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현저성과 자기규제초점이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하환호,변충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COVID-19가 유행하고 있다. 이후 매일 같이 들려오는 사망소식으로 인해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죽음을 떠올리고 있다. COVID-19가 지속 되는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죽음현저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경험하고 느끼는 죽음에 대한 생각(죽음현저성)이 윤 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와 같은 친사회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사람들이 지닌 자기규제초점 성향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함께 알아보았다. 죽음현저성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의 점화효과를 발생시킨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극복하기 위해 죽음을 부인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의 자기존중감은 낮아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낮은 자기존중감을 회복할 목적 으로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를 높이는 친사회적 행동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가설과 같이 죽음현저성이 높을수록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죽음현저성으로 인해 생긴 두려움과 공포의 점화효과는 부정적인 것으로 당사자에게는 손실이다. 이 때문에 죽음현저성이 친사회적 행 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들이 지닌 규제조절초점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죽음현저성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의 점화효과는 향상 초점을 가진 사람들보다는 예방초점을 가진 사람들의 동기적 성향과 부합하므로, 향상초점자들보다는 예방초점자들의 친사회적 행동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결과, 예상한대로 죽음현저성이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규제초점에 따라 달리 나타 났다. 그러나 죽음현저성이 낮고 높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죽음현저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예방초점자와 향상초점자들 간의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의 차이는 없거나 적었다. 반면에 죽음현저성이 높은 집단은 향상초점자들의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가 예방초점자들의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 시하였다. Due to the COVID-19 pandemic, people unconsciously think of death. As COVID-19 continues, people's death salience is higher than ev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oughts about death (Mortality salience) experienced and felt in real life on consumers' pro-social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We also investigated how these influences change according to people's tendency to focus on self-regulation. Mortality salience causes fear of death and the priming effect of fear. Self-esteem is lowered in the process of denying death to overcome the terror and fear of death.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people will choose to increase their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to recover their lowself-esteem. In the study results, as in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death salience, the higher the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The fear of death is negative and a loss to the person concerned. Therefore, death salience will have different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gulation focus. In other words, it was expected to have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social behavioral intentions of prevention-focused people than promotion-focused people because it coincided with the motivational tendencies of those with prevention focus rather than those with promotion focus. As expec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mortality salience on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differed according to the focus of self-regulatio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between prevention focus and promotion focus in low death salie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rtality salience was high, the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were much higher in promotion focus groups than the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in prevention focus group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양승애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간호대학 에 다니고 있는 학생 147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임종간호 태도 정도는 기 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 불안(β=-.392), 자아존중감(β=.179), 죽음 학습경험(β =-.227)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18.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nursing students’ end-of-life care attitude.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of 147 nursing students, Instrument included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end-of-life care attitude. Result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end-of-life care attitude,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Death anxiety(β=-.392), self-esteem(β=.179) & experience of learning(β=-.227) about death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is variables accounted for 18.7% of the variance in end-of-life care attitud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end-of-life care.

      • KCI등재후보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양승애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4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90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32.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of 190 nurses. Instrument included perception of death,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death attitude, burnout, terminal care attitude.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erminal care attitude,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stress. In additio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erminal care attitude,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burnout. Perception of death,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 death attitude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is variables accounted for 32.7% of the variance in terminal care attitud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erminal Care.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오진탁(Chin-Tak Oh),김춘길(Chun-Gill Kim)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노인은 인간발달단계로 볼 때 죽음을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데,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복합적일 수 있다. 노인이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면 그들의 삶의 질이 좋아지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10주간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주 1회 100분씩 60세 이상의 노인 38명에게 실시하여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2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1기 22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1월 16일 부터 3월 26일까지, 2기 16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4월 16일부터 6월 18일까지 교육을 실시했다. 10주간 이루어진 강의주제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존엄한 죽음을 위한 3가지 대안, 죽음 끝이 아니다(I, II), 호스피스(I, II), 죽음의 9가지 유형(I, II, III),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이다.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다음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 점수를 교육 실시 전 점수와 t-test로 검정한 결과, 교육실시 이후에는 실시 이전보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우울 정도의 점수는 감소하였으나 그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노인대상자의 죽음준비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에 죽음태도와 우울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한 결과, 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 모두 강한 역 상관관계를 보여 죽음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우울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교육 전ㆍ후 우울 정도와 상관관계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인계층 대상으로 일정기간 동안 규칙적으로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면,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아울러 지금까지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기반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for older adults. A death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eeds of death education, alternatives for dignity on death, not ending death(I, II), hospice(I, II), and 9 patterns of death(I, II, III).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8 older adults aged 60 years or older.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scales for Korean elders were employed. The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rom January to June, 2008.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1 time per week during 10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Window 14.0. After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death compared to that of pre-intervention. The subjects after the intervention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change of depression compared to that of pre-intervention. Also, attitudes toward death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both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but the change of relation was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xtend the base of program developments on death education enhancing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Korean older adults.

      • KCI등재후보

        죽음준비교육 참여군과 비 참여군의 삶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비교

        강경아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the well-dying education program. Methods: This study adopted the descriptive comparative design.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85 participants and 94 non-participants of well-dying educatio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marital status, health status,and volunteer experience. 2) The program participants showed higher scores of the death attitude than non-participants.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in participant group. 4) Death attitu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aning in life in participant group with 6.0% varia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well-dying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prepare good death with more comprehensive vision. Therefore this program should be served for patient who have life-threatening illness by nurse and this is the expended role of oncology and hospice palliative nurses.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참여군과 비 참여군의 삶의 의미와죽음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는 조사연구이다. 참여군은 서울시S대학교에서 주최하는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86명이었으며,비 참여군은 웰다잉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사회교육원 수강생 9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Choi 등16)의 생의 의미도구와 Chang17)의 죽음에 대한 태도 도구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hi-square test, t-test, ANOVA, Duncan 사후검정,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은 비 참여군보다 나이가 많았고,여성이 많았으며, 기혼자가 적었으며, 질병이 있는 경우와 자원봉사 경험이 더 많았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비참여군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삶의 의미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삶의 의미는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에서 기혼자, 건강상태가 건강하거나 매우 건강한 경우에, 질병이 없는 경우에 높았으며, 비 참여군은 종교와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경우에 높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참여군과 비참여군 모두에서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질병이 없는 경우에 긍정적이었으며, 비 참여군은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이었다. 넷째,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의 삶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참여군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인은삶의 의미로 설명력은 6.0%이었으며, 비 참여군은 성별로서설명력은 4.7%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은 비참여군보다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삶의 의미가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 노년층 대상자들이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삶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죽음을 회피하고 두려운 것이 아닌 적극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죽음을 준비하는것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임송자(Song-Ja Lim),송선희(Sun-Hee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는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 별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천안시, 아산시 및 용인시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들과 천안시, 아산시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들로 총 32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었다. 하위 요인별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요인에서는 일반 성인, 종교가 있는 사람, 기혼자가 긍정적이었고, 죽음에 대한 회피요인에서는 종교가 있는 사람, 여자, 기혼자가 긍정적이었으며, 죽음에 대한 개방성요인에서는 일반성인, 종교가 있는 사람, 기혼자의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불안에 차이가 있었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정서적 불안요인에서는 대학생, 종교가 없는 사람, 여성 및 미혼자의 죽음불안이 더 높았고, 신체변화에 대한 불안요인에서는 결혼유무만 차이가 있어 기혼자 보다 미혼자의 불안이 더 높았다. 셋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은 상관이 있었다.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죽음불안의 하위 세 요인 모두와 부(-)의 상관이, 죽음에 대한 회피는 신체변화에 대한 불안에만 정(+)의 상관이, 죽음에 대한 개방성은 인지·정서적 불안에만 정(+)의 상관이 있었다. 넷째,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에 대한 회피는 죽음불안의 하위 세 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and differenc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the death attitude on death anxiety. The college students who study in the area of Chonan, Yongin, and Asan and the adults who live in the area of Chonan and Asan enrolled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data from 325 responses final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adults are more positive than college students, religious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nonreligious people, female are more positive than male, and married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unmarried people in the death attitude. Second, colleg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adults, nonreligious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religious people, female are more positive than male, and unmarried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married people in the death anxiety. Thir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the death attitude. The fear on death has negative correlation on all subvariables of the death anxiety. Avoidance on death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physical change anxiety, and openness on death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nxiety. Finally, It showed that the death attitude are affected by the death anxiety. The death anxiety was not much, if the fear on death are more little, the death anxiety was much, if the avoidance on death are much.

      • KCI등재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함미영(Ham, Mi-Young),임소희(Lim, So-Hee),고숙정(Ko, Suk-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는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을 간호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죽음인식과 죽음태도 및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이다. 양적연구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기술통계, Wilcoxon 부호순위검정, Spearman’s rho으로, 질적연구는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로는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을 분류, 범주화하여 명명 작업한 결과는 1. 죽음의 부정적인속성 : 외로움, 허망함, 죽음 임박에 따른 고통, 2. 죽음의 긍정적인 속성: 삶의 과정, 새로운 시작, 영원한 휴식, 3. 희망하는 죽음 : 평화로운 죽음, 준비가 되어진 죽음, 존엄성이 지켜진 죽음, 4. 예비간호사로서의 임종간호 : 임종자에 대한 두려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직무만족, 삶과 간호에 대한 가치관, 영적간호로 나타났다. 따라서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은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ospice education including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death, attitude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for nursing students.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that quantitative research used frequency, percentage, Wilcoxon, Spearman’s rho using SPSS 18.0 WIN program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contents analysis. At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hospice education including death preparing program showed to significant increase its terminal care attitude of th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giving their names and categorizing of the hospice education including the death preparing program of the participants showed such as, 1. Negative characteristics of death: loneliness, falsehood, death s agonies, 2. Positive characteristics of death: life process, new start, eternal rest, 3. Hopeful death: peaceful death, prepared death, death with dignity, 4. End-of-life care as pre-nurses: fear for the deathbed person, satisfaction of his or her s roles, value for the life and care, and spiritual care. In conclusion, a hospice education including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program in enhancing the attitude of death and the terminal care attitude for nursing students.

      • 사회복지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연구

        최명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0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5 No.-

        21세기 노령화와 함께 다양한 의료 현장에서 팀 접근을 할 사회복지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죽음태도를 알아봄은 앞으로 사회복지학생들의 영적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통한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결과로 첫째,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간 죽음태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죽음태도를 5개 하위차원으로 분석한 결과, 탈출적 수용과 죽음회피에서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죽음공포와 탈출적 수용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를, 접근적 수용과 죽음공포에서 종교에 따른 차이를, 탈출적 수용과 죽음회피에서 건강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대학생들의 죽음태도에 있어서 생활수준과 죽음경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요인탐색을 통해 학생들의 태도 변화와 나아가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을 제언한다.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spiritual social welfare program for social welfare students and to enhance quality of service to clients by examining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students who will have access in team to diverse medical treatment fields in the aging in the 21st century and their attitude toward death.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 death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students.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death into 5 subordinate dimensions showed that in the escaping acceptance and death avoidance,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in the fear of death and escaping acceptance,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in the approaching acceptance and fear of death,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and in the escaping acceptance and death avoidance,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fitness level, and in the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death,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iving and death experience. So I present the change in the students’ attitude and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service to clients through exploring the factors for this.

      • KCI등재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연구

        김지현,민경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at exploring the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death attitude and death competency and examining the influence of death attitude on death competency. The purpose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s, personality, and ego-integrity on fear of death and death acceptance among the elders.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ath attitudes on death competency. Therefore, the multivariate analyses of the variance were conducted using 96 older adults, aged 61-86,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ath attitude on death competency. Findings from a serie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demographics and personality factor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explained variance in death attitude in the elders. With regard to death competency, conscientiousness among personality factors and ego-integr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lso, the result showed that death fear and death acceptanc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death competency. In summary, findings from the present research confirm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demographics, personality factors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dices on death attitude among the elders. Furthermore, the result supported the underlying assumption that death attitude, consisted of death fear and death acceptance, is a significant predictor on death competency. A number of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were acknowledg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ocusing on their practical importance on death educ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공포와 수용을 포함하는 죽음 태도와 죽음에 대처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기효능감인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따라서 성별, 연령, 건강, 경제, 종교, 교육수준 등의 인구학적 변인과 성격 변인 및 낙관성, 인생만족감, 우울, 자살충동, 자아통합감 등의 적응 지표를 포괄하는 다양한 변인들을 연구에 포함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 대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 대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96명의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와 수용 및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한 결과, 인구학적 변인 중에서는 성별과 종교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가 죽음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고 외향성과 성실성과 같은 성격 변인, 자존감 및 노년기 자아통합감이 죽음에 대한 태도와 관련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과 종교 유무, 독거 여부, 배우자와의 사별 등의 집단 특성에 따라서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한편, 인구학적 변인, 성격 변인 및 자아통합감을 포함하는 단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죽음 공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경제 수준이었고 성실성과 같은 성격 변인은 노년기 죽음 수용적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변인, 성격 및 자아통합감을 포함하는 모델은 노년기 죽음 대처 유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며 약 30%의 변산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죽음에 대한 태도는 노년기의 죽음 대처 유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약 22.9%의 변산성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통하여 죽음 대처 유능감을 증진하는 것이 노인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적응을 돕는 방법일 수 있다는 본 연구의 제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노인의 죽음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추용 한국노인복지학회 2014 노인복지연구 Vol.0 No.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vide the attitudes of those old people facing death into three subordinate scopes-fear, evasion, openness-and study them, and based on the findings, to further study how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may affect their self-esteem.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 will suggest how the old people can raise their self-esteem. In other words, we will divide their attitude toward death into three subordinate scopes and suggest rational policy concerning how they can accept their death in a more positive manner.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old people that use senior welfare center and 220 copies of the study were analyzed. Three scopes-their attitude toward their own death, self-esteem,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were studied, hypothesis was formed, and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technolog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data analysis.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evasion i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subordinate scopes of fear of death, evasion, and openness while fear was found to be the lowest among the same scopes. In the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death by variable, it was found that women feared death more than men do and that women tended to evade death more in cases of separation by the death of their spouse and the separation by divorce when compared to other cases. In the analysis by living standard, those better off economically tended to accept death in a more positive manner than those who are not.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the training the old people to accept death be reinforced in order to help them embrace death more easily and in a more positive manner; to encourage them to pursue their religious life in order to help them overcome fear of death; and finally to develop proper programs designed to maintain or raise one’s self-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태도를 두려움, 회피, 개방성의 세 하위영역으로 나누어서 조사한 후, 이를 토대로 자아존중감에 죽음태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방법, 죽음태도의 세 하위요인별로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합리적인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220부를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죽음태도, 자아존중감, 일반적 특성의 세 영역이며, 연구가설을 설정하였고,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죽음태도의 두려움, 회피, 개방성의 세 가지 하위영역에서 회피가 가장 높았고, 두려움이 가장 낮았다. 변수별로 죽음태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두려움이 더 높았고, 사별과 이혼의 경우가 죽음을 회피하려고 하였다. 생활수준에서는 잘 사는 편이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죽음태도의 회피를 줄이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죽음준비교육을 강화하여야 하고, 종교활동을 독려하여 죽음의 두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자아존중감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정책제언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