocation)으로서 이해해야하며 이 이차적 소명은 하나님이 그 직업을 통해 부르신 일차적 소명 (first vocation) 곧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그 의미 가 회복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프로테스탄트적 소명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곧 직업을 이차적 소명이 아닌 일차적 소명으로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두 번째 장으로, 직업 상담은 사실 예방이 더 중요하기에 하나님이 이차적 소명으 로 부르시는 직업을 분별하는 원리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독 상 담적 관점에서 직업의 의미와 실업(失業)이 가져오는 실업신경증 그리고 그 치유 에 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참으로 직업은 하나님께서 이 땅에 하나님 나라 를 임하게 하는 도구로 주신 소명이다. 하나님이 부르시는 소명적 직업을 지혜롭 게 분별하고 또한 그 직업을 통해 기뻐하고 감사하며 사는 것이 살아계신 하나님 께 영광을 돌리며 사는 삶일 것이다.

      • KCI등재

        기독청년의 직업소명에 관한 고찰: 교회의 역할과 과제

        이은미 ( Eun Mi Lee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2

        우리는 일(직업)을 통해 일용할 양식을 얻고, 자기의 정체성을 드러내며, 이웃과 사회에 봉사할 기회를 얻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일은 생계나 사회적 지위의 수단적 측면이 강조된 채, 소명(부르심)으로서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아직 진로를 탐색하고, 직업선택을 위해 상당한 노력과 시도를 해야 하는 초기 성인기 기독청년들에게 직업소명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회로부터 이것에 대한 가르침을 받지 못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소명에 대해 성경에서는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기독청년들에게 왜 직업소명이 중요하고 필요한지, 어떻게 하면 직업소명을 찾을 수 있는지에 고찰하였다. 또한 기독청년들이 직업소명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고, 그 일을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인식하고 실천함으로써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교회는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기독교인조차도 노동은 타락한 인간에게 주어진 저주나 형벌이라는 관점을 가지지만 성경에서는 일을 통해 인간이 번성하고, 낙을 누리는 것이고 결국 일은 사람에게 선물과 같은 것이라고 묘사한다. 루터(Martin Luther)의 신학에 뿌리를 두고 있는 직업소명의 개념은 일부 성직자들에게만 해당되는 개념이 아닌 세속사회의 직업생활에도 적용되는 신앙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루터는 만인 제사장론을 통해 모든 직업은 하나님 앞에서 귀하고 영적인 것이며 동등하게 존귀하다고 하였다. 중세의 오랜 전통을 깨고, 루터는 그 자체로 죄를 짓는 일이 아니라면 모든 직업은 하나님의 소명을 따르는 것이라고 밝힌 것이다.청년기에는 진로와 직업에 대해 많은 고민과 탐색을 하게 되지만, 기독청년이라면 하나님이 나를 직업세계로 이끄시는 과정에서 어떠한 뜻과 계획을 갖고 계시며, 나는 그 일을 통해 어떻게 하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이웃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소명찾기가 이루어져야 한다. 기독청년들에게 직업소명은 더 특별한 의미가 있는 데 첫째, 직업세계의 가치관과 관점이 물질시대에서 관계시대로 새롭게 변화함으로 인해 경쟁이나 성과, 이기주의나 물질만능의 가치보다는 영성에 기반한 유대와 협력, 관계와 헌신이 중요한 세계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소명에 기반 한 직업활동이 의미 있고, 지속가능한 일을 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직업소명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고, 또한 인생의 의미, 일의 의미를 명확하게 붙들고 사는 태도가 삶의 만족을 높인다고 나타난 바 있다. 더불어 직업소명은 직업 스트레스를 낮추기도 하고, 직업수행능력을 높이며, 근무기간도 유지시키는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청년의 소명은 영성과 함께 성숙되어져야 한다. 비즈니스 세계에서 영성은 매우 중요한 주제로 지난 20년간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영성이 높은 사람들이 직장에서의 적응이나 성과, 장기적이고 본질적인 차원에서의 기여가 높은 사람들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이와 같이 직업소명은 기독청년들에게 하나님 앞에서의 부르심에 순종하는 삶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일에서의 의미와 목적, 이웃사랑의 명령을 실현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기독교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교회는 기독청년들에게 직업소명의 중요성과 그 가치에 대해 성경에 기반 한 가르침을 주어야 하고, 교회 내에서 기독청년들을 위한 전문화 된 진로 및 직업탐색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교회 내ㆍ외부의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한 직업관련 멘토링이나 롤모델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We make daily living and get opportunity to reveal our identity, and serve our neighbors and society through work. Work (vocation) has an important and lasting impact on our lives as a whole. In modern society, however, work has been unable to find meaning as a calling while emphasizing the means of livelihood and social status. Especially Christian young adult who have yet to make significant efforts and attempts to explore their career paths and career choices, they have not been taught about vocational calling from the Church, even though it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it examined how the Bible speaks about vocational calling, why it i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Christian young adult, and how to find a vocation(calling). It also explored the role of the Church in helping Christian young adult to choose a career according to their vocational calling and to live a life responsive to God's calling by recognizing and practicing the work as God's calling.Even Christians have a view that work is a cursing or punishment that is given to human beings as a result of sin, but in the Bible, man is prospering and enjoying through work, and eventually describes work as a gift to man. The concept of vocation rooted in Martin Luther's theology, has a religious meaning that applies not only to some clergy but also to the life of a secular society. Through Luther's universal priesthood, all professions are precious, spiritual, and equally honorable to God. Breaking the ancient tradition of the Middle Ages, Luther said that unless he was guilty of sin by himself, all work would follow God's calling.In early adulthood, there is much anxiety and confusion in searching for career and profession. but as a Christian young adult, they have to explore what kind of meaning and plan do God have in the process of leading them into the world and how they can glorify God and practice love to neighbors. For Christian young adult, the vocation has a specialmeaning. First, the values and perspectives of the professional world are changed from the material age to the relationship age. Second, work based on vocation help to make meaningful and sustainable work. Third, the vocation of the Christian young people should be matured by spirituality.In this way, the vocational calling not only enables Christian young adult to live a life of obedience to God's call, but also has a very important Christian value that enables the meaning and purpose of work and the command of love of neighbor. Therefore, the Church should give Bible-based teachings about the importance and value of vocation to Christian youth, provide specialized career and vocational exploration training in the church, and develop career-based mentoring or role modeling programs based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from inside and outside churches.

      • KCI등재

        직장 내 괴롭힘, 직업소명의식, 개인-직무 적합성과 고객지향성과의 관계

        조윤형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3 기업과 혁신연구 Vol.46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customer orientation. Moreover I examined job calling meditate those of relationships. Also reveal the moderated role of person-job fit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job calling. After literature review of workplace bullying, job calling, person-job fit and customer orientation, I propose direct, mediate, moderate and moderated mediation hypothesis. To test of hypothesis, used questionnaires gathered samples of service company’ employees which multi-source at Gwanju and Chonnam. Total 262 questionnaires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rkplace bullying negative impact on job calling. Second, job calling posi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rd job calling mediate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customer orientation. Fourth, person-job fit moderate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job calling that if high on person-job fit, workplace bullying and job calling of negative effects are boost up. Fifth, if high on person-job fit, job calling of mediation effect are higher than low on person-job fit means that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s are supported. Based on the result, we show that workplace bullying are critical antecident of job calling that if company want to reduce of workplace bullying, then service company’s employee are enhancing the job calling and then leading to customer orientation which service company’s competitive advantage factors. Moreover, service company more effort for reducing the workplace bullying that can make their employee feel indebted to their organizations and reciprocate with customer orientation conditionally job fit situation. This results show that reduce and prevent of workplace bullying is important for service companies. So more set the preventing workplace bullying effort and provide traing program then all of employee should take the program. 본 연구는 서비스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들 개념과의 관계에서 직업소명의식의 매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직장 내 괴롭힘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과정, 맥락이 반영된 영향력을 규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총 262부의 설문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를 해결하기 위해 2차례 설문은 시차를 두고 수행되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장 내 괴롭힘은 직업소명의식에 부(-)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직업소명의식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셋째, 직업소명의식은 직장 내 괴롭힘과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에서 이를 매개하고 있었다. 즉, 직장 내 괴롭힘을 직업소명의식을 낮추고 있으며, 낮아진 직업소명의식은 낮은 고객지향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넷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직장 내 괴롭힘과 직업소명의식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개인-직무 적합성이 높은 경우 직장 내 괴롭힘과 직업소명의식과의 부(-)의 관계는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 내 괴롭힘과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에서 개인-직무 적합성으로 조절된 직업소명의식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조건부 간접효과).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는 개인-직무 적합성이 높은 경우 더욱 강한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서비스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의 고객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장 내 괴롭힘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론적 측면에서 봤을 때 소명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직업소명의식의 중요한 선행변수로서 직장 내 괴롭힘, 결과변수로서 고객지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직장 내 괴롭힘과 고객지향성의 관계는 결국 자신이 수행하는 직업에 대해 소명의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을 토대로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가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조직구성원들에게 직장 내 괴롭힘이 가해지면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낮아지게 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청년의 일, 여가, 자기개발 실천: 직업 소명의 행위이론

        오혜진,심재만 한국사회학회 2022 韓國社會學 Vol.56 No.1

        Practices at the intersection of work and leisure vary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Efforts to find patterns out of this variation need to consider that work and leisure are not only correlative but consubstantial with each other. Therefore, how one of the two-especially for work-is practiced affects the manners in which work–leisure practices occur. For explaining this dynamic relationship, this paper first proposes an action theory of ‘calling’, specifically, the ‘calling in work’. From the action theory perspective, career or work performance is perceived as performing of or practicing ‘calling,’ and conceptualized as a process of making one’s ego and her world through her vocation schematically involves individual calling (i.e. calling in ego) and social calling (i.e. calling in alters). Subsequently, from a connectionist approach of the action theory, this study conceptualizes diverse forms of practicing work-leisure into three types: a) work-dominated non-differentiation practice; b) self-development-differentiated practice; and c) leisure-differentiated practice. Apply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it found the following. First, young adults take greater individual calling greater than social calling. Second, their work-leisure practices, distinguished by the number of hours spent in daily activities, appear to have a work-dominated non-differentiation practice taking the largest share (50%), followed by a self-development-differentiated practice (7%), and leisure differentiated practice (43%). Third, the higher the sense of calling in work, the more likely young adults show they belong to work-dominated non-differentiation or self-development-differentiated type than leisure-differentiated type. Fourth, as individual calling increases, they are likely to practice self-development-differentiated work-leisure; as social calling increases, they are likely to practice work-dominated non-differentiation work-leisure. Fifth, the association between work-dominated non-differentiation practice and social calling is weakened by individual calling. These results show that the work-leisure practice indeed correlates with the performing of ‘calling’ through vocation. It suggests that understanding practice in calling, the process of making one’s ego and her society, should take precedent than dividing work and leisure exclusively or taking either of the two in the process. 일과 여가의 실천방식이 다양하다. 두 영역이 연관되어 있으므로 한 영역에서의 실천이 나머지 영역은 물론 둘의 교차로 이뤄지는 실천의 다양한 분기에 영향을 준다. 이에 이 연구는 일과 여가가 서로 구별되면서 동시에 서로 통합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행위이론적 개념화를 통해 일-여가 실천의 다양성을 설명한다. 먼저, 자아와 세계의 연결을 강조하는 행위이론 관점에서 일·직업 실천을 소명(calling)의 실천 중 하나로 보고 개인이 직업에서 자아(개인 소명감) 및 세상·사회(사회 소명감)를 구성해가는 과정(직업 소명감)으로 개념화한다. 다음으로 행위이론의 관계론적 시각에서 일-여가 실천의 다양성을 주요한 세 형태로 개념화한다(일 중심 미분화, 자기개발 분화, 여가 분화). 직업 소명감이 어떻게 개인 소명감과 사회 소명감으로 구체화하는지가 일-여가 실천의 다양한 양상과 유의미한 관계를 맺는다고 이론화한다. 경험적으로 한국고용정보원 청년패널 2차년도(2008년) 자료에 군집분석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청년세대는 사회 소명감보다 개인 소명감을 더욱 강하게 느낀다. 둘째, 일상 활동에 사용한 시간을 중심으로 판별해낸 일-여가 실천은 일 중심 미분화(50%), 자기개발 분화(7%), 여가 분화(43%) 등으로 나타난다. 셋째, 직업 소명감이 높을수록 여가 분화보다는 일 중심 미분화 내지 자기개발 분화가 나타난다. 넷째, 개인 소명감이 증가하면 자기개발 분화를, 사회 소명감이 증가하면 일 중심 미분화를 드러낸다. 다섯째, 사회 소명감과 일 중심 미분화 실천이 맺는 관계는, 개인 소명감에 의해 약화된다. 일-여가 실천이라는 과제는 결국 개인이 직업을 매개로 자아, 사회, 혹은 양자 모두를 만들어가는 과정, 즉 직업을 통한 소명의 실천 정도와 연관되어 있음을 이 연구는 주장한다. 일과 여가를 배타적으로 양분하거나 어느 하나로 환원하려기보다 개인이 때로는 일로써 때로는 여가로써 자아와 사회를 구성해가는 본질적 과정, 즉 소명의 실천 과정에 대한 이해가 우선해야 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송용욱,문명,조윤형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work engagement of the employees in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Also, the process and situation of servant leadership's effect on through job call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promotion policies. We set the hypothesis was based on direct effect,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hypothesis and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local governments at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s which reflects the meaning of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job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mpact on job calling. Also, job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Four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e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Finally, we considered moderated mediate effects which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are low on go along to get ahead’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of job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local government public sectors’s servant leader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nurture the servant leader and strengthen the sense of job cal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engagement. Key words: Servant leadership, Job calling,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Go along to get ahead, pay/promotion policies), Work Engagement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과정과 상황을 고려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와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광주, 전남지역 기초자치단체 5곳과 광역자치단체2곳에서 총 308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자치단체는 정치⋅행정⋅경제 전반에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의 근속연수 역시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피기에 충분히 장기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을 반영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직업소명의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는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연구가설로 설정하지 않았지만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로 조절된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공직에서도 직무열의의 선행변수로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을 높이고 높아진 직업소명의식을 통해 직무열의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낮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므로 조직정치를 줄여야 한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자치단체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무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번트 리더를 육성하여 직업소명의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서번트 리더십, 직업소명의식, 직무열의, 조직정치 지각(가만히 있기, 임금/승진 정책)

      • KCI등재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의식과 자기주도학습, 혁신행동 및 직무성과의 구조적관계

        이형룡,황서현 한국외식경영학회 2015 외식경영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nse of Calling. Self-directed Learning, Innovation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is proved that the sense of calling of hotel employee g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to self directed learning, and, from this influence relationship, also proved that it give significant influence to innovation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as well. This means that the desire of self directed learning of the employee with high sense of calling is high. The employee, who intends to do self directed learning concretely, proposes new idea, shows the attitude of implementing, and has job ability to perform his job successfully. Thus Hotel industry should pay attention and support employee to improve sense of calling, current perception behavior to his job, so that make him learning by himself in motivation to work, job satisfaction, and attribute to job performance improving. 본 연구는 호텔 직원을 대상으로 자신의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인식이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 형태로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 위한 관련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같은 목적을 위해 호텔 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자신의 직업에 대해 인식하는 직업소명의식이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직업소명의식과 자기주도학습이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또한 직업소명의식과 혁신행동,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직원이 가지고 있는 직업소명의식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가설의 검증결과로는 첫째, 호텔 직원이 자신의 직업에 대해서 직업소명의식을 가지는 경우에는 자기주도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의식이 자기주도학습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의식이 자기주도학습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직업소명의 구성개념과 소명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권선영,김명소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6

        Recentl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calling has been emphasized n diverse areas, and related research has been done in career counseling and vocational training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nstruct and components of vocational calling and explore factors that affect living a vocational calling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veloping a calling scale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To achieve this goal,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has been conducted by surveying 243 working adults in various fields via online and offline open end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truct of calling consisted of the perceiving a calling factor, which is composed of mission awareness, goal orientation through work, work value, and motivation of contribution and devotion. and the living a calling factor, which is composed of responsibility, altruistic action, passion and absorption, and royalty. The facilitating and hindering factors that affect living a calling were extracted in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work, and organization areas.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e self-evaluation, personality, and spirituality. Family area includes home discipline and atmosphere. Work area includes job-aptitude match and display ability via work. Organization area includes superiors' leadership and feedback, organization culture, reward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a figure of cognitive map on vocational calling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최근 다양한 영역에서 소명(calling)의 의미와 중요성이 강조되며 진로상담 및 직업훈련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소명의 구성개념과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직업소명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청소년을 위한 진로지도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및 직업소명 척도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직종의 직장인 24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주관식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업소명에 대한 현상학적 관점의 질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직장인이 생각하는 직업소명의 구성요인으로 천직의식, 일을 통한 목적 지향, 일 가치감, 기여와 헌신 동기 등의 소명의식 요인과 책임감, 이타행동, 열정과 몰입, 로열티 등의 소명실천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소명을 실천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을 개인 특성, 가정, 일, 조직의 4개 영역별로 탐색한 결과, 개인 특성 요인에는 자기평가, 성격, 영성 등이 포함되며, 가정교육과 분위기는 가족 특성에 해당한다. 일영역에는 업무와 적성의 부합도, 업무를 통한 능력 발휘 등이 영향을 미치며, 상사의 리더십과 피드백, 조직문화, 보상체계 등은 조직 측면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소명 인지 도식을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직업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성옥,임세영,김연홍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9 직업과 자격 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through life history interviews of 5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s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for more than 15 years at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By observing the traces of their lives and their lives, it can be seen how an identity is formed through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life is given at the turning point of life, and the direction is sought. Second, it can be classified as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as a calling, and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as a lifelong learner. They form an identity as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in the educational field. Experiencing the change of people strengthens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makes 'vocation awareness' as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Strengthening the vocation awareness is to make them expect retirement to be a second life, to set new goals based on richly learned experiences, and to realize the noble value of contributing to others. This study is a study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ho have led their life according to their vocation. It is a limitation that the teachers of a specific institution have been studied with little time. However, rather than grasping the perception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system, it is meaningful to have explored the inner world such as job awareness and identity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through the stories, thoughts, and perspectives of the professions that teachers in the field look at. 본 연구는 직업훈련교사로 15년 이상 근무 중인 직업훈련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오랜 기간 직업훈련교사로서 살아낸 훈련교사들의 인생에 대한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직업훈련 교사로서의 직업의식과 직업 정체성 형성에 기인한 개인의 인생의 궤적, 그리고 각자의 인생에 펼쳐진 전환점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생의 전환점에서 삶의 의미를 부여하고, 방향성을 찾게 됨, 둘째,‘소명(calling)’으로서의 직업훈련교사, 셋째, 평생학습자로서의 직업훈련교사로 정리될 수 있다. 이들은 교육 현장에서‘직업훈련교사’로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사람들의 변화를 체험하는 것은 정체성 형성을 강화시키며 직업훈련교사로‘소명의식’ 느끼게 한다. 소명의식에 대한 강화는 주도적인 평생학습자로 풍부하게 학습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여, 타인에게 기여할 수 있는 숭고한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명의식에 따라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온 직업훈련교사들에 대한 연구다. 특정 교사에 한하여 연구했다는 점이 이해의 폭에 있어서 제한점일 수 있겠다. 그러나 직업훈련교사 제도의 인식이나 부분을 파악하기 보다는 현장에 있는 교사가 바라보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이야기와 생각, 관점을 통하여 직업훈련교사 분야에서 연구되지 않은 훈련교사들에 대한 직업의식 및 정체성 등 내면세계를 탐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 교사로서의 직업의식과 직업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 개인의 인생을 살펴봄으로 현장에 종사하는 훈련 교사로서 갖춰야할 직업적 의식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