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 하구 지형변화 예측 및 외력조건에 따른 기여도 분석

        김강민,이중우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3 No.1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estuary topographic changes for the study of estuary management and treatment methods. In this study, the effects from the land-side, such as rainfall, river discharge, sediment discharge, and sea side, such as tide, tidal current, wave and surface sediments related to the topographic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zed data, topographic model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topographic change and contribution of external force conditions. As a result of numerical modeling, the topographic change showed that erosion that predominates in the water directly affected by the discharge of the estuary barrage. The deposition predominates in the indirectly affected tideland. As sediments moved along the water way being sorted and distributed by the wave, the deposition predominated in the front of the barrier island. Compared with the deposition dominance, which is the result of the topographic change prediction, the impact of each external force condition gives larger erosion. However, the combined impact of each external force condition showed deposition dominant. Therefore, the topographic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re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various complex external factors. The impacts of each external force condition show the different contribution to each comparison area.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the estuary management method. It must be understood that this is the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s. 낙동강 하구의 지형변화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은 하구의 관리방안과 처리방법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의 지형변화에 관여하는 강우, 하천유량, 유사량과 같은 육역으로부터 영향과 조석, 조류, 파랑, 표층퇴적물 등과 같은 해역으로부터의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에 근거하여 지형변화 실험을 수행하고, 지형변화와 외력조건별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수치실험 결과 지형변화는 하굿둑 방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수로부를 중심으로 침식이, 간접 영향권인 간석지를 중심으로 퇴적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수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퇴적물이 파랑에 의해 분급, 배분되면서 울타리선 전면부에는 퇴적이 우세하였다. 지형변화 실험결과인 퇴적 우세현상과 비교하여, 외력조건별로 침식의 기여도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나 각 외력조건의 복합적인 영향은 퇴적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의 지형변화는 여러 복합적인 외력인자의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각 외력조건별 영향은 구역별로 상이한 기여도를 보이므로 하구관리방안 수립시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야 하고, 반드시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공항 개발에 의한 환경 및 지형 변화에 대한 연구

        안종선 ( Jong-seon Ahn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8 No.-

        과거와 비교하여 항공운송산업이 비약적으로 발달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단위, 대규모의 공항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항 개발은 다양한 재화와 물질을 투입함으로서 대규모의 형질 변경을 일으키며 환경이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맨체스터 공항, 베이루트의 활주로 확장, 책랍콕(Chek Lap Kok) 공항, 한국의 인천공항에 이르기까지 대형 공항의 개발과 건설은 지형을 변화시키고 상태계의 변화 혹은 지형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홍콩의 책랍콕공항과 일본 간사이공항, 한국의 인천국제공항은 섬의 변화와 지형변화를 가져왔으며 막대한 건설자재의 투입과 이동이 일어났다. 일본 오사카 만에 이타미공항, 섬을 이용해 건설한 간사이국제공항과 같은 대형 공항의 건설에는 건설을 위한 자재와 물질의 이동이 매우 크다. 대규모 건설과 개발을 위한 자재의 이동과 투입은 지형의 변화를 일으키고 재료를 캐기 위한 채취와 채굴은 지형학적 변화를 가져온다. 개발하고자 하는 지형의 특징이나 지질에 따라서는 새로운 보강이나 채굴지역과 채취 지역의 보전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항개발과 건설, 그리고 그에 따르는 자재 이동이나 지형의 변화에 따른 기존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서천 장암진성의 입지조건 및 지형변화 해석

        박준형,이찬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4 보존과학회지 Vol.40 No.1

        장암진성은 금강과 서해가 만나는 곳의 수군진성이며 한반도 내륙으로 들어가는 관문 이자 한강으로 올라가는 요충지로 백강전투와 기벌포전투 및 진포해전 등 여러 시대의 대규모 전쟁이 있었던 장소이다. 진성이 입지한 후망산과 장항제련소 굴뚝이 있는 전망산은 모두 중생 대 백악기의 장항각력암층에 해당하며, 거대한 돔과 같이 솟아있어 독특한 지세를 이룬다. 진성 앞에는 제4기의 넓은 조간대가 형성되어 있고, 18세기 및 19세기의 고지도나 일제강점기의 지 형도 등을 통해 일대의 지형이 간척되어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해안의 절대 해수면은 현재가 가장 높은 시점이나, AD 500년경의 상대해수면은 지금보다 2 m 정도 높았으 며 이후 점차 낮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장암진성의 현재 지형을 중심으로 지리정보시스 템을 활용하여 기초모델을 구축하고, 해수면 변동을 통해 고지형을 모사하면 간척지와 방조제 로 인해 해수면을 2 m 상승시켜도 지형변화를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방조제 안쪽은 해발 3 m 정도로 해안선을 따라 저지대가 분포하여 인위적 범람을 가정으로 침수지점을 탐색하였다. 이 결과, 전망산과 후망산 사이의 저지대는 침수되어 만의 형태를 띠고, 진성은 만의 동측에 있어 선박을 접안하기 위해 바로 들어올 수 있는 곳에 입지한다. 따라서 바다에서 장암진성을 볼 때 전망산에 가려 확인하기 어렵고 조류를 이용해 선박의 출입이 용이한 천혜의 요새와 같은 지형을 갖는다. 이는 인위적 범람을 모델로 지형을 모사한 것으로 고지형과의 신뢰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향후 조간대의 퇴적층 분석을 통한 해수면 변동과 원격탐사 및 고고학적 발굴 등이 수행된다면 장암진성의 지형변화와 입지조건을 더욱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Jangamjinseong fortress is a naval base where the Geumgang river and meet the West Sea. It is a gateway to the inland of Korean peninsula and a strategic point up the Hangang river, and is the site of large-scale wars of various eras, including the battles of Baekgang, Gibeolpo and Jinpo. Humangsan mountain, where the Jinseong is located, and Jeonmangsan mountain, where the Janghang Refinery Chimney is located, both belong to the Janghang Breccia Formation in Cretaceous, and rise like a huge dome, forming a unique topography. Quaternary intertidal zone was widely formed in front of the Jinseong, and historical maps from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well as topographical map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 that the area’s topography has continuously changed due to land reclamation. The absolute sea level on the west coast is currently at its highest, but the relative sea level around AD 500 was about 2 m higher than it is now, and is interpreted to have gradually lowered since then. Thus, if a basic model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built based on the current topography around the Jangamjinseong fortress and the paleotopography is simulated through sea level fluctuation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opographic changes even if the sea level rises by 2 m due to the reclaimed land and seawall. However, inside the sea wall, low-lying areas we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line at about 3 m above sea level, so the flooded area was searched under the assumption of artificial flooding. As a result, the low-lying area between mountains of Jeonmangsan and Humangsan was flooded and took the form of a bay, and the Jinseong is located on the eastern side of the bay, where ships can enter directly to dock. Therefore, when viewing the Jangamjinseong fortress from the sea, it is difficult to see because it is obscured by the Jeonmangsan mountain, and it has a natural fortress topography that makes it easy for ships to enter and exit using the current. This is a simulation of the topography using an artificial flooding model, so it is necessary to review its reliability with the paleotopography. If sea level changes through sedimentary layer analysis of tidal zone, remote sensing and archaeological excavations are carried out, the topographical change and location condition of the Jangamjinseong fortress will be able to be interpreted more clearly.

      • KCI등재

        『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오는 ‘遷’계 地名語의 衰退에 관한 硏究

        박병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1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words are affected by the change of its refer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toponym word ‘遷’ and its corresponding topographic features such as water, hill and stoney roa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ine examples of ‘遷’(the Sino-Korean word for the native Korean word ‘벼’) among the seventeen examples found in the Augmented Gazetteers of Korea(新增東國輿地勝覽). The eight topographic featur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at correspond to the forementioned nine examples of ‘遷’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ones with critical transformations(4examples), the ones with minor changes(3ex- amples) and the unidentifiable one. In the case of the first category, the front parts of the toponym words are still intact whereas the rear parts with ‘遷’ are extinct.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category, both the front parts and the rear parts of the toponym words are still remain intact. The original native Korean word ‘벼’ is more enduring against linguistic changes than its Sino-Korean equivalent ‘遷’. The native Korean word ‘벼’ is morphologically changed into ‘벼루’ and ‘비리’ and its meaning tends to signify the cliff rather than the road.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change of the referent leads to the decline of the word that designates it. 이 논문은 물 언덕 돌길이라는 地形과 이를 표현한 地名語의 後部要素 ‘遷’을 통하여 指示物의 變化가 言語에 어떤 影響을 미치는지 논의한 것이다. ‘遷’은 고유어 ‘벼’를 漢字化한 것으로 『新增東國輿地勝覽』에 17개가 있는데 본고에서 논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南韓에 位置한 9개의 名稱 8개의 地形이다. 이 중 地形의 變化가 심한 곳은 4개이며 比較的 地形의 變化가 심하지 않은 곳은 3개이다. 그리고 地形을 확인할 수 없는 곳이 1개이다. 地形의 변화가 심한 곳에서는 前部要素에 사용되었던 名稱이 오늘날에도 活用되고 있으나 後部要素 ‘遷’은 消滅되었다. 比較的 地形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에서는 後部要素 ‘遷’이 命脈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前部要素는 모두 활용되고 있다. 漢字語 後部要素 ‘遷’의 根源形이라 할 수 있는 ‘벼’는 오히려 그 生命力이 강함을 알 수 있으며 그 形態가 벼루, 비리 등으로 발전되었다.

      • KCI등재

        GIS 분석을 이용한 함안 성산산성의 시계열적 지형변화 연구

        정혜경,박지훈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opographical changes of the top of Mt. Jonam, where Haman Seongsan Fortress is located using GIS analysis (elevation, slope, aspect 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four topographic maps (1: 5,000 scale) with different timings: ① 'summit-level map based on the topographic maps of 1975', ② 'topographic maps of 1975' ③ 'topographic maps of 1996' ④ '2008 digital topographic ma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me changes in the topographical environment were identified during the three periods, Ⅰ (? ~ 1975), II (1975 ~ 1996), and III (1996 ~ 2008). First, as a result of the eleva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due to natural (or anthropogenic) erosion or denudation at the top of the hill, the area ratio of the lower elevation zone was increased in the III period than in the I and II period. As a result of the slope analysis, the area ratio of the slope of 0~10 ° range decreases and then grows from the period I to II to III. This implies that hilly erosion (or denudation) prevailed during periods I to II, and artificial actions (e.g. fill, landfill), such as excavation, during the period II to III. As a result of aspect analysis, periods I and II have almost similar aspect composi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s, the III period showed a change in aspect, so that northward, northeastward, trend and southwest increased, and southeast and northwest decreased. As a result of fragrance analysis, periods I and II have almost similar fragrance composi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s, the III period showed a change in incense, increasing northward, northeast, trend and southwest, and decreasing southeast and northwest. As in the result of the slope analysis, it is thought that the artificial behavior caused the change in the slope composition during the period from the II to III.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표고, 경사도, 사면향 분석)을 이용하여 함안 성산산성(이하 산성)이 입지하고 있는 조남산 정상부의 지형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기가 다른 4개의 1:5,000 지형도 즉, ① ‘1975년 지형도를 기초로 한 절봉면도’, ② ‘1975년 지형도’, ③ ‘1996년 지형도’ 및 ④ ‘2008년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시기 -Ⅰ시기(?~1975년), Ⅱ시기(1975~1996년), Ⅲ시기(1996~2008년)- 를 거치는 동안 지형환경의 일부 변화가 확인되었다. 먼저, 표고분석 결과, 구릉 정상부의 자연적(또는 인위적) 침식 또는 삭박 등으로 인하여 I과 II시기에 비해 Ⅲ시기에 낮은 표고 구간의 면적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사도 분석 결과, Ⅰ시기→Ⅱ시기→Ⅲ시기로 가면서 경사도 0~10° 구간의 면적 비율이 작아지다 다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Ⅰ시기→Ⅱ시기에는 구릉의 침식(또는 삭박)이, Ⅱ시기→Ⅲ시기에는 유적 발굴 등과 같은 인위적인 행위(예: 성토, 매립)가 우세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면향 분석 결과, I시기와 II시기는 거의 유사한 사면향 조성을 띤다. 이에 비해 Ⅲ시기는 이전 시기들에 비해 사면향의 변화가 있어 북향, 북동향, 동향 및 남서향이 증가하고, 남동향과 북서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경사도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Ⅱ시기→Ⅲ시기로 가면서 인위적인 행위가 사면향 조성에 변화를 야기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Sediment Transport Calculation Considering Cohesive Effects and Its Application to Wave-Induced Topographic Change

        Cho, Yong Hwan(조용환),Nakamura, Tomoaki(나카무라 토모아키),Mizutani, Norimi(미즈타니 노리미),Lee, Kwang-Ho(이광호)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5 No.6

        점착성 표사의 유동 특성을 다루기 위하여 점착력을 고려한 표사유동 수치계산 모델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계산 모델에서는, 각각의 모래 입자는 점토의 얇은 층으로 둘러싸여 있는 상태를 가정했다. 모래 입자에 작용하는 점착력을 적용하기 위해 한계 Shields수와 소류사량을 결정하는 항이 수정되었다. 제안된 표사모델은 3차원 유체 구조 지형변화 연성 수치계산 모델에 적용하여, 인공여울의 지형변화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치계산 결과, 각각의 점토 함유율,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점착 저항력, 함수비의 증가는 한계 Shields수를 증가 시키고, 반대로 소류사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지형변화 경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채 여울의 지형변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를 모래 입자와 혼합함으로써 여울의 지형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암시한다. A sediment transport calculation considering cohesive force is proposed to deal with the transport phenomena of cohesive sediment. In the proposed calculation, each sand particle is assumed to be surrounded by a thin layer of mud. The critical Shields parameter and bed-load sediment transport rate are modified to include the cohesive force acting on the sand particle. The proposed calculation is incorporated into a two-way coupled fluid-structure-sediment interaction model, and applied to wave-induced topographic change of artificial shallow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an increase in the content ratio of the mud, cohesive resistance force per unit surface area and water content cause increases in the critical Shields parameter and decreases in the bed-load sediment transport rate, reducing the topographic change of the shallow without changing its trend. This suggests that mixing mud in the pores of the sand particles can reduce the topographic change of shallows.

      • 낙동강하구 사주지형의 시공간적 변화와 SS거동과의 상관성

        이인철(I.C. LEE),이병호(B.H. Yi),윤한삼(H.S. Yo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6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In this study, as a basic study for prediction of topographical change in Nakdong River Estuary, monitoring of topographical changes at a sand bar around Jinudo which located in western of Nakdong River Estuary were carried out. From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of topographical change, all parts except northern part of Jinudo have active topographical changes and have a tendency to deposit annually. From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asonal changes of erosion/deposition rate around Jinudo and SS concentration, southern part of the Jinudo has a positive correlation. It was considered that SS worked as important factor in topographical change of southern part of Jinudo.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내 지형변동에 따른 식생면적의 변화

        류성훈(Sung-Hoon Ryu),이인철(In-Cheol Lee),박소영(So-Young Park) 한국해양공학회 2009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3 No.4

        In order to analysis the variation in vegetation area caused by topographical change at Jinudo in the Nakdong estuary, we used aerial photographs of Jinudo from 1998 to 2006. To extract an accuracy shoreline from these aerial photographs, a tide calibration was performed. We also estimated the annual variation in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a corre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calibrated shoreline distance of Jinudo from 1998 to 2006 was estimated to have a range of (-)1,927 ㎝ to (+)4,671 ㎝. 2) Annual Changes in the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in Jinudo have been increasing gradually from 1998,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is 0.97. 3) The estimated topographic areas were with following order: southern (Ⅲ), eastern (Ⅳ), northern (Ⅱ) and western (Ⅰ), while for the vegetation area, the order was southern (Ⅲ), northern (Ⅱ), eastern (Ⅳ) and uesiem (Ⅰ). 4) The vegetation area of the southern region (Ⅲ) of Jinudo had the largest size among the regions, and was calculated to be 4.3~5.4 times larger than the eastern region (Ⅳ).

      • KCI등재

        지형변화에 의한 파랑전파모형

        서승남(Seo, Seung-Na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2 No.3

        평면파 근사식에 기초한 지형에 의한 파랑변형 모형인 산란체법과 변환행렬법을 비교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란체법의 결과가 기존 엄밀해에 보다 근접하고 내재한 물리현상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들은 해석해로 계산이 빠르고 용이하며 지형이 비교적 단순한 경우에는 상당한 정밀도를 보인다. Both scatterer method and transfer matrix method are compare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which are wave propagation models due to topographic change based on plane wave approximation. Results from the scatterer method are closer to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ore accurate existing models and it is appraised that the scatterer method gives the clearer explanation about physical process involved in the wave transformation. Since both methods have analytical solutions, in the computational point of view they are very fast and easy to be implemented. Both methods give a good prediction for wave scattering by relatively simple bedform.

      • KCI등재

        만리포 사빈의 시계열 3차원 지형 변화 분석

        박한산 ( Han San Park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1

        This study introduces an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and topographical changes based on precise 3D topography through 6 times surveys from December 2008 to January 2010 using Terrestrial LIDAR on the Malipo beach. The Malipo sand beach is mostly located between 0m to 1.5m MSL. The area of the beach above 2.25m, the Mean High Water, is very small. It hav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ical change of erosion and deposition along the entire coast line which more apparently appear in the northern beach than the southern part of the beach. Erosion prevails from spring to autumn, while during winter both erosion and deposition largely occur. Volumes from first and last survey were almost eq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