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한성부(漢城府)에서의 호구단자(戶口單子), 준호구(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문현주 한국고문서학회 2013 古文書硏究 Vol.42 No.-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한성부의 호구 문서를 검토하여 작성자, 작성 과정의 변화, 담당자 등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본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글을 모르는 평천민이나 양반의 경우 호구단자와 준호구를 타인(주로 外人)에게 대리 작성시켰으며, 글을 아는 양반의 경우라도 제3자에게 쓰도록 한 경우가 있었는데 대리 작성자가 대개 집안사람의 범위는 넘지 않았다. 部 단위 서사자의 차출 여부는 현재로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 전기와 달리 후기에는 戶首가 호구단자를 제출한 이후 준호구도 추가로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이 법식이었다. 이후 문서 작성 과정의 간소화, 즉 호구단자 2장과 준호구 1장을 제출하던 관행에서 호구단자 1장만을 제출하는 것으로 변화하게 되었는데 이에 대한 배경으로서 1차적인 것은 거두어들이는 單子紙가 백성들에게는 부담이 됨과 동시에 한갓 관료 개인의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의론이 있기 때문이었다. 2차적으로는 단자를 걷는 번거로움으로 인한 별도의 서원 차출 비용 부담과 그들의 농간을 들 수 있다. 한성 5部 간에도 문서 작성 과정의 간소화 시점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현재로서 알 수 있는 것은 동부의 1774년뿐이다. 간소화 이후 문서의 양식은 동일 식년 같은 契 안에서도 달랐으나 현재 남아있는 한성부 준호구의 거의 대부분은 連書 형태이다. 이는 경주부의 경우 간소화 이후 列書 형태로만 작성되었던 것과 다른 점이다. 한편 경주에서의 간소화 시점은 1738년이었는데 한성부 동부는 1774년이니, 한성부가 외읍인 경주보다 36년이나 늦다. 한성부에서 호구단자 수합부터 호적대장의 등서에까지 소요되었던 시일은 8개월 정도였다. 이후 작업 기한의 촉박 등으로 인하여 호구단자의 상식년 수합이 결정되면서 문서 작성상에 변화가 나타났다. 실제로 준호구 1장을 올리는 것은 ``상식년``이면서, 문서의 시면과 기두어에는 ``식년``의 연호를 썼던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준호구의 대부분은 이처럼 식년(또는 상식년)에 호적 작성의 일련의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호적 실무를 담당한 것은 행정 체계의 최하위 단위인 방의 管領과 계의 任掌이었다. 각 계의 임장은 직접 가호마다 호구단자를 걷으러 돌아다녔는데, 단자 수합에 문제가 발생하면 部의 主簿와 書員까지 벌을 받았다. 실질적으로 호구단자를 걷는 일은 가장 말단인 각 계에서 임장이 하는 업무이지만, 전체적인 호적 업무에 있어서는 한성부를 중심으로 하여 部-坊-契의 임원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18-19세기 삼척 지역 이귀재 가문 호구자료의 현황과 의미

        한성주 한국고문서학회 2018 古文書硏究 Vol.52 No.-

        본고는 18∼19세기 삼척 지역 李貴才 가문의 호구 자료의 현황과 가계 계승의 일면을 살펴보고, 호구 자료가 가지는 특징과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귀재 가문의 호구 자료는 1741년부터 1858년까지 117년 간 4대에 걸쳐 남아 있으며, 이귀재의 4조 사항까지 포함하면, 이 호구 자료를 통해 7대에 걸친 가계 계승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귀재 가문에는 총 20건의 고문서가 남아 있는데, 1건이 교령류이고, 나머지 19건이 호구 자료이다. 이귀재가 정선에서 거주할 때의 것이 2건이고, 나머지 17건은 이귀재 및 그 후손들이 삼척에서 거주할 때의 것이다. 삼척 지역 준호구 문서에는 ‘三陟府傳准(傳準)’이 표기되고 있어 특이한 사례로 파악되어 왔다. 이귀재 가문의 준호구에도 ‘삼척부전준’이 나타난다. ‘호구 전준’은 호구대장의 내용에 준하는 문서, 즉 준호구의 문서 행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호적 업무의 실무적 담당자들이 준호구의 발급에도 간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삼척 지역의 ‘삼척부전준’의 경우 실제 지역에서 문서 발급 업무를 수행하던 지방의 호적 실무자들, 또는 아전들의 행위가 관습적으로 투식화하여 전해지면서 지역성을 지니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호적 업무의 실무적 담당자들이 호적대장의 분실 또는 소실 등 여러 이유로 호적과 관련된 사항을 확인하기 어려웠을 때 전준을 신청하여 준호구를 발급받은 것은 아니었을까라는 추정도 가능하다. 또한 이귀재 가문의 호구 자료는 직역과 여성들의 호칭 변화를 많이 보이고 있다. 특히 이귀재는 정선에 거주할 때부터 비양반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삼척으로 이거하면서 호구 자료의 변조와 공명첩의 구입을 통한 신분 상승을 시도하였다. 삼척으로 이주한 이후 이귀재는 직역이 나타나지 않거나, 처를 安召史라 지칭하였다. 이귀재의 아들 이소다시가 折衝將軍이 되면서 처의 호칭도 韓姓으로, 며느리들의 호칭도 良女에서 姓으로 바뀌었으며, 아들들의 직역 역시 保人에서 業儒로 바뀌어 표기되었다. 이후 부인과 며느리의 호칭이 韓氏, 朴氏, 金氏로 바뀌었지만 이소다시가 죽자 다시 며느리들의 호칭이 姓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이소다시의 아들 李成大가 嘉善大夫의 관직을 받자 여성들의 호칭이 다시 氏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이 집안은 이귀재, 이소다시(이백이), 이성대가 공명첩을 매득하면서 신분 상승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왔고, 공명첩 매득을 통한 신분 상승은 한 두 번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1882년 李元陪의 준호구는 이장한과 그의 처 裵氏의 4조 사항을 도용한 것임이 확인된다. 이원배는 도상면 제1리에, 이장한은 제2리에 거주하여 사실상 같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또한 이원배의 도용은 이장한의 마지막 호구단자로부터 20여 년 뒤에 나타난 것이다. 그런데 이원배의 준호구는 삼척부 官印과 府使의 署押, 周挾改印이 찍혀 있어 정상적으로 발급된 것으로 보인다. 거의 동일한 지역에서,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진 호구의 도용은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원배가 이귀재와 같은 가문의 일원이었을 가능성과 함께, 이장한이 이러한 도용에 직간접적으로 간여하거나 또는 호구 관련 실무자들과의 결탁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렇듯 18∼19세기 삼척 지역 이귀재 가문의 호구 자료들은 ‘삼척부전준’이 ...

      • KCI등재

        조선후기 호구단자(戶口單子)와 준호구(準戶口)의 작성과정 연구 -경주부(慶州府)의 호구단자와 준호구를 중심으로-

        문현주 ( Hyun Ju Mun ) 한국고문서학회 2011 古文書硏究 Vol.38 No.-

        In this thesis, I reviewed about draftsmen of hogudanja(戶口單子) and junhogu(準戶口), the process of drawing them up and aspects of transition that occurred on them of Gyeongju-bu in later Joseon. According to pre-research, a hogudanja is a submitted document which was written about the information of family members, and a junhogu is a copied and issued document about the informaion of family members from hojeokdaejang(戶籍大帳, Household registers) which was a register written about resident`s informaion, in national organization. However, this definition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whole Joseon dynasty`s system concerned with hogudanja etc. I identified that large number of junhogu were also written and submitted by hosu(戶首, Householder) particularly in Gyeongju-bu. This is based on hosu`s signature or one`s calligraphic style who wrote those junhogu. The following facts was also estimated: Official documents were written with this procedure like ``hogudanja→hojeokdaejang→junhogu``, between early and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However, it has changed as ``hogudanja→junhogu→hojeokdaejang`` from the late of 17c. In addition, the process that one rewrite junhogu had removed. But instead, a seal(especially specific shape is ``周挾改字印) was affixed directly on the hogudanja from 1738. The change like this had meant that junhogu was not necessary any more as a identification document. Precisely the role that a junhogu had as a identification document was just moved on to hogudanja. As a result, junhogu had never issued in Gyeong-ju since then. By the way, closely one upon the other on this period, some documents that cannot be recognized either hogudanja or junhogu were started to show up incidentally. In Gyeong-ju, there were most of hogudanja that had seemed to draw up in usual form. But there also were seals on them, shape is ‘周挾改字印’ which were not ordinary aspect as a form of hogudanja. Those seals had been seen in junhogu for the most part. Furthermore, the unipue expression of junhogu had been written in the first part or end of hogudanja. In short, the initial definition that a hogudanja is submitted and a junhogu is a copied and issued document is not enough to explain for the whole Joseon dynasty`s system about them.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pre-researches focusing to hogudanja and junhogu should be reappraised thoroughly. Becaus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each province in later Joseon, the procedure of drawing up those documents might affected the hojeokdaejang.

      • 조선 시대 王子와 親盡 後孫의 호적 자료 특징 분석

        이건식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보 Vol.0 No.32

        이글은 문헌을 검토하여 定遠君, 陵陽君, 連珠郡夫人의 호적 자료가 20세기 초까지 전하여 왔음을 밝히고 문헌의 설명에 따라 호적 자료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자료 所藏處에서 王子와 그 親盡 후손의 호적 자료가 실물로 전하고 있음을 밝혔다. 조선 시대 왕자인 延礽君의 호적 자료 4건, 연령군의 호적 자료 2건, 延齡君 친진 후손의 호적 자료 19건, 麟坪大君의 奉祀 後孫 安興君의 호적 자료 11건, 安興君의 아들 李鎭翼의 호적 자료 11건, 李鎭翼의 제3남 李秉浚의 호구 단자 1건 등을 발굴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문헌 검토를 통하여 정원군, 능양군, 연주군부인 등의 호적 자료가 漢城府 호적 대장에서 발견되는 경위를 살필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18세기에 한성부의 오래된 호적 대장이 한성부 戶籍庫에 150여년 넘게 일정한 기준으로 뷴류되어 보관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선 시대 왕자들이 많지 않은 率居 奴婢를 소유하고 있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延齡宮房 家直奴 金錫徵의 准戶口, 仁嬪房 家直奴의 호적 자료를 통하여 18세기 호적 대장 등재의 기준이 ‘血緣’에 있지 않고 ‘家座’에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연령군의 친진 후손의 호적 자료에 수록된 노비의 나이 기재에 부분적으로는 착오가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그 착오는 준호구에서 수정되는 경우도 있지만 수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을 밝혀 준호구 작성의 검증이 매우 엄밀하지는 않음을 밝혔다. 연령군과 그 친진 후손의 호적 자료의 노비질에 기재된 노비의 가계를 분석하여 노비 3대가 등재된 사례 하나, 노비 2대가 등재된 사례 넷, 형제자매가 등재된 사례 둘이 있음을 밝혀 宮房의 솔거 노비 구성이 가지는 특징 일부를 밝혔다.인평대군 봉사후손 안흥군과 그 후손의 호적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1774년 이후의 호적 자료에서 ‘3員 手決 호구 단자’와 ‘列書式 준호구’의 새로운 양식의 호적 자료가 있음을 밝혔다. 麟坪大君 奉祀 후손 안흥군과 그 후손의 호적 자료의 노비질에는 사망한 노비가 삭제되지 않고 계속 등재되어 있음을 밝혔다.마지막으로 이글에서는 연잉군, 연령군, 안흥군 등 관련 후손의 호적과 국왕의 외손인 金聖廈와 국왕의 사위인 金箕性의 호적 자료를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준호구에 기입되는 3員 수결 가운데에 堂上이나 郎廳의 手決은 대리 수결의 가능성도 있음을 언급하였다.조선 시대 王子와 그 親盡 後孫의 호적 자료의 특성을 분석한 이 연구의 결과는 다른 호구 단자와 호구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ousehold registers of the Prince Jeongwon(定遠君: 1580~1619), the Prince Neungyang and the Princess Yeonju which was discove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according to research it is discovered that the copy of the household registers of the princes and their descendents far from the line to the throne have been kept through ages; four pieces of materials for the Prince Yeonging(延礽君: 1694~1776), two for Yeongryeong(1699~1719) and nineteen for his descendents who actually practiced the memorial services, eleven copies for the Prince Anheung, the legal descendent for thememorial service of the Prince Inpyeong, another eleven pieces for Yi Jinik, a son of the Prince Anheung, and one piece of material for Yi Pyeongjun, one of the sons of YI Jinik. By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documents the writer found that the city hall Hanseongbu(漢城府) during the dynasty have arranged, collected and recorded the household registers over one hundred fifty years in the storage of the household registers. From the analysis of the registers we have new understanding that the princes managed fewer slaves in their house than we expected; and their register was not recorded by the blood relationship but by to which family they were belonged. And some errors in record are found in the preliminary register, which shows that the process of recording of the preliminary register was not made in perfect.The register of the Prince Yeonryeong and his descendents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ure of the slaves living in the house. By some documents after 1774 we can find new format of the household register appeared. And it is new finding that subordinate agents of the ministers confirmed the preliminary registers, which could help to understand other documents of the household registers during Joseon better.

      • KCI등재

        19세기 전반 함경북도 호적(戶籍) 자료를 통해 본 어느 일가(一家)의 이주사(移住史)와 토노비(土奴婢) -중국 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에 소장된 명천도호부(明川都護府) 거주 리시연(李蓍衍)의 도광(道光) 2년(1822) 준호구(准戶口)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 Seong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9 No.-

        이 논문은 중국 吉林省 延吉市 延邊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는 古文書 자료 1점을 통해 두 가지 역사적 사실을 살펴본 것이다. 하나는 조선 후기 조선인의 間島 이주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함경북도 지역에서만 존재한 ‘土奴婢’의 실체 및 성격이다. 고문서 자료는 1822년 12월, 함경북도 明川에서 거주한 李蓍衍이 관아로부터 발급받은 准戶口이다. 특히 이 준호구 자료는 현재 한국(남한 지역)에 소장된 함경북도 지역의 호적 고문서 자료가 거의 없다 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조선시대 호적 자료 중 ‘土奴婢’가 발견되는 자료는 현재로서는 이 자료가 유일하다. 이시연은 公州 李氏로 이들 일가는 先祖 李謙이 燕山君 때 함경북도 鏡城으로 유배되었다가 中宗反正으로 解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그 곳에서 거주하였고, 이후 그 후손들이 鏡城을 비롯하여 明川, 城津, 吉州 등에서 수백 년 이상 거주하면서 함경북도의 양반가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李麒壽·鵬壽 형제가 임진왜란 때 경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고 후에 벼슬이 추증되고 彰烈祠에 配享 됨으로써 공주 이씨는 경성의 명문세족으로서의 지위를 더욱 견고히 하였다. 그러다가 이시연의 5世孫 인 鍾衡 때 두만강을 건너 중국 延邊의 和龍으로 이주하였는데, 族譜에 기재된 내용으로 볼 때 이주 시기는 일제강점기인 대략 1930년대로 추정된다. 중국 연변박물관에 이시연의 호적 자료가 소장된 배경에는 이들 일가의 間島 지역으로의 이주 역사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이시연의 준호구 자료에는 소유 노비가 총 6口(奴 1口, 婢 5口) 등장한다. 그런데 이들 소유 노비에서는 세 가지 특징이 발견된다. 첫째, 이들 6口의 노비가 모두 하나의 가족 관계로 이루어져 있었다는 점. 둘째, 5口의 婢 모두가 良人과 혼인을 했다는 점. 셋째, 소유 노비가 모두 ‘土奴’와 ‘土婢’로 기재되었다는 점 등이다. 비록 그 사례 건수가 적어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모든 婢가 良人과 交婚하였던 점은 여타 지역의 양상과는 다른 이곳 함경북도(또는 明川)만의 독특한 양상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토노비는 함경북도에 거주하는 私奴婢에게만 붙여진 명칭인데, 더 중요한 것은 소유주 역시 함경북도에 거주하는 土着人(元居民)이어야만 그 소유 노비를 토노비라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traces two historical facts: One is Korean emigration to Gando(間島)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other is what “Tonobi”(土奴婢) was, which existed in Hamgyeongbukdo(咸鏡北道) only. An ancient document owned by Yanbian Museum(延邊博物館), China, is utilized. It is a Junhogu(准戶口) issued on December, 1822, that Yi Siyeon(李蓍衍), resident in Myeongcheon(明川), Hamgyeongbukdo, got from the government office. It is highly significant, considering South Korea owns few family register issued in Hamgyeongbukdo. Also, for now, it is the only material contains Tonobi among the family registers in the Joseon Dynasty era. The root of Gongju Yi`s(公州 李氏) family in Hamgyeongbukdo traces back to Yi Kyeom(李謙). He had stayed in Gyeongseong(鏡城) since he was exiled there in the reign of Yeonsangun(燕山君). His descendants had lived in Hamgyeongbukdo area such as Gyeongseong, Myeongcheon, Seongjin(城津) and Gilju(吉州), for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Among them, Yi Kisoo(李麒壽) and his brother, Yi Boongsoo(李鵬壽) raised an army voluntarily in Gyeongseong when Japanese army invaded Joseon in 1592. This made the family a prestigious noble family in the area. Afterward, Yi Jonghyoung(李鍾衡), great-great-great-grandson of Yi Siyeon, emigrated to Helong(和龍), Yanbian(延邊), China. It seems that it was around 1930s that he and his family crossed Duman River, considering their family record. That is why Yanbian Museum owns Yi Siyeon`s Junhogu. According to the material, Gongju Yi family owned six private servants(私奴婢), one male and five female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y were all family. Secondly, all of females married a commoner. Thirdly, male servant was recorded as “Tono”(土奴) and females were “Tobi”(土婢). Tonobi(土奴婢) was a title given to private servants in Hamgyeongbukdo. And more importantly, they were regarded as Tonobi only if the owner was a native of Hamgyeongbukdo.

      • 오운(吳澐) 종가(宗家)의 고문서)古文書) 연구(硏究)

        김용만 ( Yong Man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0 No.-

        본 논문에서는 오운종가 소장 고문서 가운데 准戶口와 分財記 분석을 중심으로 그 사회경제적 기반을 규명하고, 개별문중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필자의 졸저 및 고창오씨 족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고창오씨는 원래 전라도 고창현의 土姓으로서 고려전기에 上京從仕하였는데 始祖 吳學麟부터 누대에 걸쳐 京鄕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竹? 吳 澐은 일찍이 퇴계 남명 兩門을 출입하였고, 임란때에는 의령에서 倡義하여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吳汝?, 吳益煥으로 가계가 이어오면서 경상좌우도에 걸쳐 폭넓은 혼맥과 학맥을 형성하였으며, 재지사족으로서의 家勢는 후대까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1669년부터 1894년까지 작성된 准戶口 분석을 통하여 호주와 戶主 妻의 4祖를 포함하여 가족구성과 소유노비의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즉 17세기 후반의 가족구성은 고려시대 내지 조선전기의 쌍계적 방계가족의 형태가 부계친족 중심으로 변화되었으며, 호주 외의 형제가 혼인 후 곧 분가하게 되면서 2대 내지 3대가 동거하는 직계가족의 형태였다. 그리고 노비관리의 취약성과 더불어 18세기 초중반의 소유노비 규모가 100구~150구 정도였으며, 솔거노비와 외거노비 집중 거주지(의령, 영주, 성주, 함안, 삼가 등)는 동시기 토지소재지와 유사하나 1~2구가 거주하는 분포범위는 훨씬 더 넓었음을 확인하였다. 分財記를 통해서는 종가의 시대별 재산상속 추이를 규명하였다. 상속의 방법은 영남의 여타가문과 같이 임란 전 철저한 평균분급이 17세기로 들어오면서 제사조나 장자의 몫이 증가하는 추세였고, 토지소재지는 종가의 터전과 처가, 외가, 연고지였던 의령, 영주, 고령, 함안, 고성, 성주, 지례, 창녕 등지였다. 앞으로 준호구 및 분재기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은 물론, 동시기에 작성된 여타 자료들과의 비교분석 통해 본 종가의 재산상속, 제사상속 및 소유노비의 거주형태, 혼인관계 등이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socio-economic ground of the Oh family based on the analysis of such old documents as Junhogu(a kind of family register) and Bunjegi( a record of property division) owned by Oh's main family. To supplement the limits of the individual families' record materials, this study has also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some preceding ones including my previous one, and the genealogy of the Gochang Oh family The Oh family was native to the county of Gochang, Jeollado Province. With Oh Hak-rin, the founder of the family starting, some members of the Oh family went to the capital to serve as public officials. Oh Un was associated with the two neoconfucians - Toigye and Nammyeong from when he was young. In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called Yim-ran, he founded an volunteer army in the county of Uiryeong, and took an active part in it. He was succeeded by Oh Yeo-eun and Oh Ik-hwan in the genealogy. The family formed a wide range of marital and academic networks across the area of Gyeongsang-jwau Province. The power of the family whose scholarly members resided in the town was extended to later generations. The analysis of the family register called Junhogu which was written up from 1669 to 1894 showed what the family was composed of the patriarch's and his wife's ancestors of four generations, other family members and their servants. In the Goryeo dynasty an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family genealogy was composed of both lines of a couple including their siblings and relatives. However, in the late 17th century this two-line system changed to the system centering the relatives of father's line, which was a lineal form of family including two or three generations with the exclusion of married siblings other than the eldest. The management of servants was very poor, and the number of servants in the early and mid 18th century was about 100 to 150. Intensive residential areas(Uiryrong, Yeongju, Seongju, Haman, and Samga) of dependent and independent servants were almost the same as the land sites of the days. Yet the areas where one or two servants resided were proved to have been much more expansive. The investigation of Bunjegi( a record of property division) has identified how the properties of main families were handed down according to the times. As in many families of the Yeongnam area, the system of equal property division among siblings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called Yim-ran, gradually changed into the system which alloted more to the eldest or the host of memorial services with the 17 century starting. Land sites were in Uiryrong, Yeongju, Goryeong, Haman, Goseong, Seongju, Jirye, and Changnyeong, where main families, wives' families, and mothers' families were located and with which they were connected. In future, a further analysis of Junhogu and Bunjegi is required, and many other record materials written up around the same time are to be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closely bring to light eldest families' property inheritance, servants' residential forms and their marital relations

      • KCI등재

        17~19세기 진천 평산 신씨의 노비 소유와 노비의 존재양상

        김의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논총 Vol.44 No.-

        이 글은 진천 평산 신씨가 남긴 호구 자료를 분석하여 이들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이해하고, 노비의 소유 규모와 존재 양상을 살핀 것이다. 14명의 主戶가 1669년부터 1891년까지 8대 220여 년 동안 51건의 자료를 남겼다. 노비 기재방식은 대체로 호구 자료마다 비슷하지만 시기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다. 17세기에는 외방노비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이름과 나이 등을 표기하였고, 특히 申繼의 자료에는 노비의 四祖까지 자세히 밝혀 철저하게 관리하였다. 솔노비질․외거노비질․도망노비질의 분류가 체계적이지 않거나 이름과 나이가 정확하지 않은 것도 있고, 申繼와 申大源의 동일 식년 호적단자와 준호구는 노비의 수와 이름 일부가 일치하지 않다. 그리고 인접한 특정 식년의 자료 사이에 급격한 노비의 증감현상도 보이고 있다. 평산 신씨는 호구 자료를 작성하는 단계부터 혼인한 아들 부부는 물론 형제 부부까지 함께 기재하는 예가 많았고, 반대로 혼인한 아들의 일부와 미성년 아들은 기재하지 않은 사례도 있다. 당시 호적단자는 合戶와 分戶를 거쳐 작성되었을 것이며, 호적대장에서도 다시 편호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평산 신씨가 보유한 노비는 1705년을 기점으로 크게 감소하여 300여 구이던 것이 1726년에는 27구에 불과하였다. 18세기 이후에는 50~20여 구를 넘지 못하였고, 19세기에는 10구 이하였으며, 19세기말에는 1구를 보유하는 정도였다. 이들이 소유한 노비는 모두 1,463구이었으며, 솔거노비가 371구(25.4%)이고, 외거노비가 742구(50.7%)이며, 도망노비는 349구(23.9%)였다. 전체적으로 외거노비가 절반을 차지한 가운데 솔거노비와 도망노비는 비슷하였다. 외거노비는 선대의 묘소가 있는 금천에 90구(14.3%), 한성에 43구(6.8%), 공주에 53구(8.4%)가 있는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노비의 남녀 성비는 노가 719구(49.1%)이고, 비가 743구(50.8%)로 비슷하였다. 17세기에는 노와 비가 각각 312구(46%)와 366구(54%)였고, 18세기에는 365구(53.3%)와 320구(46.7%)였으며, 19세기에는 42구(42.4%)와 57구(57.6%)였다. 노비의 나이는 17세기에 壯(16~50세)이 56%를 차지한 가운데 弱(15세 이하)과 老(51세 이상)의 비중은 비슷하였고, 18세기와 19세기에도 장년층이 40% 이상이었다. 미상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노동력이 큰 장년층이 62.9%를 차지한 가운데 21~50세가 51.5%였고, 1~20세 및 51세 이상은 48.5%였다. This study set out for fourteen people of Pyeongsan Shin Family to analyze hogu data which are for 220 years throughout eight generations from 1669 to 1891 and looked into the size of Shin Family ownership of slave and it the modalities of being with their socioeconomic status understood. The ways to register slaves depend on time. That is, outside slaves who were able to own their property in 17th century are classified by region and especially, the data offered by Shin Gye(申繼) revealed the details up to a slave’s the fifth generation. It is also classified the slaves by three types, such as resident slaves who lived with as his owner household slave, outside -resident slaves who are able to own their property and escaped slaves. But some slave names and ages were not accurate, despite the data of the same year, some cases didn’t match up one anther. In addition, these data show that the number of slaves sharply rose and fell around the same time. Pyeongsan Shin family put sibling couples along with son and wife from the first step to make the Pyeongsan Shin family’s hojukdanja(戶籍單子) and junhogu(准戶口). At that time, hojukdanja showed that it was brought some hogu(戶口) together or divided up to some extent. The slaves of the Shin family have greatly been decreased since 1705. In 1726, their numbers moving from approximately 300 people in 1705 to about twenty seven people in 1726. After that, this figure stayed between twenty and fifty people but in 19th century, the number was below ten people. Finally, in the end of the century, Shin family had only one slave. Shin family had a total number of 1463 slaves. Among them, resident slaves accounted for 25.4%(371) and 50.7%(742) of slaves were outside-resident slaves. The rest of them was escaped slaves accounting for 23.9%(349). Especially, outside-resident slaves has distributed over a variety of areas, ranging from Geumcheon and Hannyang to Gongju region with their ancestors’ graves. Slaves' gender ratio is 49.1 percent male(719) and 50.8 percent female(743). In 17th and 19th century, female slaves were a bit higher than male slaves but the former was lower than the latter in 18th century. In terms of age, aged 16~50 servants accounted for 62.9% and the percentage of slaves below age fifteen and above fifty one was similar in 17th century.

      • KCI등재

        동래부 小通事 金采吉 관련 준호구와 그의 개항 전후 활동

        김동철(Kim, Dong-Chu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9 No.-

        왜관을 무대로 외교 · 무역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는 일본어 역관 2명이 서울에 파견되었다. 그들이 훈도와 별차다. 이들을 보좌하는 현지 출신 하급 통역관이 소통사다. 소통사와 같은 하급 역관은 조선전기 ‘삼포왜관’때부터 존재하였다. 이들이 왜학생도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부산포 왜학생도의 정원은 10명이다. 『증정교린지』에는 왜학생도를 소통사라 하였다. 소통사는 정원이 있었다. 16명에서 35명, 다시 30명으로 바뀌었다. 소통사는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였기 때문에 명칭만 약 20종류다. 이 가운데 중요한 직책은 首通事, 通事다. 필자는 최근 소통사 김채길 관련 준호구 약 20점을 입수하였다. 이 준호구에서 중요한 것은 김채길과 아버지 김대련의 職役이 ‘生徒’란 점이다. 생도는 ‘倭學生徒’를 가리킨다. 김채길은 배통사 등 활동을 하였다. 그는 1876년 1차 수신사 때는 통사로서 일본에 갔었다. 1876년 조일수호조규와 1876년 1차 수신사에 참가한 공로로, 1880년 사역원은 그의 포상을 추천하였다. 김대련과 김채길은 부자가 소통사로 활동한 대표적인 사례다. Two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s who were in charge of various affairs related to diplomacy and trade were dispatched from Seoul to waegwan. These interpreters were called hundo and byeolcha. Sotongsa was the local low-ranking interpreter who assisted these dispatched interpreters. Low-ranking interpreters like sotongsa existed from the time of ‘Sampowaegwan’(i.e. three waegwan located in representative harbor citi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y were called waehaksaengdo(i.e. Japanese language trainee-interpreter). The maximum number of waehaksaengdo in Busanpo port prescribed in Gyeonggukdaejeon(National Code of Joseon) was ten. Waehaksaengdo was referred to as sotongsa in Jeungjeonggyorinji(Diplomacy of Joseon). A quota was set for sotongsa, which started out at 16, then changed to 35, and again to 30. Because sotongsa handled many different affairs, there were about 20 by-names used for sotongsa depending on the position. Sutongsa(sotongsa who served as the leader of sotongsa) and baetongsa(sotongsa who were responsible for assisting high-ranking interpreters) were the two most important positions held by sotongsa. The researcher recently procured 20 pieces of junhogu(family relationship certificates) related to a sotongsa named Kim Chaegil. A noteworthy fact according to these family relationship certificates is that Kim Chaegil’s father Kim Daeryoen’s assigned role was ‘saengdo.’ Saengdo refers to Yeokhaksaengdo(student or interpreter trainee of Japanese Studies). Kim Chaegil handled affairs of baetongsa. In 1876 when the first Joseon envoy was sent to Japan, he joined the envoy as an interpreter. For his contribution of participating in the first envoy in 1876 and the Japan-Korea Treaty of 1876, Sayeokwon recommended him for reward in 1880. Kim Daeryoen and Kim Chaegil were representative case of father and son working as sotongsa.

      • KCI등재

        고문서를 통해서 본 강릉 김씨의 麟蹄 이주

        한성주(Han, Seong-J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3

        본고는 최근 발견된 강원도 麟蹄의 金忠起씨 집안의 고문서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특징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인제 江陵金氏 집안의 내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문서와 족보, 구술 자료를 종합하여 강릉김씨의 移居 현황과 인제로의 移住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김충기家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는 戶籍類 10건, 敎令類 9건으로 총 19건이다. 호적류는 모두 准戶口이고 襄陽府에서 발급되었으며, 교령류 중 7건은 1903년에 발급된 空名帖이라는 특징이 있다. 호적류 중 강릉김씨인 金學龜, 金賢周의 준호구 9건을 통해 이 집안의 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강릉김씨 족보를 통해 김현주 이후의 가계를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강릉김씨 족보를 통해서 공명첩이 남아있는 金演泰와 金善卿이 김현주의 아들과 손자임이 확인되었다. 이 집안은 강릉김씨 ‘太師公 副正公 習讀公派’인데, 이들은 크게 4갈래로 갈라지면서 강원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이들 중 經坊(지금의 江陵洪濟洞)에 거주하던 후손들은 ‘經坊派’라 불렸으며, ‘경방파’ 중 일부가 16세기 중반 이후에는 강릉 城山 등지에 거주하다가 18세기 초·중반에는 襄陽으로 이거하였고 19세기 후반에는 인제로 이주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김충기씨가 가문의 역사 및 이거와 관련하여 구술한 것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강릉김씨 족보를 통해서도 이들의 인제 이거는 19세기 후반에 해당하는 35세손 김연태부터였음이 확인된다. 그런데 김충기씨의 구술에 따르면 증조부인 김연태가 공명첩을 사면서 가세가 기울어졌다고 하고 있어, 이것이 양양에서 인제로 이주하는 이유가 되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특히 이 집안에는 김연태와 그의 부인 長興高氏, 아들인 김선경과 관련된 7건의 공명첩이 남아 있어 이러한 구술을 뒷받침하고 있다. This study introduc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nshrined ancient documents in the family of Kim, Chung-Ki, located in Inje(麟蹄), Gangwon-do(江原道), and explored the history of the Gangneung-Kim(江陵金氏). Also collect ancient documents, genealogy, and oral data, and inspected them for Gangneung-Kim’s Emigration to Inje. The collection of Ancient documents owned by the Kim Chung-Ki family consists of 10 family register(戶籍類) articles and 19 certification of appointment(敎令類). All of the family register were Junhogu(准戶口) and issued in Yangyang-bu(襄陽府), and seven of certification of appointment(敎令類) were Gongmyeongcheop that issued in 1903. Through 9 Junhogu of Gangneung-Kim, Kim Hyeon-Ju and Kim Hak-Gu were able to check the household lineage, and through genealogy were able to supplement the lineage of the Kim Hyeon-Ju’s future generation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Kim Yeon-Tae and Kim Seon-Gyeong who received Gongmyeongcheop(空名帖) are the sons and grandson of Kim Hyeon-Ju. This family is ’Taesagong BooJeonggong Seupdokgong-pa(太師公 副正公 習讀公派)’, they were divided into 4 family clan and moved to various regions of Gangwon Province. Among them, the descendant who lived in Gyeongbang(經坊, Now it is called HongJe-dong(洪濟洞), Gangneung were called "Gyeongbang-pa". And some of them lived in Seongsan(城山), Gangneung from middle of the 16th century. And moved to the Yangyang in the early, middle 18th century and moved to the Inje in the latter of the 19th century. This history is corresponded with the oral data of Kim Chung-Ki. Also It was confirmed that move to Inje was started from Kim Yeon-Tae who was family’s 35 generations in the latter of the 19th century. On the other hand, Kim Chung-Gi said "My great-grandfather Kim Yeon-Tae bought a Gongmyeongcheop, so my family situation have become worse." This can guess it would have been a reason to emigrate from Yangyang to Inje. In particular, there is a basis for these messages. That is the seven Gongmyeongcheop that related with Kim Yeon-Tae, his wife Jangheoung-Go(長興高氏), and his son Kim Seon-Gyeong.

      • KCI등재

        진천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 조사의 내용과 성격

        김의환(Kim, Eui-hwan),고수연(Ko, Soo-yeon)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진천 평산 신씨가 소장한 고문서와 전적 222점을 검토하였다. 교지 90점, 호적단자와 준호구 51점, 명문과 분재기 23점, 가승류 9점, 기타 고문서 21점 등 고문서 194점을 확인하였고, 일기 · 문집 · 족보 등 28점의 전적도 조사하였다. 교지는 15명이 모두 90점을 남겼는데, 신잡의 교지가 39점으로 가장 많고, 신계의 교지는 18점, 신대수의 교지는 13점 등이다. 특히 신잡은 하루에도 두 번씩 여러 차례 교지를 받았으며, 임진왜란이라는 전쟁 상황 및 후손들의 공신 책봉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가문의 호적단자와 준호구는 모두 51점이다. 14명의 主戶가 1669년부터 1891년까지 8대 220여 년 동안 작성한 것이며, 호적단자가 46점이고, 준호구가 5점이다. 이것은 충청도에서 한 가문의 자료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이다. 이 자료는 호적의 작성과정과 기재양상은 물론 노비 소유 규모와 존재 양상 등 사회경제적 기반을 이해할 수 있다. 명문과 분재기는 23점이 확인되었다. 18점의 명문은 노비 매매 8점, 토지매매 7점, 토지와 노비의 동시 매매 1점, 노비쟁송 1점, 대지와 기와집 관련이 1점이다. 5점의 분재기는 가문의 재산 소유현황과 재산상속의 원리 및 그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가승류와 족보는 절첩인 세계와 요람 9점을 비롯하여 족보가 8점이 있고, 이 외의 고문서도 21점이 있다. 이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통문류 9점인데, 이것은 모두 신의양 부인인 청주 한씨가 순조 34년(1834)에 정려를 받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평산 신씨는 28점의 전적도 소장하고 있다. 신잡의 문집과 행적, 필적류, 사마방목, 과거시험용 경서 등이다. 1596년의 신잡 일기는 임진왜란 동안 기존의 경서 위에 행초서로 가필한 난중일기이다. 그리고 1546년 신화국의 생진과 입격자 명단인 사마방목도 있다.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와 전적 222점을 조사하여 이들의 정치 · 사회 · 경제상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자료들과 함께 신홍주 · 신헌 · 신정희 · 신석희 · 신팔균 등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한다면, 가문의 위상은 물론 진천의 사회상과 정체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yeongsan Shin family in Jincheon has owned one hundred ninty four pieces antique documents and twenty eight books such as diaries, collection of personal works, family trees. Among them were ninty appointment certifications(敎旨), fifty one pieces household register and identification records, eighteen definite documents(明文) and five inheritance documents(分財記), nine brief family trees, etc. Ninty appointment certifications from fifteen persons were handed down ; thirty nine appointment certifications for Shin Jab, eighteen for Shin Gye. Shin Jab had received thirty nine appointment certifications, even twice a day due to his meritorious deeds during Japanese invasion in 1592. The household register, hojukdanja(戶籍單子) of Pyeongsan Shin are total 51 pieces and were recorded for two hundreds twenty years from 1669 to 1891 by fourteen persons. They ar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writing process of family trees, ownership of slave and slave’s resident ways. This family had owned all 1,463 slaves, 371 resident slaves(25.4%), 742 outside-resident slaves(50.7%) and 349 escaped slaves(23.9%). It had also eighteen definite documents which are eight slave dealing documents, seven land trading documents and one slave lawsuit document. Five inheritance documents are good materials to investigate the own status of family property, ways of property inheritance and its process. Besides, the family owns nine brief family trees, eight family trees and twenty one other old documents. Especially nine interchanged documents(通文類) were written in 1834, when the wife of Shin Ui Yang, Cheongju Han was honored to her filial duty. This clan owns also twenty eight books. Shin Jab’s collection of works, record of his personal history and career achievement, Samabangmok(司馬榜目), confucian scripture for state’s examination etc. are about twenty pieces. Especially the Shin Jab’s diary written at 1596 is remarkable for War Diary, which was written by hand on the scriptu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ne hundred ninty four pieces of archives and twenty eight books owned by Pyeongsan Shin clan are the important materials to inquire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 of the last two hundreds years.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diverse materials that related with the persons, wh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as Shin Hong Ju, Shin Hyeon, and Shin Jeong Hee. Such a study and research will contribute to make clear their activities and also make sure the area Jincheon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