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르투오소와 장애: 파울 비트겐슈타인을 위한 왼손 피아노 작품을 중심으로

        박윤경 ( Yoonkyung Park ) (사)음악사연구회 2018 음악사연구 Vol.7 No.-

        본 논문은 비르투오소 담론에 있어서 몸의 내러티브에 초점을 두고 특별히 왼손 피아니스트를 위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비트겐슈타인(Paul Wittgenstein, 1887~1961)은 1차 세계대전 참전 중 오른팔을 잃은 후 라벨, 브리튼, 프로코피에프를 포함한 동시대 작곡가들에게 왼손을 위한 피아노 작품을 위촉했고, 이 작품들은 왼손을 위한 피아노 문헌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작품들을 중심으로 비트겐슈타인의 연주활동과 비평을 둘러싼 시대적 관심을 읽어봄으로써 악보의 요구에 직면하여 장애와 극복의 문제, 또한 몸의 내러티브를 규명하고, 비르투오소 연주에 대한 보다 명시적인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This thesis considers narratives of body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of virtuoso, focusing on piano literature for the left hand. Paul Wittgenstein(1887~1961), lost his right arm in the first World War, commissioned his contemporary composers such as Maurice Ravel, Benjamin Britten, and Sergei Prokofiev to compose concert piano works for him, many of which are regarded masterpieces in left-hand piano literature. Based on these works, this thesis illuminated Wittgenstein's achievement and contemporary criticism about him, and attempted to interpret narratives of body, especially narratives of disability and overcome confronting technical demand for the score.

      • 베를리오즈의 <로미오와 줄리엣> 연구: 기악과 성악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박윤경 ( Yoon Kyung Park ) (사)음악사연구회 2015 음악사연구 Vol.4 No.-

        베를리오즈의 극적 교향곡 < 로미오와 줄리엣 >은 셰익스피어가 베를리오즈의 삶과 예술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주었는지 예시해 주는 작품이다. 1827년 셰익스피어의 < 로미오와 줄리엣 >을 처음 본 베를리오즈는 그 때의 예술적 충격과 감동으로 극적 교향곡 1839년 < 로미오와 줄리엣 >을 완성했고 그의 줄리엣의 사랑을 쟁취했다. 이 작품은 ‘극적 교향곡’이라는 유례없이 새로운 장르로, 원작의 극적 내러티브에 기초하되, 성악과 기악을 넘나드는 매체적인 다양성, 두 매체에 의한 장면의 중복 제시, 기악 어법의 혁신성, 특히 특정 가사의 의미나 극적 내러티브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는 표현의 자유와 상징주의를 통해 고유한 음악적 내러티브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베를리오즈의 < 로미오와 줄리엣 >이 성악과 기악 매체가 혼합된 극적 교향곡의 틀 안에서 어떤 ‘극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지 규명하고자, 기악과 성악으로 중복 제시된 장면들의 음악적 내러티브와 표현 어법을 분석하였다. Hector Berlioz`s Romeo et Juliette exemplifies how much influence William Shakespeare could have made on an artist`s life and creation. Berlioz`s encounter with Shakespeare in 1827 inspired him to marry his ``Juliet`` and to complete his dramatic symphony Romeo et Juliette in 1839. As a dramatic symphony, Berlioz`s unprecedented invention, Romeo et Juliette displays unique musical narrative through a variety of vocal and instrumental media, double presentation of a scene by both media, and novelty of instrumental idiom, especially freedom of expression and symbolism beyond the meaning of specific words and dramatic narratives, though based on the narrative and structure of the original play. This thesis examines how Berlioz`s Romeo et Juliette shows the dramatic effect in this peculiar genre, by analysing the musical narrative and expression of the sections presented by vocal and instrumental media.

      • 영국 BBC 프롬즈를 통해 살펴본 음악후원 연구

        박윤경 ( Yoonkyung Park ) (사)음악사연구회 2019 음악사연구 Vol.8 No.-

        본 연구는 한 세기 넘게 이어져 오고 있는 세계적인 음악축제인 BBC 프롬즈를 통해 음악공연을 둘러싼 예술성과 대중성의 화합가능성과 음악 후원 상황을 살펴보고 음악의 수용과 청중 소통의 주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프롬즈의 프로그램과 관련 이벤트 사례들을 중심으로 공연의 기획의도와 전략을 읽어보고, 이어서 프롬즈를 통해 확장된 레퍼토리와 위촉의 양상을 조명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롬즈가 문예부흥과 교육이라는 초기의 기획 전략을 큰 맥락에서 유지해 오고 있으며, 클래식 음악에 관심을 가진 청중의 기대와 작곡가의 예술적요구가 충족되는 지점을 찾고, 대중적인 매체나 장르와의 결합도 적극 활용하는 등 소통의 플랫폼을 마련하는 중추적인 음악후원의 역할을 해 오고 있음을 다양한 사례들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considers issues surrounding art music and popularity, reception, and patronage, based on the BBC Proms as a model of world-wide music festival which has continued over a century. The first chapter attempts to read a tendency or strategy from the Proms programs and related events. The second chapter illuminates aspects of the Proms’ expanded repertory, novelties, and commission. Through several examples and statistics, this research corroborates that the Proms has retained its initial strategy of artistic cultivation and education, embraced the popular medium and even various popular genres, and played a role of musical patron by providing the major platform for audiences’ and contemporary composers’ demand.

      • 17C 종교개혁 이후 『제네바 시편가』의 <시편 134편>에 대한 적용과 발전

        박은지 ( Eun Ji Park ) (사)음악사연구회 2017 음악사연구 Vol.6 No.-

        프랑코 스위스(Franco-Swiss)의 종교개혁자 쟝 칼뱅(John Calvin, 1509-1564)은 1562년에 제네바에서 『제네바 시편가』(Le Psautier de Geneve, 1562)를 출간하였다. 칼뱅의 예배음악 철학이 담긴 『제네바 시편가』는 스트라스부르 버전과 제네바 버전(1539-1562) 등 여러 에디션 과정을 거치며 발전하였고, 출간 이후 여러 나라에 널리 퍼져 세계 각국의 교회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네바 시편가』의 시편 찬양이 현재까지 이어져 활발히 불리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시편 134편>(Psaume 134) 이다. 이 찬양은 『제네바 시편가』의 1551년 에디션부터 떼오도르 베즈(Theodore de Beze, 1519~1605)의 텍스트와 루이 부르주아(Loys Bourgeois, c. 1510-1559)의 선율로 작곡되어 소개되었다. <시편 134편>선율은 프랑스를 비롯해 영국과 미국에서 특히 잘 알려졌고, 기독교 개혁 찬양으로 선호되어 전 세계에 널리 전파되었다. 본 논문은 『제네바 시편가』의 <시편134편>을 중심으로 이 찬양의 근원을 비롯하여 프랑스와 영국, 그리고 독일에서 나타난 찬양의 적용과 발전의 발자취를 따라 각국의 교류 정황과 역사적 변천사를 분석한다. In 1562, Geneva, Franco-Swedish Christian Reformer John Calvin(1509-1564) published "The Genevan Psalter" (1562). Calvin continued to develop "The Genevan Psalter", which reflects his views on music and worship, through many installments after its publication, including the Strasbourg and Genevan versions(1539-1562), and it has greatly influenced liturgical music worldwide. < Psalm 134 >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hymns from "The Genevan Psalter", and is frequently sung to this day. Written and composed by Theodore de Beze(1519-1605) based on a melody by Louis Bourgeois(c. 1510-1559), this psalm first appeared in the 1551 edition of "The Genevan Psalter" . Its melody is particularly well-known in France,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nd has been distributed among and used by reform congregations around the world. This thesis focuses on < Psalm 134 > from "The Genevan Psalter" and traces its origi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in France,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analyzing the historical changes in each country and their relationships to one another.

      • 영화 미디어, 사운드를 만나다 : <버드맨>의 경우

        채희상 ( Chae Hee Sang ) (사)음악사연구회 2020 음악사연구 Vol.9 No.-

        본 논문은 음악을 비롯한 영화의 사운드가 영화의 내러티브 실현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는 영화음악이 내러티브실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는 < 버드맨(Birdman) >(2014)을 선택하였다. 분석에 앞서 영화음악에 관한 이론적 흐름을 정리하였다. 고전주의 영화이론에서 음악 및 사운드에 관한 이론은 사운드가 이미지와 어떤 관계에 있느냐를 기준으로 ‘평행주의―대위법’의 스펙트럼 위에서 전개되었다. 1980년대 이후 영화음악의 이론적 관점에 근본적 변화가 발생한다. 이미지와 사운드의 ‘평행주의-대위법’ 관계에서 이미지와 사운드의 상호의존적 관계로의 관점의 이동은 영화음악 연구에 방향을 바꾸게 만들었다. 현재 영화음악 연구들은 대부분 음악 및 사운드가 영화의 내러티브와 맺는 관계를 다루고 있다. <버드맨>의 음악 사용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드럼 솔로가 영화의 전체 내러티브를 이끌어 간다는 점이다. 안토니오 산체스(Antonio Sánchez)의 드럼 연주는 앰비언스(ambience) 사운드 디자인을 통해 영화 속 디제시스(diegesis)적시공간과 영화 밖 극장 안 관객의 시공간을 넘나들며 내러티브의 리듬을 조절한다. 관객은 드럼 솔로의 비트와 리듬에 맞춰 영화 속 리건의 삶을 들여다본다. 리건의 삶은 싱글쇼트효과(single shot effect)를 통해 재현되면서 ‘삶은 하나의 연속선상에 놓여있는 과정’임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버드맨>은 ‘이미지-사운드-내러티브’의 정교한 관계 설정을 통해 영화에서 영화음악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how the sound of movies including music plays a role in the narrative execution of movies. Birdman (Alejandro González Iñárritu, 2014), in which film music is actively involved in narrative execution, was selected as the analysis text. Prior to the analysis, the theoretical flow of film music was summarized. In classical film theory, theories about music and sound developed on the spectrum of ‘parallelism―counterpoint’ based on how sound relates to images. After the 1980s, a radical change took place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film music. The shift of perspective from the ‘parallelism-counterpoint’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sound to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sound has chang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film music. Currently,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film music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ound and the narrative of the film.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Birdman 's use of music is that the drum solo leads the whole narrative of the film. The drumming of Antonio Sánchez adjusts the rhythm of the narrative through the ambience sound design, crossing the time and space of diegesis in the film and the time and space of the audience inside the theater outside the film. The audience looks into Regan's life in the movie according to the beat and rhythm of the drum solo. Regan's life is expressed through the single shot effect, telling us that ‘Life is a process that lies on one continuous line’. Birdman demonstrates the role of film music in movies through the elaborate relationship of ‘image-sound-narrative’.

      • 16~18세기 회화에서 나타난 리코더의 이원적 상징성

        안미정 ( Meejung Ahn ) (사)음악사연구회 2016 음악사연구 Vol.5 No.-

        리코더의 상징적인 기원은 고대 그리스의 관악기 아울로스(aulos)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화 속에서 감성, 사랑, 열정을 상징하는 악기로 자주 등장했던 아울로스는 감성의 신 디오니소스를 찬양하고 숭배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면서 이성의 신 아폴론의 악기 리라(lyra)와 항상 대조되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악기였다. 감성과 이성이라는 이원적 세계 중 후자의 세계에 속하는 악기로서 아울로스는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여러 도상들에서 상징적으로 등장해왔다. 그러나 중세 시대부터 리코더가 부상하면서 도상 속에서는 아울로스 대신 리코더가 많이 등장하게 되었고, 르네상스 시대부터 시대를 대표하는 관악기로서 리코더가 여러 회화 작품들에서 하나의 소재로서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신화에서 감각적 세계를 담당하던 아울로스의 상징성이 리코더의 상징성으로 전이된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르네상스와 바로크 회화를 중심으로 하는 16~18세기 회화에서 리코더의 상징성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탐구한다. 이를 통해 이성과 감성의 이원적 세계에서 후자의 영역에 국한되었던 리코더의 상징성이 르네상스에서 바로크 시대로 넘어가면서 한정된 이원적 세계의 틀을 깨고 더 확장된 상징성을 가지는 아이콘으로서 발전함을 고찰한다. A symbolistic origin of the recorder traces back to the aulos, a wind instrument of the ancient Greek. The aulos, which appeared as a symbol for sensibility, love, and passion in Greek mythology, plays a role of praising and worshiping Dionysos, the god of wine and ecstasy, in contrast to the lyra of Apollon, the god of reason. Between a dualistic world of reason and sensibility, Aulos, which belongs to the latter, had symbolically appeared in many artistic paintings up until the ancient Greek period. However, since the recorder came to light from the Medieval ages, it begins to appear in many paintings in place of the aulos. From then on, the recorder becomes the one of the main subjects in various paintings since Renaissance, representing all wind instruments. In this article, it studies a transfer process of symbolism from the aulos to the recorder. Then, it will research how the symbolism of the recorder is reflected in the paintings from the 16th to 18th century. In doing so, it considers how the symbolism of the recorder, which had been confined to the world of sensibility, has expanded, breaking the dualistically-restricted symbolic world of the ancient Greek.

      • 올리비에 메시앙의 <그리하여 나는 죽은 이들의 부활을 소망한다>에 나타난 종교, 인도 리듬 및 음색에 관하여: 1, 2악장을 중심으로

        노재현 ( Jae-hyun Noh ) (사)음악사연구회 2017 음악사연구 Vol.6 No.-

        프랑스 작곡가 올리비에 메시앙(Olivier Messiaen, 1908~1992)은 20세기 작곡가중에 천주교 신앙을 작품에 가장 잘 담아낸 작곡가일 것이다. 어릴 적 생긴 신앙이 그를 평생 지탱해 주어 심지어 전쟁이라는 침울한 시기 속에서도 신앙의 힘으로 풍성한 작품 활동을 해 나갔다. 프랑스 문화부 장관이 위촉한 <그리하여 나는 죽은 이들의 부활을 소망한다>(< Et Exspecto Resurrectionem Mortuorum >, 1964)는 제 1, 2차 세계대전 당시 종사한 영혼들을 기리는 음악이다. 이 곡의 1악장은 죽은 자들을 기리지만, 2악장부터 작곡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을 전쟁과 결부시켜 희망적인 메시지를 음악으로 담아내고 있다. 이 작품 속에는 메시앙이 젊은 시절부터 사용하던 선법, 선법에서 유출된 화성, 인도 리듬, 특정 음정 관계, 새소리 등의 사용 등이 빈번하며, 각각의 요소에 생명체를 불어 넣어 그들만의 정체성을 확립시켜 주었다. 삼라만상의 모든 요소들을 음악과 결부시켜 새로운 음색을 창출해 낸 메시앙은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작곡가 중 한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French composer Olivier Messiaen is one of the finest composer in the twentieth century who has fusionned art and religion. His faith has influenced all his life, even in difficult time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With the strength given by faith, Messiaen has made multiple musical activites. The French Ministry of Culture has commissioned an orchestral piece called < Et Exspecto Resurrectionem Mortuorum > to commemorate those who have sacrificed their liv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Except the first movement where the composer describes the suffer of the dead, all the other movements gives a hopeful messag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n this piece can we see several compositional techniques of Messiaen, such as the monophony melody, the harmonies leaked from the melody, indian rhythm, specific musical intervals, the song of a bird & etc. Messiaen has given a new life to these non musical aspects and a new identity. Messiaen has fusionned the music with all the things that surrounds us and given them a new harmonic color. That’s why it is never enough to qualify Messiaen as one of the greatest composer in this twentieth century.

      • 18세기 영국 극음악 장르의 발달과 특징 - 영국 오라토리오와 발라드 오페라 등장을 중심으로

        오지희 (사)음악사연구회 2019 음악사연구 Vol.8 No.-

        18세기 영국 음악사는 17세기 퍼셀 이후 19세기 영국음악의 르네상스가 등장하기 전까지 어둠의 시대로 불린다. 그러나 이 시기는 영국 극음악의 다양한 장르가 발전하던 때이며 이러한 극음악이 활성화될 수 있는 음악문화도 적극적으로 조성돼 있었다. 18세기 초·중반 영국은 이탈리아에서 건너온 오페라, 영국 오라토리오, 발라드 오페라 이 세 장르가 혼재해 있었다. 시기별로 유행하던 장르는 달랐지만, 중요한 것은 이 시대가 영국 극음악의 최전성기였다는 데 있다. 그것은 18세기 영국이 헨델과 같은 뛰어난 작곡가를 배출하지 못한 어둠의 시대가 아닌, 종합예술인 극음악을 활발히 누릴 수 있었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음악활동 시기임을 뜻한다. 또한 18세기 영국에서는 숭고미 이론이 발달했다. 헨델의 오라토리오로 대표되는 영국 오라토리오에는 장엄함과 숭고함이 깃들어있었다. 헨델은 오페라를 만들면서 오라토리오도 작곡했다. 단지 시기별로 오페라에서 오라토리오로 중심이 이동했을 뿐이다. 한편 이탈리아 오페라가 한창 상연되던 시기에 영국적인 발라드오페라도 등장했다. 발라드 오페라에는 당시 유행하던 모든 다양한 노래가 들어있었으며 기존 영국 궁정 마스크가 갖고 있던 대사의 중요성과 연결된다. 영국식 오라토리오와 영국식 발라드 오페라의 성공은 이탈리아 레치타티보가 결코 영국식 가사를 이길 수 없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English Music in the 18<sup>th</sup> century is so called ‘A Dark Age’, which means England from the 17<sup>th</sup> century after Purcell to the English Renaissance in the 19<sup>th</sup> century did not have creative composers like German musicians. However, this was the period that various type of English theater music had been developed. Moreover the people in England were eagerly fond of cultivating musical life. English music especially in the first half of the 18<sup>th</sup> century saw Italian opera and English oratorio by Handel, and the ballade opera by Gay. Those three genres were enjoyed in the same time. But I emphasize on the fact that this time was the highlight of that kind of theater music. This period was not a Dark Age but a positive, energetic age concerning on their theater music. England in the 18<sup>th</sup> century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ublimity theory. English Oratorio by Handel had some solemnity and sublimity in it. Handel produced Italian opera and English oratorio around the same age. He simply shifted the pivot on his greatest interests. Meanwhile, A ballade opera by Gay appeared while Italian opera had been in fashion. The ballade opera had quite diverse songs. And the dialogue was linked to the English Masques. After all, the success of the English oratorio and the English ballade opera showed that Italian opera recitativo could not survive in England.

      • 19세기 바이올린 연주 자세에 대한 연구: 바이요의 『바이올린의 기술』을 중심으로

        박은지 ( Eun Ji Park ) (사)음악사연구회 2016 음악사연구 Vol.5 No.-

        19세기 프랑스 바이올린 악파의 대표 주자인 피에르 바이요(Pierre Marie Francois de Sales Baillot, 1771-1842)는 1834년에 바이올린 교육저서, 『바이올린의 기술, L`art du violon : nouvelle methode』(Paris, 1834)을 출판했다. 이 책은 19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고 진보적이며 유용한 바이올린 논서이다. 바이요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바이올린 연주 테크닉을 근대와 유사한 형태로 끌어올린 당시 바이올린 연주자들의 테크닉 훈련을 위한 최고의 교육저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18세기까지 확립되지 못하고 전해오던 다양한 연주의 기본자세를 19세기에 등장한 새로운 세부적 사항들을 반영하여 체계적으로 확립시켜 19세기 이후 유럽의 새로운 바이올린 연주 테크닉과 전 세계 바이올린 연주자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은 바이요의 저서 『바이올린의 기술』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고 그가 제시한 기본자세를 정리하여 이전 바이올린 논문에 등장했던 연주자세의 역사적 변천사를 함께 분석한다. A distinguished representative of the great classical school of violin-playing in France, Pierre Baillot (Pierre Marie Francois de Sales Baillot, 1771-1842) published an educational book, "L`art du violon: nouvelle methode"(Paris, 1834) in 1834. This book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influential, progressive, and useful treatise on violin in the 19<sup>th</sup> century. It not only served as the best instructional book to train the technique of violinists but also, with its basi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Baillot, played the role of raising the weakly established playing techniques prior to the 19<sup>th</sup>century to a form that closely resembles those of the contemporary. Furthermore, the book is worthy of note in that it considers new detailed techniques that appeared in the 19<sup>th</sup> century to firmly establish the unsettled basic playing attitudes of the 18<sup>th</sup> century, influencing new violin performance techniques after the 19<sup>th</sup> century in Europe, as well as violinists around the globe. This thesis casts light on the historical value of Baillot`s book "L`art du violon: nouvelle methode", and organizes the basic attitudes he proposed, in order to simultaneously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erformance attitudes that appeared in previous dissertations on the violin.

      • 로저 퀼터(Roger Quilter)의 셰익스피어 연가곡 연구: < 세 개의 셰익스피어 노래 >

        박주향 ( Joohyang Park ) (사)음악사연구회 2015 음악사연구 Vol.4 No.-

        < 세 개의 셰익스피어 노래 >는 < 오너라 죽음아 >, < 오, 사랑하는 그대 >, < 불어라, 불어 그대 겨울바람아 >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사는 셰익스피어의 희극 시대(1600년 이전)에 속한 작품들이 사용되었다. 첫 번째 곡인 < 오너라, 죽음아 >는 5막으로 구성된 희극 『십이야』(Twelfth Nigh t, 1599-1600) 중 2막에서 가져왔으며 희극의 분위기와 유사하게 침울한 분위기로 작곡되었다. 대부분 퀼터의 작품이 그러하듯이 이 곡도 마찬가지로 두 번째 부분은 첫 번째 부분의 선율과 리듬을 변형한다. < 오, 사랑하는 그대 >도 첫 곡처럼 『십이야』 중 2막에서 가져온 곡으로, 첫 번째 곡과 반대로 밝은 분위기를 나타낸다. < 불어라, 불어 그대 겨울바람아 >는 5막으로 구성된 희극 『좋을 대로 하시든지』(As You Like It , 1599-1600) 중 2막의 가사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 곡은 마지막 작품임을 나타내듯 이전의 두 작품들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작곡되었다. 강렬하고 어두운 분위기를 나타내는 구절과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보여주는 구절이 교대로 나오며, 선율 또한 가사의 내용에 맞춰 대조적인 성격의 선율이 제시된다. Quilter`s Three Shakespeare Songs, Op. 6, is his first set of Shakespeare settings. The first song, Come away, Death, from Twelfth Night , achieves a state of melancholy but avoids depression, which is appropriate for its context in the play. As often occurs in Quilter`s songs, the second verse is varied in the accompaniment rather than the melody, and the piano wreathes arpeggiated triplets around the melodic line. O Mistress mine, also from Twelfth Night, is a charmingly persuasive air notable for its consistently disjunct melodic line. The accompaniment and vocal line coexist, echoing the ambiguous relationship of the singer and his intended: sometimes meeting up, and sometimes going separate ways. Blow, blow, thou Winter Wind combines elements of the previous two songs. The text, from As You Like It, alternates a bitter verse and a less pessimistic refrain. Two different time signatures also enha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erses, one funereal and one danceli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