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지역사회 연계교육의 현황과 과제

        최연화(Choi, Yeun Hwa),최경애(Choi, Kyoung Ae)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역량중심교육으로의 전환과 함께 대두되는 대학생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알아보 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지역사회 연계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교양교육과 관련하여 진행되어 온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5가지 유형(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외부활동경험, 봉사관련교과, 봉사학습 등)에 관한 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을 위한 여섯 가지 방향 및 과제가 제안되었다. 첫째,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려면 수업과 학생연구를 통해 교과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이 유기적으로 의미있게 연결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사 회 연계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의 핵심역량 향상과 교육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교과 교육과정 으로 운영할 수 있는 지역연계교육의 정교한 학습모형이 구안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수업모형과 각 단계별 운영전략을 구체화하고, 그에 따른 교재와 매뉴얼 등을 개발⋅공유해야 한다. 넷째, 대학에서는 지역사회의 네트워크를 형성⋅관리하고, 교수자들을 지원하고 연결해줄 수 있는 전담조직이 구축⋅운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해당 교과목에 책무성을 가진 전문 교수진을 확보함으로써 지역연계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헌신하도록 해야 한다. 끝으로,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그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전국적인 대학-지역사회-지방정부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학생 개인의 역량개발 뿐 아니라 국가적 으로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역량 향상에도 기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result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which have been receiving intensive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discover the future directions and/or task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is, firstly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review pertaining to the college-community linkage types and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for liberal arts education.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comparison analysis between 5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such as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out of class experiences, servicerelated subjects, and service learning,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community-linked educ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5 directions or tasks were proposed: First, in-class activities and community-related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meaningfully connected through the subjects and students’research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Second, elaborated learning models for community-link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maximize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core competencies and other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curriculum or subject. Third, effective teaching models and strategies for operating this course should be specified, and textbooks and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shared among the faculty. Fourth, a dedicated body, which is responsible for building networks for regional communities, and supporting and connecting faculty who facilitate this course,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ifth, only highly responsible faculty members should be designated for this subject, so that they can devote themselves to this subject’s continuous improvement. Lastly, more research on community-linked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uld be shared to establish a nationwide college-community-local government cooperative system, which improve not only students’ competency, but also community’s problem solving capacity.

      •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병원-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용진(Yong-Jin Seo),고정아(Jung-A Ko),황태연(Tae-Yeon Hwang),오정하(Jeong-Ha Oh),염호양(Ho-Yang Youm),박혜진(Hye-Jin Park),이명수(Myung-Soo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6 사회정신의학 Vol.11 No.1

        목 적: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가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는 정신질환자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으로 연계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시행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개선하여 연계를 보다 활성화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 법: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병·의원 중 입원병상이 있는 44개 기관의 정신과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258명을 대상으로 연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연계의 장애요인 등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병원의 유형이나 직종과 관계없이 병원 종사자들은 대부분 정신의료기관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 사이의 연계체계 구축이 매우 필요하며 지역사회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었다. 지역사회기관으로 연계를 시켜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61.6%였고, 평균 연계횟수는 8.17회(SD=10.266)이었다. 연계를 하면서 고려하는 정신보건서비스는 주간재활과 사례관리가 가장 주를 이루었으며, 이를 위해 정신보건센터에 가장 많은 대상자를 연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를 하는데 있어 장애의 요인으로는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 대한 정보부족과 체계적인 연계 방법의 미비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결 론: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은 대부분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는 정신질환자에 대하여 지속적인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으로 연계를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지역사회기관에 대한 정보부족과 체계적인 연계경로가 갖추어지지 않아 연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효과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수요에 따른 공급의 확대를 통한 지역별 균형적이고 충분한 인프라구축이 전제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 램의 개발, 특성화된 개별 서비스 제공, 홍보를 위한 노력을, 정신의료기관에서는 지역사회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고, 환자와 가족의 재활에 대한 동기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책적으로 다양한 연계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수정, 보완해 가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We investigated attitudes of professionals working in hospital toward linkage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y for mentally ill people who are discharged from hospital, and also their experiences of referral to community facilities. So that we want to explore the obstacles against effective linkage, and consider how to manage those problems and make linkage system more active. Methods:Total 258 psychiatrists, nurses and social workers, working in mental hospital which had inpatient unit and are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were asked to fulfil our questionnaire including attitudes toward linkage, their experience, obstacles against linkage. Results:Most staffs in hospital consider the linkage system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is essential and the role of mental health facilities in community is very important. Among the responders, 159(61.6%) staffs have referred clients to community facilities, and mean number of referral during last 1 year is 8.17 times(SD=10.266). They consider day care program, and case management service when they refer the patients to the community and for this purpose, they refer their patients to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he most. They consider lack of information on community services, and poorly organized referral system as two most serious obstacles against linkage. Conclusion:This study shows that staffs in hospital consider the linkage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is so important and essential for continuing mental health services, but they have less information and their is no formal pathway and system of referral, so they have lots of difficulties when they perform and the linkage is not done effectively now. For making linkage system more effectively, most of all, sufficient and balanced infra-structure have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needs. And also, community staffs have to make efforts to develope education program, individual service plan, and public awareness. Staffs in hospital have to make efforts to get more information o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nd related facilities, and find ways to how exaggerate the motivation of patients and care-givers for recovery and rehabilitation. Lastly, various linkage system models have to be suggested and examined, and we have to improve and modify those model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미정(Kim, Mi Jung),이경은(Lee, Keyng Eun),장덕희(Jang, Duk H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에 미치는 지역사회자원연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지역아동센터의 효율적 사례관리실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지역아동센터 사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179명을 대상으로 조사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에는 개인요인 중에서는 개인의 가치관, 개인의 전문성, 기관요인 중에서는 직원교육정도와 기관의 역량이 영향을 미쳤으며, 아울러 지역사회자원연계도 사례관리실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자원연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에는 개인의 전문성과 기관의 역량, 실무자 수와 지역사회자원연계가 상호작용을 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에는 지역사회자원연계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공식적인 지역사회자원네트워크 구축이 효과적이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nkage of resources in local society on the case management of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179 staff that runs the case management in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in Daegu and Kyungpook area was studied. First, sense of value and professionalism of each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s and competence of centers, and linkage of resources in the local society were important factors for the case management of local child care centers. Second, professionalism of individual and competence of the centers, the numbers of staff, and linkage of resources in the local society exerted synergistic effects. Based on these data, an officially established network for linkage of resources in the local society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case management of local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이병환(Lee Byung H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종래 학교 교육과정은 국가에서 정해주는 기준 준수여부에 성패가 달려있었지만 향후 교육과정의 변화 추세는 단위학교가 학교와 지역사회의 실정에 맞게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하는 재량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학교 교육과정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공간적으로 확장되어간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여러 가지 인문적 내지 자연적 현상들이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체계적으로 조직되고 지도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 운영의 특례가 비교적 잘 보장되어 있는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의 사례를 통해서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다각도로 구상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전국에 산재해 있는 대안학교에 대한 전화 면접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그 중에서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이 가장 두드러지다고 판단되는Y고등학교를 심층조사 대상학교로 선정하였다.Y고등학교의 사례를 통해서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재구성의 문제점과 실천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의 영역 속에서 지역사회 관련 내용이 적절하게 용해되어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물론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들을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활용할수 있는 가능성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가 지역과 유리된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지역과의 소통을 통해서 교육의 질을 높여 나가는 가능성의 모색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앞으로 대안학교 뿐 아니라 일반학교에서도 단위 학교 중심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운영이 더 강조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 할 때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의 탐색은 대단히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designed to find a integration methods of curriculum connected with community. To achieve research purposes were used to literature study and call on interview to explore issue of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And then selected Y high school named alternative schools as case study of its. The present curriculum in specialized high school system is organized and managed by the consultation between the municipal or provincial boards of education with each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in the alternative schools are to pursue unified educational process without dividing work and play. They pursuit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work and play are not distinguished and intend to educate real life. Emotion and sociality i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In conclusion, the centralized curriculum needs to be re-developed appropriately for the needs of community, the cultures of school, and the students' trai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ight to develop the curriculum should be given to the persons influenced by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for the teachers to be creative and autonomous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 system of the centralized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changed into that of the localized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홍순혜,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3 학교사회복지 Vol.- No.6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search for ways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literature analysis focu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haracter education network based on the “Collection of Results of Operation of Regional Unit Character Education Network”, and FGI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listen to their experiences, reasons for linking with local communities, problems encountered during linkage, reasons for continued linkage, and opinions on ways to activate regional lin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students, and private sector stakeholders had the most participation in regional linkage activities in character education. The main activities included student character improvement activities, village competency enhancement activities, discovery and network building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and school and teacher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clude a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school and local institutions, differences in time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institution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of school principals, institutional directors, and stakeholders in local cooperation, and a lack of systematic support for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as well as a lack of systems and culture. To minimize difficulties in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establish an organization that plays a bridge role between the school and institutions, and expand schools’ support for the teachers who try to discover community resouces and link them to character education.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인성교육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현황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문헌분석으로 ‘지역단위 인성교육 네트워크 운영결과 자료집’을 토대로 인성교육 네트워크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해 학교 인성교육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경험과연계 이유, 연계 시 문제점과 연계 지속 이유,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연계 활동에 교사와 학생, 민간기관 관계자가 가장 많은 참여를 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인성함양 활동, 마을역량 강화 활동, 인성교육 관련 지역사회 자원 발굴 및 네트워크 구축 활동, 학교나 교사의 역량 강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학교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인성교육 진행 시 겪는 어려움으로 학교와 지역기관간 서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음, 학교와 기관간 협력을 위한 시간이나 행정 절차의 차이가 있음, 학교장이나 기관장, 연계 당사자들의 지역 연계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 미흡, 지자체와 지역주민 등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과 문화 부재 등이 보고되었다.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연계 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연계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관간 연계에 따르는 행정 처리의 단순화, 학교와 기관 간 다리 역할을 하는 기구 마련, 학교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지역 자원 발굴 및 연계활동에 대한 학교의 지원 확대 등의 개선점이도출되었다.

      • KCI등재

        사회복지법제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의 기능과 형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보장체계 구축과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요건

        황미경 사회복지법제학회 2020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지역사회보장체계에서 커뮤니티 케어와 사회적 돌봄의 요건이 되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확충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법제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주요 요소를 분석한 결과,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복지개별 법률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은 신뢰 ․ 연계 ․ 참여 ․ 협력 ․ 호혜적 활동에 의한 사회통합의 노력을 촉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사회복지법제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의 주요 요소들은 무형의 자본인 사회적 자본의 실현 방안을 촉구하고 있어 기존의 이론을 실현할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관장하는 지역사회보장체계 구축의 구도는 사회적 돌봄의 전제가 되는 전문직 간 협력 구도와 주민 참여, 민관협력 등 복지거버넌스의 책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사회적 자본 구축에 의한 지역사회통합돌봄과 평생사회안전망을 보장하기 위한 광역 연계와 네트워크 등 지역사회보장체계인 지역 복지거버넌스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 확충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 공동체성 강화를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하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사회보장기능의 확대가 필요하다. 지역공동체성은 신뢰, 참여, 연계와 네트워크, 협력과 호혜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적 자본을 확충할 수도 있으므로 종전의 지역사회복지 및 지역사회보호체계에서 지역사회보장체계로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서비스 수요자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복지멤버십’ 추진으로 사회보장정보원을 통한 기초자치단체 간 사회보장정보전달체계의 네트워크 연계와 통합이 필요하다. 서비스 수요자의 수급자격 조사의 자동화와 지자체간 정보공유 절차를 생략하는 전자정부 기능으로 서비스의 분절화를 예방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간 광역 연계와 네트워크 형성에 의한 사회서비스 통합 전달체계 구축으로 복지 자원 네트워크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복지와 보건의료 서비스의 간극을 해소하는 사회서비스의 보편화를 촉진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plans for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at is a requirement of social care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systems in Korea. For this, it analyzed concepts and major elements of social capital that appear in social welfare law.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concepts of social capital that are stipulated by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and individual social welfare laws demand efforts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trust, linkage, participation, cooperation, and reciprocal activities. Eventually, the major elements of social capital that appear in social welfare law demand realization plans for social capital, which is intangible capital, providing practical grounds on which existing theories can be realized. Also, establishment structures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systems that control nations and local governments can be considered the responsibility of welfare governances such as cooperative structures among specialized jobs, resident participation,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which are prerequisites of community care. At this, proposals were made of social capital establishment plans in local welfare governances such as metropolitan linkages and networks for the securement of lifelong social safety nets and social care for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First, the social security functions of local social security councils must be enlarged for social capital expansion that can reinforce local community spirit. Local community spirit can expand new social capital based on trust, participation, connections, networks, cooperation, and reciprocity so local social security systems must be established from existing local social welfare and local social protection systems. Second, network connections and integration are needed in social security information delivery systems among primary local authorities through social security sources with promotions made by 'welfare memberships' that construct networks for social service users. The segmentation of services is prevented with electronic government functions that omit information sharing procedures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he automation of supply and demand qualification surveys of service users. Third, broad connections and networks must be formed among local governments. With welfare support network connection reinforcements among local governments, proposals can be made for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ervice integration delivery systems that promote the generalization of social services.

      • KCI등재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대학 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경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정은희 ( Eun-hee Jung )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2 유통물류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대학의 다양한 활동을 조사하고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대학 교과목 운영의 실제 사례를 소개하였다. 특히,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경남대학교의 지역사회 연계 대학 교과목 운영 과정과 주요 성과 그리고 특징 등을 분석하여 대학과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성장과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제시하였다. 경남대학교의 사례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지역 문제해결 혁신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경험기반교육체제와 활발한 지역연계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 창의융합 지역혁신인재 ‘지역사회혁신가’를 양성하는 ‘청바지프로젝트’의 핵심적인 지역연계 교육사업으로 실시하여 대학의 대표 특성화 교육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요 성과로는 대학생의 문제해결역량 제고 및 지역맞춤형 지역사회혁신가 양성을 위한 초석이 되고 있으며, 지역사회협업 공헌을 통해 지역-대학의 지속가능한 지(地)-산(産)-학(學) 공동체 생태계 실현의 견인차 역할, 지역사회 연계교과목의 결과가 창원시 주요정책으로 반영확정되면서 단순한 교과목 성적부여를 위한 결과물이 아닌 실질적인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제시 및 적용의 기능을 수행, 지역사회 연계교과목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지역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문제해결력 또한 상승하고 있으며 국내외에 다양한 형태로 공유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과들을 견인한 촉진 요소는 대학의 비전 및 교육방향과의 정합성, 지속적인 교수들의 역량강화와 참여교수의 보상체계마련, 지역사회 현장 전문가들의 협업, 관련 지자체 및 혁신기관 연계 활동 강화, 학생들의 교과목에 대한 기대감 및 참여 인식 제고, 재정지원, 교과목 후속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activities of universities linked to the local community and to introduce actual examples of the operation of university subjects to solve community problems. 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operation process, major achiev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Kyungnam University’s community-linked university curriculum to solve community problems, measures to promote continuous growth and change i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were presented in various ways. Since 2017, Kyungnam University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specialized education brand for universities by conducting a core regional education project to foster self-directed creative innovators through experience-based education systems and active regional activities. The main achievements are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and foster community innovators, and the role of community-university sustainable community ecosystems, and the results of community-linked subjects are reflected in Changwon’s major policies. The factors driving these achievements were consistency with the university’s vision and direction of education, continuous competency strengthening of professors, community field experts’ cooperation, strengthening related local governments and innovative institutions, raising students’ expectations and participation awareness, and operating follow-up program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지역사회 연계교육 실태

        우정희(Woo J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실시현황과 교사의 인식에 대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ㆍ경인 지역에 근무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중에서 만 3, 4 ,5세 담임 교사 40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지역사회 연계 교육의 실시 현황을 살펴보면, 운영방법에 있어서 유치원은 단원이나 주제 연계로 운영하였으며, 어린이집은 인접한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로 실시되었다. 어린이집에서의 지역사회 연계 교육의 실시 횟수가 더 많았으며 교육내용에 있어서 유치원은 지역사회에 대해 알기, 어린이집은 지역사회와 관계 형성하기의 내용을 더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운영 방식에 있어서 전문가ㆍ지역사회 인사활용 가정통신문과 기타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가정과의 연계에 있어서 어린이집은 기관 홈페이지나 가정통신문에 지역사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유치원은 부모와 방문할 수 있는 장소와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연계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유치원에서 교육활동시간의 부족 지역사회에 대한 교사의 정보 부족, 지역사회를 소개하는 교육자료 또는 교구 부족, 유아에게 소개할 만한 지역사회 장소 부족,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체제 부족에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linking education with community, and teacher recognition, and to examine how educational status today and teacher recognition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ducational center 401 teachers of three-four-and five-years-old children, who work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in regions were set as study targe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onnection Education is examine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eration method, frequency, contents of education, class operation method, and connection with homes depending on the type of educational centers. Second, when the teacher recognition of Community Connection Education is examined by dividing into difficulties and issues for resolution, lack of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depending on the type of educational center, lack of locations in the community that can be introduced to the children, lack of the educational data or district, lack of tim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lack of information on the community for the teachers manifested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issues for resolution did not manifest significant difference.

      •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연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권영길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7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4 No.1

        지역사회는 사회복지실천의 장이다.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는 참여정부에 들어와 지방자치의 발달과 분권화의 추진노력에 힘입어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여건이 팽창되었다. 지역사회에는 다양한 사회적 욕구와 사회적 문제들이 분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복지서비스의 공급주체도 다양한 양상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복지수요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비추어볼 때, 복지서비스의 공급주체들은 파편화되어 있으며 서비스의 내용도 단편적이고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공급주체들의 파트너십과 연계망(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문제제기와 토론은 10여년 이상에 걸쳐 진행되어 왔으나, 그동안 제도적으로 연계망 형성이 지지부진해 왔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구성과 그 활동에 기대하는 바가 크고,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연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 서비스의 연계의 필요성과 네트워크에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고, 지역사회복지 서비스의 실태조사를 통한 서비스 연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지역 정체성과 사회자본 구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영원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6

        본 연구는 지역민의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해 대중 매체 및 SNS 이용,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지역 정체성 구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사회자본 요인과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과의 상호 관계성 및 인과적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중매체 이용에 따른 지역 정체성 효과는 매체 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TV 이용은 지역 애정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신문 이용은 지역 애정도와 지역 관여도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 신문 이용이 많을수록 지역사회 참여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은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이 대중매체 이용보다 지역 정체성 형성에 직접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자본 요인에 대한 매체 별 영향력은 TV 이용이 많을수록 사회적 연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문 이용은 사회적 연계나 지역 참여활동에 모두 긍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자본에 대한 영향력은 제도권 신뢰를 제외한 대인 신뢰, 사회적 연계, 지역 참여활동에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나, 매체 이용에 따른 영향력보다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회자본의 형성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 요인과 사회자본의 하위 개념인 사회적 신뢰와 사회적 연계와는 높은 상호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대인 신뢰 요인이 지역 정체성 구성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사회적 연계 요인도 지역 애정도나 지역사회 신뢰도 등 지역 정체성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자본의 영향력이 지역 정체성 형성에도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