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 이야기 표현의 미시구조적 분석

        박선희 ( Sun Hee Park ),손은남 ( Eun Nam S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지적장애학생들의 이야기 쓰기 표현 능력에서 보이는 미시구조적 특성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지적장애 중학생 11명, MA, SA, LA 일치 초등학생 11명 총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글자 없는 그림 자료에 대한 자발적 쓰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쓰기 자료는 T-unit 단위로 구분하여 미시구조적 측면의 종속절 사용률, 종속절 유형별 사용률, 결속표지 사용률, 어휘 능력, 구문오류율 및 구문오류 하위유형별 오류율을 살펴보았다.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지적장애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종속절 사용률, 종속절 유형별 사용률이 낮았고, 명사절과 부사절 사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은 결속표지 총사용률, 적절 결속표지 사용률, 부적절 결속표지 사용률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낮았다. 하위범주별 결속표지 사용률에서 지적장애학생은 연결어미, 접속부사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비율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낮았다. 셋째, 지적장애학생의 어휘 능력에서 전체낱말수와 다른낱말수, 그리고 총 T-unit당 평균낱말수가 일반학생에 비하여 적었다. 넷째, 지적장애학생은 구문오류율이 일반학생보다 높았고, 구문오류 유형별 오류율에서도 일반학생에 비하여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학생의 쓰기 지도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응집성 있는 문장의 표현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중재 전략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structure analysis of narrative writ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 study. 11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MA, SA, LA matched 11 elementary school-age students participated in narrative write task. We used T-unit classification method to divide the data based on the usage ratio of subordinate clause, the usage ratio by type of subordinate clause, the usage ratio of cohesive marker, the usage ratio of cohesive marker by subdivided category, number of total words(NTW), number of different words(NDW) and th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T-unit(MLT-w), the percentage of syntax errors, and the percentage of syntax error by subdivided category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 and subordinate clause by typ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elementary school-age students. In particular, the use of noun clause and adverb clause were significantly low among the students with in terms of statistical terms. The total percentage of cohesive marker, proper percentage of cohesive marker, improper percentage of cohesive marker were lower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among those elementary school-age students in statistical terms. And for improper percentage of cohesive marker, especially in transition word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tudents than elementary school-age students. The number of total words,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th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T-unit used for narrative written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turned out that the number low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age students. In particular,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th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T-unit were significantly lowe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elementary school-age students. The percentage of syntax erro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elementary school-age students. And syntax error by subdivided category was high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비디오 모델링 기반 부모-자녀의 그림판 제작을 통한 가정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된장찌개 조리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Young-Jun Kim),김화수(Wha-Soo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모델링 기반 부모-자녀의 그림판 제작을 통한 가정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된장찌개 조리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정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세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참여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 기법이 적용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비디오 모델링 기법과 부모-자녀의 그림판 제작을 병행한 어머니의 가정 중재 절차가 구성되었으며, 어머니 중재를 통해 사전에 부모교육을 적용하였다. 목표행동은 지적장애 참여자들이 식당에서 된장찌개를 직접 조리하는 수행이며, 과제분석에 따라 전체 10가지의 하위 단계기술이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 참여자들은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ome intervention through drawing boards production of parent and children based on video modeling on the cooking job skills performance of SOYBEAN PASTE STEW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ending a special school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study design was applied with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in a single subject research.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a mother s home intervention procedure that combined video modeling techniques and parent-child drawing boards production, and parental education was applied in advance for mother intervention. The target behaviors is th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oking SOYBEAN PASTE STEW directly at restaurants, and a total of 10 lower-level skill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as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ffectively acquired and maintained their target behaviors through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경신 ( Kyung Shin Kim ),김미경 ( Mi Kyo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중학생들에게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진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목포시내 M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2학년 학생들 중 지적장애로 진단을 받은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프로그램 내용은 Holland(1973)의 진로탐색이론을 참고하여 흥미, 정성, 삶의 가치관, 목표 설정 등의 영역들을 다루어 자신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진로 태도를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프로그램 실시 기간은 1회기부터 12회기까지 1주일에 2회씩 매회 50분씩 실시하였으며, 상담기간은 총 6주가 소요되었다. 그 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의 계획성과 타협성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향과 결정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만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지적장애 중학생들을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방학 중이나 방과 후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되어야 하며, 직업교육과정 속에 이러한 진로탐색 내용들이 더욱더 강화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on the researcher sampled 3 students from special school in Mokpo,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n the researcher carried out Pre- and Post-tests to determine how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maturing the career attitude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researcher made a qualitative analysis of what changes were made i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subjects during the counseling As a resul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et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ir interest and personality through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On the basis of they did choose a job that fits them and made a plan for reach a job. Through this study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program draw a conclusion from way of effectivenes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improvement. Therefore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ntellectual disability middle school student needs systematic enforce through during vacation or after school program and more reinforcement these career search in 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 KCI등재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정미 ( Jeung Mi Ryu ),방명애 ( Myong Ye Bang ),장역방 ( Yi Fang Zh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과 성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B시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지적장애 남학생 6명과 여학생 4명을 편의목적표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대응표본 t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을 향상시켰으며, ``피해자와 가해자의 유형,`` ``발생 원인과 장소,`` ``피해 예방과 대처`` 하위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성폭력 개념과 범위`` 하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 태도를 향상시켰으며, ``신체구조와 변화``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인간관계의 이해``와 ``성문화와 성윤리`` 하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애학생의 성폭력 예방을 위한 후속연구와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and sexu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research design was a pre and post test single group design. The subjects were 10 middle school students(6 boys and 4 gir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inter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and sexual attitud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wo dependent samples t-test were implemen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Second, the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xual attitude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급 지적장애중학생의 친구관계 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손성화(Son, SungHwa),강영심(Kang, Young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일반중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친구관계 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지적장애중학생 106명이며, 조사기간은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친구관계 질 요소 중 친밀감이 지적장애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친구관계 질 요소 중 동료애가 수업참여와 학교환경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친밀감이 학교규칙 준수와 친구 및 교사관계, 학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중학생의 친구관계 질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를 살펴봄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학교부적응을 예방하고, 원만한 학교생활을 돕기위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friendship quality o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participants were 106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ree cities; Busan, Ulsan, & Gyeong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relationship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ub-components as intimacy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vel of overall school adjustment. Second, companionship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vel of academic engagement and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Futhermore intimacy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vel of observance of the school rules,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study can be a meaningful step in preventing school maladjustment and suggesting concrete support strategies by providing basic data.

      • KCI등재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과

        김은하,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person-centered planning on career attitud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outcome expectancy for the educational plan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special classes in three public middle schools in Kyounggii-do.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 total of 20 sessions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2 at two schools. The sessions consisted of 16 career education classes, 2 parent counseling sessions, and 2 person-centered planning meetings for each stud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the person-centered planning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areer 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for the educational planning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This is the first experimental study reporting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with person-centered planning on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nrolled in general middle schools in Korea. 본 연구는 개인중심계획(person-centered planning)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20명의 지적장애 중학생이 참여한 본 연구는 종속변인에 따라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진로태도, 성취동기)와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를 사용하였다. 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고, 실험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총20회기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개인중심계획 접근적 진로교육 수업은 진로발달의 중학생 시기에 적절한 내용(예: 자기이해), 개인중심계획 회의에 참여하는 데 요구되는 내용(예: 희망 진로목표 설정)과 기술(예: 자기소개하기)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개별 학생의 개인중심계획 회의에는 학생본인, 부모, 담임교사와 특수교사가 팀원으로, 연구자 1인이 촉진자로 참여하였다. 일반 중학교에서 연령에 적절한 진로교육을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형태로 개발하여 제공한 결과, 연구참여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여 실행하고 긍정적 결과를 보고하는 첫 연구로서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개인중심계획 접근’을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교육에 보다 활발하게 적용하기 위한 제언과 본 연구의 제한성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동료와의 갈등해결기술 수행 및 갈등해결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

        이신령,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tuation-based conflict resolution program on the performance of conflict resolu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4 middle schools. A group of 12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t had participated in a situation-based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 of 12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15 sessions, 2-3 times a week in a social skill class. The program includes as follows: the training of conflict resolution skill including a problem solving strategy, anger management, peer mediation in peer conflict situation; offering positive self-esteem activities; instructing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study, the conflict resolution skill video scale and the conflict strategy constructiveness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performance of conflict resolution skill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video scale included 4 peer-conflict situations: peers‘ verbal teasing; peers’ physical bullies; isolating in class activities; peers’ unreasonable reques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interview of the confliction resolution skill process immediately followed after the presentation of each situation. Students' responses were classified on the strategy constructiveness scale.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conflict resolution skills and us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conflict resolution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nhancing conflict resolution capacitie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ho will transit to high schools and adulthood.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지적장애 학생의 동료와의 ‘갈등해결기술 수행’과 ‘갈등해결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4개교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 24명(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갈등해결기술 사전 점수와 학교를 고려하여 구성된 12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15회기의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결과는 첫째,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갈등해결기술 수행 점수는 통제집단 학생들의 갈등해결기술 수행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 사용 점수는 통제집단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 사용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동료와의 갈등해결기술 수행과 갈등해결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의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상황별 갈등해결 교수가 희박한 현 시점에서, 학생들 사이의 갈등상황을 중심으로 갈등해결을 지도하고, 그 결과를 갈등상황 동영상을 통해 학생들의 갈등해결기술 수행과 갈등해결전략 사용을 평가한 첫 실험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지적장애 중학생의 통합 증진과 고등학교와 성인기로의 성공적 전환에 갈등해결 능력 증진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대형마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권용덕 ( Yong Deok Kwon ),장혜성 ( Hae Song Ch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컴퓨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는 장애학생이 실수하였을 때 학생의 반응을 기다려주므로 학습에 매우 효과적이며, 멀티미디어 자체가 장애학생에게 흥미롭고 신선한 자극이므로 동기유발에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3명에게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대형마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장소에서 일반화되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실중재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여 대형마트 이용기술을 교수하고, 지역사회중재는 최소촉진법과 시간지연법을 이용하여 실제 지역사회 대형마트에서 교수하였다. 연구 결과,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모든 대상학생들은 대형마트 이용기술을 습득하였으며, 습득된 기술은 학습하지 않은 지역사회 대형마트에서 일반화되었으며,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자극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자료가 지적장애 학생에게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주의를 집중하여 활동에 참여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교실에서 실제 지역사회환경에 최대한으로 근접한 환경을 구성하여 사실적이고 자연적인 자극인 사진과 움직이는 이미지 등을 포함시킨 멀티미디어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에 일반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A purpose of the study is to know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can maintain their learned knowledge and community skills through multimedia resources after passing over 4 weeks. To be specific, the study wants to know whether 3 students who had been educated by community-based instruction to shopping can use these skills again at the same retail chain stores and do that by themselves. Meantime,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had been used as an experimental design in the study. From this study, the result ``community-based instruction with multimedia data``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rate with fulfillment of skills were increased. Second, the skills of students that educated in classrooms became generalized when they had been experienced new environment. Lastly, the skills that used in retail chain stores had been maintained after four weeks later. To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with multimedia resources is an effective and useful method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o obtain retail chain stores or other places using community skills independently.

      • KCI등재

        지적장애 중학생 부모와 교사의 개인중심계획 회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김은하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2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parents and teac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middle school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person-centered planning meeting twice as a person-centered planning team member. They tell about their experiences. The findings are divided in to two section, experiences and changes. Those are (1)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for the parents, self-reflections for the teachers, (2) suggested ideas for the modification for person-centered planning meetings, (3) upgraded understanding of their child/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4) increased expectation for the student with disability (5) actual trials in the way of fostering and educating the student.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version of person-centered planning model, teachers suggested to de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to count the meeting hours as class-hours. Also, it has to be considered significantly that systematic and on-going supports for the special teachers who take all the burden with the whole process of person-centered planning in school. Finally, suggestions is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of person-centered planning model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개인중심계획 회의에 참여했던 부모와 교사(일반교사,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개인중심계획 회의 적용의 단기적 성과와 국내 상황에 적합한 개인중심계획의 모델을 개발하는 데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 및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수행된 개인중심계획 회의에 참여했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의 보고를 분석한 결과, 부모에게는 만족과 불만족의 소감이 공존하였으며, 교사는 개인적인 반성(反省)의 부모와의 협력경험에서의 어려움을 밝혔고, 부모와 교사 모두 시간 할애를 어려운 점으로 지적하였다.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기대감을 현실적으로 향상시켰으며, 가정 내 양육방식과 학교에서의 지도 방식에 있어서의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변화를 시도하는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었다. 부모가 개선요구를 나타낸 부분은 장애학생의 회의 참여 방식, 진단과 문제 해결적 성격을 갖는 전문적인 조언의 제공이었고, 교사의 개선요구는 개인중심계획 회의 시간의 수업시수화, 원적학급 인원수의 감소가 있었다. 가장 많은 업무와 책임을 갖게 되는 특수교사는 개인중심계획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인정하였으나, 현실적인 진행에서의 업무적 및 심리적 부담감을 토로하여 특수교사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형 개인중심계획 모델의 개발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자유학기제를 통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가상현실 직무체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 한국장애인개발원 2017 장애인복지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job experience program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through free learning semester on the cooking task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design consisted of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one of single subject research technique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involved mutual connection of video based rehearsal and report writing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Cooking task skills, the dependent variable,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cooking of TOAST by the subjects and this performance was composed in a total of 10 stages through task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the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 learn and maintain the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rtual reality job experience program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through free learning semester and cooking task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통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가상현실 직무체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일반 중학교 내에 설치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세 명이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대상자 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이며, 기초선과 중재 및 유지와 같은 실험 조건 역시 포함한다. 연구를 위한 실험 환경으론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조리실습실과 식당산업체 내 주방으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인으로 적용된 자유학기제를통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가상현실 직무체험프로그램은 시청각적 동영상 시청과 시연 및 직무체험보고서가 패키지의 형태와 절차로 구성되었다. 종속변인인 조리직무기술은 중소기업 내 식당의 토스트 전문점 내 주방에서 연구 대상이 직원들이 간식으로 먹을 토스트를 직접 조리하는 수행으로정의되며, 직무 과제분석을 통하여 10가지의 하위 단계 기술을 포함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 대상은 독립변인을 통하여 종속변인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뿐 아니라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기능적으로 갖는 상관성을 가치 있게 인정하는 것으로 결론 지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