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 간의 관계: 직무능력향상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기업 수준 및 근로자 수준의 변수를 연계하여 분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Ⅱ (HCCPⅡ;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를 독립변수로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을 결과변수로 상정하고,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신입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과 직무만족을 매개로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에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Ⅱ의 2021년 2차 본사용 및 근로자 조사에 응답한 854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 간 관계 및 분포를 살펴보고자 STATA 17 version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직수준으로 총합하는 과정에서 타당성 검증을 위해 ICC, rwg 지수를 활용한 타당성 검증, 부분매개모형 분석과 유의성 검정을 위해 bootstrap 분석방법을 통해 검정하였다. 독립변수는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 결과변수는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 매개변수는 신입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 및 직무만족이다. 결과 첫째,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는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는 신입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을 통해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는신입근로자의 직무만족을 통해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교육훈련을 통해 신입근로자의직무능력향상 및 직무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조기퇴사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교육훈련의 효과성및 필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업의 교육훈련은 직무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을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업무중심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하기 위한연구가 필요하며,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세부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감소 간 직무능력향상과 직무만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 감소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직무능력향상 및 직무만족이 그 효과를 매개하는지 확인함으로써기업교육의 효과가 조기퇴사율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세부적으로 밝혀낸 기여점이 있다. 신입근로자는 교육훈련을 통해자신의 직무에 대한 숙련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신입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신이 속한 조직이제공하는 교육훈련 투자가 자신에 대한 투자와 관심으로 인식하여 조직에 머물고자 하는 마음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업은 신입근로자들의 직무능력향상 및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조기퇴사율을 감소하기기 위해 교육훈련에 투자해야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나타나는 과정에서 신입근로자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t the corporate and employee levels by utilizing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II (HCCP II) conducted by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2021. In order to do so, the study set the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has an impact on early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and to confirm whether job skill enhancement and job satisfaction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Methods To do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obtained from a survey conducted on 854 participants who responded to the 2021 2nd headquarters and employee survey of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II)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distributions among various variables,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TATA 17 version. Additionally, validity checks were performed during the aggregation proces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utilizing Intra-Class Correlation (ICC) and rwg indices. For validation purposes, partial mediation model analysis and significance testing were carried out using the bootstrap analysis method.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was assum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early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was assumed as a dependent variable, job skill enhancement and job satisfaction as mediating variable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early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Second, the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he early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through the job skill enhancement. Third, the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he early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through increase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for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to reduce the early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as job skill enhanc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new employees increase through training and development, the early resignation rate decrease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ing that the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he early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are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training and development. New employees can enhance their proficiency in job-related skill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This improve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new employees. Moreover, perceiving the organization'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as an investment in and interest in oneself, new employees may develop an increased desire to stay with the organization. To enhance job skill and job satisfaction among new employees and reduce early resignation rate, companies should consider investing in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lies in verifying and confirm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kill enhance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the reduction of the early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This contribution reveals the detailed process through which the effects of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in reducing the early resignation rate, particularly by examining whether job skill enhancement and job satisfaction mediate this effect. Moreover, the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by highlighting the role of job skill enhancement and job satisfaction as intermediate variables in the process where the effects of the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investment are observed. For companies to improve the job skill and...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 운영체제에 관한 연구 : 직무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반영

        허미경 ( Her Mee-kyeong ),김영아 ( Kim Young-a ),임승렬 ( Lim Seung-ryoul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 만족도와 법령에 명시되어 있는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도와 실제 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법령 외 직무교육 요구도를 살펴보고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 체제에 대한 요구조사를 통한 직무교육 운영체제를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현재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 총 304명이었다.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원장의 경력과 학력 등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시설의 유형별, 개인 변인별 원장의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는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장 직무교육 운영체제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첫째, 교육내용에 있어 시설 유형과 경력에 따라 선택 할 수 있는 교과내용으로 구성해야하며, 교과목은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으로 세분화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 형태는 소규모집단 단위의 사례를 통한 실제 교육을 실행해야 한다. 셋째, 교육기관으로는 정부의 직무 및 보수교육을 위한 전담기관의 설립으로 직무교육 및 보수 교육만을 전담하는 독립적인 기구 운영을 통하여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과 주말, 주중, 상시 교육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job training satisfaction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heir job training needs both in the jobs stipulated in the Child Care Act and in the practical jobs outside the Act, thereby suggesting an operating system of job training through a surve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needs. Toward this end, thisi study surveyed 304 child care center director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job training satisfaction and needs, and ANOVA was conducted of th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he directors' work experi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results reveal that the directors' job training satisfaction and needs vary depending on the center type and individual variable. The results also indicate the following regarding the operating system of job training for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irst, its curriculum should offer options according to the center type and the director's work experience and should be subdivided into required and elective courses. Second, as for the educational pattern,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hrough cases of small groups. Third, as for the educational institute, exclusive governmental institutes for job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thereby expand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offering online and offline courses and weekend, weekday, and everyday courses.

      • KCI등재

        산업안전보건 분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직무교육 이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윤희,윤관식,배광민,조흠학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ing methods,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program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in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255 participants of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who completed the programs between March and June in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training methods need to be applied in job training programs including experience, workshop, and discussion on issues. In addition, further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o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Moreover, the training programs for health manager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improved for training effectiveness.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를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현장의 안전보건관리의 성패가 좌우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크고 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 이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의 내용과 방법 및 효과에 등을 조사하여 직무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 및 교육방법의 효과 등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직무교육 시행을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직무교육을 실시한 총 14개 직무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이수자 리스트를 확보하여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를 각각 75명씩 무선 표집하고 상대적으로 교육이수자가 적은 재해예방전문기관 종사자는 30명을 표집하여 총 255명을 표집하였다. 표집 과정에서 신규교육 및 보수교육 이수자가 각각 50%씩 분포되도록 하였다. 직무교육 이수자의 설문조사 분석 결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교육방법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교육 내용 측면에서 전문성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집체교육에서 체험・실습, 실제 사례 간접 체험, 이슈 토론 등을 포함하여 직무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규교육과 보수교육 내용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성 향상 차원에서 전문화교육의 확대 및 다양화가 필요하고, 이를 보수교육으로 적극적으로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문화교육의 확대 및 다양화와 관련하여 업종별 특화 교육의 개설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보건관리자의 직무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보건관리자에 대한 교육만족도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에도 직무교육 기회의 접근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들은 직무교육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직무교육의 현장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직무교육의 유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CIPP 모형에 기반한 산업안전보건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운영 실태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배광민,박윤희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1

        While the quality of training at job training institutes is critical,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analyzing the state of the implementation of job training at these institut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training at the training institutes by investigating its current state and problems based on the CIPP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evaluation model. In this study, several research approaches were employed. First,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training managers at the job training institut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job training institutes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items in the areas of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training managers at the institut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ir thoughts and needs concerning training program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provided. First, various training methods need to be applied in job training programs. Next, further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i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health and safety managers. Additionally, more funds should be devoted to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institutes.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를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종사자들은 정기적으로 법으로 규정한 직무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직무교육은 고용노동부로부터 승인받은 위탁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의 질은 현장의 안전보건 관리와 직결되므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산업안전보건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운영 실태를 CIPP 모형에 기초하여 조사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직무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1개 직무교육기관의 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5개 기관을 선정하여 교육담당자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요인에서는 정책적 요구에 따른 교육실시, 교육개선과 관련된 항목은 대다수 교육기관이 긍정적인 답변을 제시한 반면 산업체 및 교육생의 요구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도출되었다. 투입요인에서는 강사의 교육수행정도, 지원환경 및 서비스, 교육내용의 수준, 교육내용의 최신성 등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교육목표의 구체성, 산업체 유형에 따른 교육내용과 실습제공, 교육이수자들의 교육기관과 근무지간의 접근거리에서 일부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과정요인에서는 온라인 교육의 효과성과 필요성 및 교육진행 모니터링에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난 반면 교육평가에서는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산출요인에서는 이해당사자 만족도 가운데 강사 만족도 및 산업체 만족도에 비하여 교육생 만족도에 대한 인식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산업안전보건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운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직무교육 운영의 개선을 위해 업종별로 세분화된 직무교육과정 개발이 진행되어야 하고, 지방 교육이수 대상자들의 직무교육 접근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현실적인 교육수수료 단가의 책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어린이집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 만족도 연구

        고영자(Ko, Young-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보육 교직원으로서 자격을 취득하였으나 2년 이상 보육 현장에서 근무하지 않은 미 종사자들이 다시 보육교사로 근무하기 위해 받아야 하는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의 교육 접근성과 교육내용, 교육 기대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의 만족도 수준을 탐색하는 목적을 둔다. 방법 연구목적에 따라 교육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행하여, 먼저 양적 연구 방법으로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서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을 이수한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을 이수한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그 자료를 질적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양적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ANOVA로 검증하고, 사후검정을 위해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자료를 연구의 타당성에 맞게 분석하기 위해 Merriam(2009)의 질적 자료 분석방법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양적 연구 결과에서는 교육 이수자의 모든 배경 변인에서 교육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경력과 자격급수에 따라 교육내용과 기대효과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질적 연구 결과도 교육 이수자들이 교육을 신청하고 접수하는 과정에서 교육정보가 부족하고 교육 신청 방법이 어려워 곤란함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를 이해하고 취업의 의지를 높이며, 공보육에 대한 책임감을 갖는데 교육의 기대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은 비 현직자의 배경 변인을 고려하여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교육내용을 보완하여 이들의 보육 현장 진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직무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non-workers who have obtained childcare teacher licenses but have not worked in daycare centers for more than 2 years. In order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level of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work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 accessibility of education,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expected effect of education for those who completed the edu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integrated way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7 people who completed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econ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eople who completed long-term job training for unemployed workers, and the data were used as qualitative research data. For data analysis, quantitative data was verified b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and Scheff e test was conducted for post-test. For data analysis, quantitative data was verified b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and Scheff e test was conducted for post-test.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qualitative data according to the validity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ology of Merriam(2009). Result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showed that the educational accessibility of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workers was low,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educational content and expected effect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level.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education information was lacking and education application was difficult. Regarding satisfaction with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workers, first,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 access was low in all background variables of those who completed training,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educational content and expected effect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lev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lso show that those who have completed education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pplying for and receiving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the difficulty in applying for education. Through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cted effect of education was high in understanding the duties of child-care teachers, increasing the will to find employment,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public child-care.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in consideration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non-incumbents. This suggests tha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long-term unemployed job training should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education and subdi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child-care field.

      • KCI등재

        경찰관의 교육훈련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의 관계

        안동현(Dong-Hyon Ahn),박영만(Young-Man Park),이종환(Jong-Hwa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경찰교육원 교육과정 중 경비관련 직무 5개 과정에 입교한 전국 경찰관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나,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268명이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관의 교육훈련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업무관련성, 교육과정의 직무교육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은 높으며, 교육동기가 강할수록 교육이수 후 직무만족 또한 높다. 둘째, 경찰관의 교육훈련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업무관련성, 교육동기, 교육과정의 직무교육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직무성과 또한 높다. 셋째, 경찰관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이수 후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 또한 높다. 넷째, 경찰관의 교육훈련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내부 직무만족은 직무교육과 직무성과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This study on the training of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This study of 2012 Police Training Institute courses in related expenses 5 population in the process of initiation of a national police officer selection, and note that the sampling method used to extract a total of 300 samples, but the number of cases that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268 people. Data processing by the SPSSWIN 18.0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e officers training affects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ork-related, of course the more positive the evaluation of job training job satisfaction is high, education, the stronger th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also higher education can be. Seco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olice officers affects job performance. In other words, work-related, educational motivation, job training curriculum for the more positive job performance rating is also high. Third, the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affects job performance. In other words, education can be a higher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lso high. Fourth, the training of police officer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That is,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b training parameters are the important variables.

      • 어린이집원장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강영욱,이미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6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어린이집원장 직무교육에 대한 현황과 일반적 특성 및 직무교육 내용에 대한 필요정도와 직무교육에서 실제 다루어진 정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어린이집원장 직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원장 직무교육 위탁기관인 서울 A대학에서 교육받은 원장 6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린이집원장은 직무교육기관을 선정할 때 자택과의 지리적 근접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고, 어린이집원장 직무교육에서 보강되어야 할 교육내용은 ‘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아동 및 가족 상담’, ‘보육정책’의 순으로 지목하였 다. 둘째, 어린이집원장 직무교육 내용에 대한 필요정도는 ‘보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평 가’, ‘교수매체의 선정과 평가’, ‘건강관리 실제’, ‘급식관리 실제 세미나’, ‘다양한 가족지 원’, ‘지역사회연계 실제’ 등에서 시설별로 차이가 나타났고, ‘아동학대 및 아동권리’, ‘원 장역할과 윤리’, ‘보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교수매체의 선정과 평가’, ‘인사관리 적 용과 사례’, ‘교사교육계획과 실행’, ‘어린이집운영 세미나’ 등에서 필요정도와 실제 다루 어진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원장의 직무교육 내용 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다름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이후 어린이집원장 직무교육에 어린이집 시설유형에 따른 직무교육 내용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center principals’ job training, the necessity degree of job training content and the practical degree of being adapted to actual job training, and to search for a strategy to qualitatively improve child care center principals’ job trai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ubjects of 63 principals who took job training in A university in Seoul, a consigned institution for child care center principals’ job train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hen principals selected a job training institution, they would consider geographical adjacency to their homes, and they indicated ‘infant problem behavior guidance, 'child and family counseling,’ and 'childcare policies' in that order for the training contents required to be reinforced in child care center principals’ job training. Second, it was found that as for the necessity of contents for child care center principals’ job training,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pertinent facilities i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hild care programs,’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eaching media,’ ‘actual health care,’ ‘actual seminars for feed management,’ ‘various family support,’ and ‘actual community links,’ etc., a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degree of necessity and the actually adapted degree in ‘child abuse and child rights,’ principal’s role and ethic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hild care programs,’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eaching media,’ ‘implementation and cases of personnel management,’ ‘planning and execu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seminar for childcare center operations,’ etc.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facility types of childcare centers in future sinc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rest and requests with regard to childcare center principals’ contents of job training.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과 직무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미혜 ( Meehye Kim ),육홍숙 ( Hongsuk Yuk ),정명희 ( Myounghee J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들의 직무교육이 만족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실질적으로 이들의 직무교육과 직무연관성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직무연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직무교육의 실효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들의 전반적인 직무교육 및 직무연관성 정도, 개인 및 근무특성에 따른 직무교육과 직무연관성의 차이, 직무교육과 직무연관성과의 관계, 직무연관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중 직무교육에 참여한 요양보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40부 중 20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들의 전반적인 직무교육은 4.11점, 직무연관성은 4.39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개인 및 근무특성에 따른 직무교육과 직무연관성의 차이에 대한 T-test 검증 결과, 직무교육에 있어서는 기관형태변수에 따라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연 관성에 있어서는 연령, 근무경력, 기관형태 변수에 따라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연관성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근무특성 중근무시간과 근무경력, 직무교육내용 중 “노인인권과 직업윤리”, "치매의 이해“ 변수가 직무연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 보호사들의 직무교육을 중심으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job training and job relevance, and the factor influencing on job relevance as well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job training of care workers. For this study, we surveyed 300 care workers who participated in job training and are working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d analyzed 200 collected questionnaires out of 240.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generally job training level and job relevance level of care workers showed higher scores as average 4.11 and 4.39 points respectively. Also according to the T-test result about the job training and the difference of job relevance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 and working condition,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job training was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s; a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job relevance was found depending on age, working experience and the type of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ult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know factors related with job relevance, working hour and experience among working characters; and "elderly people``s rights and vocational ethics" and "understanding of dementia" among job training curriculum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relevance.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centered on the job training of care workers.

      • KCI등재

        중소기업 제조기업 내 사내교육이 근로자의 직무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곽영신,박건배,메타제이딥챈드라칸트,배상목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2

        IOT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지속되는 생산시스템의 변화와 더불어 중소기업의 생산인력 관리를 위한 교육훈련체계의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공장 자동화에 따른 소프트웨어 설계, 시뮬레이션 및 제어분야, 설비 보전을 위한 프로그래밍, 사물인터넷 설비를 포함한 인공지능화로 재편되는 4차 산업 사회 이후의 작업장과노동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사내 교육 훈련 체계의 혁신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본 연구는 변화하고 있는 노동 환경을 배경으로 중소제조 기업 내 사내교육이 근로자의 직무향상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모집단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통계적 접근이 요구 되므로 우선 사내교육의 특성상 변수설정 시 내생적 요인의 다양성과 측정방법 정립, 정량적 분석에 한계점 고려해, 본 연구는 E사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중소제조업의 사내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 첫째, 기업내 사내교육이 직무숙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교육시스템이 직무대응도에 β값 .689 (p= .00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결정계수는 .446으로 직무관련성, 강사의 적정성, 교육시스템이 직무대응도를 44.6%로 설명력을 보였으며, 상관관계(R) 계수는 .668로나타나 상관관계는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관련성이 만족도에 β값 .529(p= .003)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결정계수는 48.4%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고, 상관관계(R) 계수는 .696으로 나타나 상관관계는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내교육이 직무향상 간의 상관관계는 직무관련성과 직무숙련도 .640, 직무관련성과 만족도는 .577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시스템과 직무숙련도 간의 상관계수는.816, 교육시스템과 만족도는 .803으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유의확률 p<.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체계적인 OJT를 통하여 직무 숙련도를 우선 높이고 교육시스템을 구축을눈높이를 고려한 내용으로 수립한다면 직무향상이 높아 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E사 기업 내 사내교육이 근로자의 직무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 사내직무교육의 효율성을 검증 하였다는데 시사점이 있다. The transition to the 4th industrial society,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production system, has led to the inevitable change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production manpower management. Innovation of inhous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s requir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workplace and the labor environment after the fourth industrial society, which is reorganized into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software design simulation and control fields, factory programming, hav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worker's progress on the job. Secondary education is provided to those whose medium-sized enterprises and intermediary institutions of the business have received secondary education. Empirical evidence from the study was applied to the study. The generalization of SMEs is for the purpose of studying and researching the nature of secondary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of secondary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at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 company education on job improvement of workers. A total of 2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E company employ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ompany education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proficiency. Second, the educational system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689 (p = .004) for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decision coefficient was .446, indicating that job relevance, lecturer appropriateness, , And correlation coefficient (R) was .668, indicating that the correlation was somewhat higher. Third, job relev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529 (p = .003), and the decision coefficient was 48.4%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696 The relationship was confirmed to be somewhat higher.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job improvement and in - house education was found to be somewhat higher at .640, job relatedness and satisfaction level was .577.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ducation system and job proficiency was .816, education system and satisfaction .803,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ce was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 <.01.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in - house job training conducted by the company through empirical analysis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effect of in - company education on the job improvement of the E company.

      • KCI등재

        공동주택 회계담당자들의 직무교육이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간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서민근,지상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공동주택 회계담당자들의 직무교육이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간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서 민 근**ㆍ지 상 현***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교육에 따라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공동주택 종사자 중 회계담당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1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집합교육, 자료를 이용한 교육 수준에 따라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교육방법 및 교육횟수를 조절하는 것이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직무교육의 수준은 공동주택 회계담당자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이며 추후 공동주택의 모든 직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의 연구확대를 기대한다. 핵심어: 직무교육, 직무스트레스, 직무특성, 공동주택 회계담당자, 회계교육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2022학년도 부산대학교 박사후연수과정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주저자, 부산대학교 경영연구원 박사후연구원(First Author, PhD, Busan National Univ., Email: smgmg87@gmail.com)*** 교신저자,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Correesponding Author, Professor, Busan National Univ., Email: shji2021@pusan.ac.kr) The Effect of Job Training Level on the Relationship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in Apartment Accounting ManagerMingeun Seo & Sanghyun J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by Job training. We collected 201 data by conducting a survey on accounting workers among apartment housing worker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relevance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group training and education using data. Therefore,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t is useful to reduce job stress to adjust the training method and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to reduce job stress in accordance with job characteristics. As a way to manage the stress of apartment workers, we expect a study of all occupations in apartment houses. Key Words: Job Training, Job Stress, Job Characteristics, Apartment Accounting Manager, Account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