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법으로서의 주자학: 지금 여기서 ‘주자학’을 공부한다는 것의 의미

        이찬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4 No.-

        How should the Learning of Zhu Xi be studied in the futur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hat it means to study the traditional learning today, when not only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the traditional period, but also the academic system has been completely changed. As such, this paper is not an argument for a particular issue, but rather a proposal for a long-standing methodological problem in the Learning of Zhu Xi. This is organized as an omnibus that sketches out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Zhu Xi Studies, focusing on the Learning of Zhu Xi as it has been studied in Korea. I identify the past as a pure ideology and the present as a fictional structure. Based on this, I believe that if the Learning of Zhu Xi is to be reconstructed in the realm of philosophy and thought, it should be continuously reinterpreted by experimenting with comparative philosophy, translating and defining concepts for ongoing, current interpretation, and establishing academic identity through questioning. These attempts suggest that the Learning of Zhu Xi should function as a method for our contemporary problems. As a method, each researcher will come to different conclusions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and problems. Rather than being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or exclusive of each other, these attempts are complementary, which means that all the many paths we walk are still unfinished as well as present progressive.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each of the Confucian learnings we are studying "here" today is a fledgling discipline in the sense that the paths, and perhaps all the paths, must one day be completed in an organic and holistic way. In short, by critically examining the academic status of Zhu Xi Studies, I hop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define it within our epistemological framework today. 주자학은 앞으로 어떻게 연구되어야 할 것인가? 전통시대의 사회문화적 환경뿐만 아니라 학제적 체제 역시 완전하게 달라진 오늘날 전통학문인 주자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따라서 이 글은 특정한 문제를 논증하는 글이라기보다 오랫동안 고심해온 주자학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에 관한 제언이 될 것이다. 이 글은 과거의 주자학과 현재 연구되고 있는 주자학, 미래에 연구되어야 할 주자학의 대략을 그려보는 옴니버스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에서 연구되던 주자학에 초점을 맞추었다. 나는 과거의 주자학을 순정한 이념의지향으로, 현재의 주자학을 허구적인 구성체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만일 주자학이 철학과 사상의 영역에서 재구성되어야 한다면, 비교철학을 통한 실험, 끊임없는 현재적 해석을 위한 번역과 개념의 정립, 그리고 질문하기를 통한 학문적인 정체성 정립함으로써 주자학은 지속적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도는 우리의 당대적 문제의식을 위한 방법으로써 주자학이 작동해야 함을 말해준다. 방법이라는 점에서 각 연구자는 각자의 관심과 문제에 따라 다른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각자의 시도는 서로 경쟁 관계에 있다거나 배타적이라기보다 서로를 보완해간다는 점에서, 우리가 걸어가는 그 여러 갈래의 모든 길이 여전히 미완성이며현재형이라는 사실을 뜻한다. 더욱이 그 길은 나아가 어쩌면 그 모든 길이 유기적이고도 총체적인 모습으로 언젠가 완성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오늘날’ 우리가 ‘여기서’ 공부하고 있는 각자의 유학은 신생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요컨대, 주자학의 학문적 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의 인식론적 틀 안에서 재정의하는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주자학 속에 숨은 양명학: 노수신의 주자학과 그의 인심도심 해석

        최진덕 ( Choi Jin Duk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노수신은 16세기 당시부터 양명학을 한다고 비판받아 왔다. 오늘날에도 신향림은 그를 “최초의 양명학자”로 지목한다. 하지만 노수신의 산문은 매우 주자학적이다. 그의 시에서 간혹 양명학적 소신이 드러날뿐이다. 간혹 보이는 그의 양명학은 그의 주자학과 모순이라 보기 어렵다.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는 “이는 하나(理一)”라는 진리가 있다. 이 진리는 왕양명의 만물일체설과 다르지 않다.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은 곳에 양명학이 숨어있다. 그러므로 모든 주자학자는 잠재적으로 양명학자일 수 있다. 노수신은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 침잠함으로써 양명학과 만난다. 그의 『인심도심변』은 주희의 인심도심 해석이 주자학적 본체론과 공부론의 체와 용을 겸비하지 못하고 용의 차원에 그치고 있음을 안타깝게 여겨 16자 전심결을 주자학적으로 완전하게 해석한다. 『중용장구서』 에서의 주희의 인심도심 해석보다 더 주자학적인 노수신의 인심도심 해석은 나정암의 그것과 흡사하다. 그런데 노수신은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서 하나(一)과 무(無)를 말하면서 양명학과 만나는 반면, 나정암은 하나와 무를 말하지 않으면서 양명학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노수신은 양명학을 하더라도 극단으로 가지는 않는다. 그에겐 강렬한 깨달음의 체험도 없고 광자기상도없다. 주자학과 양명학은 근본적으로 연속적이지만 주자학이 권력화되던 시절에 양명학적 소신을 피력하기란 쉽지 않기도 했다. Noh Susin(盧守愼, 1515-1590) had been accused of his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ning by the fundamentalist scholars of Chuhsi``s Learning in Chosun Dynasty. However, in his proses discussing the themes of Chuhsi``s Learning, we cannot find out any evidence that he was a scholar of Yangming``s Learning as opposed to Chuhsi``s Learning. On the contrary he seems to be faithful to the authenticity of Chuhsi``s Learning more than any other scholar of Chuhsi``s Learning. Only in his poems we can find out some phrases showing his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ing. Is there any discontinuity between Chuhsi``s Learning in his proses and Yangming``s Learning in his poems? At first we must know that Yangming``s Learning has the same theory of ontology as Chuhsi``s Learning, and that Yangming``s Learning is different from Chuhsi``s Learning only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According to the ontology of Chuhsi``s Learning, all different things in this changing world are flowing into one thing whil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is oneness of all things is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but Chuhsi``s Learning cannot provide any efficient method of self-cultivation to arrive at the ontological depth and to become a sage. The sudden enlightenment theory of self-cultivation proposed by Wang Yangming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moral and intellectual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Chuhsi``s Learning. We can say that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calls for Yangming``s Learning. The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ing of Noh Susin seemed to be due to his experience of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which was the result of his arduous study of Chuhsi``s Learning. He became inclined to Yangming``s Learning because he was faithful to Chuhsi``s Learning. Also his new interpretation of Men``s mind and Tao``s mind was to revive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omitted in the interpretation of Chuhsi himself which considers the two minds as the two desires of the psychological level.

      • KCI등재

        국내 주자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2011~2015)

        강진석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8 No.-

        這篇論文是從2011年到2015年在韓國學術界進行的關于朱子學的硏究成果方面的梳理和表述。筆者在梳理和分析的過程中不難發現韓國學術界對朱子學的硏究旣是有在?多項目上重復硏究同一主題的現象, 又是突出硏究項目長久以來集中于特定的主題的特征。但是?一方面筆者可?出一些新的硏究潮流, 例如朱子學與先秦儒學的傳承硏究、 朱子學與其他宗敎的融合及發展、 以自然論爲着眼的朱子學硏究、 朱子學體系的深層硏究等領域。此外, 朱子學的道統意識、 朱子忠恕論的倫理意義、 以及朝鮮時代韓國儒學對朱子學文獻的硏究、 日本學者對韓國朱子學的硏究等方面的硏究也亦然突出, 給我們提供多樣的視角的思考。筆者認爲爲了加强朱子學的硏究, 需要重新探討先秦儒學與朱子學的傳承脈絡、 從生態論重新解釋朱子學、 朱子學與其他宗敎的對話、 朱子學的現代運用等具有開拓新領域、 視角的新轉變等意義的硏究。

      • 性理學의 東漸 과정 : 朱子學 持入을 기점으로

        김충열 남명학연구원 2003 南冥學硏究論叢 Vol.12 No.-

        1; 중국성리학이 언제 고려에 들어왔느냐 하는 문제는 꽤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다. 고려의 건국은 중국송나라 보다 약40년 빠르고 사학을 처음 일으킨 최충이 성리학적 개념을 제기, 대학 중용을 교과로 삼아 학생을 교육하기 시작한 시기 또한 북송보다 빠르거나 같은 시기로 간주된다. 그러던 것이 거란이 북방을 공제하여 송나라와 단교한 것이 반세기를 넘고 또한 불행하게도 무인들의 난정으로 인해 학술생명이 끊어진 것이 백여 년이 넘어 고려는 자체적으로 성리학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마침내 중국으로부터 성리학을 수입하는 학술 후진국이 되었다. 2: 그러면 고려는 언재-중국성리학을 수입하기 시작했는가? 종래의 학설에 의하면 안향이 연경에 가서 새로 간행된 주자전서를 베껴가지고 돌아온 1290년대를 잡고 있다. 필자도 고려유학사를 쓰면서 종래의 학설을 따랐다. 그런데 근래 새로운 주장들이 나와 적어도 종래의 년대보다 백여 년이 앞당겨지고 내용면에서도 종래 주자학일색에서 상산심학이 이미 주자학과 함께 들어왔다는 설이 유력하게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필자는 본래 한국철학이 전공이 아니어서 삼가고 즉시 반향을 보이지 않았다. 3; 근래 좀 한가해져서 다시 자료들과 여러 학설을 검토하고 내 나름 심사숙고해 본 결과 종래의 학설이 과히 틀리지 않고 내 주장 또한 더 새로운 증거자료가 나오지 않는 한 크게 잘못되지 않다는 자신을 갖게 되어 내 학설을 비판한 새로운 설에 대해 답변 겸 보충설명을 한 것이 이 논문이다. 원래 중국성리학은 일시에 한사람 한학파에 의해 비교적 단조롭게 형성된 것이 아니고 기학 심학 리학 등 중점이 다른 학자 학파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진 것이므로 가단치가 않고 또한 수입원인 중국쪽 상황도 달라져서 중국성리학의 전반이 한꺼번에 고려로 들어오지 못했다. 4; 이에 필자는 나름대로 기준을 세워 그 수입시기를 정했다. 그것은 첫째 중국측에서 각 학설이 정리체계를 마치고 서적으로 간행이 되어야 비로소 타 지역으로 수출을 할 수가 있고, 둘째 수입하는 쪽에서도 그저 단편적이고 풍설로 들은 것을 수입으로 보지 말고 학설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확실한 자료 즉 서책을 통해서 연구하고 가르칠 수 있는 단계가 돼야 이것을 수입시기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하나의 점은 아직 선을 이를 수가 없으므로 점과 점이 이어져 선을 이를 수 있을 때라야 명실상부한 수입시기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5; 안향이 주자전서를 베껴가자고 들어오기 이전에는 비록 중국성리학에 대한 접촉이나 문설이 있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최소한의 학설내용에 대한 소개도 제시된바 없다. 말하자면 하나의 점은 있으나 그 점이 이어져 선을 이루지는 못하고 이내 단절된 것이기 때문에 이런 단편적 문설을 바로 수입시기로 잡을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닌가? 그래서 본 논문 역시 종래대로 안향의 주자전서 초래와 그것으로 제생을 교육한 13세기말을 수입시기로 잡은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주자학 연구의 두 시선 -철학자 주희 혹은 유학자 주희-

        강경현 ( Kang Kyu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한국의 주자학 연구는 한국 전통에 대한 해석 문제와 결부된다. 이는 주자학적 이념에 충실했던 “조선”이라는 공간과 그곳의 학자들이 한국의 현재와 과거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지점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의 사상적, 문화적 주요 토대를 이루고 있는 주자학에 대해 근대 이후 한국의 연구는 서양 철학적 해석의 색채를 강하게 띠며 진행된다. 이러한 접근은 전통과의 단절이라는 한국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며, 동시에 주자학의 함의를 지금의 사유와 언어로 해명하기 위해 선택된 방법이기도 하다. 다른 한편으로 한국의 주자학 연구는 유학의 주요 문제의식이라고 간주되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즉, 한국의 주자학 연구는 “철학(philosophy)”을 통해서 주자학의 보편적 의미를 발굴하기도 하며, “유학(儒學)” 안에서 주자학의 정체성을 규명하기도 한다. 이 글은 근대 이후 한국 주자학 연구의 두 가지 접근 방식에 대해 전통 유학의 시점에서 제기될 수 있는 질문을 던져보고자 한다. 하나는 주자학이 서양 철학적으로 분석되었을 때 유학적 문제의식과 다소간의 간극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주자학을 유학 전통 안에서 해석하더라도 여전히 유학의 중요한 문제의식 가운데 일부를 놓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전통 유학에 보다 충실히 입각함으로써 주자학에 대한 이해는 명료해질 것이며, 이로부터 한국의 주자학 연구는 조선주자학을 주요 전통 자원으로 하는 한국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연속적, 정합적 이해의 토대에 자리하게 될 것이다. Since the modern age,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in Korea has been deeply concer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 This is because "Joseon", which was faithful to the Zhu-Xi studies, is one of the points to be paid att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and past of Korea. However,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which constitutes the main ideological and cultural foundation of tradition, have progressed in the color of Western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strongly since the modern age. This approach is due to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Korea, which is a severance of tradition, and simultaneously it is the method chosen to explai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f Zhu-Xi in the present thoughts and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in Korea is centered on the subject considered to be a traditional issue of Confucianism. In other words,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in Korea explored the universal meaning of the Zhu-Xi studies through "philosophy" and established the identity of the Zhu-Xi studies within "Confucianis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k questions that can be rais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raditional Confucianism regarding the two viewpoints of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since the modern age. Firstly, when the study of Zhu-Xi is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the Western philosophy, it would cause the gap with the issues of Confucianism. Secondly, even if interpreting the study of Zhu-Xi within the range of tradition of Confucianism as much as possible, it is still possible that some of the important issues of Confucianism are mis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y of Zhu-Xi will be clearer by focusing on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in Korea will be the basis of a continuous and consistent understanding of Korea's past and present, which regarded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as the main traditional resource.

      • KCI등재

        항재(恒齋) 이광신을 위한 변명

        천병돈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항재는 주자학과 양명학의 핵심을 格致에 있다고 보았다. 주자는 『大學』의 格致·誠意·正心등에 先後의 순서가 있다고 보았지만, 양명은 格致·誠意·正心등의 순서가 없다고 보았다. 이것이 항재가 본 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다. 주자에게 있어서 格物致知는 性理를 인식하는 매우 중요한 공부다. 格物致知의 궁극적 목표는 `窮理`이다. 그러므로 주자의 설을 本原을 소홀히 했다고 규정할 수는 없다. 양명에게 있어서도 사물은 양지를 실현하는 매우 중요한 장소다. 心의 良知활동이 비록 至善하지만 사물을 떠나 허공에 의지해서 致良知할 수 없다. 다만 주자의 格物致知와 陽明의 格物致知의 의미가 다를 뿐이다. 항재는 이 점을 인식하지 못했다. `窮在物之理`를 중시하는 주자학적 인식론은 理를 인식하는 대상으로서의 物과 인식의 주체로서의 心은 수평관계를 이룬다. 그러나 양명의 心은 주자학적인 認識心이 아니고, 理역시 인식의 대상으로서의 `사물의 理`도 아니다. 그래서 항재는 양명의 心卽理로 `사물을 우선시하고 本原을 뒤로 놓는` 주자학과`本原을 오로지 하고 사물을 버려두는` 양명학에 대한 오해를 씻으려고 했다. 문제는 양명학을 기준으로 양명학과 전혀 다른 차원의 주자학을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명학에서 부족한 주자학적인 `窮在物之理`를 보완하려다 보니, 항재 `자신도 자각하지 못한 결과`인 以朱而準王이 되었다. 항재는 양명의 良知本體인 心을 주자학적 心으로 해석했다. 즉 虛靈不昧한 心(주자학에서의 心의 특성)으로 虛靈明覺의 心(本然의 良知)을 해석했다. 그래서 心卽理와 心與理도 동일한 내용으로 파악한다. 주자학과 양명학의 통섭은 知識知와 德性知의 통섭이다. 조선 성리학에서 지식과 德性을 통섭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항재는 바로 지식과 德性을 통섭하고자했던 조선 최초의 철학자다. 그러나 학문적 치밀함의 부족으로 이러한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 恒齋將朱子學與陽明學的重點視爲在格致. 朱子把≪大學≫的格致誠意正心看做有先後的次序, 可是陽明看做沒有次序. 這是恒齋看的朱子學與陽明學的差別. 在朱子格物致知是認知性理的最重要的工夫. 格物致知的終極目標是窮理. 所以不能規定朱子忽視本原. 在陽明也物是實現良知的最重要的方所. 心之良知活動雖至善, 但離物?虛空不能致良知. 只是朱子與陽明的格物致知的意思不同而已. 恒齋不認知這點. 在重視窮在物之理朱子學的認識論, 爲認識對象的物與爲認識主體的心保持平衡關係. 但陽明的心不是朱子學的認識心, 理也不是爲認識對象的物之理. 所以恒齋以陽明的心卽理來解決`先物後本原`的朱子學與`專本原後物` 的陽明學誤解. 問題是準陽明學來, 論與陽明學完全不同的朱子學, 而根據這個來在要補充陽明學所缺少的朱子學的`窮在物之理`, 爲以朱而準王. 恒齋將陽明良知本體的心解釋朱子學的心. 就是說把虛靈不昧的心解爲虛靈明覺的心(良知本體). 所以將心卽理與心與理視爲一樣的內容. 統攝朱子學與陽明學就是統攝知識知與德性知. 在朝鮮性理學沒試圖要統攝知識與德性. 恒齋就是要統攝知識與德性朝鮮的性理學者. 可是不足哲學的分析力量, 而不能完成這個目標.

      • KCI등재후보

        한국의 주자학 도입과 이에 관한 연구의 주요 쟁점

        지준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05 한국 철학논집 Vol.0 No.16

        주자학 도입에 관한 연구는 한국에 처음으로 수용된 주자학의 성격과 진면목이 무엇이냐에 관한 물음으로서, ‘한국적 주자학’이라는 한국 주자학의 특색을 찾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따라서 주자학 도입에 관한 연구는 고려후기 ‘한국의 어떠한 학자들이 어떠한 경로로 주자학을 도입하여 학술체계를 세웠는가?’라는 형식적이고도 기초적인 물음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그 궁극적인 물음은, 고려후기의 학술계에서 도입한 중국의 주자학은 무엇인가? 과연 원대 주자학의 연구성과가 반영되어 있는가? 만일 원대 주자학의 철학적 요소가 반영되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그렇다면 원대 주자학의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가? 원대 주자학에는 陸象山 心學의 요소는 과연 없는가? 중국 명대에는 王陽明의 심학이 발전하였는데, 조선에서는 왜 주자학 일색으로 학술이 발전하게 되었는가? 등등 구체적인 철학적 범주와 내용인 사상성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주자학의 특색을 밝히기 위해서는 단지 중국 주자학과의 차이점만을 비교대상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韓中간의 전체적인 학술사의 관점에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우리는 한국의 ‘주자학 도입’에 관한 연구가 사상사 연구의 일환이라는 점을 환기하여야 한다. 주자학 도입에 관한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인 사상사적인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한 자료의 활용을 기초로 이와 관련한 제반 문제에 관하여 심도 있는 접근이 요청된다.

      • KCI등재

        [특집2: `실학`을 다시 생각한다] 조선 경학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실학파 경학1) -정약용의 경학을 중심으로

        이영호 ( Lee Young-ho ) 한국실학학회 2016 한국실학연구 Vol.0 No.32

        일제시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실학연구사에서, 실학의 특징에 대한 파악은 균일하지 않다. 그런데 조선경학 연구사에서는 실학파 경학이 주자의 경학에 대하여 독립적 위상을 가지느냐의 문제가 중요한 논쟁점 중의 하나였다. 특히 다산정약용 경학의 경우, 이 점은 매우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다산 경학의 특징은 박학, 실천론, 경문중심, 주자 경학에 대한 수용과 비판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산의 경학과 주자학과의 관련성 여부에 대한 평가는 상이하다. 대체로 실학연구사 초기부터 현재까지 대세는 다산학과 주자학은 별개의 경학적(사상적) 현상이라는 것이었는데, 근래에는 다산학을 주자학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하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제출되었다. 실상 다산은 주자와 견해를 달리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주자의 학문에 대하여 시종 존경의 념을 지녔다. 즉 주자에 대하여 지니는 자세가 양면적이다. 그런데 다산은 후대 주자학파에 대해서는 매우 비판적이었다. 다산은 후대 주자학파가 주자의 성리학을 繁多하고 空疎한 이론으로 추락시켰다고 비판하면서, 주자학파의 경설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무시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탈(반)주자 혹은 친주자라 상반되게 평가되고 있는 다산학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바로 다산의 주자학에 대한 태도는 주자와의 연속성의 관점에서 보면 친주자이고, 후대 주자학파와의 단절적 측면에서는 탈(반)주자학파였던 것이다. 다산학과 주자학의 관련 양상에서 이 두 층위를 혼동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다산학뿐 아니라 조선실학과 주자학(주자학파)의 관련 양상을 밝힐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하여 실학의 면모를 조금 더 실제에 가깝게 이해할 여지가 있을 것이다. 즉 문제의 초점을 주자가 아니라 조선주자학파의 경학과의 비교를 통해 다산 경학의 위상을 논의한다면, 이는 분명하게 단절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산과 실학파 경학은 적어도 조선주자학파 경학과의 대비를 통해서는 자기 정체성을 확연하게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Since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until the present day, understandings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Silhak have not been uniformed in the history of the Silhak study.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history of the Silhak study is whether the Silhak School`s Kyunghak has an independent status comparing to Zhu Xi`s Kyunghak or not. Especially, in case of Dasan`s Kyunghak, there are sharp conflicts about this issue. The features of Dasan`s Kyunghak can be divided into erudition, theories of practice, the focus ofConfucian scriptures, and acceptances and criticisms of Zhu Xi`s Kyunghak. There are different evaluations about whether Dasan`s Kyunghak is relevant to Zhu Xi ` Kyunghak or not. Mostly, until the present day of the Silhak`s study since its beginning, the study`s general trend is dealing with Dasan`s Kyunghak and Zhu Xi`s Kyunghak as separate ideological phenomenon. Recently, however, there are some research appear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bout that Dasan`s Kyunghak is understood under the category of Zhu Xi`s Kyunghak. In fact, although Dasan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comparing to Zhu Xi `s views, he always had a reverence for Zhu Xi `s study. Namely, he had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Zhu Xi. However Dasan was very critical to the latter successors of Zhu Xi ` Kyunghak. Dasan criticized that they lowered Zhu Xi `s study to the level of onerous and hollow theories and he thoroughly neglected their theories. In this regard, we are able to realize an identity of the Dasan`s study which is evaluated as anti(Post)- Zhu Xi and pro- Zhu Xi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Dasan is a pro-Zhu Xi scholar in terms of continuity with Zhu Xi and he is an anti(Post)-Zhu Xi scholar in terms of the disconnection with the latter successors of Zhu Xi . If we don`t confuse these two layers, we can reveal the related aspects of Joseon Slilhak and the Zhu Xi Study(the school of Zhu Xi) as well as the Dasan Study. This will leave a room for gaining more practical understanding of Slilhak. If we discuss the status of Dasan`s Kyunghak with the Kyunghak of Zhu Xi`s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comparatively, it is clear that these two are very discrete. In other words, Comparing to the Kyunghak of Zhu Xi`s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argued that the Kyunghaks of Dasan and the school of Slihak at least have their clear identities.

      • KCI등재

        조선 朱子學의 理學的 담론과 특성

        권오영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69 No.-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scour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trines of Zhu Xi in Joseon Dynasty in the two structures: Manifestation Theory of Principle (libal-lon, 理發論), and the Penetration Theory of Principle (litong-lon, 理通論). Joseon Dynasty is the kingdom adhere to the doctrines of Zhu Xi focusing on the school of Principle (lihak, 理學). However, the doctrines of Zhu Xi in Joseon Dynasty has been only discussed in the two divided structures – Yi Hwang’s theory of the Primacy of Principle (ju-li-lon, 主理論) and Yi I’s theory of the Primacy of Material Force (ju-Qi-Lon, 主氣論), since Takahasi first established the criterion the issues after Japanese colonial era.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school of Principle in Joseon Dynasty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Yi Hwang’s and Yi I’s theory, as the Joseon scholars of the school of Zhu Xi were the ones pursuing the theory of the Primacy of Principle, who emphasized the Primacy of Principle over that of Material Force. After Yi Eon-jeok and Seo Kyung-deok, in the 16thcentury, firstcriticizedtheideaofMind (sim, 心) in Buddhism and that of Cosmic Vital Energy (qi, 氣) in Taoism, the Joseon scholars of the school of Zhu Xi newly interpreted them in their own perspective, embracing those ideas with the school of Principle. In Joseon Dynasty, the doctrines of Zhu Xi had been developed into the new and unique one,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with the theories suggested by Yi Hwang and Yi I; the former suggested the activeness and vitality of Principle with his Manifestation Theory of Principle, while the latter did the communication of Principle with his Penetration Theory of Principle. Furthermore, the doctrines of Zhu Xi in the Joseon Dynasty are based on Mindfulness (gyeong, 敬) and Righteousness (eui, 義). With their own uniqueness, the doctrines of Zhu Xi in Joseon Dynasty, through the thoughtful studies and controversies, shifted into the more dynamic one in fac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이 글은 조선 朱子學의 理學的 담론과 특성을 理發論과 理通論이라는 두 구도 속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조선은 理學 중심의 주자학을 신봉한 나라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 다카하시 도루에 의해 조선 주자학은 주로 李滉의 主理論과 李珥의 主氣論의 두 구도 속에서만 논의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일단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주기보다 주리를 강조한 주리론자들이고, 이 주리론 속에서 이황의 이발론과 이이의 이통론의 전개로 조선 주자학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선 주자학은 우선 李彦迪과 徐敬德이 16세기에 불교의 心과 도교의 氣를 비판하고 이제 심과 기를 모두 이학 속에 포용하여 주자학적으로 해석해 나갔다. 이러한 주자학은 이황과 이이를 통해 중국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적인 새로운 주자학 이론으로 발전해 나갔다. 이황의 이발론은 이학의 능동성을 제시했고, 이이의 이통론은 소통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 주자학의 주요 특성을 형성하였다. 또한 조선 주자학은 敬과 義를 강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경과 의에 토대를 두고 능동성과 소통성을 지닌 조선 주자학은, 조선 후기에 주자학자들에 의해 깊은 탐구와 논쟁을 거쳐 조선 말기에 이르면 국내외의 위기에 처하여 더욱 역동성을 지닌 주자학으로 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