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람록을 통해 살펴 본 청량산의 儒敎化 양상

        정지아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CheongnyangsMountain is a well-known Buddhist mountain and a famous Confucian mountain.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diametrically opposed ideologies and ideologies that distinguish between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But how did Cheongnyangsan come to possess two opposing ideologies together? First, Ju Se-bung and Toegye tried to break away from the Buddhist image of Cheongnyangsan. Ju Se-bung named twelve peaks of CheongnyangsMountain in the Confucian way, and later praised the Buddhist image of CheongnyangsMountain by criticizing the absurd monks of Buddhism, and Toegye praised the work of that. Ju Se-bung and Toegye, who wanted to revive Confucianism, both tried to break away from the Buddhist image of CheongnyangsMountain. Afterwards, the students of Toegye visited CheongnyangsMountain and repeatedly cited Ju Se-bung's records, adding to the image of Confucianism. In addition, Ju Se-bung and Toegye were always mentioned in the cruise book, adding Confucian images to CheongnyangsMountain to promote intentional Confucian enlightenment. The disciples of Toegye described CheongnyangsMountain as an image of a well-organized and neat Seonbi, making Toegye and CheongnyangsMountain the same. By the 19th century, CheongnyangsMountain was compared to Muyi Mountain in China, so that the Toegye and the runner were considered the same, making CheongnyangsMountain. a Confucian holy place. 청량산은 불교문화를 꽃피운 산이자 유교의 명산이기도 하다. 불교와 유교는 정반대의 이념이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구별하는 이념이다. 그런데 청량산은 어떻게 상반되는 두 이념을 함께 획득하게 되었을까?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삼은조선이 숭유억불정책을 실시함으로써 불교는 점점 쇠퇴하게 되었고, 산 속의 절들 또한 쇠락하게 되었다. 이러한 불교의 쇠락은 불교에서 유교로 이념이 교체되는 시기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청량산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불교 쇠락 이후의 모습이다. 청량산은 불교의 쇠락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에 이르러서는 아예 유교의 성지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이 불교문화를 꽃피운 산이 유교의 명산이 되어가는 과정, 즉 청량산이 脫佛敎化하여 儒敎化되어가는 과정을 청량산 유람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청량산이 조선시대에 이르러 주자의 무이산과 같이 유교의 聖山이 된 데에는 선인들의 단계적이고 의도적인 儒敎化 과정들이 있다. 가장 먼저, 周世鵬과 퇴계가 청량산을 불교적 이미지에서 탈피시키고자 노력하였다. 周世鵬은 「遊淸凉山錄」에서 청량산의 열 두 봉우리를 유교식으로 명명하고, 불교의 허황된 전승들을 비판함으로써 청량산의 불교적 이미지를 혁파하고자 하였고, 이후 퇴계가 周世鵬의 유람록에 「周景游遊淸凉山錄跋」을 남기며 周世鵬이 한 일들에 대해 극찬하여 청량산의 탈불교, 유교화를 지지하였다. 주자학을 흥기시키고자 하였던 周世鵬과 퇴계, 두 사람이 청량산을 불교적 이미지에서 탈피시키고자 노력한 것이다. 이후 주로 퇴계의 문인들이 청량산을 유람하면서 周世鵬의 「遊淸凉山錄」의 유교식 명칭들을 그대로 인용하고, 반복하여 청량산의 봉우리들이 불교적 색채에서 탈피하여 유교적 이미지를 덧입게 되었다. 또한, 유람록 가운데 유교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周世鵬과 퇴계, 두 사람을 항상 언급하여 청량산에 차츰 유교적 이미지를 덧입혀 의도적인 儒敎化를 꾀한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퇴계 死後에 주로 퇴계의 문인들이 퇴계의 자취를 찾아 청량산을 유람하며, 청량산은 퇴계의 문인들이 퇴계를 기리는 장소가 되었다. 퇴계는 젊었을 때부터 청량산에서 독서하였고, ‘淸凉山人’이라 자호하며 청량산에 대한 애호를 드러내었다. 또, 청량산에 직접 손수 제명한 致遠庵이나 陶山書院 등의 유적이 있기 때문에 퇴계의 사후에 퇴계를 존경하던 자들이 청량산을 유람하며 퇴계의 자취를 계속하여 기리고 추모하는 장소로 삼게 된 것이다. 또한, 청량산은 퇴계의 문인들에 의해 단아하고 절의있는 선비의 이미지로 퇴계를 표상화하였으며, 19세기에 이르러서는 퇴계의 청량산을 주자의 무이산의 이미지와 결합시킴으로써 조선 유교의 聖山으로 표상화 한 것이다.

      • KCI우수등재

        〈오륜가〉와 출처(出處)의 두 얼굴 : 주세붕의〈오륜가〉와 박인로의〈오륜가〉의 거리

        최홍원(Choi, Hong-won)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3

        This study started from the self-reflection that we could not read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refully from Oryun Sijo(五倫時調) works because we were carried away by the content of Oryun(五倫) and the objective of Hunmin(訓民). I tried to read it with a new vision around the phase of communication including the writer, the recipient and the context. Based on such critical mind, I categorized Oryun Sijo(五倫時調) works aimed at both <Oryunga(五倫歌)> of Ju, Sebung(周世鵬) & Park, InRo(朴仁老). Also, I distinguished and researched into the situations of formation and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ul(working for the government, 出) and Cheo(living in seclusion, 處). The difference of two positions, namely,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Sajok(scholarly families, 士族), resulted in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intentions and the purposes which were the reformation of the people and the unity of Sajok(士族) respectively. In addition, for the contents and the critical mind, the same contents, Oryun(五倫), was chosen or excluded according to the literary work. Besides, there were different emphases on the action and knowledge. Such changes came from the difference of the recipients, represented by common people and Sajok(士族) living in the country. As the Oryun Sijo(五倫時調) works were generated and enjoyed in the close connection with the Sugichiin(cultivating self-reliance and ruling others, 修己治人), we need to take a look at the goal and usefulness of a variety of Oryun Sijo(五倫時調) works,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context including the writer, the work and the recipient, with a new viewpoint.

      • KCI등재

        주세붕(周世鵬)의 도동곡(道東曲) 연구

        박현숙 국문학회 2014 국문학연구 Vol.0 No.29

        This study first focuses on the fact that <DoDongGok>, composed by Joo, Se-bung is used in HyangSa (an elaborated expression with food to spirits of the dead), Baekwoon-dong Seowon (private Confucian academy founded in Baekwoon province). Then, based on the sacred rite in JookGeJi, this studied out the meaning and role of <DoDongGok> by considering specific ceremony. In general, HyangSa at most private Confucian academies took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SeokJeonEui of Munmyo (Confucius’s Shrine). To explain the reason why <DoDongGok> is composed of nine chapters, this study first compared ritual ceremonies in JookGeJi with SeokJeon ceremonies both in 『GukJoOhRyeEui』 and 『GukJoOhRyeSeoRye』, then, it discussed how <DoDongGok> was sung during the HyangSa ceremony in reality. <DoDongGok>, a total of nine chapters, was sung in the process of libation to the god during HyangSa ceremony held both in spring and autumn at Baekwoon-dong Seowon. More specifically, the nine chapters were divided in three. The first three chapters were presented at the first libation (ChoHeon), and the second three chapters were recited at the middle libation (Aheon). Finally, the last three chapters were performed at the final libation (JongHeon). <DoDongGok>predicates Joo, Se-bung’s point of view that AnHyang should be considered the main purpose on reciting Sijo in Chosun Confucianism while Jeong, Mong-ju was recognized as the original from the list of scholars who legitimately transmit the Dohak established during JungJong era. The main plot of DoDongGok was superficially outlined by Confucian scriptures, however, it put focus on good deeds of An-hyang, the object of rites, to be widely-known.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y of Dotong (Legitimate Transmission of the Orthodoxy) in <DoDongGok>, from the viewpoint when it is closely connected to AnHyang, could bring out a question of ‘handing down genealogy of Confucian enlightenment’ which surpasses acceptation or general knowledge. 본 연구는 주세붕(周世鵬, 1495~1554)의 <도동곡(道東曲)>이 백운동서원의 향사(享祀)에 사용된 사실에 주목하고, 『죽계지』에 수록된 <제식(祭式)>을 토대로 구체적인 의례 속에서 <도동곡>의 역할과 의미를 구명하였다. 일반적으로 서원의 향사는 주현 문묘(文廟)의 석전의(釋奠儀)에 준하여 거행되었다. 본 연구는 <도동곡>이 9장으로 이루어진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죽계지(竹溪志)』에 수록된 <제식(祭式)>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에 수록된 석전의례를 비교하고, 실제로 향사 의식 속에서 <도동곡>이 어떤 방식으로 가창되었는지를 논의하였다. 총 9장으로 이루어진 <도동곡>은 백운동서원에서 거행된 봄, 가을의 향사 의례절차 중, 신에게 잔을 올리는 헌작의 과정에서 불린 것이다.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초헌에서 3장,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아헌에서 3장,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종헌에서 3장을 불렀다. <도동곡>은 조선시대 중종 때 확립된 조선 도학계보에서 정몽주를 유학의 조종(祖宗)으로 인정한 것과는 달리 안향을 조선유학의 조종으로 평가한 주세붕의 견해를 담고 있다. <도동곡>의 내용은 유교경전의 문구를 가져다 구성한 것이지만 제사의 대상이 되는 안향(安珦)의 공덕(功德)을 드러내는 것에 초점이 있다. 특히 <도동곡>에 수록된 도통(道統)론이 안향과 연계될 때 ‘유가적 도의 전승계보’라는 일반적 의미를 뛰어 넘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

        김자운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8

        이 연구는 퇴계의 서원관이 조선후기 소수서원 강학 실제의 변화에 끼친 영향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퇴계의 서원관은 백운동서원을 창건한 주세붕의 서원관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 차이는 결국 소수 서원 강학의 실제를 규정하고, 그 결과 조선후기로 가면서 소수서원 강 학의 성격과 방식은 점차 변화를 겪게 된다. 이 글에서는 첫째, 주세붕 과 퇴계의 서원관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주자학에 대한 학문적 해석 방식의 차이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주세붕의 서원관은 ‘帝王 學과 治用論의 관점’으로, 퇴계의 서원관은 ‘講明道學을 위한 공부론의 관점’으로 규정하고, 서원관에 따른 강학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둘째, 주 세붕을 지나 퇴계에 이르러 주자의 서원 정신이 계승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서원 강학 이념을 확립하기 위한 퇴계의 노력과 실천을 검토하였다. 셋째, 18세기에 이르러 퇴계의 강학 이념이 소수서원 강학 실제를 구체 적으로 어떻게 변화시켰으며, 그 교육사적 의미는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주세붕은 1542년 문성공 안향의 사묘를 짓고 이듬해 서원을 지음으로 써, 주자의 이념을 바탕으로 조선 최초의 백운동서원을 창건하고, 서원 에 ‘제향과 강학’이라는 양대 기능을 확립하여, 교육기관에 순수한 교육 활동 지점으로서의 강학공간을 넘어, 일종의 道의 존엄성을 확보하는 제 향공간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그에게 서원은 ‘사묘에 부수적인 공간’으로 서, ‘강학처’보다는 ‘존현처’에 더 무게중심이 있었으며, 그는 당시 쇠퇴 한 관학을 대신하여 과거 공부를 통해 국가의 관리를 길러내기 위한 인 재 양성소처럼 서원을 인식하였다. 즉, 그는 서원을 ‘국가의 元氣’를 길 러내는 교육기관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주자학에 대한 주세붕의 고유한 해석 방식에서 비롯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는 진정한 儒道의 실현은 제왕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서원을 통해 양성된 선비들은 그 제 왕학의 실현을 도와주는 인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주세붕에게 서원 은 ‘국가발전을 위한 인재양성소’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帝王學과 治用論의 관점에서 서원을 이해한 주세붕의 서원관은 17 세기 초반까지 소수서원 교육이 科業을 충실히 수행해내는 관학적 특성 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남송대

      • KCI등재

        숭모와 강학의 공간 서원

        김인규(kim in gyu)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강학과 숭모의 공간인 서원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서원은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 궁중에 있던 서적의 편수처였던 여정전서원(麗正殿書院)과 집현전서원(集賢殿書院)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서원은 시대에 따라 장서소(藏書所)로, 또는 강학소(講學所) 형태로 이어져 오던 것이 송대에 이르러 강학(講學)과 사묘(祠廟)를 겸비한 서원의 형태로 발전하였는데, 강학과 숭모의 기능에 크게 기여한 인물은 주희(朱熹)였다. 특히 고려 말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전래 되고, 조선의 건국과 더불어 주자학이 건국이념으로 확립되어 널리 보급되면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주희를 흠모하여 그의 생활양식까지 본받고자 하였다. 주세붕(周世鵬)은 1543년 풍기군수 재직 중 안향을 기리기 위해 주희가 중수한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본 따 풍기군 순흥면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하였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서원의 효시이다. 주세붕의 뒤를 이어 서원 건립에 많은 공을 들인 인물은 이황(李滉)으로, 그는 최충(崔沖)·우탁(禹倬)·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 등 선정(先正)의 자취가 있고 향기가 뿌려져 있는 곳에 모두 서원을 건립해야 한다고 하면서, 제자들과 함께 서원 건립과 보급에 주력함으로써 서원 건립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서원의 난립과 서원전(書院田)의 확대에 따라 세수가 감소하고, 서원이 군역(軍役) 회피를 위한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붕당(朋黨)정치의 지방 거점이 되는 등 폐해가 심각하였다. 이에 따라 효종 이후 서원 설립에 대한 허가제를 비롯하여 학생 수 제한 등 여러 조치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18세기 후반 이후에 문중 서원들이 난립하게 되고, 그 폐해가 커짐에 따라 고종 8년(1871)에는 대원군에 의해 전국에 47개의 사액서원만 남기고 모두 훼철되기에 이르렀다. This thesis examines Seowon (Shuyuan in Chinese), a private Confucian academy, which is a place for lecture and a place of reverence. As is well known, Seowon originated in the time of Emperor Xuanzong(玄宗) of the Tang(唐) Dynasty deriving from Lizhengdian Shuyuan(麗正殿書院, Academy of Classical learning in the Hall of Elegance and Rectitude) and Jixiandian Shuyuan (集賢殿書院, Academy of Classical learning in the Gathering Hall for Worthy Scholars), which were the royal book publishing organizations. However, depending on the time, it has been carried out in the form of a library(藏書所) or a place for lecture(講學所). Later, in the Song Dynasty, it developed into the form of Seowon, combining lecture(講學) and shrine (祠廟). Zhu Xi(朱熹) was a major contributor in establishing this function of giving lectures and being a place of reverence. In particular, since An Hyang(安珦) introduced Neo-Confucianism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as the School of Zhu Xi became established and widely distributed as a founding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intellectuals admired to Zhu Xi and tried to emulate his lifestyle. Joo Se-bung(周世鵬), honoring An Hyang during his tenure as local governor of Punggi in 1543, built Baekundong Seowon(White Cloud Village Academy) in Sunheung- myeon, Punggi, after the “Bailudong Shuyuan(White Deer Grotto Academy)” which was renovated by Zhu Xi. This was the origin of Seowon in Korea. Following Joo Se-bung, the person who contributed a lot to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as Yi Hwang(李滉). He said that Seowon should be built wherever the traces and scents of righteous ancestors(先正) such as Choi Choong(崔冲), Wu Tak(禹倬), Jeong Mong-ju(鄭夢周), Gil Jae(吉再), Kim Jong-jik(金宗直), and Kim Gweong-pil(金宏弼) are scattered. In addition, through his efforts in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and dissemination of Confucian academies with his disciples, the construction of Seowon became active. However, since the 17th century the harmful effects have been severe, such as the reduction in tax revenues due to the multiplication of the number of academies, the expansion of the lands attached to them, etc. Seowon also served as a place to avoid military service and became the local base for the split of political parties. Consequently, after King Hyojong, various measures were taken, including a permit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and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students, etc. Nevertheless, after the late 18th century, the number of academies from various families increased and the harmful effects increased as well. Consequently, the Grand Internal Prince Heungseon (father of King Gojong), simply known as Daewongun, demolished and eliminated all of them, leaving only 47 Saekseowons (academies that received a plaque from the king) nationwide in the 8th year of King Gojong (1871).

      • KCI등재

        주세붕의 시가 장르 선택과 교훈 표출

        장성진 ( Chang Sung-ji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3 No.-

        주세붕(1495~1554)은 향촌사림 출신 관료로서 다양한 영역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긴 문인이다. 한시 이외에도 15수의 시조와 4편의 경기체가, 그리고 한시이기는 하지만 노래로 불린 사(辭)도 3편을 지어 다방면에 활용하였다. 그는 주로 목민관으로 활동하거나 일시 귀향해 있을 때 고유시를 창작하였다. 그는 16세기 조선 유학계 내에서 주류적 학문 경향인 성리학 탐구와 거리를 둔 채, 성인의 삶과 경전의 내용을 실천하는 데 주력하였다. 목민관으로 부임하면서 고을의 선비들과 부로들에게 윤리적 규범과 실천을 고지하고, 그것을 실행할 공간으로서 향교를 정비하였으며, 나아가 서원을 건립하여 지역 교학의 새로운 제도를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반드시 노래, 시, 문장 등 문학적 장치를 활용하였다. 그래서 문학이 실생활에 밀착된 것이다. 이러한 문학 활동으로 인해서 그는 16세기 시문학의 지평을 크게 넓혔다. 국문시가로서 오륜가계 시조를 계발하였으며, 정치 악장으로서의 경기체가를 유학적 악장으로 전환시켰다. 한시의 고시와 근체시를 다양하게 활용한 것은 물론, 사를 노래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주세붕의 시가관은 철저한 효용론이다. 노래는 풍속 교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당대의 가요가 저급하다는 평가를 하고 올바를 교화를 하기 위해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 의례와 일상 생활에 적합한 노래를 지은 것이다. 또 그의 창작 방식은 조술과 용사이다. 효용을 극대화하고, 의례에 사용하는 음악에 대한 세간의 의구심을 없애기 위해서 경전의 내용을 번안하거나 용사하였다. 이러한 문학관과 창작 방식을 적용하여 그는 교화의 대상에 따라 장르를 선택하였다. 서원 향사에서는 엘리트 선비들의 이상으로 성현의 위업을 경기체가로 읊었으며, 향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의 산천과 인물, 군신관계와 사제관계가 조화로운 미래상을 사에 담아 제시하였다.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는 시조를 지어서 일상의 윤리와 군자다운 삶을 권유하였다. 결국 주세붕이 여러 장르의 고유시를 활용하여 의례와 일상생활에 노래문화를 확산시킨 것은 향촌 사림 출신 관료로서 지역사회를 기점으로 유교적 이상국가를 실현하려는 구체적 의지의 표명이며, 이를 통해 16세기 고유시의 장르 체계를 재정비하는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Ju-Sebung(1495~1554) is a famous writer who wrote various kind of poems as a government official. He created more than 1300 pieces of Chinese poem, 15 pieces of Sijo(시조), 4 Gyeonggiche(경기체가) songs, 3 Sa(辭). He wrote poetry native to Korea mainly in the period of working as a provincial governor or returning his old home for a while. Proceeding to his new post he immediately promulgated to the local people regard to the moral standards to practise in ordinary life. And he put in good order the local school. Especially he founded the memorial hall to honour distinguished Confucianist scholar and for lecture called Seowon, it is the first case in Korean history. In the process of these workings he usually created a few kind of songs or poems to use in the ceremony and everyday life. So the contents of his literary works are directly concerned with people's real life. Through those politic and literary working he expanded the literary horizon in 16th century. He had a very firm comments on literature, it is the usefulness. He criticized and judged the poems used in formal ceremonies too much vulgar to enlighten people, he executed to write new poems. The foremost expressional method in his poems is using the contents and quoting the sentences of the Confucian classics. The purpose of using those methods are one hand to raise the educational effect, and the other hand to protect himself from the blame for making new system of official music. According to this project he created several poems using three traditional genres. In Seowon he used Gyeonggiche Song which had been used in the royal court, because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ceremony are elite scholars. The ends of the poems are to help them to be saints. For local school song he used Sa genre which originally had both faces of poem and prose. Through this genre he tri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be useful to state. For common people he used Sijo which is short and lyric genre. Using this genre he tried to make every common people be ethical and sincere citizen. After all the works of Ju-Sebung’s presented the hope of ideal society, and he fancied himself to take charge of it.

      • KCI등재

        16세기~17세기 초 영남지역 서원 원규의 구조와 변화

        이경동(Lee, Kyung-dong)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5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원의 건립 초기인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영남 지역 서원의 운영 규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변화를 통해 시대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543년 백운동서원이 건립되고 주세붕에 의해 원규가 제정되었다. 백운동서원 원규는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체로 수령이나 원임을 중심으로 한 관리형 성격을 가지고 있다. 백운동서원의 원규는 1559년 제정된 영봉서원의 학규록이나 1562년에 제정된 임고서원 범규 등에 영향을 끼쳤다. 해당 서원들은 백운동서원의 원규를 활용하면서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는 형태를 통해 자체적인 원규를 완성하였다. 1559년 이황은 이산서원 원규를 제정하면서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 원규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도 백운동서원 원규와 동일하게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지만, 원생의 강학활동이나 생활규범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령을 포함한 관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황이 지향하는 도학 중심의 서원관이 반영된 것으로서 관학에서 사학으로 변화되어가는 서원 운영의 경향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는 이황과 그의 문인들이 건립을 주도한 서원뿐만 아니라, 16세기 중‧후반 건립되었던 서원에 도입되었다. 이들은 이산서원 원규를 기반으로 백운동서원 원규의 사례에서와 같이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면서 독자적인 원규를 구축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 영남지역 전체에 걸쳐 서원이 활발하게 건립되기 시작하면서 운영의 기준이 되었던 원규들도 다양하게 제정되었다. 그 결과점차적으로 서원 원규들이 상세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1588년 유운룡이제정한 오산서원 학규와 이를 수용한 임고서원 범규는 60여개가 넘는 조항을 제정하였으며, 각 항목을 범주화하여 규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정구는 천곡서원과 도동서원의 원규를 제정하였는데, 두 원규 사이에는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이 확인된다. 정구는 지역적‧ 시대적 특성에 따라 자신이 제정한 원규라 하더라도 각 조항 사이의 차이점을 두면서 두 서원의원규를 제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제정되었던 영남지역 서원원규는 상호 관련성 속에서 전개되어 갔으며, 이를 통해 조선 사회에서 전개되었던 서원 운영의 다채로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Gyeongsang-do reg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and to analyze the times through changes thereof. In 1543,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and its operating regulation was established by Ju-Sebung. This academy regulation consisted of 12 items, most of them related to management centered on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operators. Since then,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dong-sewon influenced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Yeongbong-seowon established in 1559 and Yimgo-seowon established in 1562. These Seowons established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ong-seowo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In 1559, Yi-Hwang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 seowon, which showed the difference from the regulation established by Ju Se-bung.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seowon focused o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living norms, and tended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public authority, includ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was distributed not only to Seowons whose foundation was led by Yi-Hwang and his disciples, but also to Seowon which were built in the mid and late 16th century. They established their own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As Seowon began to be actively built throughout the Gyeongsang-do region after the mid-16th century, various academy regulations were also established as the guideline for operation. The regulation of Osan-seowon established by Ryu Woon-Ryoung in 1588 and the revised regulation of Yimgo-seowon that accepted the Osan-seowon’s regulation consisted of more than 60 provisions, showing a more detailed trend than before. Jeong-Gu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both Cheongok-seowon and Dodong-seowon, which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along with commonalities. As described above, Seowon’s operation regulations established in Gyeongsang-do from th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develope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Seowon, and this shows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owon’s operation in Joseon society.

      • KCI등재

        初期 士林派의 정치적 좌절과 退溪學

        김기주(Kim Kee-joo)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이 논문의 목적은 퇴계학과 초기 사림파, 특히 사화기를 거치며 와해된 영남 사림파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누구도 쉽게 부정하지 못하듯 ‘퇴계학’의 등장은 조선성리학의 질적 전환을 불러온 하나의 학문적 사건이다. 이러한 학문적 사건이 도대체 어떻게 일어날 수 있었는가 하는 문제는 퇴계학의 성격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황의 생애와 중첩되면서도 영남사림파가 와해되어가는 사화기의 절정을 살다간 이현보, 이언적, 주세붕이 보여준 삶의 지향과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퇴계학의 형성배경을 확인하고 있다. 단순히 일상생활의 규범학으로 혹은 정치적 이념으로 이해되던 주자학을 언제부터 우주와 인간의 근원을 물어가는 철학으로 새롭게 이해하고 그것을 사회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는지 묻는다면, 사화기를 지나며 초기 사림파가 겪은 정치적 좌절과 그것에 대한 반성이 주요한 전환점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현보, 이언적, 주세붕은 바로 그러한 지향을 적극적으로 표명하였으며 퇴계학의 성립을 준비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oegye’s learning, early Sarim sect, and especially Yeongnam Sarim sect which had been collapsed over the Sahwa period. No one can easily deny that emergence of ‘Toegye’s learning’ was an academic event to bring qualitative change to Chosun’s Neo-confucianism. The problem of what made this academic event possible to happen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oegye’s learning. This paper shows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Toegye theory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Neo-confucianism and intention of life shown by Yi-Hyeonbo, Yi-eonjeok and Joo-Seboong, who lived when Yi-hwang was alive and also experienced the culmination of Sahwa period where the Yeongnam Sarim sect was collapsing. If you question when Neo-confucianism, which was simply considered as a study of daily life model or political ideology, started to be understood anew as the philosophy to discover the origins of cosmos and human kind, and get the attention and attempt for its social dissemination, you could see the political frustration and introspection about it that early Sarim sect had experienced during the Sahwa period became a significant turning point. And Yi-Hyeonbo, Yi-eonjeok and Joo-Seboong can be evaluated as the ones who declared their intention and prepa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oegye’s learning.

      • KCI등재

        청량산(淸凉山)의 `고산경행(高山景行)` 이미지 형성(形成) 동인(動因)과 그 원리(原理) - 『옛 선비들의 청량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

        정목주 ( Jeong Mok-ju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5

        본고는 청량산(淸凉山)의 `고산경행(高山景行)`의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 형성의 동인(動因)은 무엇이며, 이런 이미지를 형성하는 원리는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량산이 `고산경행`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에 의해 청량산을 도불(道佛)의 이미지에서 유가(儒家)의 이미지로 변모시키고, 퇴계(退溪) 이황(李滉)에 의해 주자(朱子)의 무이산(武夷山)에 비견(比肩)되는 `고산경행`의 이미지로 확고하게 자리잡게 하였다. 청량산이 고산경행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동인(動因)은 청량산을 자연의 산 그 자체로 만 보지 않고 퇴계가 태어난 곳이고 그가 노닐던 곳이고 그가 강학하던 곳이고 그가 학문을 일으켜 세운 곳이기에 청량산 유람을 통해 그의 행적을 찾고 그의 유풍(遺風)을 찾아 그를 본받고자 하는 것을 중요한 목적으로 삼은 데서 비롯되었다. 청량산의 `고산경행` 이미지의 형성 원리는 제고(提高), 비하(卑下), 대치(對峙)의 방법이 작동하는데, 구심력(求心力)의 원리가 작용하는 제고의 방법은 청량산의 `고산경행`의 이미지를 단선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고, 원심력(遠心力)의 원리가 작용하는 비하의 방법은 도불의 이미지를 하강시키는 효과를 거둠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산경행`의 이미지가 상승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구심력과 원심력의 원리가 동시에 작용하는 대치의 방법은 오히려 구심력에 탄력이 붙는 역동성을 가지게 되어 도불의 이미지는 더욱 하강하고 `고산경행`의 이미지는 더욱더 상승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따라서 대치의 방법이 고산경행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려는 서술자의 의도를 더 효율적으로 노정(露呈) 시키는 좋은 방법이 된다. 이렇게 `고산경행`의 이미지로 이미지화된 청량산은 자연성을 지닌 산으로서의 효용뿐만 아니라 사회성을 지닌 산으로서, 자기 성찰과 수양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 존재 가치가 크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eongnyansan(청량산, 淸凉山)`s image of `High Mountain and Wide Road(고산경행, 高山景行)` was formed, what the motive of its formation was and the principle in forming the image was. In the process of Cheongnyansan`s making its image of `High Mountain and Wide Road,` the image was changed from Taoism and Buddhism to Confucianism by Ju Saebung(주세붕, 周世鵬: pen name Sinjae 신재, 愼齋) first. Then it was developed into the firm image of `High Mountain and Wide Road` by Yi Hwang(이황, 李滉; pen name Toegye 퇴계, 退溪) and the image became compatible with `Zhu Xi(주자, 朱子)`s Mount Wuyj(무이산, 武夷山). Toegye was born around Cheongnyansan and there he strolled about, gave his lectures and established his study. When old scholars went sightseeing this mountain as in Cheongnyansan Travel Records by Old Scholars(『옛 선비 들의 청량산 유람록』), they didn`t see a natural mountain as it was. They considered following Toegye by looking for his deeds and spirit handed down as their important purpose. Thus, this purpose became the very motive in Cheongnyansan`s forming image of `High Mountain.` The principle in forming the image of `High Mountain` works using three means, enhancing(제고, 提高), degrading(비하, 卑下) and confronting(대치, 對峙). Used by centripetal force principle, the first means of enhancing has effect on strengthening Cheongnyansan`s image of `High Mountain.` Next in centrifugal force principle, degrading has effect on weakening the image of Taoism and Buddhism, whereas having effect on improving the image of `High Mountain.` As one of three means confronting gives dynamic effect on centripetal force gaining momentum even though it is made by two force principles centripetal and centrifugal at the same time. This third means is a good way to highlight the image of `High Mountain` and reveal narrators` intentions more effectively, in that the image of Taoism and Buddhism becomes more decreased but the image of `High Mountain` becomes more reinforced. Thus, being imaged in the image of `High Mountain,` Cheongnyansan has not only its usefulness as a mountain with natural aspects but also as a mountain with soc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means that Cheongnyansan has a great value of its existence in terms of providing the place for introspection and self-discipline.

      • KCI등재

        松齋 李堣의 淸凉山 絶句에 대한 영남 문인들의 화운시 작성 태도와 그 이유

        이예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5 No.-

        The sightseeing in Mt.Cheongnyang and the creation of literature about it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ts for writers in Yeongnam region. Through research on literature based on the sightseeing of Mt.Cheongnyang, the works of writers including JJu Sebung and Lee Hwang have been dealt with. Among them, in the creation of a series of Chinese poems based on Mt.Cheongnyang, it was introduced in outline that there existed a sightseeing of in Mt.Cheongnyang and literary creation by Songjae Lee Woo before Ju Sebung and Lee Hwang. However, this was also dealt with as the background of Lee Hwang's penchant for Mt.Cheongnyang and literary creation, but it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In response, this paper focused on Lee Woo's Mt.Cheongnyang Poetry, 「Jo Hyoyeon and O Eonuis two sons-in-law and nephew Hae, send them to Mt.Cheongnyang to read.(送曺吳兩郞, 與瀣輩, 讀書淸涼山)」. Through this process, based on Ju Sebung's Classical Chinese poems on Mt.Cheongnyang,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Lee Hwang's Classical Chinese poems on Lee Woo and Mt.Cheongnyang may have been pleasant to Lee Woo's disappeared Classical Chinese poems on Mt.Cheongnyang. In addition, as mentioned in the existing research on Mt.Cheongnyang and Lee Woo, It was confirmed that Lee Woo's Classical Chinese poems on Mt.Cheongnyang were not actively inherited by Lee Hwang and Yeongnam's writers as Mt.Cheongnyang literature, but were somewhat passive in harmony and acceptance due to their Buddhist colors. It is hoped that this review will be the beginning of future research on the process of change in Mt.Cheongnyang and Yeongnam literature and the aspect of the literature of Lee Woo, while making it a task to reveal the full picture of Mt.Cheongnyang literature more specific. 淸凉山 유람과 그에 대한 문학 창작은 영남 지역 문인들에게 중시되는 행위였다. 淸凉山 유람을 바탕으로 하는 문학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周世鵬, 李滉을 비롯한 문인들의 작품이 다루어져 왔다. 그중에서도 淸凉山을 제재로 한 연작 漢詩의 창작에 있어 周世鵬과 李滉 이전에 松齋 李堣의 淸凉山 유람과 그에 대한 漢詩가 존재하였다는 사실이 개략적으로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또한 李滉 淸凉山 애호와 문학 창작의 배경으로 다루어졌을 뿐 李堣의 淸凉山 漢詩가 중심적으로 주목받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李堣의 淸凉山 漢詩, <曺孝淵, 吳彦毅 두 사위와 조카 瀣 등이 淸凉山에 독서하러 가는 것을 보내며[送曺吳兩郞, 與瀣輩, 讀書淸涼山]>를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和韻詩 창작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周世鵬의 淸凉山 漢詩를 바탕으로 李滉의 李堣 및 淸凉山 漢詩가 李堣의 逸失 淸凉山 漢詩에 和韻한 것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淸凉山 관련, 李堣 관련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던 것처럼 李堣의 淸凉山 絶句가 李滉과 영남 문인들의 淸凉山 문학으로 적극적으로 계승된 것이 아니라 그 불교적 색채로 인하여 다소 소극적으로 和韻 및 수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검토가 추후의 연구에 있어 淸凉山 및 영남 문학의 변화 과정, 그리고 李堣라는 문인의 일면을 살피는 데에 일말의 단초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한편 淸凉山 문학의 전모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향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