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성 지질공원 제부도 지질명소의 지질교육적 가치

        하수진,채용운,강희철,김종선,박정웅,신승원,임현수,조형성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3

        Recently, ten geosites have been considered in Hwaseong for endorsement as national geoparks, including the Jebudo,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and Ueumdo geosites. The Jebudo geosit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new geoscience educational site because it has geological, geographical (landscape), and ecolog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field surveys in the Jebudo geosite. We evaluated its potential as a geo-education site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geosites in Hwaseong Geopark. In addition, we reviewed the practical effect of field education at geosites on the essential concepts and critical competence-oriented education emphasized in the current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Jebudo Geosite is geologically diverse, with various metamorphic rocks belonging to the Precambrian Seosan Group, such as quartzite, schist, and phyllite. Various geological structures, such as clastic dikes, faults, joints, foliation, and schistosity have also been recorded. Moreover, coastal geological features have been observed, including depositional landforms (gravel and sand beaches, dunes, and mudflats), sedimentary structures (ripples), erosional landforms (sea cliffs, sea caves, and sea stacks), and sea parting. The Jebudo geosite has considerable value as a new geo-education site with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distinction from the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and Ueumdo geosites. The Jebudo geosite also has opportunities for geo-education and geo-tourism, such as mudflat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s, such as coastal trails and viewing points. This geosite can help develop diverse geo-education programs that improve key competencies in the science curriculum, such as critical thinking, inquiry, and problem-solving. Furthermore, by conducting optimized geo-education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osite, the following can be established: (1) the expansion of learning space from school to geopark, (2)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specific content elements and linkage between essential concepts, and (3)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 scope throughout the earth system. There will be positive impacts o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skills through geopark education. 최근 화성시의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을 위해 10개의 지질명소가 개발되었으며, 이 중에서 제부도 지질명소는다양한 지질·지형(경관)·생태유산이 분포하여 고정리, 우음도 지질명소와 함께 수도권 남부의 새로운 지구과학 교육 장소로 개발 잠재성이 크다.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지질공원 제부도 지질명소의 야외조사를 통해 지질유산의 특징을 기재하고, 화성지질공원 내 다른 지질명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질교육 명소로서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질공원 및 지질명소에서의 현장교육이 현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 중심 교육에실질적으로 미칠 수 있는 효과를 제부도 지질명소에 적용해 제시하였다. 제부도 지질명소에는 규암, 편암, 천매암 등다양한 변성암류가 분포하며, 쇄설성암맥, 석영맥, 단층, 절리, 엽리, 편리 등의 지질구조들도 함께 관찰되어 지질다양성이 풍부하다. 또한, 해안가를 따라서는 역빈과 사빈, 해안사구, 갯벌 등 해안 퇴적지형과 연흔 등의 퇴적구조가 발달하고 있으며, 해식절벽, 해식동굴, 시스택 등의 해안침식지형과 함께 바다갈라짐 등 다양한 해안지형을 관찰할 수 있다. 제부도 지질명소는 기존에 현장교육에 활용되고 있는 화성지질공원의 고정리 공룡알화석산지 및 우음도 지질명소와 지질 및 지형학적으로 차별점을 가지므로 새로운 지질교육 현장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제부도 지질명소에는 갯벌체험장과 같은 지질교육 및 지질관광 연계 콘텐츠가 풍부하고, 해안산책로, 전망대와 같은 탐방인프라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다채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기대된다. 더 나아가 각 지질명소별 특성을 중심으로 최적화된 지질공원 교육을 수행함으로써 1) 학교에서 지질공원으로 학습 공간의 확장, 2) 구체적인 내용 요소의 이해도 향상과 핵심개념 사이의 연계, 3) 지구시스템 전반으로 교육 영역의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어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사고력, 탐구력,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질공원 교육의 주체로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및 참여와 평생학습능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경남 통영시 미륵도 화산의 지질명소 개발과 교육적 가치

        손정모 ( Son Jeong-mo ),안건상 ( Ahn Kun-Sang )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1

        통영 미륵도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화산섬으로, 화산이 폭발한 후에 함몰되고 원형의 틈새를 따라 유문암질 및 화강암질 마그마가 순차적으로 관입한 칼데라 구조의 화산이다. 본 연구는 미륵도에서 야외조사를 통해 지질명소를 발굴하고, 그들의 지구과학교육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미륵도에서 지질명소를 선정할 때의 평가기준으로는 학술적 가치, 경관 가치, 방문자의 안전 및 접근의 편이성, 그리고 문화관광 명소와의 연계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미륵도의 지질명소는 10곳이다. 지질명소 ①의 미륵산 정상에서는 미륵산안산암과 다도해 지형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안산암은 판구조운동의 섭입대에서 산출되는 전형적인 화산암이다. 이 암석은 수직절리와 수평절리가 발달하고, 사장석 반정의 반상조직을 갖는다. 지질명소 ②의 통영국제음악당 해안로에서는 장평리층을 관찰한다. 이 명소에서는 전형적인 역암, 사암, 셰일을 한 장소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층리나 점이층리와 같은 퇴적구조가 잘 발달한다. 지질명소 ③인 등대낚시공원에서는 풍화작용으로 형성된 해안절벽, 해식동굴과 시스텍 등의 지형경관을 관찰한다. 이 해안로에서는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제주도의 하루방'처럼 보이는 형상의 암석도 관찰된다. 지질명소 ④의 국립남동해수산연구원에서는 남산유문암이 열수에 의해 변질된 암석의 양상과 해파에 의해 침식된 지형경관을 관찰된다. 이 명소 주변에는 백악기 후기에 관입한 화상섬록암이 노출되어 있다. 지질명소 ⑤인 척포항 마동리에서는 산상화산암인 마동데사이트의 전형적인 표면색 및 광물조직을 관찰하고, 경사를 가진 절리를 따라 침식 잔류한 시스택 경관을 조망한다. 지질명소 ⑥인 통영수산과학관과 주변의 달아공원은 석양을 감상하는 유명관광지이다. 이 명소의 해안 노두에서는 반상조직을 가진 짙은 녹색의 달아안산암으로 이루어진 횡와주상절리를 관찰한다. 이 명소의 해안에서는 안산암의 단암질 각력암을, 산의 정상부에서는 유상구조를 관찰한다. 지질명소 ⑦의 한려해상생태탐방원의 다양한 색과 크기의 화산력을 포함하는 곤리도응회암과 화산력이 풍화작용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자갈 해변을 관찰한다. 이 명소의 서측해안에서는 안산암을 관입한 유문암의 관입접촉부도 관찰한다. 지질명소 ⑧의 박경리기념관 주변에서는 미륵산 칼데라의 중앙으로 마지막 관입한 산성암인 미문상화강암(그래노파이어)을 관찰한다. 지질명소 ⑨의 광바위 해안로의 끝의 등대 부근에서는 안산암에 발달한 직선형과 곡선형의 주상절리를 관찰한다. 지질명소 ⑩인 용화사 주변에는 칼데라의 단층을 따라 미륵도를 원형으로 관입한 화강섬록암를 관찰하며, 도솔암에서는 반정을 포함하지 않은 미륵산 안산암 관찰한다. 미륵도 지질명소는 초등학교 3~4학년 교육과정의 화산활동, 화강암과 현무암, 지층의 형성을 학습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이들은 중학교 교육과정의 암석, 암석의 윤회와 풍화작용에 해당하며,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한반도의 지구 역사, 퇴적환경, 암석의 조직, 지질구조에 해당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선정된 지질명소는 초·중등 지구과학교육의 학습장으로 매우 유용하다. 지질명소의 교육적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년이나 특성에 맞는 야외답사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질학적 의의를 명확하고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는 지질 해설사를 육성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안내판, 리플릿 등의 교육자료가 개발된다면, 미륵도 지질명소는 경상남도 남부의 훌륭한 지구과학교육의 학습장이 될 것이다. Mireukdo in Tongyeong city is volcanic island erupted at the Cretaceous of Mesozoic Era. The island shows a caldera structure due to collapses downward, following the intrusion of rhyolitic and granitic magma one by one along the circular fault. This study is to develop geosites through field surveys in the island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value for earth science. In selecting geosites, the safety and access for visitors and the connection with cultural tourist attractions were all considered. There are 10 geosites in Mireukdo selected in this study. Mireuksan andesite and archipelago topography can be observed at the top of Mireuksan Mountain, geosite ①. The andesite is a typical volcanic rock produced at the subduction zone of plate tectonics. The rock develops vertical joints and horizontal joints, and has porphyritic texture with plagioclase phenocrysts. The Jangpyeong-ri Formation is observed on the coastal road of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Center, geosite ②. The geosite shows the typical clastic sedimentary rocks such as conglomerate, sandstone, and shale in one place. Here, sedimentary structures such as stratification and graded bedding are clearly developed. At the Lighthouse Fishing Park, geosite ③, topographical landscapes such as coastal cliffs formed by weathering, large-scale sea caves and sea stacks are observed. In this coastal road, rocks shaped like 'Harubang statue of Jeju Island' formed by erosion are also observed. At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Southeastern Sea and Fisheries, geosite ④, the topographical landscape of Namsan rhyolite is observed as a rock that has been altered by hydrothermal water and eroded by sea waves. Around the geosite, granodiorite that intruded in the late Cretaceous period is exposed. At the geosite ⑤, observe the surface color and mineral texture of Madong dacite distributed in Cheokpo Port of Madong Village, and view the remaining sea stack landscape along the sloped joints. Tongyeong Fisheries Science Museum, which is a geosite ⑥, and the nearby Dala Park are famous tourist spots to enjoy the sunset. The coastal outcrop of the geosite shows transverse columnar joints formed of dark green Dala andesite with a porphyritic texture. A monolithic breccia of andesite is observed on the coast of the geosite, and the flow structure is observed at the top of the mountain. Gonnido tuff containing volcanic lapilli of various colors and sizes and gravel beaches formed by the separation of volcanic power through weathering are observed at Hallyeo Marine Ecology Center, geosite ⑦. On the west coast of the geosite, the intrusion contact of rhyolite that intruded alongside andesite is also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Park Gyeong-ri Memorial Hall of geosite ⑧, micrographic granite(granophyre) may be observed, the last acid rock that intruded into the center of Mireuksan caldera. In the vicinity of the lighthouse at the end of Gwangbawi Coastal Road in Geological Site ⑨, straight and curved columnar joints developed in andesite are observed. Around Yonghwasa Temple of geosite ⑩, observe granodiorite that intruded circularly through the caldera fault and Mireuksan andesites without phenocryst at Dosolam temple. The Mireukdo geosites are learning center that corresponds to volcanic activity, granite, basalt, and strata formation of the 3rd to 4th grad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y are in line with the rock, rock cycle, and weathering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correspond to the earth history,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rock organization,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e selected 10 geosites are very useful 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learning centers.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use of geosit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field-trip and educational programs suitable for the grade or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and foster geological commentators who can clearly and interestingly convey geological significance. If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information boards and leaflets are developed, Mireukdo geosites will be a great place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southern Gyeongsangnam-do.

      • KCI등재

        국가지질공원 지질명소의 관광자원론적 특징과 활용 방안

        김성환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sites that constitute the National Geopark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resources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geotourism by using geosites more efficiently. For this purpose, each geopark was analyzed using the National Geopark’s homepage, each geopark guide and booklet. A total of 204 geosites were found to have a large number of resources at the spot size, and overwhelmingly, they allowed access on foot. Throughout the entire geopark, there are only a few geosites that are connected with the field of cultural-history or ecology-nature. Ra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ure rock-outcrop geological heritages, which have low linkage with the topographical areas most related to geological heritage, reached a considerable numb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veral ways of using geological attra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resources could be suggested. At the National Geopark certification application stage, geosites are categoriz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new types of geological attractions to support the actual progress of geotourism. There is a need for rational adjustment of geological attractions. 이 연구는 국가지질공원을 구성하는 지질명소를 관광자원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특징을 분석하고 나아가 지질명소를 관광자원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지질공원을 통한 지오투어리즘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지질공원 홈페이지와 각 지질공원 안내서와 소책자를 활용하여 각 지질공원의 개별 지질명소를 분석하였다. 총 204개소의 지질명소는 분석 결과 지점 규모의 자원이 다수를 차지하고 또한 도보를 통한 접근을 허락하는 자원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전체 지질공원을 통틀어서도 문화 역사 분야나 생태 자연 분야와 연계성을 갖는 지질명소는 소수에 불과했으며 오히려 지질유산과 가장 관련이 깊은 지형학 분야와의 연계성도 낮은 순수 암석노두형 지질유산의 개수가 상당수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질명소의 관광자원론적 관점에서 몇 가지의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국가지질공원 인증 신청 단계에서 지질명소를 유형 분류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유형의 지질명소를 확대하여 실질적인 지오투어리즘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지질명소의 합리적인 조정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우수등재

        화성 국가지질공원 후보지의 지질명소, 지질유산 그리고 지오트레일

        조형성(Hyeongseong Cho),신승원(Seungwon Shin),강희철(Hee-Cheol Kang),임현수(Hyoun Soo Lim),채용운(Yong-Un Chae),박정웅(Jeong-Woong Park),김종선(Jong-Sun Kim),김형수(Hyeong Soo Kim) 한국암석학회 2019 암석학회지 Vol.28 No.3

        지질공원은 지질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을 보호하고, 이들을 교육 및 관광산업에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새로운 제도이다. 국가지질공원 후보지인 화성 지질공원은 고정리 공룡알 화석산지를 중심으로 우음도, 어섬, 딱섬, 고렴, 제부도, 백미리해안, 궁평항, 입파도, 국화도 등 10곳의 지질명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가지질공원으로의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 국가지질공원에 분포하는 지질명소, 지질유산 그리고 지오트레일에 대해 상세히 기재하고, 지질공원으로서의 가치와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화성 국가지질공원 후보지는 한반도의 지체구조상 경기육괴에 해당되며, 선캄브리아시대 변성암류 및 퇴적암류, 고생대 변성암류, 중생대 화성암류 및 퇴적암류 그리고 신생대 제4기 퇴적층이 분포하여 풍부한 지질다양성을 가진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고정리 공룡알 화석지 지질명소는 공룡알 둥지화석을 비롯하여 서관구조, 타포니, 단층과 끌림습곡, 사층리 등의 풍부한 지질유산과 함께 생태 탐방로, 방문자 센터 등 훌륭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우음도 지질명소는 다양한 종류의 변성암(편마암, 편암, 천매암)과 지질구조(습곡, 단층, 절리, 암맥, 광맥)를 가지고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다. 어섬 지질명소는 변성암에서 산출되는 독특한 구상구조가 높은 학술적 가치를 가지며, 딱섬과 고렴 지질명소에는 백악기 탄도분지에 분포하는 다양한 퇴적암과 화산암류 그리고 퇴적구조를 잘 관찰할 수 있다. 서해안에 위치한 제부도, 백미리 해안, 궁평항 지질명소에서는 갯벌, 시스택(해식기둥), 사빈과 역빈, 해안사구 등의 해안지형과 함께 다양한 변성암류, 쇄설성암맥, 석영광맥 등의 지질구조도 함께 관찰할 수 있으며, 갯벌체험을 비롯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다. 도서지역인 입파도, 국화도 지질명소에서는 전형적인 대규모 습곡구조가 장관을 이루고 있는 곳이며, 독특한 해안침식지형과 함께 다양한 고생대 편암류를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성 지질공원은 풍부한 지질다양성과 학술적 가치를 지닌 양질의 지질명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질, 지형, 경관, 생태요소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지오트레일, 탐방객을 위한 기반인프라, 다양한 교육·체험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어, 서부 경기권을 대표하는 훌륭한 국가지질공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Geopark is a new system for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through conservation, education, and tourism that is an area of scientific importance for the earth sciences and that has outstanding scenic values. The Hwaseong Geopark, the candidate for Korean National Geopark is composed of 10 geosites: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Ueumdo, Eoseom, Ddakseom, Goryeom, Jebudo, Baengmiri Coast, Gungpyeonhang, Ippado and Gukwado geosites. In this study, geosites, geoheritages, and geotrails of the Hwaseong Geopark wer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value and significane as a geopark were also discussed. The geology of the Hwaseong Geopark area belonging to the Gyeonggi Massif consists of the Precambrian metamorphic and meta-sedimentary rocks, Paleozoic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s, Mesozoic igneous and sedimentary rocks, and Quaternary deposits, indicating high geodiversity. The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geosite,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has a geotrail including dinosaur egg nest fossils, burrows, tafoni, fault and drag fold, cross-bedding. Furthermore, a variety of infrastructures such as eco-trail deck, visitor center are well-established in the geosite. In the Ueumdo geosite, there are various metamorphic rocks (gneiss, schist, and phyllite) and geological structures (fold, fault, joint, dike, and vein), thus it has a high educational value. The Eoseom geosite has high academic value because of the orbicular texture found in metamorphic rocks. Also, various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belonging to the Cretaceous Tando Basin can be observed in the Ddakseom and Goryeom geosites. In the Jebudo, Baengmiri Coast, and Gungpyeonghang geosites, a variety of coastal landforms (tidal flat, seastacks, sand and gravel beach, and coastal dunes), metamorphic rocks and geological structures, such as clastic dikes and quartz veins can be observed, and they also provide various programs including mudflat experience to visitors. Ippado and Gukwado geosites have typical large-scale fold structures, and unique coastal erosional features and various Paleozoic schists can be observed. The Hwaseong Geopark consists of outstanding geosites with high geodiversity and academic values, and it also has geotrails that combine geology, geomorphology, landscape and ecology with infrastructures and various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Therefore, the Hwaseong Geopark is expected to serve as a great National Geopark representing the western Gyeonggi Province, Korea.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부산 기장군 신평리 해안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 산상과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

        김현주,백인성,박정규,정은경,김경식,백승균,서영교,김영석,이호일 대한지질학회 2022 지질학회지 Vol.58 No.1

        부산 기장군 신평리 해안가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의 퇴적층은 전반적으로 하성 기원의 조립질(역암층 및 사암층) 우세 퇴적층과 호수주변부에서 쌓인 개방수류 기원의 세립질(세립사암 내지 실트스톤 및 이암) 우세 퇴적층(고토양 수반)이 수 m 두께의 규모로 반복된 층서적 발달 특성을 보인다. 이와 같은 퇴적상 특성과층서적 발달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 퇴적층은 하천분산형 퇴적계에서 호수에 이르는 환경에서의 퇴적산물로 해석되었다. 이 퇴적층에서는 양방향 사엽층리, 방산충화석 함유 쳐트 역, 윤회퇴적층, 지진과 비지진 기원의 연질퇴적변형구조, 공룡발자국 화석, 새발자국 화석, 공룡뼈 화석, 무척추동물 생흔화석, 구과식물 화석 등 한반도 공룡시대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지질기록들이 높은 지질다양성을 가지며 공간적으로 압축되어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들 기록들의 산상을 소개하고, 이들 기록이 가지는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분석함은 물론, 이를 토대로 이 지역 지질유산의 사회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신평리 해안의 백악기 퇴적암층 지질명소는 부산과 기장 등 동부 경남권의 지질교육과 지질관광의 대표적인 명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부산국가지질공원 지질명소의 지질다양성과 공간 확장에 기여함은 물론,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의 인증과 운영에 실효적인 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의 지질유산 분포와 가치평가: 전라권

        조형성(Hyeongseong Cho),강희철(Hee-Cheol Kang),김종선(Jong-Sun Kim),정대교(Daekyo Cheong),백인성(In Sung Paik),임현수(Hyoun Soo Lim),최태진(Taejin Choi),김현주(Hyun Joo Kim),노열(Yul Roh),조규성(Kyu-Seong Cho),허민(Min Huh),신승원(Seu 한국암석학회 2019 암석학회지 Vol.28 No.4

        최근 지질유산의 보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지질공원과 같은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됨에 따라, 지질유산의 발굴, 가치평가, 체계적인 보존 그리고 관리 및 활용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라권을 대상으로 지질유산 발굴, 가치평가 및 등급화, DB 구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지질공원 유망 후보지를 제안하였다. 지질유산의 발굴은 문헌조사를 통해 총 325개의 지질유산 조사대상 목록을 작성하고, 이들 중 지질학적 가치가 높은 158개를 선정하여 상세한 야외조사와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지질유산의 가치평가는 본질적 가치, 부수적 가치, 보존 및 관리의 세 항목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본질적 가치는 다시 학술 및 교육적 가치(대표성, 희소성, 다양성, 전형성, 재현성, 특이성)와 지형 및 경관적 가치(규모, 자연성, 심미성)로, 부수적 가치는 기능적 가치, 경제적 가치 그리고 역사 및 문화적 가치로 각각 세분하여 평가하였다. 보존 및 관리분야는 접근성, 편의 및 방호시설, 관리현황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다. 지질유산의 관리등급은 본질적 가치의 점수를 기준으로 5단계로 구분하였다. 발굴된 지질유산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질학적 특징을 가진 유산이 73개, 지형학적 특징을 가진 유산이 42개, 양쪽 모두를 가진 복합유산이 42개가 발굴되었다. 전라권 지질유산들의 가치평가 및 등급화 결과, 세계급 보호대상인 I 등급은 12개, 국가급 보호대상인 II 등급은 39개, 국가지정 관리대상인 III 등급은 52개, 관리목록 등록대상인 IV 등급은 34개, 마지막으로 목록 작성대상인 V 등급은 21개로 각각 나타났다. 이상의 지질유산 상세 기재와 가치평가 및 등급화 결과들은 Arc-GIS를 기반으로 한 DB로 구축하였으며, 지질유산의 등급과 분포를 바탕으로 ‘지리산 및 섬진강 유역권(구례, 광양, 남원)’과 ‘전남 남해안권(해남, 진도, 고흥, 보성)’의 두 곳을 지질공원 유망후보지로 제안하였다. Recently planification and effort for management, assessment and discovery of geological heritagesare being increasingly demanded with institutional strategies such as geopark, as their preservation is asked socially. In this study, we discovered geological heritages in the Jeolla Province and then performed assessment of the value and grading of them and finally suggested a promising and suitable site for the National Geopark. A total of 325 geological heritages are list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n detailed description in field and assessment of the value for selected 158 geoheritages are completed. The assessment items are categorized into intrinsic value, subsidiary value, and preservation/management part. The intrinsic value is subdivided into scientific/educational value, composed of representativeness, rarity, geodiversity, typicality, reproducibility, and particularity, and geomorphological/landscape value composed of scale, naturality (integrity), scenery (aesthetic value). Also, subsidiary value consist of 7 subsections of soil function, ecological function, tourism value, geological resource, historical value, folk tale or legend and symbolic value, and accessibility, convenient facility (infrastructure), management condition (legal protection) is evaluated in preservation/management part. The heritages in the Jeolla Province subdivided into three types: 73 geological heritages, 42 geomorphological heritages, and 42 composite heritages. Based on points acquired in intrinsic value, all geological heritages are graded Class-I to -V. As a result, numbers of geoheritage belong to Class-I (protection at world level), -II (protection at national level), -III (nationdesignated management), -IV (involved management list), -V (candidate management list) are 12, 39, 52, 34, 21, respectively. Finally, we construct database based on Arc-GIS with all informations for each geological heritage and suggest three promising and suitable sites, ‘Jirisan-Seomjingang Area’ and ‘south coast area of Jeolla Province’, for the National Geopark.

      • KCI등재

        변산반도 국립공원 부안화산암 내의 지질명소 및 지질유산의 가치평가

        조규성,김정빈,권창우,홍덕표 한국지구과학회 2016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7 No.2

        This study aims analyze the geological values in relation to the volcanic area and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the geosites and the geoheritages in Byeonsanbando a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ven geosites are relevant as a potential national geopark, including Gunghang, Solseom Island, and Mohang located in Oebyeonsan and Jikso Falls, Gulbawi, Seongye Falls, and Ulgumbawi located in Naebyeonsan. Solseom Island and Mohang should be preserved and used as a place of the geological study because of their high geological heritage values. Besides, Jeokbyeokgang and Chaeseokgang are famous for excellent natural landscapes as they have been proven with academic values. Like this, these area are considered to have sufficient value as a national geopark of Korea, because their geoheritages are variously distributed in Byeonsanbando area. 이 연구는 변산반도 내에 화산암이 분포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지질학적 가치를 분석하여 지질명소 및 지질유산의 가능성을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외변산에 위치한 궁항, 솔섬, 모항 등 3곳과 내변산에 위치한 직소폭포, 굴바위, 선계폭포, 울금바위 등 4곳, 총 7곳의 지질명소를 제안하였다. 지질명소 중에서 솔섬과 모항은 지질유산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보존과 동시에 지질학습의 장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벽강과 채석강은 자연적 경관이 뛰어난 관광지로 유명하며 학술적 가치가 입증되었다. 이렇듯 변산반도 내에 지질유산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어 국가지질공원으로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고창군 일대의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한 지질명소 탐색

        조규성,홍덕표,박경진 한국지구과학회 201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6 No.4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geosites considering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Gochang-gun and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being designated as the national geopark of Korea. In this study, the geosites within Gochang-gun a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search and field work. The results indicate that seven of the geosites in the Seonunsan area are relevant as potential national geopark, including Jinheunggul, Dosolam Maebulsang, Youngmungul, Nakjodae and Cheonmabong, Byungbawi, spherulitic rhyolite, and Dolmen site. In addition, there are other areas that have valus in terms of geological and educational aspect, including Hajeon mud flat and Myoungsasipri beach. The results of study imply that i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eotourism are properly developed, the Gochang-gun area has potential to be designated as the national geopark of Korea. 요 약: 본 연구는 고창군 일대의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한 지질명소를 탐색하고 국가지질공원의 가능성을 조사한 것이다. 고창군 일대의 지질명소는 문헌 연구 및 현장 조사를 통해 탐색하였다. 그 결과 선운산도립공원 내에 있는 진흥굴, 도솔암 마애불, 용문굴, 낙조대와 천마봉 4곳과 그리고 병바위, 구과상 유문암, 고창고인돌 3곳, 총 7곳의 지질명소를 제안하였다. 이외에도 지질학적, 교육적 가치가 뛰어난 지역인 하전 갯벌과 명사십리 해빈 등이 있다. 더불어, 다양한 지질관광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고창군 일대는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될 자격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