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지역의 조선시대 戶籍資料에 관한 기초적 연구(Ⅰ) ~甕津郡島嶼지역의 準戶口와 仁川港지역의‘新式戶籍’소개~

        임학성(Lhim, Hak-S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3 인천학연구 Vol.2 No.1

        This article made an elementary analysis of the Census Registers from Incheon Province in the Choseon Dynasty. 1. About the Joonhogu(Copy of One’s Census Register) from Youngheung Island These historical manuscripts are Joonhogu of Pyoungtaek Lhim’s family, who lived at Youngheung Island from the late 17th century till the late 19th century. These possessed by Lhim’family, and the quantity is 30 sheets. 2. About the Joonhogu from the Deokjeok Islands These historical manuscripts are Joonhogu of Andong Kim’s family, who lived at Soya Island also Deokjeok Island in 19th century. These possess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quantity is 23 sheets.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possess Joonhogu of Kimhae Kim’s family, who lived at Moonkap Island in 19th century. The quantity is 7 sheets. 3. About the New-form Hojeok(Census Register after the Keonyang era <1896>) These old books are New-form Hojeok of Dapdong and Chukhyeon Oedong in 1898. These two books possessed by Kyujanggak Archiv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19세기 전반 함경북도 호적(戶籍) 자료를 통해 본 어느 일가(一家)의 이주사(移住史)와 토노비(土奴婢) -중국 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에 소장된 명천도호부(明川都護府) 거주 리시연(李蓍衍)의 도광(道光) 2년(1822) 준호구(准戶口)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 Seong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9 No.-

        이 논문은 중국 吉林省 延吉市 延邊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는 古文書 자료 1점을 통해 두 가지 역사적 사실을 살펴본 것이다. 하나는 조선 후기 조선인의 間島 이주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함경북도 지역에서만 존재한 ‘土奴婢’의 실체 및 성격이다. 고문서 자료는 1822년 12월, 함경북도 明川에서 거주한 李蓍衍이 관아로부터 발급받은 准戶口이다. 특히 이 준호구 자료는 현재 한국(남한 지역)에 소장된 함경북도 지역의 호적 고문서 자료가 거의 없다 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조선시대 호적 자료 중 ‘土奴婢’가 발견되는 자료는 현재로서는 이 자료가 유일하다. 이시연은 公州 李氏로 이들 일가는 先祖 李謙이 燕山君 때 함경북도 鏡城으로 유배되었다가 中宗反正으로 解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그 곳에서 거주하였고, 이후 그 후손들이 鏡城을 비롯하여 明川, 城津, 吉州 등에서 수백 년 이상 거주하면서 함경북도의 양반가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李麒壽·鵬壽 형제가 임진왜란 때 경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고 후에 벼슬이 추증되고 彰烈祠에 配享 됨으로써 공주 이씨는 경성의 명문세족으로서의 지위를 더욱 견고히 하였다. 그러다가 이시연의 5世孫 인 鍾衡 때 두만강을 건너 중국 延邊의 和龍으로 이주하였는데, 族譜에 기재된 내용으로 볼 때 이주 시기는 일제강점기인 대략 1930년대로 추정된다. 중국 연변박물관에 이시연의 호적 자료가 소장된 배경에는 이들 일가의 間島 지역으로의 이주 역사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이시연의 준호구 자료에는 소유 노비가 총 6口(奴 1口, 婢 5口) 등장한다. 그런데 이들 소유 노비에서는 세 가지 특징이 발견된다. 첫째, 이들 6口의 노비가 모두 하나의 가족 관계로 이루어져 있었다는 점. 둘째, 5口의 婢 모두가 良人과 혼인을 했다는 점. 셋째, 소유 노비가 모두 ‘土奴’와 ‘土婢’로 기재되었다는 점 등이다. 비록 그 사례 건수가 적어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모든 婢가 良人과 交婚하였던 점은 여타 지역의 양상과는 다른 이곳 함경북도(또는 明川)만의 독특한 양상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토노비는 함경북도에 거주하는 私奴婢에게만 붙여진 명칭인데, 더 중요한 것은 소유주 역시 함경북도에 거주하는 土着人(元居民)이어야만 그 소유 노비를 토노비라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traces two historical facts: One is Korean emigration to Gando(間島)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other is what “Tonobi”(土奴婢) was, which existed in Hamgyeongbukdo(咸鏡北道) only. An ancient document owned by Yanbian Museum(延邊博物館), China, is utilized. It is a Junhogu(准戶口) issued on December, 1822, that Yi Siyeon(李蓍衍), resident in Myeongcheon(明川), Hamgyeongbukdo, got from the government office. It is highly significant, considering South Korea owns few family register issued in Hamgyeongbukdo. Also, for now, it is the only material contains Tonobi among the family registers in the Joseon Dynasty era. The root of Gongju Yi`s(公州 李氏) family in Hamgyeongbukdo traces back to Yi Kyeom(李謙). He had stayed in Gyeongseong(鏡城) since he was exiled there in the reign of Yeonsangun(燕山君). His descendants had lived in Hamgyeongbukdo area such as Gyeongseong, Myeongcheon, Seongjin(城津) and Gilju(吉州), for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Among them, Yi Kisoo(李麒壽) and his brother, Yi Boongsoo(李鵬壽) raised an army voluntarily in Gyeongseong when Japanese army invaded Joseon in 1592. This made the family a prestigious noble family in the area. Afterward, Yi Jonghyoung(李鍾衡), great-great-great-grandson of Yi Siyeon, emigrated to Helong(和龍), Yanbian(延邊), China. It seems that it was around 1930s that he and his family crossed Duman River, considering their family record. That is why Yanbian Museum owns Yi Siyeon`s Junhogu. According to the material, Gongju Yi family owned six private servants(私奴婢), one male and five female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y were all family. Secondly, all of females married a commoner. Thirdly, male servant was recorded as “Tono”(土奴) and females were “Tobi”(土婢). Tonobi(土奴婢) was a title given to private servants in Hamgyeongbukdo. And more importantly, they were regarded as Tonobi only if the owner was a native of Hamgyeongbukdo.

      • KCI등재

        20세기 초 경남(慶南) 초계군(草溪郡) 주민의 거주 양상-광무(光武) 11년(1907) 초계군(草溪郡) 초책면(初冊面)·백암면(伯岩面) 호적(戶籍) 자료의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s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6

        이 논문은 新호적제도에 의해 조사·작성된 경상남도 草溪郡 初冊面과 伯岩面의 1907년(光武 11) 戶籍 자료를 분석하여 주민들의 거주 양상을 考究한 것이다. 초계군 초책면과 백암면은 경상남도의 서북부에 위치한 山間지역이었다. 따라서 두 책의 호적 자료를 통해 20세기 초 경상남도 산간지역에서 거주했던 총 663호(초책면 360호, 백암면 303호), 3,240명(초책면 1,761명, 백암면 1,479명) 주민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생활 양상을 복원 할 수 있었다. 첫째, 호당 평균인구수는 4.89명(초책면 4.89명, 백암면 4.88명)으로 다른 지역의 분석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性比는 111.1%(초책면 107.7%, 백암면 115.3%)를 보여 성별 불균형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민들의 연령 분포에서 1세 남녀 인구가 확인되어 대부분의 호적 자료에서 발견되는 嬰幼兒 인구, 특히 女兒 인구의 호적 누락 양상은 본 연구 사례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연령별 남녀별 인구 구조에서도 유소년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노년층으로 올라갈수록 인구수가 줄어드는 ‘多産多死’의 완벽한 인구 피라미드 유형을 나타냈다. 셋째, 호주의 성씨 분포를 분석한 결과, 상위 비중의 성씨들은 대체로 해당 마을(里)에서 同族集團을 이루고 있었으며, 초책면은 전체 8개 마을 중 7개 마을에서, 백암면은 전체 6개 마을 중 2개 마을에서 어느 특정 성씨가 동족집단을 이루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주민(戶主)의 직업은 農業이 90% 이상의 압도적 분포를 보였다. 그런데 이 두 지역의 직업 분포 양상에서는 다른 시기 및 지역의 호적 자료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직업 종류가 확인되었다. 바로 옷감 제조와 관련된 ‘織’(베 짜기)과 ‘績’(길쌈)을 직업으로 기재한 경우인데 이러한 직업을 기재한 호주는 모두 寡婦였다. 다섯째, 주민들은 모두 草家에서 거주했으며, 단 1호만이 전셋집(‘借有’)에서 거주했을 뿐 나머지는 모두 자기 소유(‘己有’)의 가택에서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당 평균 가택 칸 수[間數]는 3.35칸(초책면 3.11칸, 백암면 3.63칸)으로 나타났으며, 가택 규모의 분포는 2~3칸 크기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여섯째, 가택의 용도를 분석한 결과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墓室·碑閣·學校·紙房 및 空家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성격의 가택(건물)을 호적에서 하나의 ‘戶’로 편제한 것은 호적 조사의 결과로 등재된 호가 반드시 世帶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었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려 주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dwelling living patterns of residents by analyzing the data of 1907 census register collected by Chocheik-myeon(初冊面) and Baikam-myeon(伯岩面) in Gyeongsangnamdo province Chogye-gun(草溪郡), which were surveyed and written by the new census system. Chocheik-myeon and Baikam-myeon in Chogye-gun are mountainous area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province. Therefore, it was able to restore the residential aspects of 663 households in the mountainous a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First, the average number of people per house was 4.89. The sex ratio was 111.1%, indicating that gender imbalance was not large. Second, in the age distribution of the residents, the one-year-old male and female population were identified and the omission of the girl, which is found in most family records, did not appear at all. Therefore,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the young people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and the more the older the population, the more perfect the “Population Pyramid” type. Third, the surnames with the highest share were the same blood village(同族 마을), the Chocheik-myeon was grouped in 7 out of 8 villages, and the Baikam-myeon was in 2 out of 6 villages. Fourth, the occupation of residents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agriculture. However,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occupations in these two areas confirmed the types of occupations that were rarely found in other census registers. This is the case of weaving(베 짜기. 織) and handweaving(길쌈. 績) related to fabric manufacturing, all of which were widows. Fifth, the residents all lived in thatched-roof house(草家), only one house lived in the rental house(‘借有’ 가택), and all others lived in their own house(‘己有’ 가택). The house size per family was 3.35 kan(間), and the distribution of the house occupied more than half of the total size of 2 ~ 3 kan squares. Finally, analyzing the purpose of the house, the tomb room, the pavilion for a monument, the school, the paper workshop and the empty house where the person does not live were also confirmed. The registration of a house of this character as a “Ho(戶)” in the family register indicates tha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gistered call as a result of the family register does not necessarily mean a household.

      • KCI등재

        20세기 초 황해도 옹진군(甕津郡) 도서주민(島嶼住民)의 생활 양태-1905년도 옹진군(甕津郡) 남면(南面) 창린도호적(昌麟島戶籍) 자료의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s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이 논문은 新호적제도에 의해 조사ㆍ작성된 황해도 甕津郡 南面의 1905년 戶籍 자료를 분석하여 昌麟島라는 도서에서 거주했던 주민들의 생활 양태를 考究한 것이다. 옹진군 남면은 황해도의 서남단에 위치한 沿海 지역이었으며 그에 속한 여러 섬 중에 昌麟島가 있었다. 창린도는 옹진군에 속해 있던 70여 개의 섬 중 두 번째, 그리고 황해도에 속해 있던 160여개 섬 중에서 다섯 번째로 큰 섬이었다. 1905년 남면호적 자료에는 총 7개 里[행정마을]ㆍ28개 洞[자연마을]에 354戶ㆍ1,450口의 주민이 등재되어 있었다. 昌麟島는 남면의 한 개 里(‘昌麟島里’)로 편제되어 8개 洞이 속해 있었으며, 호적에 등재된 주민은 94戶ㆍ385口였다. 따라서 창린도는 옹진군 남면 중 가장 많은 주민들이 살고 있던 지역(里)이었다(남면 전체 호ㆍ구의 약 27%). 이에, 창린도 호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20세기 초 황해도 도서 지역에서 거주한 주민들의 생활 양태를 복원해 보았다. 그 결과, 창린도 주민들의 생활 양태는 당시 전국의 다른 지역 호적 자료 분석 결과와 유사한 점도 많았으나, 황해도/옹진군에 속한 도서라는 지역적 특성에 기인한 양태도 적잖이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지근거리에 위치한 陸地部 남면 6개 里 주민들에게서 발견되는 양태와는 다른 점들도 적잖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창린도 주민들은 섬 지역 특유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지니고 생활하였다고 추정해 볼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dwelling living patterns of insular residents in the Changrin-island(昌麟島) by analyzing the data of 1905 census register collected by Nam-myeon(南面) in Hwanghae province Ongjin-gun(甕津郡), which were surveyed and written by the new census system. Nam-myeon in Ongjin-gun are coastal area located at the southwest edge of Hwanghae province, among the various islands there were Changrin-island. This island was the second of more than 70 islands in Ongjin-gun, and the fifth largest of 160 islands in Hwanghae province. In the census register of 1905, Changrin-island was organized as one village (里). The number of residents listed in the census register data was 94 households(戶) and 385 people(口). Therefore, Changrin-island was the area where the largest number of residents of Nam-myeon in Ongjin-gun remained. Thu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ensus register data, we tried to restore the dwelling living patterns of insular residents of the Hwanghae provi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the living patterns of the insular residents in the Changrin-island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ensus register data in other regions of the country at the time, but there were many patterns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slands belonging to Hwanghae province / Ongjin-gu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from those found in the six village of Nam-myeon, not far away. As a result, insular residents in the Changrin-island were able to discover many factors that could be used to estimate whether they lived with their own unique identity.

      • KCI등재

        20세기 초 황해도 甕津郡 주민의 住居 양상

        임학성(Lhim, Hak-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1

        이 논문은 新호적제도에 의해 조사․작성된 황해도 甕津郡 南面과 龍淵面의 1905년 戶籍 자료를 분석하여 주민들의 住居 양상을 考究한 것이다. 옹진군 남면과 용연면은 황해도의 서남단에 위치한 沿海지역이었으며, 남면 호적 자료에는 昌麟島라는 島嶼 주민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였다. 따라서 두 책의 호적 자료를 통해 20세기 초 황해도 연해 및 도서지역에서 거주했던 총 789호(남면 354호, 용연면 435호) 주민들의 住居生活史에 대해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복원할 수 있었다. 첫째, 동족집단을 이루고 있는 성씨들은 대부분 해당 面의 평균치보다 호당 평균 인구수 및 평균 가택 칸 수가 모두 많거나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일부 성씨의 경우는 정반대의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둘째, 瓦家와 借有 가택의 점유율이 극히 낮게 나타나 20세기 초 옹진군 남면과 용연면의 주민들은 거의 모두가 자기 소유의 초가집에서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족과 가택 규모의 분포에서는 남면의 경우 3~5인 가족이 전체의 80%, 3~6칸 가택이 전체의 86%를 각기 차지하고 있었으며, 용연면의 경우 3~5인 가족이 전체의 74%, 3~6칸 가택이 전체의 90%를 각기 차지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도서지역인 昌麟島의 가족 분포는 3~5인 가족이 전체의 90%나 되었으며, 가택 분포는 4칸 가택이 무려 66%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나타냈다. 한편, 호당 평균 가택 칸 수는 창린도가 陸地部보다 약 1칸 가량이나 더 작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신식호적 자료를 분석하여 그동안 연구가 미진했던 북한지역(또한 황해도지역), 특히 연해지역 및 도서지역 주민들의 주거생활상을 究明하였다는 점에서 적잖은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analyzed the dwelling living patterns of residents by analyzing the data of 1905 census register collected by Nam-myeon(南面) and Yongyeon-myeon(龍淵面) in Hwanghae province Ongjin-gun(甕津郡), which were surveyed and written by the new census system. Nam-myeon and Yongyeon-myeon in Ongjin-gun are coastal area located at the southwest edge of Hwanghae province, and were also included in the list residents of Changrin-island(昌麟島). Therefore, it was able to restore the residential aspects of 789 households in the coastal area and island in the early 20th century. First, the average number of same gender groups in the same blood village (同族마을) was larger than the average population size and average size in each house. Of course, some of the same gender group have shown the opposite aspects. Second, there were almost no tile-roofed houses(瓦家) or rental houses(‘借有’가택). Thus, residents of Ongjin-gun knew that almost everyone lived in thatched-roof house(草家) and own homes(‘己有’가택). Third, in the case of Nam-myeon, families comprised three to five persons, accounted for 80 percent of the total. And the house comprised three to six kan(間), accounted for 86 percent of the total. Also, in the case of Yongyeon-myeon, families comprised three to five persons, accounted for 74 percent of the total. And the house comprised three to six kan, accounted for 90 percent of the total. Fourth, in the case of Changrin-island, families comprised three to five persons, accounted for 90 percent of the total. And the house comprised four kan, accounted for 66 percent of the total.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house occupancy rate was approximately one kan smaller than that of the land.

      • KCI등재

        18~19세기 인천(仁川) 덕적도(德積島) 주민(住民)들의 거주 양상-김해(金海) 김씨(金氏) 일가의 고문서(古文書)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s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이 연구는 고문서 자료를 분석하여 18~19세기 仁川의 德積島에서 거주한 金海 金氏 일가의 생활 양태를 고찰한 것이다. 김해 김씨 일가는 조선 후기에 덕적도로 이주해 온 이후 자신들의 도서 생활과 관련한 56점의 고문서 자료를 남겼는데, 이 중 호적 관련 고문서가 48점으로 가장 많고 나머지 자료는 관리 임명 관련 고문서이다. 조선시대 고문서 자료가 거의 내륙 양반의 후손 집안에서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경향에 비추어볼 때, 도서 지역 더군다나 비양반 후손의 집안에서 60점에 가까운 고문서 자료가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것은 드문 일이라 하겠다. 덕분에 우리는 조선 후기 도서 주민의 생활 모습을 복원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덕적도의 김해 김씨 일가의 先祖가 조선 후기 덕적도로 入島한 이후 가문이 번창하여 현재까지 덕적도 내 최대 가문을 이루고 있다. 先祖가 덕적도로 入島한 이유는 조선 후기 海賊의 출몰이 잦아지면서 조선 정부가 덕적도에 水軍鎭을 설치하고 주민들을 대거 입도시켜 海防을 강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한 때문으로 여겨진다. 둘째, 김해 김씨의 선조가 덕적도로 입도할 당시의 신분은 알 수 없었으나, 후손 집안에서 보관하고 있는 고문서 자료들을 분석해 보면 평민신분층에서 중인신분층으로 신분을 상승시키려 노력했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19세기 말 준호구 자료에서까지 평민신분층 부녀자의 호칭인 ‘조이(召史)’를 기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은 평민 상층~중인 하층 정도의 신분을 지녔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조선시대의 대다수 호적 자료에는 嬰·幼兒 자녀를 기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는데 반하여, 이들 일가의 호적 자료에는 영유아, 특히 女兒까지도 충실하게 호적에 기재하고 있었다. 이는 수군진이 설치된 다른 섬 지역의 호적 자료에서도 잘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었다. 이로써 덕적도 김해 김씨 일가의 어린 자녀에 대한 인식이 매우 각별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This article reviews Kimhae Kim Family members' lives who resided in Deokjeokdo, Incheon, in the eighteenth and the nineteenth centuries, analyzing fifty-six sets of old document they left. Forty-eight sets are family register, and the rest is about appointment of a government official. Most of extant material concerning Joseon period have been preserved in the inland area, by the descendants of the nobles. Therefore, it is very rare that almost sixty pieces of old document have been preserved until now in the insular area, and besides, by the descendants of the commoners. Thanks to that, the author was able to access to how they lived in the insular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follows. First of all, some people of Kimhae Kim family moved to Deokjeokdo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y flourished and grew to the biggest family in the island. Their migration was a matter of policy. As piracy became frequent, the government began to set up a naval base and made people move there for a purpose of maritime defence. Secondly, it is unknown to which class they belonged when they settled down in Deokjeokdo, but Kimhae Kim Family Papers show that they tried to rise to the middle class. Women were labeled as Jo’i (召史), appellation of female commoners, even in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which tells that they still belonged to the upper part of commoner or to the lower part of middle class. Thirdly, it was general not to register names of children in the family register in the Joseon period. However, Kimhae Kim family wrote their young members’ name, even little girls’ name. It is pretty unique; there is few case like this in other islands with a naval base. It shows that it was very different how Kimhae Kim family viewed its young kids.

      • KCI등재

        北愚 桂奉瑀(1880~1959)의 역사민속 서술과 인식

        임학성(Lhim, Hak-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8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국외로 망명하여 한국학 연구 및 민족 교육에 평생을 바친 北愚 桂奉瑀 (1880∼1959)의 한국 역사민속 서술 내용과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계봉우는 조선왕조의 운명이 다하던 19세기 말, 함경남도의 하층민 집안에서 태어나 북간도와 연해주, 중앙아시아(러시아) 등의 지역에서 한국학/고려학을 연구·교육하고 정립한 선구적 인물이다. 특히 그가 이루어낸 한국학 연구는 한국어와 한국문학, 한국사 등 모든 분야에 걸쳤으며, 독립과 민족 및 사회주의 운동에 전념하면서도 무려 30여 편의 한국학 관련 저술을 이루어냈다. 한국학에 대한 그의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窮究는 필연 한국 역사민속에 대해서까지 적지 않은 저술을 남겼던 것이다. 그런데 계봉우가 남긴 한국학 분야의 업적에 반해, 그에 대한 한국학계에서의 소개와 연구는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시작되었다. 그가 59세에 중앙아시아(현, 카자흐스탄)로 강제 이주 되어 말년을 우리와 미수교국인 소련에서 지냈던 점이 주요 원인이었다. 그러다가 한?러 수교(1990년) 이후 계봉우의 활동 내용 및 저술들이 국내에 알려지고 수집되면서 독립운동사 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그가 남긴 한국어학·한국문학·한국사 관련 저술들을 분석하는 데에까지 이르렀다. 그 결과 계봉우를 일제강점기 해외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한국학자 朴殷植과 申采浩의 업적과 비교해도 거의 손색이 없다고까지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계봉우 한국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아직 역사민속학 방면에서의 考究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그의 역사민속에 대한 서술 내용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봉우가 관심을 보인 한국 역사민속은 ① 종교·신화, ② 演戱, ③ 舊曆 및 名節, ④ 通俗 등으로 집약 된다. 이 가운데 연희를 제외한 나머지 역사민속 항목들은 모두 착취계급의 기만, 미신, 비과학적 몽매 등과 같은 부정적 인식 하에 서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희는 고대 西域과의 교류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고려시대에 연희가 성행하다가 유교를 숭상한 조선시대에 들어와 고대로부터 이어져 온 연희가 침체되기 시작했다고 서술·인식하였다. 그렇지만 民衆 속에서 자주 흥행되던 諷刺劇과 滑稽劇이 탄생한 점을 조선시대 연희사의 큰 특징으로 보았다. 셋째, 계봉우는 다양한 전거에 토대하여 한국의 역사민속을 서술함으로써 당대의 중앙아시아 고려인에게 교육시키고 후대의 한국 역사민속학자들에게 연계하는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의 역사민속이 지닌 긍정적, 민중적, 祈福的 요인들을 외면한 부분은 논쟁이 될 사항이라 하겠다. 한국 역사민속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전적으로 그의 思考에 크게 영향을 끼친 기독교 신앙과 사회주의 사상 때문이었다고 해석된다. This paper examines Buk-Woo, Gye Bong-Woo’s (1880-1959) writings and viewpoint on Korean historical-folklore, who fled the country under Japanese rule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nationalist education and research of Korean studies. Gye Bong-Woo, born from the low class, Hamgyeongnamdo,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a pioneer who studied, taught, and built Korean studies in North Gando, the Maritime Territory, and Central Asia (Russia). Especially, his research ranged over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history. In spite of activities for independence, nationalism, and socialism, he wrote about thirty books on Korean studies including Korean historical-folklore.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his achievement was begu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fter 1990, the first year of Korean-Russian relations. Collecting and examining his writings, researchers evaluated that he nearly compared with Park, Eun-Sik and Shin, Chae-Ho, the typical scholars of Korean studies in the colonial era. There has been no review of his Korean historical-folklore, however. This paper analyzes what he wrote about Korean historical-folklore and how he viewed 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of all Korean historical-folklore, he was interested in (a) religion and mythology, (b) play, (c) the lunar calendar and holidays, and (d) common custom. He described on them, except play, according to the negative point of view, such as deception of the exploiting class, superstitions, and non-scientific ignorance. Secondly, he wrote that Korean play was much influenced by interactions with countries bordering west China in the ancient days. He also wrote that it was very popular during Goryeo Dynasty, but was in decline under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Nevertheless, he considered the birth of satirical drama and burlesque drama, very popular with public,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history of play in Joseon Dynasty. Finally, he ignored positive, popular, wish-m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ical-folklore, although he described on it with various reasons, taught it Korean people in Central Asia, and left his legacy to the succeeding scholars. It seems that Christian belief and socialist thought would affect on his ideas.

      • KCI등재

        18~19세기 서해(西海) 도서주민(島嶼住民)의 거주 양태-백령도(白翎島) 거주 김해(金海) 김씨(金氏) 일가의 고문서(古文書) 자료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s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이 연구는 18세기 전반기에 황해도 내륙에서 백령도로 이주한 김해 김씨 일가의 약 130여 년 간의 생활 모습을 고문서 및 호적 자료를 분석하여 고찰한 것이다. 김해 김씨 일가는 백령도로 이주해 온 이후 자신들의 섬 생활과 관련된 58건의 고문서 자료를 남겼는데, 이중 호적 관련 고문서가 51건이며, 나머지 자료는 관리 임명 관련 고문서 및 매매 관련 고문서이다. 조선시대 고문서 자료가 거의 내륙 양반의 후손 집안에서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경향에 비추어볼 때, 도서 지역 더군다나 비양반 후손의 집안에서 60건에 가까운 고문서 자료가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것은 드문 일이라 하겠다. 덕분에 우리는 조선 후기 도서 주민의 생활 모습을 복원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백령도 김해 김씨 일가는 先祖가 18세기 전반기에 황해도 내륙 고을인 長淵에서 백령도로 入島한 이후 가문이 번창하여 현재까지 백령도 내 최대 가문을 이루고 있다. 先祖가 백령도로 入島한 이유는 조선 후기 海賊의 출몰이 잦아지면서 조선 정부가 백령도에 수군진을 설치하고 주민들을 대거 입도시켜 海防을 강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한 때문이었다. 둘째, 백령도 김해 김씨 入島祖의 신분은 평민층이었으나 이후 그 후손들 중 일부는 19세기 중엽 이후 양반 및 중인층으로 신분을 상승시켰던 반면, 일부는 19세기 말까지도 평민층의 신분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김해 김씨 일가는 전반적으로 도서지역 내에서는 최고 지배층 가운데 하나로 신분을 상승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대다수 호적 자료에는 嬰幼兒 자녀를 기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는데 반하여, 이들 일가의 호적 자료에는 영유아, 특히 女兒까지도 충실하게 호적에 기재하고 있었다. 이는 수군진이 설치된 다른 섬 지역의 호적 자료에서도 잘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었다. 이로써 백령도 김해 김씨 일가의 어린 자·녀에 대한 인식이 매우 각별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넷째, 일부 남아 있는 매매 관련 고문서 자료를 통해 김해 김씨 일가가 경제력 신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김해 김씨 일가는 수군진의 요직을 수행하면서 세금 징수 및 특산물 供出에 적잖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이렇듯 권력과 정보력, 노력이 누적되어 김해 김씨 김두기 일가는 현재 백령도의 최대 가문으로 자리 잡았던 것이 아닌가 보여 진다. This paper analyzes ancient documents and census registers related to Kimhae(金海) Kim(金) family, who moved from interior Hwanghae Province to Baekryeong Island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Its members left fifty-eight sheets of material about their lives in the island. Fifty-one of them are census registers, and the rest are certificates of appointment and agreements for deed, etc. In case of ancient documents of Joseon Dynasty era, almost of them have been preserved by descendants of yangban(兩班) who have lived inland area. It is very rare that insular people from non-yangban class have kept nearly sixty sheets of paper and introduce them to the academic world. Thanks to them, we were able to understand how they have liv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er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Kimhae Kim Family's people moved from Jangyeon(長淵), inland town of Hwanghae Province to Baekryeong Island in the former period of the 18th century. Their migration was a government policy to reinforce maritime defense. The government set up the naval post and moved people there, when pirates began to appear frequently. Secondly, its people were originally commoners when they first moved to the island. Some of them were yangban or middle-class since mid-19th century, while rest of them were commoners eve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Generally speaking, the family had flourished ever since, and was able to be one of the strongest family in the island. Thirdly, it is common that children's names were not written on the census regis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owever, people of Kimhae Kim family wrote all the names of their children, even their young daughter. There are no children's names on the census register written in other islands with the naval post. It seems that they had a very different idea about their children. Finally, people of Kimhae Kim family constantly tried to improve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y were probably involved in collecting tax and products, assuming an important office at the naval post. It seems that Kim Du-Gi’s family was able to be the biggest family based on power, information, and efforts.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중엽 사근도(沙斤道) 소속 역인(驛人)의 직역과 신분 - 1747년 “사근도형지안(沙斤道形止案)” 자료의 분석 사례 -

        임학성 ( Lhim Hak Seong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이 논문은 경상북도 문경시의 `옛길박물관`에 소장된 1747년 작성 “沙斤道形止案” 자료에 수록 된 驛人들의 職役·신분이 어떠했으며, 또 어떠한 변동 양상을 보였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사근도형지안”은 경상도 咸陽에 위치한 沙斤驛을 본역으로 하고 인근 14개 驛을 편제한 沙斤道의 역인 현황을 조사·편제한 자료로 그동안 학계에 전혀 소개된 적이 없는 新발견 자료라는 점, 특히 기존에 공개된 여타 형지안과 달리 역인들에 대한 인적 정보가 매우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자료의 분석 결과 확인된 주요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1747년 작성된 “사근도형지안”의 경우 驛吏는 일반 호적의 驛吏戶와 유사하게 기재된 반면, 驛奴婢는 그 직역·신분의 귀속을 명확히 판별하려는 목적으로 `驛卒降奴秩`, `(驛女)嫁公·私賤所生秩`, `(驛吏)娶公·私賤所生秩` 등과 같이 별도의 항목으로 묶어 기재하였다. 둘째, “사근도형지안”에서 확인되는 驛人의 종류는 驛吏, 驛奴, 驛婢와 日守, 保人 등이었다. 그런데 일수와 보인의 경우 자신들만의 독립 `戶`로 편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18세기 중엽 사근도의 주요 역인은 역리와 역노비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사근도 전체로는 역리가 70%의 압도적 점유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역노가 20%, 역비가 10%, 그리고 일수의 점유율은 1% 정도에 불과하였다. 넷째, 18세기 중엽 사근도 소속 역노비의 신분 귀속 경향은 父의 직역·신분이 역노·노비였던 자가 64%로, 그리고 母의 직역·신분이 양녀·평민이었던 자가 52% 등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역노비의 부모 결합 경향은 <역노·노비(父)+양녀·평민(母)>이 48%로 절반가량이나 되었다. 다섯째, 18세기 중엽 사근도 소속 역인들의 직역·신분 변동 양상은 주로 역노비로 하락한 경우가 많이 나타났지만, 역노비의 직역·신분 상승 사례도 적잖이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사근도형지안” 자료에서는 역인이 驛役에서 벗어난 경우도 多大하게 확인되었는데, 그 사유로는 老除 및 사망, 도망 등이 가장 빈도가 높았다. 이밖에 私奴, 軍保, 成均進士가 되었거니 驪興君의 후손이었다는 등의 다양한 사유로 驛役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1747년 “사근도형지안” 자료를 분석하여 역인의 직역·신분 양상을 살펴본 결과 “사근도형지안” 자료가 지니고 있는 가치를 명확히 드러낼 수 있었다. 이 자료는 驛人帳籍이라는 형지안 본래의 성격을 매우 충실하게 지니고 있으며, 그런 이유로 현존하는 조선시대 최상의 驛(道) 形止案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in the jikyeok(work of life: 職役) and status of the station workers(驛人) in the mid-18th century.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is the “Sageundo Hyeongjian(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 沙斤道形止案)” written in 1747, which was collected in the “Museum of Old Roads(옛길박물관)” of Mungyeong City(聞 慶市), North Gyeongsang Province(慶尙北道). “Sageundo Hyeongjian” is a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stations in the area of Sageundo Stations(沙斤驛) in Hamyang(咸陽) area of Gyeongsang and 14 nearby stations. This data was recently discover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Sageundo Hyeongjian”, the station officials(驛吏) are described similar to those of the census register, while the station servants(驛奴婢) are classified for the purpose of clearly identifying his or her status. It is listed as a separate item such as `Yeokjolkangnojil(驛卒降奴秩)`, `Yeoknyeogakongsacheonsosaengjil(驛女嫁公私賤所生秩)`, and `Yeokrichuikongsacheonsosaengjil(驛吏娶公私賤所生秩)`, etc. Second, the types of station workers identified in the “Sageundo Hyeongjian” are the station officials(驛吏), station servants(驛奴婢), station clerks(日守), etc.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tation clerks were not organized as their own independent “Ho(household: 戶)”. Therefore, the main station workers of the Sageundo Stations was composed of the station officials(驛吏) and the station servants(驛奴婢). Third, in Sageundo Stations, station officials has an overwhelming share of 70%, followed by station man-servants(驛奴) of 20%, station woman-servants(驛婢) of 10%, and station clerks(日守) of 1%. Fourth, the station servants belonging to Sageundo Stations were found to be 64% of those whose father was a station man-servant and 52% of those whose mother was a common woman(良女). As a result, the parents` union of the station servants were 48% of the “father: station man-servant + mother: common woman”. Fifth, the station workers belonging to Sageundo Stations were generally downgraded to the status. However, We were able to confirm a lot of the station servants that raise their status. In conclusion,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Sageundo Hyeongjian” in 1747, we can clearly show the value of the data. This data is very faithful to the original nature of the scheme, which is the census register of the station, and for that reason, it can be regarded as the best data of the present Joseon dynasty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