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 나타나는 젠더 다양성을 위한 움직임 - 알록 베이드-메논(Alok Vaid-Menon)의 인스타그램 계정 분석을 중심으로 -

        정수진,임은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ement for gender diversity in social media.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gender, and to examine gender fluidity that is increasing in the recent fashion industry. For this purpose, text-mining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stagram account of Alok Vaid-Menon who is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for gender awareness as a transgender woma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ok Vaid-Menon’s the movement to increase gender awareness through Instagram was developed along with hashtags such as #degenderfashion and #beyondthegenderbinary that signify gender diversity. Second, Alok Vaid-Menon made efforts to change gender stereotypes by sharing images of cross-dressing such as dresses, skirts, colorful prints and colors, makeup, and accessories, while breaking away from the dichotomous concept of gender. Third, as a transgender woman, Alok Vaid-Menon promoted #nothingwronghair as part of her feminist movement, informed that hair removal was cultural racism, and encouraged her followers to participate. In addition, she engaged not only in changing gender awareness, but also in movements for women's rights and anti-racial discrimination. Fourth, Alok Vaid-Menon’s social media activities were supported by many followers and built a huge fan-ship, which served as a social capital for her. Accordingly Alok Vaid-Menon’s activities have expanded into mainstream media and fashion industry as well.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and flow of Alok Vaid-Menon’s activities for gender diversity, ultimately in predicting its influence and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젠더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에 나타나는 젠더 다양성을 위한 움직임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연구방법인 텍스트마이닝과 인스타그램 아카이브 분석을 병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트랜스젠더 여성으로서 젠더 인식변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알록 베이드-메논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스타그램을 통한 젠더 인식변화의 움직임은 젠더 다양성을 의미하는 ‘degenderfashion’, ‘beyondthegenderbinary’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전개되었다. 둘째, 알록 베이드-메논은 이분화된 성 관념에서 벗어나 원피스 드레스, 스커트, 화려한 프린트와 다채로운 컬러 등의 여성 복식과 진한 메이크업, 화려한 장신구 착용 등의 외양을 통해 크로스 드레싱 이미지를 공유하며 젠더 인식변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셋째, 트랜스젠더 여성으로서 알록 베이드-메논은 페미니즘 운동의 일환인 #nothingwronghair을 전개하며, 제모가 문화 인종주의임을 알리고, 팔로워들에게 #nothingwronghair 활동을 독려하였다. 더불어 젠더 인식변화뿐만 아니라 여성 인권과 인종차별 개선을 위한 움직임에도 활동을 펼쳤다. 넷째, 인스타그램에서 알록 베이드-메논의 활동은 많은 팔로워에게 지지를 받아 팬쉽을 구축하였으며, 사회적 자본으로 역할을 하였다. 알록 베이드-메논의 활동은 인스타그램에서 확장되어 주류 매체 및 주류 패션에도 등장하였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2015년부터 시작된 알록 베이드-메논의 젠더 다양성을 위한 움직임의 전개 양상과 흐름을 분석한 본 연구는 최근 더욱 세분화되어 표현되는 젠더리스 및 젠더 플루이드 경향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젠더기반폭력으로서 친밀 관계 폭력의 개념에 대한 고찰과 향후 과제

        김효정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4 이화젠더법학 Vol.16 No.1

        본 연구는 친밀 관계 폭력의 근절과 실효성 있는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젠더 및 젠더기반폭력 개념과 현대사회의 친밀성의 변화에 관한 실질적인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관계적 친밀성에 기반한 젠더기반폭력의 유형과 개념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친밀성의 변화에 따른 젠더폭력 대응의 방향과 향후 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여성에 대한 폭력(VAW), 젠더기반폭력(GBV), 젠더에 기반한 여성폭력(GBVAW), 가정폭력(DV), 친밀한 파트너 폭력(IPV), 교제 및 관계폭력(DRV) 등 완전히 동일한 의미를 갖지는 않지만 상호 교차하면서 중첩되는 의미를 갖는 용어들의 개념과 정의를 검토하고, 각각의 용어가 함의하는 정치적이고 전략적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질서에 내재된 개념이자 범주로써 젠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혼인 및 혈연 관계를 넘어서는 친밀한 파트너십 형성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과 보편적 권리로서 누구나 가족을 구성할 수 있는 권리를 바탕으로, 기존의 전통적 방식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친밀성에 근거한 젠더기반 폭력의 사각지대를 발굴하여 대응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이러한 논의의 궁극적인 목적이 지금까지 사회의 젠더질서와 규범 속에 숨겨져 왔던 다양한 피해자들의 경험을 드러내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서는 피해자들의 경험을 최대한 포괄하여 피해지원의 사각지대 없이 모든 이들의 안전과 일상의 삶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 지속적으로 모색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s and concepts of gender-based violence based on relational intimacy in order to address the directions of gender-based violence responses and the future task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violence against women (VAW), gender-based violence (GBV), gender-based violence against women (GBVAW), domestic violence (DV), intimate partner violence (IPV), dating and relationship violence (DRV), which, although not fully synonymous, intersect and overlap in meaning. It was argued tha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gender as an inherent concept and category within social order and structure for comprehending the political and strategic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each term.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addressing the blind spots of gender-based violence hidden in changing norms and practices of intimacy, which is beyond traditional marital and kinship relationships, by highlighting the growing formation and practices of various intimate relationship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right to establish a family as a universal right. Above all, it was argued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se discussions is to shed light on the diverse experiences of victims/survivors of gender-based violence, concealed by societal gender order and norms.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e safety and well-being of all victims b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ir experiences of violence.

      • KCI등재

        영화 《나의 EX》의 젠더 수행성과 이데올로기

        이병민 한국중문학회 2022 中國文學硏究 Vol.- No.86

        Socialized gender roles are not fixed or consistent in different cultures or in one society in one era. People’s gender identity is not always consistent with social norms. The key thing is that gender has ‘Performativity’. It means that what is regarded as the inner essence of gender is created through a series of continuous actions, and its posi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stylization of the genderized body. In other words, gender is expressed through actions that an individual embodies and repeats within his or her body and inside in negotiations with society, is determined in the process of its attachment, and can be changed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When Ajie tells his mother about her relationship with Sunzhengyuan and wants to tell her honestly, Sunzhengyuan dissuaded her, saying, “To be honest, your mother will be hurt”. It is also a Sunzhengyuan-like answer that denies his gender identity in the future and marries LiuSanlian. “It’s our responsibility not to make our family suffer and not worry”, he said, thinking that the family, who would be bound by the norms of heterosexuality, will be hurt, and he only takes care of them in advance. SunCheongxi seems to have no prejudice against homosexual gender. Otherwise, even if you don’t like your mother, you can’t come to Aje and stay. What was important to SunCheongxi was not identity, but a relationship where he could settle down together, and his neutral position of respecting gender diversity reaffirms that he is appropriately qualified as a narrator of the film. Ajie is also a “macho masculine” person who uses LiuSanlian’s visit to relieve the anxiety of fellow actors when he can’t even pay the actors properly, saying, “You know well that he has insurance money”, and uses it as a way to forcefully. LiuSanlian considers the marital problem with her husband Sun Zhengyuan purely due to a lack of sexuality, tries to quickly close the distant relationship by seducing her husband, and is reproduced as a “dumb” woman who hardly realizes whether there is an essenti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gap. In fact, despite being a young “woman” with a middle school son, LiuSanlian is embodied as a woman with only “motherhood” removed from female sexuality. The theatrical performances that Ajie, actors, and staff collaborated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are not very sophisticated and even look crude, but that is why they are realistic. In addition, the sequence in which Ajie’s mother brought flowers after the play, including this scene, reminds us that the play has a ritual character that purifies everyone’s conflict. By sympathizing with Ajie’s pain and watching his theatrical performance, the audience reconciled through cultural interaction and faced a moment of solidarity and mutual support. 사회화된 젠더 역할은 다른 시대 문화에서도 혹은 한 시대 한 사회에서도, 고정되거나 일관되지 않다. 사람들의 젠더 정체성이 항상 사회 규범과 일치하는 것도 아니다. 핵심적인 것은, 젠더는 ‘수행성’을 지닌다는 점이다. 젠더의 내적 본질이라고 여기는 것이 일련의 지속적인 행동을 통해 만들어지며, 젠더화된 몸의 양식화를 통해 그 위치가 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젠더는 한 개인이 사회와의 교섭 속에서 자신의 몸과 내면에서 체화하며 반복하는 행동을 통해 표출되고, 그 천착의 과정 속에서 정해진다. 또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젠더는 변화 가능하다. 쏭쩡위안은 아제가 엄마에게 쏭쩡위안과의 관계에 대해 말하고 솔직하게 말하고 싶다고 하자, “솔직하게 말하면 어머니가 상처받으실 거야.”라며 만류한다. 그야말로 훗날 자신의 젠더 정체성을 부정하고 류싼롄과 결혼한 쏭쩡위안다운 대답이기도 하다. “가족을 힘들게 안 하고, 걱정 안 시키는 게 바로 우리의 책임이니까.”라고 하면서 이성애 규범에 얽매여 있을 가족이 상처받을 것이라 여기고 미리 알아서 배려할 뿐이다. 쏭청시는 동성애 젠더에 대한 편견은 없어 보인다. 그렇지 않고서는 엄마가 싫더라도 아제에게 와서 묵을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쏭청시에게 중요한 건 정체성이 아니라 함께 안주할 수 있는 관계성이었고, 그의 이런 젠더 다양성을 존중하는 중립적인 입장은 그가 이 영화의 나레이터로서 적절한 자격을 갖추고 있음을 재차 확인시켜준다. 아제는 배우들 출연료도 제대로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동료 배우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보험금을 내놓으라며 류싼롄이 찾아온 것을 역이용하여, 자신이 탈 보험금이 있다는 것을 잘 알겠냐며 오히려 큰소리를 치는 방편으로 이용하는 허세도 부리고 강압적으로 군림하는, ‘남자다움을 과시하는’(macho) 남성성을 지닌 사람이기도 하다. 류싼롄은 남편 쏭쩡위안과의 부부 사이의 문제가 순전히 섹슈얼리티 관계의 결핍으로 인한 것으로 여기고 남편을 유혹하는 자태를 취하면서 멀어진 관계를 성급히 봉합하고자 한다. 즉 그는 서로 본질적인 정서적⋅심리적인 괴리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깨닫지 못하는 ‘둔감한’ 여성으로서 재현된다. 사실 류싼롄은 중학생 아들을 둔 젊은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여성 섹슈얼리티가 제거된 ‘모성’만을 지닌 여성으로 형상화된다. 아제와 배우들, 그리고 스텝들이 협업하여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올린 연극 공연은 그다지 세련되지 못하고 조잡해 보이기까지 하다. 그렇지만, 또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이다(realistic). 아울러 이 장면을 포함한 연극이 끝나고 난 후 아제의 어머니가 꽃을 가져온 시퀀스는, 이 연극이 모두의 갈등을 정화(catharsis)시키는 제의적(ritual) 성격을 지녔음을 일깨워준다. 아제가 지닌 아픔에 공감하며 그의 연극 공연을 관람하는 것으로 마음의 응어리를 해소하며 관객들은 문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화해하게 되고 연대와 상호 지지의 순간을 맞이한 것이다.

      • KCI등재

        자본주의 다양성 관점에서 본 젠더와 계급의 교차성

        김영미(Kim Young-Mi) 한국여성학회 2010 한국여성학 Vol.26 No.3

        젠더에 기반한 차별과 불평등은 어떻게 완화되는가? 자본주의적 시장의 힘을 통해 전근대적 위계관계가 해체될 것이라고 보았던 마르크스주의와 신고전주의 경제학은 모두 시장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적어도 노동시장 내에서 차별적 관행이 사라지고 젠더간의 불평등이 소멸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양성평등의 선형적 진보 가설은 통시적 연구, 비교연구 등에서 관찰된 결과와 부합하지 않는다. 최근 자본주의 다양성 (varieties of capitalism) 논의와 젠더 불평등을 결합시키려는 노력들은 각 국가별 젠더 불평등의 발현 양상이 매우 상이하며, 그 진화 양상 또한 하나의 궤적이 아니라 다양한 궤적들을 보일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해 있다. 이 연구는 선진자본주의 국가들에서 노동시장 내 남녀 소득격차가 완화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분석한다. 자본주의 다양성 논의에서 이론적 자원을 들여오며 방법론적으로는 남녀 소득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는 분포적 접근법을 취한다.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1993, 1994년과 2006, 2007년 자료를 이용하여 영국, 미국, 독일, 일본, 노르웨이, 스웨덴 등 6개국의 남녀 소득분포 변화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노동시장 내 남녀 소득격차가 변화하는 양상은 생산체제에 따라 상이하며 자유시장경제에서는 젠더-특정적 조건 변화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민주의형 조정시장경제에서는 구조적 조건 변화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ow can gender-based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be mitigated? Both Marxism and Neo-classical economics argue for a linear progression of gender equality in the labor market in the sense that they predict a revers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inequality and the strength of market competition. However, these prediction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observed results. The reason why such a linear progression hypothesis is not empirically supported is because the reality of gender inequality in each society differs greatly from one another, so does the evolutionary trajectory of gender equity. In the vein of recent attempts of gendering varieties of capitalism, this study analyses concrete processes in which gender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is reduced in the six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Drawing in theoretical resources from varieties of capitalism, this study utilizes a distributional approach to analyze changes in male and female earnings distributions. Using ISSP data of 1993, 1994 and 2006, 2007,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gender earnings distributions of th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Germany, Japan, Norway, and Sweden.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rocess of which gender equality is achieved in the labor market differs by production systems. In the liberal market economy, changes of gender-specific factors contribute more to the reduction of gender wage gap, whereas in the coordinated market economy, it is the structural factor that contributes the most.

      • KCI등재

        지배구조의 젠더 다양성이 기업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분석

        강영희(Kang, Young-He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1 젠더와 문화 Vol.14 No.2

        기업의 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혁신은 중요하다. 하지만 신흥지역의 기업혁신 활동에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며, 특히 지배 구조의 젠더 다양성이 신흥지역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적이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은행(World Bank)의 기업 설문에 참여한 661개 베트남 제조기업 대상으로 지배구조의 젠더 다양성이 R&D 혁신(신제품 출시, R&D 활동)과 non-R&D(제조법 혁신, 혁신 교육·훈련, 물류·유통 혁신, 지원업무 혁신,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젠더 다양성이 R&D 혁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non-R&D 혁신에는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여성 CEO는 제조법 혁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지원업무 프로세스 혁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한, 여성 오너는제조법혁신, 지원업무 프로세스 혁신, 조직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For firms in emerging markets, innov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surviving and obtaining competitivenes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investigating determinants of innovation in emerging markets, particularly the effects of gender diversity of corporate governance on innovation. This research therefore aims to explore the gender diversity of governance among 661 Vietnamese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the World Bank’s corporate survey, by examining the relations of female leaders—female owners or CEOs to R&D- and non-R&D activities. Results indicate that female CEOs are likely to have negative impacts on innovation training and process innovation, while female owners are likely t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se activities. In particular, female owner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novation with regard to manufacturing methods and supporting activities. However, female CEOs are less likely to impact on the innovation of operating methods than are male CEOs. Finally, female owners ar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젠더 전환적 전략을 위한 ‘적극적 조치’의 재개념화

        허라금(Huh Ra-Keum) 한국여성학회 2010 한국여성학 Vol.26 No.2

        적극적 조치는 젠더 구조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여성주의 성 주류화의 정책이 될 수 있는가? 적극적 조치는 성 주류화의 젠더 전환적 전략 패러다임에 부적절하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인데, 이는 적극적 조치를 특별히 여성을 위한 ‘우대 조치(preferential treatment)’로 보는 지배적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글은 적극적 조치가 여성주의 성 주류화 전략으로서 필요한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적극적 조치의 정책 방향을 여성의 주류 편입 확대를 목표로 했던 차원을 넘어서 새로이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에 적합한 젠더 전환적 전략으로 ‘적극적 조치’를 재개념화 한다. 적극적 조치를 보이지 않는 관행과 평가규범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전략으로 삼을 것을 주장하는 영(Iris Young)의 논의와 캐롤 바키(Carol Bacchi)의 “범주의 정치학” 개념은 이 글의 중요한 이론적 자원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젠더 전환적 전략으로서 ‘적극적 조치’의 논리가 다양성 주류화 논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다양성 주류화로의 전환 주장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를 적극적 조치를 둘러싼 정책 현실의 맥락에서 검토한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affirmative action is an central strategy for the gender mainstreaming policy, which aim for a gender equality as the gender transformative policy. There are many strong challenges in our society against the affirmative action. A main argument of them is that the affirmative action as a women-specific policy based on group identity is not consistent with the cross-cutting approach of gender mainstreaming, intending to integrate gender perspectives to the general policies. This argument might have some relation with the dominant view, affirmative action is preferential treatment for women. Challenging to this dominant view, this paper provides a conceptual logic of the affirmative action, which could interpret the affirmative action as a gender transformative strategy. This is supported by Iris Young’s argument for affirmative action and Carol Bacchi’s concept of “politics of categories”. This paper takes their discourses as important theoretical resources, to change the meaning of “affirmative action” from women’s preferential treatment to gender transformative action. Finally, I note a relation of the affirmative action as a transformative strategy with the diversity strategy, and examine the diversity-mainstreaming discourses from perspective of the real political context around social policy.

      • KCI등재

        1960년대 과학소설의 젠더와 이상사회에 대한 사고실험 - 어둠의 왼손 과 완전사회 를 중심으로 -

        손나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0

        본고의 목적은 1960년대에 발간된 어슐러 K. 르귄의 어둠의 왼손 과 문윤성의 완전사회 를 중심으로이 두 과학소설이 젠더와 이상사회를 대상으로 했던 사고실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 소설들은 각각 1967년과 1969년이라는 비슷한 시기에 출간되었으며 현실과 다른 젠더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다른 문화권의 다른 성적 배경을 가진 작가들이 젠더에 대한 사고실험을한 것은 일차적으로 냉전과 자유의 물결이 대립했던 1960년대의 모순적 사회 배경을 이유로 들 수 있다. 하지만 보다 더 근원적인 것은 과학소설의 사고실험적 특성에 대해 이 두 작가가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두 작가는 과학소설의 사고실험을 통해 1960년대에 대해 진단하고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한다. 르귄은 성이 유동적인 사회를 그리며 다양성 수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문윤성은 폐쇄적인 여성사회를 통해 당시 남성중심적 독재사회를 반영하며 다양성을 수용하지 않을 때에는어떤 사회에도 갈등이 지속되리라는 점을 지적한다.

      • KCI등재

        영화적 게임의 젠더 다양성 재현과 동일시의 트러블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조혜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the gender diversity of game characters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me player and the character in The Last of Us series, which has been appreciated as one of the most cinematic games.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as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game characters’ identity and the game player’s agency. In particular, The Last of Us Part 2, in which two women, Ellie and Abbey, appear as player characters, received a hate attack from the fandom, which mainly consist of male gamers. This is because both of Ellie’s body and Abby’s, which exceed and deviate normative gender system. However, The Last of Us Part 2 is also designed to make a player’s agency instable and cause the trouble of identification. This game, which has lower degree of freedom in the choices of narratives and actions of player characters, compels players to play as and identify both Eli and Abbie who are hostile each other. It allows players to experience the gender differences among/within women, female masculinity, and multi-layered game bodies (character’s, actor’s, player’s, game machine’s, etc.). A player/Ellie/Abby can complete the game to the end only when they accept the instability of subjectivity and failure of their identity and acknowledge that it is impossible to overcome the trauma of the subject for others’ pains. The Last of Us Part 2 navigates the ethical coexistence of different actants only possible when revealing vulnerability and finding traces of oneself from strangers. 이 글은 영화적 게임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게임의 젠더 다양성 재현이 게임 플레이어와 캐릭터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젠더적 관점에서 게임 플레이어와 캐릭터 간에 동일시와 비동일시가 작동하는 방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를 통해, 게임 플레이어의 행위자성이 복수적이고 산포적이고 이질적인 신체들의 프랙탈적인 연합으로 구성되며 그러한 게임 플레이어의 성격이 윤리적이고 교육적인 가능성을 지닐 수 있음을 주장한다. 평단과 대중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던 「더 라스트 오브 어스」(2013)와 달리 후속편인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2020)는 양분된 반응을 얻었다. 특히 기존 남성중심적 게임 문화에 익숙한 일부 이용자들은 새로운 플레이어 캐릭터인 애비에 대해 분노와 혐오의 감정을 드러냈다. 이러한 반응은 소수자차별적 문화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후속편이 플레이어 행위자성을 복수화하고 산포시키고 마찰을 불러일으키게 설계하면서 생산된 효과이기도 하다. 서로를 적대하지만 거울상인 두 플레이어 캐릭터, 젠더 이분법을 이탈한 여성의 남성성 재현, 감정적 보상을 주지 않는 서사, 이질적인 게임적 신체성(캐릭터, 배우, 플레이어, 게임머신 등) 등은 동일시와 비동일시를 오고가게 하고 플레이어 행위자성이 긴장하고 불화하는 행위소들로 구성되어있음을 감각게 한다. 또한 플레이어/엘리/애비는 정체성의 불안정성과 실패를 수용하고 타자의 제거를 통한 주체의 트라우마 극복은 애초에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할때만 게임을 끝까지 완료하고 공존의 윤리학을 배우게 된다.

      • KCI등재후보

        에티오피아 정부의 젠더 다양성 관리에 관한 연구

        Nigusie Tadesse Zenebe,김판석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0 국제학논총 Vol.31 No.-

        The issue of human diversity has become a pressing global concern as interaction among people significantly increases due to dynamic demographic,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change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how gender diversity is managed in the Ethiopian government. The study reveals that women’s representation in decision-making positions, such as political appointees and senior officials, is poor, with women largely being concentrated in low level clerical jobs in the Ethiopian government. Further, there is a considerable disparity of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government employees among regional states. With respect to ethnic representation, about one-third of the nearly 80 ethnic groups in Ethiopia were not represented at all. Therefore, as a multiethnic and federal nation, Ethiopia needs to reconsider its personnel policies designed to promote gender diversity and ethnic representation in its public sector. 역동적인 인구 통계, 정치, 경제 및 사회 문화적 변화로 인해 사람들 간의 상호 작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인간 다양성의 문제는 단일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이 논문은 에티오피아 정부에서 젠더 다양성이 어떻게 관리되는지 조사하려고 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정부에서 정치인 및 고위 공무원과 같은 의사 결정 직책에서 여성의 대표성이 상당히 부진하며, 여성들은 주로 낮은 직위의 사무직종에 집중되어 있다. 더욱이, 지방정부의 경우에 여성 공무원의 대표성에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에티오피아에는 약80 개 부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약 1/3정도는 전혀 대표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부족을 가진 연방 국가 에티오피아는 공공 부문에서 성별 다양성은 물론 부족별 대표성을 제고하기 위한 인사정책을 펼쳐야 한다.

      • KCI등재

        일본 여성활약추진법의 시행 현황 및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유혜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6 No.3

        일본은 2015년에 10년의 한시법인 『여성의 직업생활에 있어서의 활약 추진에 관한 법률(女性 の職業生活における活躍の推進に関する法律)』을 제정⋅공포하여 여성친화적 기업문화와 근로환경을 조성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까지 경제활동 참여가 저조했던 여성을 경제영역안으로 끌어들임으로써 급속한 저출산 고령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동시에 기업지배구조의 젠더 다양성에 관한 테마와도 밀접히 연결되고 있다. 동법은 원칙적으로젠더 다양성에 관한 대응을 기업의 자율에 맡기면서도,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영역에 대해서는일정 항목을 지정하여 행동계획 및 정보공표의 이행을 의무화하고 있고, 우수기업 인정 제도, 공공조달에서의 우대조치, 일본정책금융공사의 대출 혜택, 보조금 혜택 등과 같은 정부의 지원조치를 통해 기업이 적극적으로 이행하게 할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이에 법 시행 후 7년이지난 현재 기업의 행동계획 신고율 증가, 상장기업 여성임원수 증가, 에루보시 인정기업수 증가등과 같은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일본 법제의 내용과 성과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① 여성고용정책에 있어서는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기업 범위의 확대, 시행계획 제출의 의무화, 시행계획 항목의 구체화ㆍ다양화 및 여성고용의 질적 개선에 관한 항목 추가 등이 있고, ② 정부의지원조치에 있어서는 인센티브 수혜기업수의 확대, 지원조치 범위의 다양화 및 공공조달에서의혜택 강화 등이 있으며, ③ 여성임원에 있어서는 선임 여부는 기업의 자율에 맡기되 공시제도를활용하여 간접적으로 강제하는 방안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아시아 국가라는 공통분모 하에 우리나라와 일본이 상당히 비슷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안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젠더 다양성 법제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상호 활발한 교류와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의미한 시너지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