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희곡과 영화의 「로미오와 줄리엣」비교 연구

        이효원(Hyowon Lee) 한국전자출판학회 2019 전자출판연구 Vol.- No.12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 이야기를 알고 있다면 대부분 영화를 통해 접했을 것이다. 가장 흥행한 영화는 1968년 프란코 제피렐리(Franco Zeffirelli)감독의 <로미오와 줄리엣>과 1996년 바즈 루어만(Baz Luhrmann)감독의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줄리엣>이다. 전자는 원작의 재현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후자는 각색에 초점을 맞추어 서로 다른 주제를 드러내었다. 그밖에도 뮤지컬, 발레, 오페라 등, 셰익스피어가 연극 상연을 위해 쓴 희곡「로미오와 줄리엣」은 오늘날까지 다양한 장르로 OSMU되어 재생산되고 있다. 그 이유는 원작이 가진 예술성과 대중성 때문이다. 시공을 초월하는 사랑이라는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무운시로 이루어진 대사와 르네쌍스의 영국문화가 녹아있는 희곡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바즈 루어만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원작의 예술성을 잘 이해하고 대중적 코드에 맞춰 각색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대중에게 기여한 바가 크다. 텍스트로 읽기 난해한 작품을 영화화 하여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는 작업은 중요하다. 관객들에게 원작에 대한 관심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논고에서는 바즈 루어만의 <로미오와 줄리엣>이 원작을 어떻게 각색했는지 다각도로 분석해봄으로써 셰익스피어와 그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기회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If you know the love story of Romeo and Juliet, probably you got through the movie. The most popular films are <Romeo and Juliet>, directed by Franco Zeffirelli in 1968, and <Romeo + Juliet>, directed by Baz Luhrmann in 1996. If the former focused on the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the latter focused on the dramatization and revealed different themes. In addition, musicals, ballets, operas, and plays written by Shakespeare for theatre 「Romeo and Juliet」, have been reproduced in various genres as OSMU to this day. The reason is because of the artistry and popularity of the original plays. Despite the fact that love i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drama of blank verse and the drama of Renaissance s British culture. <Romeo + Juliet> contributed greatly to the public in that he understood the artistry of the original work and adapted it to popular codes. It is important to make movies that are hard to read in texts and familiarize them with the public. It gives audience an opportunity to be interested in the original text. In this article, we try to find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Shakespeare and his plays Romeo and Juliet by analyzing various ways in which <Romeo + Juliet> adapted the original play.

      • KCI등재

        The Theatricality of Oh Taesok's Romeo and Juliet and Macbeth

        Young-Joo Choi(최영주)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9 셰익스피어 비평 Vol.45 No.4

        이 논문은 먼저 한국 현대 연극사에서 주요한 연출가이면 극작가인 오태석의 연극이 그간의 학문적, 비평론 담론에 갇혀 단순화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한다. 즉, 오태석은 한국인의 근원적 심성을 탐색하여왔다거나, 전통문화를 현대화시키는 데 성공하였으며, 논리를 초월하고 있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하기도 하고, 한국인의 생활 태도를 온전히 수용한 독자적인 연기법을 실천해왔다는 등의 몇 가지 특징을 통해 논의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극단 ‘목화’와 오태석의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과 『맥베스』를 통해 보여준 그만의 독자적인 공연 방식을 연극성의 개념과 결부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즉, 연극성을 연출가가 원작을 해석하며 보여주고자 한 ‘가시적 행위’, ‘의도적인 행위’, ‘구현 행위’로 본 사우터의 개념에 기대어 오태석이 두 공연 작품을 분석하였다. 〈로미오와 줄리엣〉에서는 오태석이 한국의 전통 문화를 시노그라피에 적극 수용하여 새롭게 번안하는 면모를 주요 장면을 통해 살펴보았다. 파비스가 공연에서의 번역은 시각적인 문화 번역을 통해 비로소 완성된다고 말한 것처럼 오태석은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원전의 장면을 한국 전통 문화로 번안하여 새로운 시노그라피를 창출해낸다. 또한 칼슨이 공연은 원전을 완성하고 보완하여 새로운 의미를 성취한다고 주장한 것처럼 오태석은 〈로미오와 줄리엣〉을 통해 분단과 이데올로기의 갈등이라는 한국 사회의 정치 현실을 암시한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원전의 비극이 오태석의 연극성을 통해 즐거운 연극적 체험이자 지금 이곳의 체험으로 가시화되고, 의도되며, 구현된 무대라고 할 수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이 시노그라피에 전통 미학을 적극 수용하였다면, 〈맥베스〉에서는 한국이라는 지역을 너머 좀 더 동양적인 색과 이미지를 선호하는 한편 스페인의 투우 문화를 혼성하여 문화의 상호 소통을 시도한 공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마구간을 연상시키는 무대, 의상의 붉은 색, 투우의 뿔로 만들어진 왕관은 맥베스의 야심과 그의 비극을 투우의 맹목적인 숙명성과 함께 패로디한다. 이처럼 오태석은 무대, 배우들의 의상의 색, 왕관을 통해 공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연하는 동시에, 배우들의 일상적인 연기는 한국인의 일상적 몸짓과 유사하여 관객들은 맥베스와 레이드 맥베스의 비극을 지금 이곳의 필부필부의 이야기로 각성하게 된다. 셰익스피어의 『맥베스』가 한국 문화와 스페인의 문화를 가로질러 관객의 일상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요컨대, 〈로미오와 줄리엣〉과 〈맥베스〉를 통해 오태석은 문화 상호주의 공연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로미오와 줄리엣〉에서처럼 전통문화란 무릇 지역 역사를 통해 전승되어왔기에 의도와 그 형상화가 맥락 속에서 파악되지 않고 미학적인 면만 가시화될 경우 문화 소통의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맥베스〉에서 배우들의 연기가 한국인의 삶의 일상적 제스처와 유사한 경우 문화의 경계를 넘어 그 의도가 소통되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때문에 연극성의 요소로 ‘가시화된 행위’, ‘의도된 행위’, ‘형상화된 행위’가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다. 때문에 연극성이란 특히 문화소통을 위한 공연에서 공연실천가들이 공연 속에서 성취해야 할 부분이며 동시에 관객과 소통되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 베를리오즈의 <로미오와 줄리엣> 연구: 기악과 성악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박윤경 ( Yoon Kyung Park ) (사)음악사연구회 2015 음악사연구 Vol.4 No.-

        베를리오즈의 극적 교향곡 < 로미오와 줄리엣 >은 셰익스피어가 베를리오즈의 삶과 예술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주었는지 예시해 주는 작품이다. 1827년 셰익스피어의 < 로미오와 줄리엣 >을 처음 본 베를리오즈는 그 때의 예술적 충격과 감동으로 극적 교향곡 1839년 < 로미오와 줄리엣 >을 완성했고 그의 줄리엣의 사랑을 쟁취했다. 이 작품은 ‘극적 교향곡’이라는 유례없이 새로운 장르로, 원작의 극적 내러티브에 기초하되, 성악과 기악을 넘나드는 매체적인 다양성, 두 매체에 의한 장면의 중복 제시, 기악 어법의 혁신성, 특히 특정 가사의 의미나 극적 내러티브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는 표현의 자유와 상징주의를 통해 고유한 음악적 내러티브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베를리오즈의 < 로미오와 줄리엣 >이 성악과 기악 매체가 혼합된 극적 교향곡의 틀 안에서 어떤 ‘극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지 규명하고자, 기악과 성악으로 중복 제시된 장면들의 음악적 내러티브와 표현 어법을 분석하였다. Hector Berlioz`s Romeo et Juliette exemplifies how much influence William Shakespeare could have made on an artist`s life and creation. Berlioz`s encounter with Shakespeare in 1827 inspired him to marry his ``Juliet`` and to complete his dramatic symphony Romeo et Juliette in 1839. As a dramatic symphony, Berlioz`s unprecedented invention, Romeo et Juliette displays unique musical narrative through a variety of vocal and instrumental media, double presentation of a scene by both media, and novelty of instrumental idiom, especially freedom of expression and symbolism beyond the meaning of specific words and dramatic narratives, though based on the narrative and structure of the original play. This thesis examines how Berlioz`s Romeo et Juliette shows the dramatic effect in this peculiar genre, by analysing the musical narrative and expression of the sections presented by vocal and instrumental media.

      • KCI등재

        니나가와 유키오의 <로미오와 줄리엣> 시노그래피 연구

        민경찬,조준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It has been 400 years since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was first performed during theElizabethan era in England. After that, many directors around the world have recreated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own scenographic characteristics. In general, most of contemporary directors directing Shakespeare plays adapt the original text tothe extent that it reaches re-creation for their own directing purposes. But Japanese directorNinagawa Yukio kept the original text intact while implementing his scenography. Among hisproducts, this study compared four completely different versions of 〈Romeo and juliet〉 directedby Ninagawa. Ninagawa implemented his own unique scenography four times on stage withoutbreaking up the 〈Romeo and juliet〉 original text. Each version shows a completely differentinterpretation of his self-reliant, directing scenography. At the same time, Ninagawa created hisown unique directing scenography to replace the poetic rhythm of English verse in the originaltext, for the purpose of intriguing the audience. During the process, this study examinedwhether there was a similar stage setting in the Elizabethan performance scenography, such asvertical stage set or dynamic plot progres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mphasis ofscenography's audiovisual spectacle in Ninagawa’s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Demythologization work that made Romeo and Juliet look like contemporary lovers. The purposeof the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scenography of Ninagawa from the perspective ofcontemporary scenography, which encompasses text, actors, directors, and audiences, and tounderstand the unique production scenography without breaking up the original text.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이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 관객에게 처음 선보인 뒤 400년이 지난 지금,전 세계의 많은 연출가들은 자신만의 시노그래피적 특성을 살려서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재창조해왔다. 일반적으로 동시대 셰익스피어극을 연출하는 대다수의 연출가는 원작의 텍스트를 각자의 연출적 목적에 맞게 재창작의 수준에 이를 정도로 개작한다. 하지만 일본 연출가 니나가와 유키오는 원작 텍스트를 그대로유지하면서도 원작과 상이한 자신만의 시노그래피를 구현하였다. 그 중에서도 독특하게 총 네 가지의 완전히 다른 버전으로 창작된 니나가와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상호 비교 고찰해보았다. 니나가와는 원작 〈로미오와 줄리엣〉의 텍스트를 해체하지 않으면서도 그만의 독특한 시노그래피를 무대 위에 네 번이나 구현시켰다. 네 버전 모두 자기해체적인 그의 연출적 시노그래피의 특성을 두드러지게 반영하여 각기 완전히 다른 해석을 드러낸다. 동시에 니나가와는 원작 속 영어 운문이 전달하는 시적 운율을 대체하기 위해 무대 위에 그만의 독특한 연출적시노그래피를 창조해서 관객들의 흥미를 유발 시켰다. 이 과정에서 수직적 무대장치와 역동적인 극 진행과 같은엘리자베스 시대 공연 시노그래피가 유사하게 무대화 된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뿐만 아니라 니나가와 작품속 시노그래피의 시청각적인 스펙타클의 강조와 로미오와 줄리엣을 동시대의 연인으로 바라보게 하는 탈신화작업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렇듯 텍스트, 배우, 연출, 관객 등을 모두 아우르는 동시대적 시노그래피의 관점으로 니나가와의 시노그래피를 고찰하고 분석하여 원작 텍스트를 해체하지도 않고도 독특한 연출적 시노그래피를구현한 니나가와의 연출 세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셰익스피어 원작 <로미오와 줄리엣>의 현대적 변용: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중심으로

        나유진 민족음악학회 2022 음악과 민족 Vol.- No.63

        셰익스피어의 희곡인 <로미오와 줄리엣>은 연극, 영화, 뮤지컬, 무용, 애니메이션 등 거의 모든 분야의 콘텐츠에서 변용 양상을 보인다. 그만큼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주는 권위가 인정된다. 특히 미국에서 뮤지컬과 영화로 제작되어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중 본고에서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에 주목하여 <로미오와 줄리엣>의 현대적 변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새로운 문화적 코드와 결합하여여러 문화 장르로 재창조되고 있다.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의 음악은웅장한 음악과 풍부한 선율 그리고 극적인 구성이 잘 표현되어 있는 서정적인 멜로디를 특징으로 하고,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재즈를 중심으로 팝과 하이테크와 같은 대중음악이 두드러지게 연주되어 전통음악과 현대음악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었다. <로미오와 줄리엣>이 14세기 이탈리아의 베로나를 무대로 두 연인간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 반면,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20세기 미국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초연되어 인종차별과 갈등 현상으로 변용되었다. 두 작품은 연인간의 사랑 관계, 인종간의 갈등 관계 등 개인적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맥락에서 일정한 교훈을 주고 있다. 그 속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대하다.

      • KCI등재

        시간지연을 갖는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모델에서의 거동해석

        황림운(Linyun Huang),배영철(Young-Chul Ba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5 No.2

        사람은 감정을 가진 동물이라고 말한다. 사람의 감정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 하나인 사랑은 사회학과 심리학에서 주된 관심사로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 방정식에서 시간 지연 요소를 사랑에 대한 반응시간으로 가정하여 반영하였다. 줄리엣에만 시간지연이 있는 경우, 로미오에만 시간지연이 있는 경우, 로미오와 줄리엣 모두에 시간지연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이들의 거동을 시계열과 위상 공간으로 나타내고 이들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We say that human have an animal of emotion. There are various kind in the emotion of human. One of among them, love has been studied in sociology and psychology as a matter of great concer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love model with the delay time as response time for love. We also consider it in the Romeo and Juliet of love model to analyze their romantic behaviors. First we consider the Juliet only have a time delay, Romeo only have a time delay, and both Romeo and Juliet have a time delay. We represent their behaviors as time series and phase portrait, and we analyze their difference.

      • KCI등재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의 장르전환 시점에 따른 세 작곡가의 표현 기법 연구

        길한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8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중 가장 많은 수의 음악 작품으로 탄생한 로미오와 줄리엣 의 작곡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로미오와 줄리엣 에 나타난 극적 요소 중 하나인 장르전환을 고찰하고, 이를 자신의 작품에 활용한 세 작곡가의 표현 기법을 분석하였다. 이에 희곡의 특수성에부합하는 음악 장르 즉 음악과 극의 혼합 형태인 발레극, 오페라, 뮤지컬을 중심으로, 음악사에서 인정받은 프로코피에프와 구노, 그리고 번스타인의 작품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먼저 희곡의 장르전환 시점을 ‘결투/복수/추방’의 세 단계로 구분하고, 이후 각 작곡가의 작품에 연계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로 로미오와 줄리엣 에 나타난 장르전환 시점이 세 작곡가의 음악적 기법에 적용되는과정과, 서로 다른 장르적 특성에 부합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곧 문학과 음악의 융합에 대한 효과적 방법의 제시로서, 다양한 예술과 콘텐츠의 결합에 있어 생산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피지컬 드라마’를 통한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 연구: <로미오와 줄리엣>을 중심으로

        김현희 ( Kim Hyun H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공연예술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택트 시대에 언어위주의 공연이 가지고 있는 문제와 한계점을 파악하고 신체연극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포스트드라마 이후 공연예술의 변화와 흐름을 파악하였다. 또한 한국에서는 비주류 장르로 머무르고 있는 신체연극의 한계와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텍스트연극과 신체연극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만든 새로운 형식의 연극 피지컬 드라마 <로미오와 줄리엣>의 공연화 과정을 통해 고전을 재해석하고 텍스트를 공연 텍스트화 하는 과정 그리고 새로운 공연을 구성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피지컬 드라마를 구성하는 메이어홀드의 신체 에쭈드가 배우교육 뿐 아니라 공연의 확장성을 가져올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가능성과 가치를 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피지컬 드라마 <로미오와 줄리엣>을 통해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공연을 제작하여 코로나 시대에 공연예술계의 위기를 극복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revitalize performances and arts that have been stagnated due to Covid-19. This researcher trie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language-oriented performance,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physical theater in the untact time. As a result, could apprehend the changes and flow of performing art after the post-drama. In addition to thi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physical theater, which remain as non-mainstream genre in Korea. Based on this, this researcher suggested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classics and converting text into performance texts and a method of composing a new performance through the performance process of the new type of physical drama, < Romeo and Juliet > that complements the problems of textual plays and physical plays. There are some possibility and value of Mayerhold's physical etude, that constituted of physical drama as a medium. Mayerhold's physical etude can help actor’s education and encourage scalability of performance Therefore, through the physical drama Romeo and Juliet, This researcher intend to present a method for educational application, furthermore try to come up with a plan that can overcome and revitalize the crisis of the performance and art world in the corvid-19 time by producing various types of performances

      • KCI등재

        번안 여성국극의 원작 수용 양상과 문학적 함의 -여성국극 <청실홍실>, <흑진주>를 중심으로

        송소라 ( So Ra So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6

        여성국극 <청실홍실>과 <흑진주>는 각각 1952년, 1961년에 부산극장, 시공관에서 초연된 작품이다. 이들은 그간 여성국극의 레퍼토리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번안하였다는 사실로만 간단하게 언급되었을 뿐, 구체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못하였다. 이는 서사물로써 여성국극의 가치에 대한 선학들의 평가 절하와 대본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다는 연구사적 한계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번안 여성국극 작품과 원작의 거리가 어느 정도인지, 어떤 부분에서 변형·각색이 일어났으며 이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의 문제가 적극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채 연구자들의 관심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1954년 <로미오와 줄리엣>을 번안한 여성국극 대본 <청실홍실>과 1961년 <오셀로>를 번안한 <흑진주>를 대상으로, 각각의 작품이 원작을 어떻게 변형하여 수용하고 있는가의 문제와 셰익스피어의 작을 수용하는 범위가 어째서 달라지고 있는가,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탐색하였다. 먼저 본고는 두 작품을 소개하여 셰익스피어 원작과의 차이를 살펴보고, 두 작품이 원작을 수용하는 정도와 양상에서 차이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청실홍실>의 경우, 원작 <로미오와 줄리엣>의 전반부 - 이룰 수 없는 두 집안의 남녀가 사랑에 빠진다는 설정 - 만수용한 채, 후반부는 원작과는 전혀 다른 서사를 이끌어 간다. 원작이 풀리지 않은 갈등과 오해로 결국 두 남녀의 비극적 결말을 형상화했다면, 여성국극 <청실홍실>은 그 갈등을 전쟁이라는 서사로 자연스럽게 풀어내며 행복한 결말을 만들어 낸다. 번안을 통한 재창조가 이루어진 것이다. 반면 <흑진주>의 경우, 번안이 이루어지면서 개작되기는 하였지만, 원작이 갖는 서사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즉, 신분의 문제를 안고 있는 남성과 고귀한 집안의 여성이 만나 사랑을 이루지만 남성의 오해와 질투로 파국을 맡는 원작의 서사를 그대로 잇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이 같은 원작 수용의 차이를 국내에서 셰익스피어를 수용하는 과정과 결부지어 일차적으로 설명하였다. 요약하여 제시하면, <청실홍실>은 셰익스피어가 문학적·연극적으로 국내에 제대로 소개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줄거리 수준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의 특정 모티프를 기반으로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반면 <흑진주>는 1960년대 셰익스피어가 문학과 연극에서 대중의 사랑을 받고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상황에서 만들어진 작품으로, 여성국극이 새로운 레퍼토리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번안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두 번안 작품이 당대의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통해 두 작품의 문학적 위상을 검토하였다. <청실홍실>은 전쟁이라는 전국가적 경험을 원작으로부터 수용하면서 적극적으로 번안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었다. 작품 내에서 볼 수 있는 충성의 정치학은 이 작품을 행복한 결말로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남북 갈등의 모습을 두 집안의 대립으로 설정하고 화해를 모색하는 결말은, <청실홍실>이 사랑을 외피로 이야기를 다루면서도 동시대의 현실 문제를 결코 간과하고 있지 않음을 드러낸다. <흑진주>는 ① 원작의 진실성과 예술성을 추구하고, ② 국극이 지닌 특성을 발휘하여, ③ 재래의 매너리즘에서 벗어나려는 목적으로 <오셀로>를 선택, 번안하는 과정에서 탄생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번안의 배경에는 점점 관객을 잃고 있는 여성국극의 현실 상황을 타개하려는 여성국극 내부의 자성의 목소리와 여성국극의 레퍼토리를 둘러싼 내·외부의 문제점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흑진주>는 남녀의 시시콜콜한 연애 문제를 정형화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다룸으로써 재래의 매너리즘을 극복하지 못한 것은 물론 원작의 진실성과 예술성을 구현하기 위해 비극적 결말을 살리는 과정에서 작품을 무겁고 지루하게 만들고 말았다. 또한 남성의 질투로 모두가 파국을 맞는 서사가 정서적 공감을 주기엔 무리가 있었고, 무리한 국극식의 행복한 결말도 전후 개연성 없이 일어나 관객에게 어떤 뚜렷한 메시지를 전달하지도 못하였다. 결국 플롯이 주는 감동의 효과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wo female Gukguek literature adaptations - <The Red and Blue Thread> which adapted <Romeo and Juliet> in 1954 and <The Blakc Pearl> which adapted <Othello> in 1961- to analyze how the original pieces were transformed different and accepted into the adaptations, why the acceptance range of Shakespeare`s original piece differs in two works, and what that implies. This article will, first introduce the two female Gukguek works in order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with Shakespeare`s original pieces, and second identify how each two adaptations differ in acceptance degree and complexion from the orignal works. In <The Red and Blue Thread>, only the beginning setting is identical with <Romeo and Juliet>, but as the story proceeds the story changes into whole different one. If the original composition was about a couple ending tragically due to perennial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s, the female Gukgeuk <The Red and Blue Thread> has a happy ending which all the discords are resolved through the war narrative.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recreation happened, changing the story in big parts.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Black Pearl> is as well as an adaptation, it follows the same narrative as <Othello> does. The storyline is identical which is despite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between a couple, they fall in love at the beginning but breaks down due to the man`s misleading and jealousy. This article primarily explains why the acceptance range of Shakespeare on account of the acceptance processes and backgrounds. In short, <The Red and Blue Thread> was written before Shakespeare was thoroughly introduced and understood in Korea. Thus, in the outline level, it was borrowed the rudimentary and specific motif of <Romeo and Juliet>. On the contrary, <The Black Pearl> was written in 1960 when Shakespeare was widely beloved in both literature and theatre by the public. The female Gukguek in that time was finding new repertoires that it borrowed Shakespeare`s work as a new attempt. Lastly, this writing reviews how the two adaptations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and their literary status. <The Red and Blue Thread> is an active creation by unfolding against the background of war, a nationwide issue. The conflict between two families transformed into conflic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discords are resolved as the protagonist in the outside tells her love story as well as in the inner part expresses her political views of the time. Such narrative clearly shows that the story definitely and successfully both contained the ardent love story and the poignant political reality. <The Black Pearl> was a recreation ① in pursuit of veracity and artistry of the original work, ② through exhibiting the attributes of Gukgeuk, and ③ for the purpose of escaping the traditional mannerism. Such adaptation was a call for self-examination to break through the downturn of female Gukgeuk and overcome criticisms of the repertoire of female Gukgeuk. However, <The Black Pearl> had the limits as it adapted the storyline of <Othello>, it can not overcome the traditional mannerism because it deals with relationship issues of women and men as it did from the past and it makes the audience boring because of origin`s heavy topics and Othello`s long monologue. In addition the plot which makes the tragedy for the man`s misunderstanding and jealousy can not make people feel empathy. Ultimately <Black pearl> can`t give the impression of narrative to audience.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서의 『로미오와 줄리엣』: <웨스트사이드 스토리>를 중심으로

        황연(Yan Huang),황승현(Seunghyun Hwang)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23 셰익스피어 비평 Vol.59 No.1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has been expressed in numerous forms, including film, screen media, and performing arts, and in adaptations such as West Side Story. This paper aims to define three core themes of Romeo and Juliet (two opposing groups, love of young lovers, and tragic death) as mono-narrative, which is the original element and starting point of transmedia storytelling. As the mono-narrative was adap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eras, the transformed contents shared the same narrative worldview, built a whole story world in the content area, and allowed for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Focusing on six productions of West Side Story (musicals and films from 1957 to 2021),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three themes of the Romeo and Juliet text can be developed into transmedia content. In the analysis process, the musicals and films before 2009 are defined as the old media storytelling in which the audience unilaterally enjoys and evaluates the content, and the musicals and films of 2020 and 2021 are defined as new media storytelling in which audience participation directly influences the storytelling and construction of the story world through the SNS movement in the production and publication proces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torytelling of West Side Story, once limited to the concept of adaptation, is unfolding in the form of 21st century transmedia storyt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