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除夜, 放舟行二百里, 紀壯遊述客懷, 得二百韻排>를 통해 본 南龍翼의 二元的 認識世界와 그 意味

        윤재환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9

        壺谷 南龍翼(1628~1692)의 <除夜, 放舟行二百里, 紀壯遊述客懷, 得二百韻排>는 을미년(1655) 4월 20일 서울을 출발하여 다음해인 병신년(1656) 2월 20일 복명하기까지 약 10개월간 이루러진 제6차 조선통신사행의 종사관으로 참여한 남용익이, 일본 사행의 공식 일정을 모두 마치고 11월 1일 江戶를 출발하여 조선으로 되돌아오던 도중인 을미년 12월 29일 赤間關에 도착하기 직전 배 안에서 쓴 200韻 400句 2,000字의 장편 고시이다. 이 시를 통해 남용익의 이원적 인식세계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이 시가 남용익의 대표작이라는 점과 함께 사행의 歸路에서 자신의 사행 여정 전반을 총체적으로 정리하고 있는 시라는 점에 기인한다. 또, 사행기간 동안 남용익이 지니고 있었던 인식세계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임진왜란 이후 거의 60년이 다 되어가는 시점에서 이루어진 통신사행에서 조선이 일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당대 남용익이 지니고 있었던 일본에 대한 관념과 일본 사행 도중 인지한 일본, 그리고 사행 이후 지니게 된 일본에 대한 인식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 지라도 남용익 한 사람의 것이었다기보다는 당대 일본을 직접 경험했던 조선 문사들의 보편적인 인식이었을 것이라 생각되고, 이 인식이 당대 일본을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조선 문인들의 일본에 대한 인식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남용익이 일본 사행을 통해 보여준 일본에 대한 인식의 변화 추이는 이후 전개될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하나의 단서가 될 것이다. <壯遊……>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일본에 대한 남용익의 기본적인 인식세계는 조선과 일본에 대한 확연한 구분의식이다. 이 구분 의식은 자연스럽게 조선을 일본에 대한 문명의 施惠者로, 일본을 일방적인 受容者로 간주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본을, 문명을 전파해준 은인인 조선에 칼을 겨눈 背恩忘德한 국가로 규정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對日本認識은 남용익뿐 만 아니라 당대 조선인들의 보편적인 인식이었다고 생각된다. 일본을 멸시하는 남용익의 의식은 상대적으로 조선에 대한 自尊意識으로 轉化되어 나타났다. 특히 문화적 우월 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존감은 자연스럽게 일본에 대한 卑下意識을 유도하였고, 이에 따라 조선을 침탈했던 임진왜란의 원흉에 대해 남용익은 극단적인 비판을 가했다. 그의 비판의식은 점차 범위를 넓혀 일본이라는 땅에서 살아가는 모든 이들과 일본의 문명과 문화 전반에 대한 경멸과 천시로 드러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식은 다른 한편으로 남용익의 의도적인 현실 부정 욕구에 의한 것이었을 가능성도 부정하기 어렵다. 그것은 <壯遊……> 속에서 남용익이 일본에 대해 이원화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의 두 번째 단락을 보면 직접 일본을 접한 남용익이 느낀 경이로움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가 접한 일본은 풍부한 물산, 발달한 기술과 제도에 자연의 아름다움까지 함께 갖춘 나라였다. 이런 일본의 모습들 모두 남용익에게는 놀라움과 경이로움의 대상이었다고 보인다. 따라서 남용익이 직접 접한 일본은 미개하고 야만적인, 그러면서 호시탐탐 남을 침범하기 위해 칼을 가는 오랑캐라고 할 수 없고, 시에 드러난 표현만을 본다면 남용익의 對日本 意識도 卑下와 蔑視라 하기 어렵다. 그러나 조금 더 자세히 시를 살펴보면 남용익의 눈에 비친 일본 ... Nam Yongyik(壺谷 南龍翼; 1628~1692) served as Jongsagwan of the 6th Joseontongshinsahang(朝鮮通信使行) toward Japan for ten months from April 20, 1655 till February 20, 1656. His returning trip, after official schedule of Tongshinsahang in Japan, started from Edo(江戶) in November 1, and on December 29 he arrived at Jeokgangwan(赤間關). Meanwhile, he wrote a long poem, Jeya Bangseonhangyibakri Gijangyusulgaekhoi Deukyibaekunbae(『除夜, 放舟行二百里, 紀壯遊述客懷, 得二百韻排』, abbreviate as JBGD afterward) that consists of 200 rhymes, 400 phrases, and 2,000 characters. The reason to study Nam Yongyik's dualistic perceptional world through the poem is both because the poem is his masterpiece and because the poem orginizes the entire Tongshinsahang trip. Furthermore, studying his perceptional world during the trip is for examining how Joseon perceived Japan 60 years after Yimjinwaeran(Korean-Japanese War). Nam Yongyik's idea about Japan before the Sahang trip, what he perceived during the trip, and his idea about Japan after the trip, despite the diversity in depth, is not merely his own but general perception among Joseon's bureaucrats having experienced Japan of the time, and that idea and perception is thought to have considerably influenced the image of Japan of Joseon's other bureaucrats without direct experince of Japan. Indeed, the process in which Nam Yongyik changed his idea about Japan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trip can be a clue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of the time and of the future. Nam Yongyik's perceptional world about Japan in JBGD is a clear separa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This separative understanding regarded Joseon as the cultural provider toward Japan and Japan as a passive cultural adopter, and defined Japan as an ungrateful nation invading its cultural benefactor. Such understanding about Japan seemed to be common not only for Nam Yongyik but also for people of Joseon of the time. Nam Yongtik's contempt against Japan became transformed into his self-respect for Joseon. Especially, Nam Yongyik derived the contempt against Japan within his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and criticized Japan for instigating Yimjinwaeran. His criticism appeared as disdain and scorn toward everybody in Japan and toward Japanese culture in general. However, it is hard to deny the possibility that such perception is derived from his desire to deny the reality because Nam Yongyik showed his dualistic perception about Japan in JBGD. Watching the second paragraph of this poem, the wonderfulness that Nam Yongyik experienced through his directly experincing Japan can be easily verified. Japan in his experience was a country having plentiful production, advanced technology and system, and even beautiful nature. It seems that such appearances of Japan shocked and amazed Nam Yongyik. Indeed, Japan in Nam Yongyik's direct experience cannot be called an undeveloped, uncivilized, and incursive barbarian country, and the descriptions appearing in his poem denies that his perception of Japan was scorn and contempt. However, deeper and more detailed examination on his poem attests that Japan in Nam Yongyik's eyes were Wae(倭) maintaining barbarian customs despite its gifted natural environment, voluptuous production, and advanced technology. Then, how to explain Nam Yongyik's marvel seen in JBGD became a matter. The marvel found in his poem can be inferred as the result of insuppressible strong shock from his sahaeng trip experience. Criticism against Japan after exposing his marvel can be regarded as a natural self-defence mechanism in the situation that the shock reach the level to change his ideas about Japan. His criticiam, scorn and contempt in JBGD was the result from his deep prejudice about Japan and a natural defence mechanism through which he could suppress the wonder from his own direct experience of Japan in order to keep Joseon separated from and superi...

      • KCI등재

        朝鮮(조선) 後期(후기) 文人(문인)들의 中國繪畵(중국회화) 認識(인식)에 관한 연구 -董其昌(동기창)의 美意識(미의식)을 중심으로-

        한경애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2 No.-

        조선후기 화단은 중국에서 전래된 회화양식에서 벗어나 그림의 주제와 양식에서 조선적인 회화로 발전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선적인 회화의 전개라는 상황 속에서도 중국 南宗文人畵의 본격적인 수용은 중국 회화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던 조선후기 화단의 주요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조선후기 董其昌 화풍의 전개에 있어 중국의 대표적인 畵派 중 하나인 吳派畵風의 유입은 조선후기 문인화풍과도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작품들 가운데 吳派화풍의 요소가 보이는 작품들을 통해 동기창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吳派의 영향이 조선후기 문인화가들에게 폭넓은 수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吳派를 비롯한 넓은 의미로의 중국 회화의 수용과 인식은 중국 화보류의 보급과 중국 서적문화에 대한 조선 문인들의 지식이 확대되었던 것과도 관련이 있다. 나아가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鑑賞之學의 영역이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書畵古董 취미와 鑑評活動의 확산은 조선후기 문인문화의 성숙과 발전에 기여했다. 조선후기 문인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동기창의 서화자료를 감상했으며, 동기창의 영향은 조선후기 화단에 저변화되어 畵題로 이용된다거나 倣作되어 동기창에 대한 인식이 널리 확산되었다. 동기창의 繪畵美學思想은 山水傳神과 士氣의 중시라고 할 수 있다. 동기창은 후천적인 氣韻生動의 경계를 강조했으며, 조선후기 李夏坤은 자연 대상으로부터 회화가 갖는 인식으로서 대상의 내면적 진실을 찾아내고 傳神的 경지에 도달해야 함을 추구한 것에서 볼 때, 동기창과 이하곤의 山水傳神의 美意識은 유사함을 보인다. 또한 동기창이 山水丘壑의 정취로서 士氣를 중시했던 점과 南公등이 중국 화론과 관련하여 士氣를 언급한 것에서 볼 때, 동기창이 제시한 尙南貶北論이 조선후기 화단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士氣는 조선후기 南宗文人畵의 단면이자 審美意識의 기저였다. 朝鮮後期畵壇已脫離了從中國傳播過來的繪畵形式,在繪畵的主題與形式上已進入朝鮮特有的繪畵時期。즉使在此種朝鮮繪畵逐漸發展的格局下,也全盤接受了中國南宗文人畵,中國繪畵對其影響也未中斷過,這也是朝鮮後期畵壇的主要特點。 朝鮮後期董其昌畵風的擴散以及中國最具代表性的畵派之壹-吳派畵風的引入也與朝鮮後期文人畵風也有直接聯系。進이通過此時期的作品中吳派畵風作品,不僅有利於理解和認識董其昌,이且可看出朝鮮後期文人畵家積極接受了吳派的影響。竝且接收和認識以吳派爲代表的中國繪畵也與朝鮮文人增加了對中國書籍文化的知識有關。進이形成了以更爲專業知識爲背景的鑒賞之學領域,對書畵古董的興趣以及鍵評活動的擴散也影響了朝鮮後期文人文化的成熟及發展。朝鮮後期文人通過多種渠道鑒賞了董其昌的書畵資料,朝鮮後期畵壇已將董其昌的影響作爲基礎化,或作畵題或倣作,由此對董其昌的認識已逐步擴散。 董其昌的繪畵美學思想特別註重上海歲傳神與士氣。董其昌强調後天性氣韻生動的境界,이朝鮮後期李夏坤以自然取材繪畵認知,조出對象的內面眞實,追求達到傳神境界,由此看出董其昌與李夏坤的山水傳神的審美意識非常類似。竝且董其昌非常重視山水丘壑的情趣之士氣,이南宮轍也提及到與中國畵論相關的士氣,由此可以推論董其昌所所主張的上南貶北論也影響了朝鮮後期畵壇。 士氣是朝鮮後期南宗文人畵的截面和審美意識的基礎。

      • KCI등재

        1920년대 주작인의 조선인식 연구 -김홍선과의 교우 및 전기적 자료를 중심으로-

        육령 ( Lu Ling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중국 근대의 저명한 문학인이자 신문학운동을 촉진하는 데 큰 기여를 했던 중국 근대 지식인 주작인(周作人, 1885-1967)은 북경대학의 일본문학과(후에 동방문학과)의 창립을 주도한 인물이다. 이에 따라 그간 학계에서는 주작인의 일본인식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20년대에 주작인은 조선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졌음은 흔히 간과되어 왔다. 1910년대부터 톨스토이의 인도주의와 러시아의 무정부주의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그는 인간을 하나의 운명공동체로 인식하며 “중외(中外)”를 구분하지 않고 즉 민족과 국가의 한계를 넘어가고자 했다. 물론 주작인의 조선인식은 그의 일본인식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당대의 일본은 이미 노쇠화된 중국이나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인해 식민지로 전락된 조선을 모두 타자화하고 있었다. 일본이라는 근대지식장에서 대학 교육을 받았던 주작인은 일본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조선, 즉 또 다른 타자를 만나게 되었다. 1919년, 주작인은 자신의 일본 기행문에서 일본의 신촌 지역 방문 도중 열차 삼등실에서 만났던 조선농부에 관한 이야기를 남기고 있으며 1920년에는 조선어 교재를 이용해서 조선어를 배우기도 하였다. 그는 일본에서 유통되고 있는 조선과 관련된 서적을 읽는가 하면, 세계어를 매개로 조선의 시인― 오상순과 무정부주의자와 직접적인 만남을 이루기도 하였다. 또한 독립운동에 열중했던 북경 평민대학의 조선인 유학생 김홍선(金弘善)과 교류가 있었으며, “취생(翠生)”이라는 필명으로 중국어 소설을 창작한 이 조선청년을 중국문단에 소개시켰다. 1926년에 자신의 조선인식을 집중적으로 드러낸 「이완용과 박열」이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으며 1929년에는 북경대학 강사였던 조선 불교 연구가 김구경과도 왕래했다. 이에 본고는 주작인의 조선과의 만남의 계기와 경로가 시간의 추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고 있으며, 또 그것이 그의 조선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작인의 근대인식 및 동아시아 시야의 형성에 있어서 조선이라는 타자가 기여했던 역할과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주작인과 조선유학생 김홍선과의 지적 교류와 관련된 새로운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는 한편, 주작인의 전기적 자료 속의 조선과 관련된 텍스트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의 조선인식의 특수성을 살펴봤다. 이러한 작업은 근대 동아시아의 문화교류와 상호인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Zhou Zuoren(1885-1967), the Chinese modern intellectual who contributed greatly to promoting China’s new literature movement, was also recognized as the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Japanese Literature (later Eastern Literature) at Peking University. Naturally, much of research on his recognition of Japan has been done. However, in the 1920s, the author showed much interest in Joseon. Having been heavily influenced by Tolstoy’s humanitarian, Russian anarchist and socialist ideas since the 1910s, he recognized humans as one fateful community and sought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nation and state without distinction. In 1919, he wrote an article about a Joseon farmer whom he met in a third-class carriage during a visit to the “Atarashiki Mura” area of Japan, and learned Korean from a Joseon language textbook in 1920. Even though he had never been to Joseon, but because of “Esperanto”, he later met with Joseon’s poet Oh Sang-soon and anarchist. He also met with Kim Hong-sun, a Korean student in Beijing who resists Japanese imperialism as an active subject, and he introduced an mysterical Joseon writer-“Cuisheng”, who created a Chinese novel for the Chinese literary community. In 1926, he wrote “Lee Wan-yong and Park Yeol”, which reflected his typical recognition of Joseon. In 1929, he also met with Kim Ku-kyung, who was also a lecturer at Peking University. This study mainly revealed new empirical data related to Zhou Zuoren’s intellectual exchange with the Joseon student, and examined the special nature of his Joseon recognition by analyzing texts related to Joseon in the author’s biographical materials. This work will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exchanges and perception of “the Other” in modern East Asia.

      • KCI등재

        일반논문 : 서진(徐振)의 「조선죽지사(朝鮮竹枝詞)」에 보이는 조선인식(朝鮮認識)

        박종훈 ( Chong Hoon Park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徐振은 18세기 중엽 조선에 사신으로 왔는데, 관련 기록은 찾지 못했다. 조선에 사신 오면서 견문한 것을 「朝鮮竹枝詞」 40수에 담았고 작품의 내용과 관련된 사항을 註를 통해 상세히 밝혔다. 압록강을 건너는 장면에서 시작되어, 조선의 역사와 조선에 머물면서 목격한 풍속과 민간 생활상을 상세하게 기록했으며, 조선의 유명한 시인으로 白光勳과 權필, 月山大君을 언급했다. 서진의 「조선죽지사」 40수는 뒤이어 조선에 사신 왔던 백준의 「조선죽지사」 30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서진의 죽지사에는 조선에 대한 전통적인 중국인의 인식이 담겨 있다. 당대 조선이 예악과 풍류로 다스려지는 태평성대라 했는데, 그 이면에는 중국의 교화가 있었다는 논지이다. 서진은 인삼 등 조선의 토산물과 白光勳·權필·月山大君 등의 조선 인물을 작품에 담으면서, 조선의 토속어를 그대로 음역하여 시어로 활용했으며 권필에 대해서는 그의 삶의 행적까지 서술했다. 다음으로 서진의 죽지사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조선의 당대 풍속 관련 작품들이다. 혼인의 풍습이나 쌍륙놀이, 사신 영접의 장면을 묘사한 작품에 대해서 金允植은 반론을 제기한 바 있다. 이는 서진의 개인적인 선입견과 중국의 조선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이 서진의 「조선죽지사」에 반영된 것에 대한 반론으로, 중국에 와전된 조선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김윤식이 꼼꼼이 변증한 것이다. 서진의 작품에 보이는 조선의 풍속에 대한 논의는 서진만의 개인적인 인식이 아니라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서진의 죽지사에 보이는 조선 인식은 중국인의 전통적인 조선 인식과 연결되어 있고 서진 역시 그 전통을 그대로 이은 것이다. 비록 당대 실제적인 풍속을 담아내지는 못했지만, 중국인의 조선 인식의 일단을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임은 분명하다. Seo-jin was an envoy. He came to Chosun at 18 century. but I didn`t find out the related document. He wrote 「Chosungukjisa」 40 poems what he experience to come to Chosun. He made a detailed annotations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work. His work was began the scene crossing Amnokkang. and then he wrote minutely history, customs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people in Chosun. And He treated of the famous poets who Baek-Guanghun and Guan-Pil in Chosun. I guess that 「Chosungukjisa」 40 poems have an effect on Baek, Jun`s 「Chosungukjisa」 30 poems. Baek-Jun was an envoy. At Seo-jin`s 「Chosungukjisa」, This was included in Recognition of conventional Chinese about Chosun. He said that Chosun is a peaceful reign managed decorum and refinement. but he discussed which is enlightenment of China in the other side. Seo-jin wrote regional products and talented man in his work. For instance, He introduced a ginseng in regional products and Baek-Guanghun, Guan-Pil, Wolsandaegun in talented man. He put to practical use to a folk language by a poetic word. He described the achievements of his lifetime about Guan-Pil. At Seojin`s Gukjisa, I observed the works that he wrote the works about customs of the Chosun. Kim- yunsik raised a question in argument about works which described Practices of marriage or diceplay, this called Ssangryuknori, a reproduction of welcome to an envoy. Seo-jin accepted that false telling the knowledge and the information as it is by work a preconception or a notion. So, This is came out the reference of this sort. Finally, the argument about customs of Chosun at Seo-jin`s works, It didn`t have to overlook that was not a private recognition of just Seo-jin. In consequence, the Recognition of Chosun at Seo-jin`s 「Chosungukjisa」 were connected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f Chosun with Chinese. Seo-jin also connected the tradition as it is. If, he didn`t write a practical customs of the Chosun. but he leaved a important material which be able to confirm a part of the Recognition of Chosun with Chinese.

      • KCI등재

        慵齋 成俔의 對外認識과 自己認識

        장미나(Jang mi n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성종-연산군대 활약했던 대표적 지식인인 慵齋 成俔(1439~ 1504)을 통해 조선 전기 문인들의 대외인식과 자기인식의 일면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그의 직간접적 해외체험을 통해 창작된 작품에 주목하여 그가 당시 동아시아의 타자로부터 조선을 어떻게 인식하고 위치시켰는지 살펴보았다. 성현은 네 번의 사행을 통하여 연경에 확고하게 자리 잡은 천자의 도읍을 목도하였고, 이를 통해 그들이 지향해야할 바의 문명의식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또 야인과 접해있는 국경이나 왜인이 거주하는 삼포 등을 직접 방문하였으며, 나아가 예조의 직책 등을 수행하며 왜ㆍ야인이 끼치는 실질적인 폐해를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직간접적인 경험의 토대 위에서 성현은 대외인식과 자기인식을 확립하였다. 그는 명나라를 지향해야 할 문명으로, 왜ㆍ야를 교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며 조선의 문명의식을 정립해 나갔다. 밖으로 중화를 지향하는 것은, 그 타자들과의 비교를 통해 안으로 주체성을 세우고 자국의 문명을 스스로 인식해 나가는 과정이었다. 이에 대응하는 방식은 성현이 중국 사신을 접대했던 일화와 그가 참여했던 국가적 편찬사업 등에 잘 나타난다. 성현을 비롯한 조선 전기 관료문인들은 중국 사신과의 성공적인 시문 수창을 통한 '文章華國'을 추구했을 뿐만 아니라, 명나라로부터 '문헌의 나라'ㆍ'예의의 나라'라는 문명국가임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현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문학, 음악, 지리 등 다방면에서 수성기에 접어든 조선의 제도와 문물을 완비하는 일에 기여하였다. 어느 시기를 막론하고 조선이 형세적ㆍ문화적으로 동아시아의 비교자장을 벗어나 있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원명교체기부터 변화하여 대명의리론이 지배하는 중ㆍ후기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는 조선 전기의 대외인식을 고찰해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는 조선 전기의 그것이 후기에 비해 다채롭지 못하다는 인식 때문이기도 하겠거니와, 전기를 훈구-사림의 구도로만 규정하던 기존의 연구 시각에서 기인한 문제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건국 초부터 조선의 제도와 문물을 완비했던 실질적 주체인 관료문인들의 지향은 조선을 둘러싼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그들의 문학과 사상도 그에 대응하기 위해 형성된 것임을 분명하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Yongjae Seonghyun(1439~1504)'s foreign-perception/self-perception and specific response, through his experience of envoys visiting Ming(明) and indirect experience neighboring countr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s conceptualized 'the others' in the process of the identification or the self, which resulted in the acceptance of the idea of Little-China. At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Korean had very clos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Seonghyun and a whole official literary men of the earlier Joseon Dynasty, tried to frame Joseon society according to Confucianism and aimed at politics through the Chinese law and institutions. And In the process, Seonghyun and a whole official literary men of the earlier Joseon Dynasty, recognized should be for the purpose of the standard of Wenming(文明), he was tried to realize Wenming of ming in Joseon Dynasty. Therefore they recognize Joseon close to 'Zhonghua(中華)-Ming', while putting other neighboring countries like Jurchen and Japan into the others, 'the barbarians'. Seongjong generation's the idea of Little-China is by comparing with other established form an identity. They was accommodating Ming's advanced system like literary, culture and institutions was trying to apply to the Joseon. They oriented efforts to Wenming, and about their 100 years since the nation integrated culture and literature's capacity, they were a proud when compared to Ming doesn't fall behind.

      • KCI등재

        동월(董越)과 공용경(공用卿)의 비교(比較)를 통해(痛駭) 본 中國 使臣의 朝鮮 認識

        윤재환 ( Yoon Jae Hwan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이 글은 『 조선왕조실록 』 속에 묘사되어 있는 동월과 공용경의 비교를 동해 이들이 지니고 있었던 조선 인식의 간극과 그 간극이 지니는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더 넓게는 이를 통해 당대 명나라 지식인들의 조선 인식 양상과 타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객관화.상대화된 조선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동월과 공용경은 朝鮮을 찾았던 明나라의 使臣으로, 한림원 소속의 문인.관료였다는 점과 귀국 후 조선 사행에 관한 저술을 남겼으며, 조선을 예의와 문화의 나라로 칭양하였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또, 이들의 사행 과정과 이들이 남긴 사행 기록물도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들의 조선 인식 역시 유사하다고 할 수 있지만, 이들의 조선 인식이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보기는 쉽지 않다. 『 조선왕조실록 』 속에 기록되어 있는 동월과 공용경은 같으면서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동월보다 공용경의 평가에서 서술의 진폭이 훨씬 더 크다. 이 차이점을 당대 중국 지식인들이 지니고 있었던 조선 인식의 차이라거나 조선에 대한 평가의 相異함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이 차이는 이들 개인의 조선 인식에 일정한 간극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고, 이 간극에 대한 파악은 당대 중국 지식인들의 다양한 조선 인식을 보여주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이 글은 당대 중국 지식인들의 다양한 조선 인식을 살펴보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는 시도로 의미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The direct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Dong Weol and Gong Yong-gyeong, gaps between their understandings on Joseon and the meanings of the gaps, but the wider goal is to provide clues to examine the aspects of understandings on Joseon by literati of Ming dynasty of the time and the objectified and relative appearances of Joseon from the perspectives of others. Both Dong Weol and Gong Yong-gyeong in common were Ming dynasty’s envoys visiting Joseon, were literati-bureaucrats assigned to Hanrimweon(翰 林院), wrote on their envoy trips to Joseon, and praised Joseon as a nation of manners and culture. Also, the processes of their envoy trips and their writings on them look similar to each other. In those senses it can be said that their understandings on Joseon are similar,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y are the same. The records of Dong Weol and those of Gong Yong-gyeong in Joseon wangjorilrok(『 朝鮮王朝實錄 』 ) look similar but different as Gong Yong-gyeong has a broader amplitude than Dong Weol. Although it is hard to be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was the difference among understandings of Joseon by Chinese literati of the time, the difference at least shows that there are gaps between those individuals’ understandings on Joseon; and the recognition about the gaps can be a method to show the various understandings on Joseon by Chinese literati of the time. This paper can have the meaning for suggesting a way to examine the various understandings on Joseon by Chinese literati of the time.

      • KCI등재

        청대(淸代) 문인(文人)들의 대조선인식(對朝鮮認識) -아극돈(阿克敦)의『동유집(東游集)』과『봉사도(奉使圖)』의 序跋文을 중심으로-

        박종훈 ( Chong Hoon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18세기 초 사신으로 4차례 조선을 다녀갔던 淸 阿克敦(1685~1756)은 자신의 사행을 『東游集』으로 남겼는데, 이 시집에는 16題 30首의 작품이 담겨 있다. 이후 鄭璵(?~?)에게 부탁해 『동유집』의 작품을 그림으로 옮기게 했는데, 그것이 바로 『奉使圖』20첩이다. 『동유집』이나 『봉사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 성과는 어느 정도 축적되어 있지만, 序跋文에 대한 고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총 23편의 서발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동유집』이나 『봉사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중국인의 전통적인 조선인식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조선에 대한 인식은 箕子로부터 시작되었다. 기자를 전면에 내세운 것은 중국의 교화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 판단된다. 이후 漢나라 이래 晉·隋·唐·宋 시대의 양국 간 역사를 조명했다. 한나라 이후에도 조선은 중국의 통치체제 안에 있었으며, 중국이 조선의 태평성대를 위해 절대적인 은혜를 지속적으로 베풀었다는 것이 주된 논지이다. 양국 간의 역사를 상기시키면서 중국의 영향을 확대 강화시켜 나간 것이다. 이는 결국 양국 간의 긴 역사를 통해 볼 때, 조선은 중국의 속국 혹은 번국으로 절대적인 중국의 은혜를 받았기에, 중국을 끊임없이 奉崇해야 한다는 논리가 된다. 당대 조선과 청의 관계 역시 동일한 맥락이다. 청이 들어설 때 조선이 원군을 보내주었고 가장 먼저 자청해서 복속했다고 언급했으며, 병자호란 때에는 다시 조선을 살려준 절대적인 은혜를 베풀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를 통해 현 조선과 청의 관계를 고착시켰다. 조선 사행 경험이 全無한 이들의 조선인식, 특히 사행을 경험한 이들의 기록을 통해 간접 경험을 한 이들의 인식인데, 오히려 더욱 확대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어찌 보면 조선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청 지식인에게는 너무도 당연한 것이라 새삼스러울 것이 없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서발문을 쓴 23인의 청대 지식인들에게 아극돈의 작품과 『봉사도』는 조선에 대한 중국의 전통적인 인식을 새삼 환기시켜주는 계기가되었고, 전통적인 조선인식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이를 확대 강화시켜 나간 것이다. Akedon(1685~1756) of Qing, he was an envoy that the beginning of 18C. He came round to see and then go on Joseon. and he left 『Dongyugib』 that he wrote his travel in Joseon. There was the Poem put into 16 subject 30pieces. After that time, he asked Jungyeo that painted 『Dongyugib』 of a picture. This was correctly 『Bongsado』 20packages. I knew that study about 『Dongyugib』 or 『Bongsado』 scaled down some degree. but, the examination about an introduction and an epilogue never get accomplished. These were record total 23poem which an introduction and an epilogue. Through, it was obtained not only a concrete information about 『Dongyugib』 or 『Bongsado』, but also was able to watch for a part of Joseon recognition the present age. The first, It was begin from Giga that recognition about Joseon. I was judged that emphasized education of China that put up in front of Giga. Since Han dynasty, It was illuminated history two countries about Jin·Su· Dang·Song dynasty. After the Han dynasty, there was Joseon in a reign structure of China. And, China was rendered absolute a benefit to a peaceful reign of Joseon. At this time, Joseon was received absolutely indebtedness of China from be subject to China. Only if it is that way, that was that always admired China. also, This was connected by the same context that the connection the present age about Joseon and Qing. When It was established Qing, Joseon was sent reinforcements. And it was mentioned that submitted to the frist for itself. Moreover, it was emphasized that bestow absolute a benefit at Byeongja-year. This was adhered to relation of master and servant that to relation Joseon and Qing. It was Joseon recognition that was not experience about Joseon`s travel. Specially through the record of travel experience, is was that they recognized indirect experience. But, this was able to confirm more expand, instead.

      • KCI등재

        조선통신사 행렬 안내서 연구- 기쿠야판 안내서를 중심으로 -

        박려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硏究 Vol.- No.94

        본고에서는 조선통신사절의 행렬을 감상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던 안내서에 주목하여 특히, 교토의 기쿠야 시치로베판(菊屋七郎兵衛板)을 대상으로 그 성격을 명확히 하고, 전개 양상을 통해 매체로서의 역할 및 조선인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존하는 자료 가운데 다수를 차지하는 기쿠야판은 대표적인 통신사 행렬 안내서로서 통신사는 물론 조선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망라하고 있다. 즉, 행렬의 순서와 그 설명뿐만 아니라 조선의 역사, 조선어, 헌상품, 의례용 무구, 악기 그리고 타 지역에서 출판된 안내서와 구분되는, 배 행렬에 관한 정보도 수록하고 있다. 이러한 기쿠야판 안내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면, 통신사가 방 일할 때마다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가이드북으로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데 주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판을 거듭하면서도 통신사절 및 조선에 대한 인식을 담은 내용들은 변함없이 그대로 수록되고 전승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조공사절로 통신사를 바라보는 시선에 기반한 역사인식, 조선인식이다. 이는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이자, 통신사 방일의 의미와 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전파하는 매체 역할도 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에는 에도와 쓰시마 등 일본 각지에서 간행된 행렬 안내서 에 대한 연구 및 이들 자료에 나타난 조선인식, 그리고 기쿠야판과의 비교 고찰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 The Kikuya Shichirobei version occupies majority of the currently existing data and as the leading guide for Tongsinsa’s processions, it includes not only the information regarding Tongsinsa but also various matters related to Joseon. In short, in addition to the order and explanation of processions, it holds informa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Joseon, language of Joseon, offerings and unlike the guides published in other regions, it even includes information on ship processions. When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is Kikuya version guide, it can be found that it is a guidebook that help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Tongsinsa’s procession by updating the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Tongsinsa visits Japan, to focus on providing information in advance. However, the point that must be considered is that although it goes through several editions in order to deliver new information, it still includes and passes on the contents capturing the Tongsinsa and Joseon’s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se are the historical perceptions and Joseon perceptions based on viewing the Tongsinsa as tributary envoyes. This shows that it played the role of media in spreading biased perception regarding the nation of Joseon and the significance of Tongsinsa’s visit while being the media conveying necessary information.

      • KCI등재

        『조선중앙일보』의 식민지 현실인식과 세계정세인식

        한종민 부경역사연구소 2017 지역과 역사 Vol.- No.41

        일제 말기 식민지 조선의 민간 언론은 식민지적 제약 아래서 제한적 형태로라도 사유를 드러낼 수 있는 공론장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시체제의 선전도구로서 예속화되어 갔으며, 총력전 체제 단계에서는 정책적 결정으로 소멸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일제 말기 언론에 대한 일반적 시각들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로 대표되는 민간지 경영자들이 보여준 친일적 성격을 1930년대 언론 전체에 그대로 투영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 같은 일반적 인식 아래 그 외의 언론은 물론이고 각 매체의 지면상에 표현되었던 지식인들의 현실인식과 사상적 측면은 그간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다. 최근 이러한 측면에 대한 조명이 이루어졌으나 부족한 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조선중앙일보』를 살펴보는 것은 나름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상적 측면에서 『조선중앙일보』의 구성원들과 그 사설을 살펴보고 당시 『조선중앙일보』를 표현공간으로 삼았던 사회주의 성향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던 식민지 현실인식과 세계정세 분석의 여러 단면들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소규모의 통일전선적 조직형태로 출발했던 『조선중앙일보』는 경영진의 변화와 함께 다수의 사회주의자들이 입사하면서 계급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때 사설과 논설은 그들의 입장을 드러내는 하나의 창구이자 대중각성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1935년 이후의 『조선중앙일보』는 그 구성원의 측면에서나 사설에 드러난 현실인식에서나 모두 『동아일보』나 『조선일보』의 그것에 비해 사회주의적 색채가 짙었다. 이때 사설에 드러나는 현실인식은 대체로 1930년대 초반의 사회주의자들이 가졌던 현실인식의 연장선에 있는 것이었는데, 현실적 제약에 의해 혁명론과 계급투쟁론까지 온전하게 표현할 수는 없었다. 대신 유물론적 관점에서 자본주의적 체제 극복의 당위성과 계급적인 인식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는 식민지 조선 내부의 문제로는 농촌문제의 반봉건성 문제, 자본주의적 사회제도 비판, 지식인계급론 비판 등의 형태로 표현되었고, 세계정세인식에 있어서는 자본주의의 일반적 위기론, 세계대전 필연론, 반파시즘론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editorials of The Chosun Choong-Ang Ilbo, issued in the middle of 1930s, recognized the reality of colonized Korean society and the world situation.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editorials after 1935, the main emphasis of the thesis is on a certain aspect and ideological transition of socialist intellectuals who were rather active in the public space than radical or revolutionary communist. The Chosun Choong-Ang Ilbo, issued from 1933 to 1936, was one of the major printed media of colonized Korea alongside with the others such as The Dong-A Ilbo(Oriental Daily News) and The Chosun Ilbo(The Korea Daily News). The Chosun Choong-Ang Ilbo was known for its prominent socialist orientation in comparison to two other major media and such inclination had become even more explicit after 1935. The socialist intellectuals who took part in this journal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of social reality from a materialistic outlook, if not as active in revolutionary movement. Their criticism includes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The Chosun Choong-Ang Ilbo accused the idea of semi-feudalism caused by distorted colonial capitalism as a fundamental cause of rural problems of colonized Korea on one hand; and the capitalism per se or system of privateigentum as a primary factor of contradiction in colonized Korean society in general on the other. It analyzed the overall world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llgemeine Krise” of capitalism, in which the inherent contradiction of capitalistic system is persistently growing acute. Furthermore, it predicted yet another world war in a process of continuing crisis and condemned the fascist forces as a facilitator of soaring war risk, in which at the same time connotes a favorable intention toward the communist regime of Soviet and China. In conclusion, The Chosun Choong-Ang Ilbo’s awareness to the reality has a certain resemblance to that of socialist intellectuals of early 1930s, in terms of sense of resistance toward Japanese imperialism and logic of overcoming the system. Their movement, however, cannot be put in a revolutionary or class strife oriented ways due to a severe ideology suppress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tic fascism. When engaged with the discourse regarding world situation, their resistant attitude toward Japanese imperialism had replaced with the criticism toward the capitalism and imperialism. Japanese imperialistic fascism was enhanced during 1930s, and in the process colonized Koreans showed divergent reaction. They had to select either to resist or to accommodate and its course and logic also varied. This study cast light up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ought in colonized Korea, reinforcing at the sametime the deficiency of its studies as a whole.

      • KCI등재

        朝鮮朝 繪畵思想의 儒家美學的 理解

        조민환(Jo, Min-hwam) 한국서예학회 2010 서예학연구 Vol.17 No.-

        회화도 종교 등 여타의 것과 마찬가지로 그 시대를 이끈 지배 이데올로기와 지배층의 미의식의 영향을 받는다. 이런 점에서 볼 때 崇儒抑佛 정책을 펴면서 유학을 국교로 삼은 조선조 이전까지는 유가사상의 입장에서 회화작품이나 이론을 분석할 만한 것은 거의 없다. 간혹 사군자와 관련된 이론 등에는 比德의 입장에서 논할 만한 것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도 매우 제한적이다. 이런 점은 고려시대에 佛畵를 비롯한 최고의 불교 예술이 화려하게 꽃핀 것과 비교가 된다. 조선조 초기는 주로 문인사대부들의 경우 회화를 末技라고 인식하는 사유가 많았고 이런 사유는 상당히 오랜 기간 영향을 주었다. 󰡔朝鮮王朝實錄󰡕을 보면 많은 곳에서 군주가 회화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조차도 지나치리만큼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회화를 국가적 차원에서의 治人과 治道를 보조하는 매개물로 입장에서는 회화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그것은 군주와 백성 모두에게 적용된 <鑑戒圖> 혹은 <勸戒圖>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그림으로 그려져 나타났고, 또 그것을 통해 국가통치이념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언원이 말한 “그림은 교화를 이루고 인륜을 도운다”라는 점에서의 회화인식이 강하게 나타난다. 즉 조선조는 회화가 유가가 지향하는 교육적 ․ 정치적 ․ 윤리적 사유와 합치된 내용을 그림에 담아냈느냐의 여부, 혹은 회화를 유가가 말하는 道 혹은 理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따라 그 평가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점에는 조선조가 회화를 통하여 무엇을 얻고 말하고자 했는지가 잘 반영되어 있다. 조선조 중기를 넘어서면서 문인사대부들이 회화 창작에 참여하여 회화를 天地의 도를 체득하고 心性을 기르는 도구로 인식하게 됨에 따라 회화에 대한 인식은 점차 변화하기 시작한다. 유교를 국교의 이념으로 삼은 조선조의 경우 초기와 중기 그리고 후기에서의 회화인식은 회화를 어떤 맥락에서 이해하느냐에 따라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같은 조선조 유학자들의 회화인식은 그들이 추구한 삶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회화도 그 큰 틀에서는 벗어날 수 없었다. Frankly speaking, Chinese literati Painting have reflected the ruling class'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ideology. The Literati painting in Joseon Dynasty as the same. Confucianism places high value on a strong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such thought reflected The Literati painting in Joseon Dynasty. Confucian aesthetic understanding of the Literati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angle of traditional philosophy and aesthetics, the author makes a holistic approach characteristics of Joseon literati painting. The first approach starts with the identity of artists, and puts forward the value of "Wen(cultured)" as a sign representing literati painters against others. Two groups opposes to each others as Lijia(layman) and Hangjia(expert) in identity. The original Hangjia means professional artisans who takes painting as an occupation and lived by it. Instead, Lijia means amateur scholar who had other profession and salaries. Their proper professions cover three aspects : pursuing Tao, governing society and writing articles. When a literati painting grow mature, its difference from artisan's painting accordingly to cultivation, that is, Wen against Ye(uncultured). The flavor Wen is displayed in four aspects. Firstly, subjects come from classic works. Secondly, meanings are connected with philosophic thought. Thirdly, the quality of literary decides that of painting. Last, style prefers to gentles and mo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literati painting's thought have four aspects, especially they pursuing Tao, governing society and writing articles. Because Joseon literati painters have affected not only Neo-Confucian philosophy and Confucian aesthetic thought but also pursued Confuci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