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 모델 개발

        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40

        This study has been purposed to develop an effective model of supervision for the school field social welfare executor who is in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t is aimed to provide a basic form of stable supervision working in educational welfare spot. Suggested considerations are-first, what supervision is aimed for school field social welfare executor, second, who are the beneficiary organizations or the influenced by its supervision system, third, what to need to establish efficiently functioned supervision, and fourth what are mainly requested technical requirements in the process of enforcing reflective supervision. Focus group interviews reflected in this research has reviewed the aims of educational welfare and consequences of the stakeholders. And Delphi research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has clarified function of supervision in educational welfare system, cycle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uggested a proposal and implications in the view of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dimension.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good supervision system and present guideline for social workers to manage human resource in Education Office and Municipal Ministry of Education and qualitative business operation in education welfare sector. It is recommended supervision must be positively adopted in school and Local Education Office and regularized as a mechanism to foster professional expertise in social welfare.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전담 인력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대상 슈퍼비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교육복지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슈퍼비전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는데, 연구문제는 첫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대상 슈퍼비전의 목적은 무엇인지, 둘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을 통해 유익을 얻거나 영향을 받는 사람 또는 조직은 누구인지, 셋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담겨야 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넷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의 반영적인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각 과정에서 요구되는 주요 기술은 무엇인지이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 델파이조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복지 현장 슈퍼비전 핵심 요소들을 종합해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 통합 모델’을 개발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교육복지사업의 인력 관리 및 사업의 질 관리를 위한 중요한 축으로서 교육복지 현장 실천가들의 슈퍼비전 체계를 구축하고 지침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사 수련 슈퍼비전 모형 기초 연구

        엄경남,안정선,김희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that can be used as a guideline to implement the supervision in school social worker training system. For this purpose, a two-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30 academics and field experts related to school social work and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training supervision model included the following subjects: supervision purpose (14 items), supervisor appointment and qualification (7 items), supervisor duties and abilities(48 items), supervision structure (9 items), supervision function (34 items), and supervision tasks (23 questions). The purpose of supervision were identified as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school social worker's role and accountability and the acquiring of the qualities,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school social workers. The supervisor’s duties were identified as guiding to the social work philosophy and value taking into practice, to the account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each school to achieve the vision and purpose of school social work. The functions of supervision were the management, development, support, and mediation, which are included managing and recording of practice activities, empowering case management ability, identifying supervises’ strength and weakness, running school integrated case conference, and etc. In addition to this, a detailed task that should be carried out in each step such as preparation, start, execution, evaluation, and termination is suggested in the training superv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findings, we discussed issues to be considered in promoting and setting up the training supervis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사회복지사 수련 제도에서 슈퍼비전을 실행하는데 지침이 될 만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와 슈퍼비전 관련 학계 및 현장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2라운드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수련 슈퍼비전 모형에 슈퍼비전 목적(14문항), 슈퍼바이저 선임과 자격(7문항), 슈퍼바이저 직무와 역량(48문항), 슈퍼비전 구조(9문항), 슈퍼비전 기능(34문항), 슈퍼비전 단계별 과업(23문항) 등이 도출되었다. 수련 슈퍼비전의 목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책무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 학교사회복지사에게 요구되는 자질, 태도, 지식, 기술 습득 등이 제시되었으며, 학교사회복지 철학과 가치가 실무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도, 학교 특성과 여건을 고려해 학교사회복지의 비전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도 등의 직무가 도출되었다. 수련 슈퍼비전에서 학교사회복지 실천 활동 기록 작성 및 관리, 사례관리 능력 함양, 수련생의 강점 발견 및 약점 보완 논의, 교내외 통합사례회의 팀의 원활한 운영 등의 관리, 개발, 지지, 중재 기능의 슈퍼비전이 이루어져야 함이 규명되었다. 이 외에도 수련 슈퍼비전에서 준비, 시작, 실행, 평가 및 종결 단계 등 각 단계별로 진행되어야 하는 세부과업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수련 슈퍼비전을 추진하고 정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정책 분석

        엄경남(Kyoung Nam Eu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1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6

        이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보고 정책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사업의 지향점과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정권에 따라 이 사업의 강조점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복지국가 관점에서 이 사업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이 사업은 결과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복지국가에 기여할 것인지를 주요 연구 문제로 한다. 이를 위해 사업의 예산, 대상, 내용, 지향점, 전달체계 등 정책의 구조가 갖는 차원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 사업이 지향하는 복지국가 형태를 유추해 보았다. 이 사업은 국가 주도하에 진행되어 올해 법제화되면서 예산과 규모 면에서는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선별적이고 계층화를 유발하는 사업의 형태를 띠고 있다. 특히 학업 향상과 성과를 강조하는 현 정부에서 이 사업의 지향점이 왜곡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사업이 복지국가라는 큰 틀 속에서 바른 방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reviews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analyzes its policy from the welfare-state perspective. This study evaluates the policy contents, overall procedures, and th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of the project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power changes in the government, and illuminates future directions. For this, the research infers desirable typology of the welfare state, and analogizes the budget, the target population, key issues and delivery system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till remains to follow a selective and hierarchical business format, despite the legally stated initiatives, growing budget, and the expansion of the operation which has been governed by the policy makers. Particularly, the state of this project, and examine whether or not it has been distorted by the governmental emphasis on the educational outcomes and performance should continuously be examined as a future direction of the research. Finally, the study suggests several recommendations for the desirable anchorage of the project within the framework of being a prospective welfare state.

      • KCI등재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인권실태와 개선방안

        조성심,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6 학교사회복지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exploratory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in Korea, and to provide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provision of these right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school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and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s (FGI) to collect more detailed comment on the level of human rights,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that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are actually experiencing.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the level of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were poor. And In particular the results show that all personnel employed in the form of temporary workers give a variety of challenges in the area of human rights. Specifically, as well as insecurity for a job and discrimination between employees within the school and relative deprivation were found to be experiencing such as verbal abuse or assault, sexual harassment, emotional abuse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licy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인권 실태를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을 조사하였으며,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인권보장 수준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의견을 수합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원이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가 다양한 인권 영역에서 어려움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고용 불안정과 학교 내 직원 간 차별, 상대적인 박탈감 등을 비롯하여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에 대한 폭언이나 폭행, 성희롱, 정서적 학대 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인권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개입연구

        고명희,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at has been developed to integrat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character education for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ers with school adjustment issues. This intervention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the process from analysis of the problem, planning, data collection, integrated design, development, pilot test, evaluation and revision from March 2015 to December 2016. The needs assess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ise from the subject matter experts(SMEs) led to the key objectiv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neself and other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110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Focus group interviews of the students and interviews of their teachers were administere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 participants of the program could understand and express themselves better, make closer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understand others including family better and have better relationships with people, feel more comfortable and attached to schools. Also, the analysis of the teacher interviews revealed the similar results about the student changes.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 students became positive and optimistic, their self-esteem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were enhanced, they made better relationships among peer students, their absenteeism rates were reduced, their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was enhanc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school is discuss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uld make a difference raining from in students’ inner and relational aspect, and to their school adjustment. 본 연구는 인지, 정의, 실천 측면을 함께 고려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해 인성교육이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학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개입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분석 및 프로젝트 기획, 정보수집 및 통합설계, 초기개발 및 파일럿 테스트, 평가 및 수정개발 등의 단계를 따라 2015년 3월~2016년 12월까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전문가 간담회, 문헌검토 등을 통해 자기이해와 수용, 타인이해와 수용을 주요 목표로 한 인성교육 과정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초․중․고등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쳐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해 인성교육 효과에 대해 파악한 결과, 교육 참가자들은 본 교육을 통해 자신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더 잘 표현하게 됨, 친구들과 친밀한 관계를 만들 수 있게 됨, 가족 등 타인을 이해하고 원활한 관계를 형성하게 됨, 학교가 더 편해지고 애착을 가지게 되었음을 이야기하였다. 교사들 역시 학생들의 변화에 대해 유사한 보고를 하였는데 학생들이 밝아지고 자존감,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됨, 친구 관계가 돈독해지고 무단결석 및 지각 감소, 학교에 대한 소속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면의 변화로부터 시작해 관계나 학교적응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인성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가지는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련지도자가 바라본 학교사회복지 수련 과정 1년의 성과와 개선방안 연구

        방진희,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59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the school social work training process, which was first conducted for the last one year, and seek a future improvement plan. To this end, written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five training supervisors from Seoul, Gyeonggi, Jeonbuk and Daegu, and benefits,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first year training process were gathe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ould be found through the training process that there were benefits in the training supervisor, the supervisee, the client, the training agency and the school social work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following outcomes were obtained: strengthening the training supervisor’s ability and assisting the work efficiency in terms of the training supervisor; forming network among the supervisees in terms of the supervisees; strengthening the practicing ability in terms of the school social worker; changing the students and increasing trust in the school social work in terms of the client; high initiative by team cooperation and high quality and quantity for case management services in terms of the school; and securing the school social workers having specialty and emerging the necessity of the school social work in the school in terms of the school social work development. The matters to be preferentially improved in the training process are incentives and supervision for the training supervisors and support for the supervisees’ salaries and finding jobs. In terms of the training school, the school officials’ understanding of the school social work training system were insufficient, and in terms of the support for training, there was a gap between the period that the supervisor is assigned to a school and the period that a school is assigned as a training school. Further, the training period was not reflected in the work experience. It was also mentioned to find training school and follow up the supervisees. Based on such performance a future plan for improving the training process was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사회복지 수련 과정이 최초로 진행되었던 지난 1년간 수련 과정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추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수련을 진행했던 서울, 경기, 전북, 대구 등 5명의 수련지도자 전원을 대상으로 서면인터뷰, FGI를 진행해 지난 1년간 수련 과정의 유익과 문제점, 개선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수련 과정을 통해 수련지도자, 수련생, 서비스이용자, 수련기관, 학교사회복지 발전 차원에서의 유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수련지도자 차원에서 수련지도자로서 역량 강화, 업무 효율 도움, 수련생 차원에서는 수련생 간 네트워크 형성, 학교사회복지사로서 실천역량 강화, 서비스이용자 차원에서는 학생 변화 및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신뢰도 향상, 학교 차원에서는 팀협력으로 높은 추진력, 사례관리 서비스의 질과 양 확보, 학교사회복지 발전 차원에서는 전문성을 갖춘 학교사회복지사 인재 확보, 학교에서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부각 등이 성과로 도출되었다. 수련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수련지도자 차원에서는 수련지도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수련지도자 대상 슈퍼비전, 수련생 차원에서는 수련생에 대한 급여 지원, 취업 연결 등이 있었다. 수련기관 차원에서는 학교 관계자들의 학교사회복지 수련제도에 대한 이해 미흡, 수련지원 차원에서는 학교 발령 시기와 수련 학교 지정 시기 차이, 수련이 경력에 산정되지 못함, 수련기관 발굴과 수련생에 대한 사후관리 등이 언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수련 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홍순혜,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3 학교사회복지 Vol.- No.6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search for ways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literature analysis focu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haracter education network based on the “Collection of Results of Operation of Regional Unit Character Education Network”, and FGI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listen to their experiences, reasons for linking with local communities, problems encountered during linkage, reasons for continued linkage, and opinions on ways to activate regional lin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students, and private sector stakeholders had the most participation in regional linkage activities in character education. The main activities included student character improvement activities, village competency enhancement activities, discovery and network building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and school and teacher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clude a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school and local institutions, differences in time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institution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of school principals, institutional directors, and stakeholders in local cooperation, and a lack of systematic support for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as well as a lack of systems and culture. To minimize difficulties in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establish an organization that plays a bridge role between the school and institutions, and expand schools’ support for the teachers who try to discover community resouces and link them to character education.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인성교육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현황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문헌분석으로 ‘지역단위 인성교육 네트워크 운영결과 자료집’을 토대로 인성교육 네트워크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해 학교 인성교육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경험과연계 이유, 연계 시 문제점과 연계 지속 이유,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연계 활동에 교사와 학생, 민간기관 관계자가 가장 많은 참여를 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인성함양 활동, 마을역량 강화 활동, 인성교육 관련 지역사회 자원 발굴 및 네트워크 구축 활동, 학교나 교사의 역량 강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학교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인성교육 진행 시 겪는 어려움으로 학교와 지역기관간 서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음, 학교와 기관간 협력을 위한 시간이나 행정 절차의 차이가 있음, 학교장이나 기관장, 연계 당사자들의 지역 연계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 미흡, 지자체와 지역주민 등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과 문화 부재 등이 보고되었다.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연계 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연계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관간 연계에 따르는 행정 처리의 단순화, 학교와 기관 간 다리 역할을 하는 기구 마련, 학교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지역 자원 발굴 및 연계활동에 대한 학교의 지원 확대 등의 개선점이도출되었다.

      • KCI등재

        학교 현장 사회복지 슈퍼바이저 양성 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분석

        안정선,엄경남,방진희,홍순혜,조성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4 학교사회복지 Vol.- No.29

        본 연구는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들이 클라이언트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슈퍼비전의 실행을 위해, 이를 주도적으로 실천할 슈퍼바이저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과 정보수집, 설계와 시범실행, 평가와 수정에 이르는 개입연구방법(intervention research)에 따라 2011년 7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2012년 7월 1차 교육과정부터 2014년 6월 11차 교육과정까지에 참여한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과정 내용개발과 평가를 위해 4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는데, 이는 문헌고찰, 전문가 간담회, 평가내용분석, 설문조사였다.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1차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참여자 피드백과 평가기록 내용분석 그리고 개발자 간담회를 병행한 시범실행(pilot testing) 과정을 통해 최종 기초 및 심화교육과정이 확정되었다. 교육과정의 효과성 평가는 시범실행 1기를 제외하고 기초과정 2~7기, 심화과정 1~3기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개발된 기초 및 심화 교육과정 모형은 사전사후 검증결과, 각각 학교 내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슈퍼비전 기능과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효과가 있었다. 다각적 평가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모형 보급과 개발방법론의 활용, 참여자의 역량 수준 및 현장별 과정개발, 교육내용 활용을 위한 사후관리체계, 슈퍼바이저 양성을 위한 정책적 대안 등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ining curriculum for social welfare supervisors who will take the initiative to take action for social work supervision so that school social work practitioners can provide the best service to clients to support social welfare for the execution of the supervision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developed.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the study by the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from analysis and information gathering, design and pilot testing, to evaluating and modifying from January 2012 to September 2014. We targeted at 175 people took part in the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conducted in July 2012 to the eleventh curriculum conducted in june 2014. We utilized four research method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ssessment such as literature review, expert meeting, assessment and analysis, survey. First, we designed the first curriculu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expert meeting and finalized the final base and deepening curriculum through participants' feedback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n the evaluation record and the developer conference running a parallel pilot testing.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were conducted aimed at the seventh base curriculum and the third deepening curriculum participants. And the base and deepening curriculum model developed were effective to improve the supervision functions and duty skills of school social work practitioners. Based on the results of a multifaceted assessment we suggest the development policy such as the task of practical use and dissemination of the curriculum model developed, curriculum developments based on participant's competence level, the post management system to take advantage of education contents and the policy options for supervisor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