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교 교장의 통합적 지도성, 교사의 헌신도 및 조직 효과성의 인과적 관계

        김인곤 한국상업교육학회 2011 상업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교장의 통합적 지도성, 교사의 헌신도 및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의 통합적 지도성과 교사의 헌신도 및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Pearson의 상관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세 변수간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인과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에 있어서 이론 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양호하였다. 둘째, 세 변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교장의 통합적 지도성이 교사의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조직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 고등학교 교장의 통합적 지도성은 학교조직 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교사의 헌신도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principal's integral leadership, teacher'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First, to confirm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used in this study an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Seco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principal's integral leadership, teacher'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ll data were processed by SPSS 17.0 and AMOS 7.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t of the research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very good.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rincipal's integral leadership, teacher' commitment and school 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Third, Principal's integral leadership has a greater influence on teacher' commitment tha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rth,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principal's integral leadership directly affect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ad an indirect influence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ia teacher' commitment as well.

      • KCI등재

        체조지도자의 지도특성과 선수의 경기수행능력의 관계: 자기관리의 매개효과

        김대은,남광우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체조지도자의 지도특성과 선수의 자기관리 및 경기수행능력의 관계, 그리고 체조지도자의 지도특성과 경기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대한체조협회에 등록된 선수를 모집단으로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설문자료를 확보하였다. 총 21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절차에 따라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부트스트래핑분석을 실 시하였다. 결과를 확인해 보면 첫째, 체조지도자의 지도특성은 선수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조지도자의 지도특성은 선수의 경기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수의 자기관리는 자기관 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조지도자의 지도특성과 선수의 경기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관리 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instructing characteristics, self-management and athletic performance of Pre-service Gymnasts Teacher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214 Gymnasts who are registered in 2020 Korean Gymnastics Association were us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executed using SPSS 22 and AMOS 21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instructing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self-management. Second, instructing characteristics did not gave static influence athletic performance. Third, self-management had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Finally, the self-management showed mediated effect partially between instructing characteristics and athletic performance.

      • KCI등재

        중·고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지도자 특성과 지도자신뢰, 만족 및 충성도의 관계

        김경렬(Kyung Reul Kim),김성규(Sung Kue Kim),박명규(Myoung Kug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골프선수들을 지도하는 지도자들의 특성과 학생 선수들의 지도자 신뢰, 만족, 충성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2012년 개최된 2개의 골프대회에 참가한 중·고등학교 선수 280명을 대상으로 SPSS WIN Ver. 18.0과 AMOS 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골프선 수들의 지도자 특성 중 지도자의 전문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도자의 호감과 접촉빈도는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지도자 특성 하위변인인 지도자의 전문성, 지도자 호감과 접촉빈도 모두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지도자 신뢰는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지도자 신뢰는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고등학교 골프선수들의 만족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golf coach`s characteristic, satisfaction, reliance and royalty middle and high school golf players who takes a lesson from the golf coach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80 middle and high school golf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wo golf tournaments, finally we use 250 questionnaire for analysi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Ver. 18.0), AMOS(Ver. 7.0)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 of golf coach`s characteristic, satisfaction, reliance and royalty on middle and high school golf players who participated in golf tourna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revealed that professionalism,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 of a golf coache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iability in a coaches. but the favorable impression and contact frequency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relational characteristic of a golf coach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liability in a coaches. Second, the professionalism, favorable impression and contact frequency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relational characteristic of a golf coache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a coaches. Third, the reliability in a coaches was not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a coaches. Fourth, the reliability in a coach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coach`s loyalty. Fifth, the satisfaction in a coach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coach`s loyalty.

      • KCI등재

        체육 복지시설 지도자의 관계적 특성과 지도자의 신뢰, 시설과의 관계의 질 및 충성도와의 구조적 관계

        김원기 ( Won Kee Kim ),김도균 ( Do Kyun Kim ),함경수 ( Kyung Su Ha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체육 복지시설 지도자와의 특성과 시설에 대한 충성도간에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두변수 사이에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관계의 질이 어떠한 매개적 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송파체육문화회관, 양천구 체육센터, 시흥시 국민 체육센터, 순천 체육시설관리소 그리고 마산시 체육시설사업소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객 500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대상을 선정한 후 총 484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ver15.0과 AMOS 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 복지시설 지도자의 관계적 특성의 하위요인인 전문성은 지도자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복지시설 지도자의 관계적 특성의 하위요인인 호감은 지도자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 복지시설 지도자의 관계적 특성의 하위요인인 접촉빈도는 지도자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에 대한 신뢰는 복시시설에 대한 관계의 질의 하위요인인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도자에 대한 신뢰는 복지시설에 대한 관계의 질의 하위요인인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지도자에 대한 신뢰는 복지시설에 대한 관계의 질의 하위요인인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도자에 대한 신뢰는 복지시설에 대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복지시설과의 만족은 복지시설에 대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복지시설과의 신뢰는 복지시설에 대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복지시설과의 몰입은 복지시설에 대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looking into what relation is formed betwee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 of a leader in charge of a sports & welfare facility and his/her loyalty to the facility and examine what function as a medium the quality of reliability in a leader & his relationship with a facility does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selected 500 users of the national sports & welfare facilities including Seoul district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process and also selected a total of 484 questionnaires its final valid sample. Data processing was done by using SPSS WIN ver 15.0 and AMOS 7.0 program.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revealed that professionalism,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 of a leader in charge of a sports & welfare fac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liability in a leader . Second, it also indicated that the favorable impress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 of a leader in charge of a sports & welfare fac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iability in a leader. Third, contact frequency,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 of a leader in charge of a sports & welfare fac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liability in a leader. Fourth, the reliability in a lead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in the quality of the relation with a welfare facility. Fifth, the reliability in a lead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iability in relationship,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in the quality of the relation with a welfare facility. Sixth, the reliability in a lead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 involvement,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in the quality of the relation with a welfare facility. Seventh, the reliability in a lead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leader’s loyalty to a welfare facility. Eighth, the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 with a welfare fac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leader’s loyalty to a welfare facility. Ninth, the reliability in the relationship with a welfare fac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leader’s loyalty to a welfare facility. Tenth, the relation involvement in a welfare fac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leader’s loyalty to a welfare facility.

      • KCI등재

        스포츠센터의 관계적 신뢰특성이 신뢰결과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계석 ( Kye Sok Lee ),김용만 ( Yong Ma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주로 조직이나 기업 차원에서만 국한되었던 신뢰의 대상을 상업스포츠센터와 센터의 지도자 두 가지 다차원으로 확장시킨 후, 이들 신뢰 대상이 신뢰 및 신뢰결과요인에 미치는 효과와 더불어 다차원으로 분류된 신뢰 대상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즉, 스포츠센터 관계적 특성(평판, 물리적 특성, 커뮤니케이션)과 지도자 관계적 특성(호감 및 전문성, 접촉빈도)을 독립변수로 하고 신뢰(센터 & 지도자), 고객만족, 센터에 대한 태도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센터에 대한 충성도를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07년 서울특별시와 수원시에 소재한 7개 스포츠센터의 회원이며,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서 표집한 전체 표본 720부 중에서 712부(회수율: 98.89%)를 회수하였다. 이 중 연구에 적절치 않은 61부의 표본을 제외한 651부(응답율: 91.43%)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시점은 센터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센터 지도자에게 강습을 받고난 뒤로 하였다. 사전에 센터지도자에게 양해를 구한 뒤 강습 이후에 고객들에게 강사와의 면담시간을 공지한 후 면담시간에 지도자와 함께 참여하여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배포 및 회수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2.0과 AMOS 4.0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를 하여 모형의 접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스포츠센터 관계적 특성의 하위요인 중 센터에 대한 평판과 센터의 커뮤니케이션은 센터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센터의 물리적 특성은 센터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지도자 관계적 특성의 하위요인인 지도자의 호감 및 전문성과 지도자와의 접촉빈도는 지도자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3) 센터에 대한 신뢰는 지도자에 대한 신뢰, 고객만족 그리고 센터에 대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센터에 대한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 지도자에 대한 신뢰는 센터에 대한 태도와 센터에 대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고객만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5) 고객만족은 센터에 대한 태도와 센터에 대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6) 센터에 대한 태도는 센터에 대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construct of trust which has been mainly applied to both commercial sports centers and coaches in business settings in the past, and to identify the impacts of trust objects on trust and trust consequenc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rust objects. That is, it is to find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 3 kinds of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the relationship quality of commercial sports center (reputation, physical quality, communication) and the relationship quality of instructors (favorableness, professionalism, contact frequency). The mediating variables include the trust (in terms of sports centers and instructors), customer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sports centers. 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degree of loyalty to sports centers. The respondents were members of 7 commercial sports center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in 2007. B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651 sample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statistics (91.43% of response rate). Less than 3% of respondents refused for the participation in this study. Sixty-one samples were excluded because of improper or unanswered answers for this research. The respondents were intercepted on site right after the classes. The respondents were explained concerning process while the instructor existed in the classroom.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Ver. 12.0 and AMOS 4.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putation of sports center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sub-dimensions of sports centers relationship dimension had significant effect upon trust in sports centers, while physical quality of sports centers were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upon trust in sports centers. Second, favorableness of instructors, professionalism and frequency of contact with instructors, which are sub-dimensions of the relationship quality of physical directors had significant effect upon trust in instructor. Third, trust in sports centers had significant effect upon trust in instructors,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loyalty to sports centers, but had negative effect upon their attitude toward sports centers. Fourth, trust in instructors had significant effect upon their attitude toward sports centers and loyalty to sports centers, but had negative effect upon customers satisfaction. Fifth, customer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 upon their attitude toward sports centers and loyalty to sports centers. Sixth, customers` attitude toward sports centers had significant effect upon the degree of loyalty to sports centers.

      • KCI등재

        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초등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오희정,김갑성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4

        Focus of this study is principal leadership that is exercised with school staffs' value judgment selectively and complexly in elementary schools. S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ategorize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s that school staffs prefer with their value judgement and to analyze that because of corresponding with principal leadership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be categorized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s that school staffs prefer in elementary schools, Q methodology was carried out. Through this study, school staffs including principal derived 4 categories of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s with their value judgement and there were characters of 17 types of existing principal leadership in 4 categories multiply. Also, by analyzing P samples' opinion, which help to explain 4 categories, it enhanced understanding about 4 categories in depth.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교장이 지도성을 발휘함에 있어 학교장을 포함한 학교조직 구성원의 가치판단에 따라 수많은 학교장 지도성 유형들 중 각각의 지도성 특성들을 선택적으로 발휘하거나 때로는 복합적으로 발휘하기도 한다는 데 주목하였다. Q 방법론을 적용하여 학교장을 포함한 학교조직 구성원의 가치판단을 반영시켜 학교 현장에서 보이는 학교장 지도성 특징에 더 잘 부합하도록 학교조직 구성원들이 선호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들을 분류하여 범주화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장과 학교조직 구성원의 가치판단을 바탕으로 기존의 지도성 특성들이 묶여 4가지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범주 안에는 기존의 17개 유형 지도성 특성들이 서로 다양하게 묶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개의 범주를 설명하는 표본들로 묶이게 된 연구 대상자들의 견해를 함께 살펴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 KCI등재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몰입과 직무특성, 조직풍토, 역할모호성 및 전문성의 인과적 관계

        주대진,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job involvement,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limate, role ambiguity and expertise of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in Korea.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21 centers out of 156 centers. The subjects for study were 728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by the cluster sampling drawn from the sampled 21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in four clusters(N=4,209).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appli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as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estimating parameters by maximum likelihoo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 index of causal model among job involvement,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limate, role ambiguity and expertise were suitably identified. Second, job characteristics of extension officers had direct effect on job involvement positively and on role ambiguity negatively. However, organizational climate and expertise had not direct effect on it. Third, job characteristics of extension officers had indirect effect on job involvement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role ambiguity. Fourth, Organizational climate of extension officers had indirect effect on job involvement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role ambiguity. Fifth, Job characteristics of extension officers had indirect effect on role ambiguity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Sixth, Job characteristics of extension officers had indirect effect on role ambiguity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Seventh, Job characteristics of extension officers had indirect effect on expertise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role ambiguity.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몰입과 직무특성, 조직풍토, 역할모호성 및 전문성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농업기술센터의 기관 특성에 따라 특․광역시 및 일반시, 도농복합시, 군, 농업행정과 통합된 지역 등 4개 군집으로 분류한 후 각 군집별 기관수에 비례하여 표본수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표본에 대해서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군집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 SPSS 18.0과 AMOS 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몰입과 관련변인 간의 인과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몰입에 대하여 직무특성(β=.958)과 역할모호성(β=-.227)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풍토와 전문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역할모호성은 .048의 간접효과를 보여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풍토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도 역할모호성이 -.207의 간접효과를 보여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역할모호성의 관계에서 조직풍토는 -.217의 간접효과를 보여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전문성의 관계에서 역할모호성도 .051의 간접효과를 보여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성화고 예비신입생 및 학부모의 고교 진학 준비과정 분석: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장명희(Myung-Hee Jang),김종우(Jong-Woo Kim),장영란(Yeoung Ran Jang),정동열(Dong Yul Jung),황영아(Young ah Hw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6

        본 연구는 특성화고 입학생의 고교 진학 준비 과정에서의 경험을 분석하여 특성화고 입학전형 지원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에 특성화고 입학이 확정된 예비신입생 및 예비신입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진학 결정 단계에서는 진로와 적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응답자는 특성화고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선을 우려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 후진학 진학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그 밖에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 입학 동기는 특성화고 설립 취지와 부합하는 학생이 많았으나 성적이나 대학 진학에 따라 입학을 결정하는 학생도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고 진학·진로지도의 경우 중학교 및 특성화고 교사의 도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교에서의 진학·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섯째, 특성화고 정보 수집과 관련하여서는 지속적인 정보 제공 요구와 함께 전공이나 입학전형 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정보 수집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일관된 메시지 전달, 중학교 및 특성화고 교사 대상 진학·진로지도 연수 강화, 입학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전공 정보 제공 및 지원 방안 모색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s support. Accordingly,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igh school preparation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vocational high school freshmen and their paren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considered their career path and aptitude at the stage of deciding to go on to vocational high school, and some were concerned about society's negative views. Second, awareness of the support policy for university admissions to vocational high schools was high, but awareness of other support policies was found to be low. Third, the motivation for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 was ofte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vocational high schools,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decided to enroll because of their grades or college admission. Fourth,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and career guidance,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of great help, but satisfaction with middle schools career guidance was relatively low. Fifth, in terms of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information, the need for continuou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the difficulty in collecting specific information for major or admission preparation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methods were presented to communicate a consistent message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vocational high schools, strengthen advancement and career guidance training for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provide specific major information for admission support.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지도유형과 학생의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이두성 ( Doo Seong Lee ),김영식 ( Young Si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지도유형과 학생의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S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후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요인에서 기본적 태도인 관심도, 중요성, 참여도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특성인 만족감, 자신감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소외감, 불안감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인 준법성 외 협동성, 공격성, 경쟁성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기본적 태도와 심리적 특성 모두 6학년이 5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준법성 외 협동성, 공격성, 경쟁성에서는 6학년이 5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력수준에서는 기본적 태도모두 상이 중, 하보다 높게 나타났다. 만족감, 자신감에서는 상이 중, 하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소외감, 불안감에서는 하가 중, 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협동성, 경쟁성, 준법성에서는 상이 높게 나타났으나 공격성에서는 하가 높게 나타났다. 선호 운동종목에서는 기본적 태도 모두 단체운동이 개인운동, 대인운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만족감에서는 개인운동이 높게 나타났고, 자신감에서는 단체운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외감, 불안감에서는 대인운동이 높게 나타났다. 협동성, 공격성, 경쟁성에서는 단체운동이 높게 나타났으나 준법성에서는 대인운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지도유형과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민주적 행동형은 심리적 특성, 기본적 태도, 사회적 특성의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전제적 행동형은 기본적 태도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긍정적 보상형은 기본적 태도, 사회적 특성, 심리적 특성의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고, 교수와 지시형은 심리적 특성, 기본적 태도, 사회적 특성의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지지 행동형은 기본적 태도, 심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의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types of physical education and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concretely the differences in the learning effect of the affective domain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basic attitudes. The male students were appeared higher than the female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ut the female students were appeared higher than the male in the sense of alienation and uneasiness. It was appeared that the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female in the subordinate factors, but the female students were higher in law-abiding. In school grades, 6th graders were appeared higher than 5th graders in all of basic attitud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6th graders were appeared higher than 5th graders in the nature of cooperation, aggression, and competition, while 5th graders were appeared higher than 6th graders in the nature of law-abiding. The upper was appeared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 bottom in all of the basic attitudes. Also, the upper was appeared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 bottom in the feeling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ut the bottom was appeared higher than the upper and the bottom in the sense of alienation and uneasiness. The upper was appeared in social characteristics, while the bottom was appeared higher in the nature of aggression. In the preferred sports items, the collective sports were appeared higher than the individual sports and the interpersonal sports in all of the basic attitudes. It was appeared that the individual sports was higher in the feeling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ollective sports were higher in the feeling of self-confidence, the interpersonal sports were higher in the sense of alienation, uneasiness. It was appeared that the collective sports were higher in the social characteristics, while the interpersonal sports were higher in the nature of law-abiding. Second, in the relation of the teaching types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ed but low in all except for the relation of the autocratic behavior typ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concretely, ⓐ the democratic behavior type wa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asic attitud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 the autocratic behavior type wa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in the basic attitudes. ⓒ The positive feedback type wa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the basic attitud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 the instructional and order type wa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asic attitud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 the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wa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the basic attitude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ocial characteristics.

      • 교육 지도성 이론의 상호 연관성 탐색

        김현진(Hyunjin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교육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도성 이론들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지도성 이론들이 상호 연관되어 있는 측면을 탐색하였다. 특히 거래적 지도성과 변혁적 지도성이 상호 대비되어 이분법적으로 구분되는 지도성이 아니라 공존하는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탐색하였다. 또한 최근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감성 리더십의 개념을 살펴보고 감성 리더십이 기존의 지도성 이론들과 어떤 측면에서 공존하는 부분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BR>  본 연구를 통해 지도성이론이 기존의 이론들에 기초하여 등장한다는 나선형 발전 모형을 가설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향후 지도성 이론과 관련된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ducational leadership theori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heories. Educational leadership theories are traits theory, behavioral theory, contingency theor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y, and primal leadership theory.<B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it is possible to be positive relations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ather than to be negative relations. Also, it seems that the primal leadership theory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raits leadership theor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y.<BR>  The spiral developmental model of educational leadership theories has been proposed. And further research topics have been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