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단체의 선거참여 활동을 제약하는 요인 분석

        오현철(Hyun Chul Oh)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5

        이 글은 선거에 참여하는 시민단체들의 활동결과를 주로 제도적 기회구조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 기존연구와 달리, 담론적 기회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담론적 기회구조는 정치적 기회구조와 함께 시민단체들의 선거참여 활동을 활성화하거나 제약하는 구조적 힘으로 작용하였다. 분석결과 제도적 기회구조가 폐쇄적이었지만 담론적 기회구조가 개방적이었던 2000년의 낙선운동은 성공한 반면에, 제도적 기회구조가 개방적이었지만 담론적 기회구조가 폐쇄적이었던 2004년의 낙선운동은 실패하였다. 따라서 시민단체의 선거참여 활동에는 제도적 기회구조보다 담론적 기회구조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esult of civic engagement, especially NGO’s political actions in Korean elections. Up until recently several researchers who studied this field have relied on the concept of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But the focus of my analysis is based mainly on ‘discursive opportunity structure’. I believe the discursive opportunity structure is the driving force that transforms usual civil action into powerful engagement in elections. The ‘rejection campaign’ of the year 2000 was successful, but that of the year 2004 failed because the discursive opportunity structure was open in 2000, but closed in 2004. Therefore the result implies that the decisive factor of NGO’s engagement is the discursive opportunity structure rather than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 KCI등재

        사회운동, 정치적 기회구조, 그리고 폭력

        신진욱(Jinwook Shin)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6

        이 논문의 목적은 1960년-1986년 시기 한국 노동자들의 집단적 저항행동의 레퍼토리와 장기적 사이클이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 및 국가ㆍ자본과의 상호작용과 맺고 있는 인과적 상관관계를 사회운동론적 접근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핵심적 인식관심은 첫째, 노동자 집단행동의 장기적 사이클이 정치적 기회구조의 어떤 측면과 인과적 상관성을 갖고 있는가를 밝혀내고, 둘째, 노동자 저항행동과 국가ㆍ자본간의 상호작용의 성격, 변화, 영향을 규명하며, 셋째, 노동자들의 집단행위 레퍼토리의 지배적 유형 및 그 변화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주로 시계열적 비교와 다양한 분석적 차원들 사이의 비교방법을 동원한 이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960-86년 시기 동안 노동자 집단행위의 빈도의 고조는 권력 엘리트의 균열 및 불안정성과 상관성을 보여주었던 반면, 집단행위 참여자 규모의 고조는 정치체제의 상대적 개방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둘째, 거시적 수준에서의 정치적 기회구조의 폐쇄성 및 억압성 증대는 전반적으로 도전자 집단에 대한 국가의 폭력적 대응의 증대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유사한 거시구조하에서도 권력보유자 집단의 대응전략과 도전자 집단의 성격에 따라 구체적 대응유형은 차이를 보였다. 셋째, 도전자 집단의 행위 레퍼토리는 거시적 수준에서의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로부터 직접적으로 영향받지 않고, 권력보유자 집단의 구체적 대응유형의 변화에 의해 영향받았다. 이러한 분석결과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즉 사회운동의 사이클 및 행위 레퍼토리가 정치적 환경과 맺고 있는 상관관계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거시적인 정치적 기회구조의 제반 측면들과 사회운동의 여러 차원들을 분석적으로 분화시켜 이들 사이의 복합적 관계를 추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치적 환경과 사회운동 사이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정치)구조와 (운동) 행위의 직접적 비교에 만족하지 말고 도전자 집단과 그 적대자들 사이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과정과 그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aimed to analyze the causal interrelations between the repertoires and cycles of the collective action of Korean workers,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the changes of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and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challengers and members of establishment. The central questions of this study is: ⑴ which aspects of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are causally interrelated to the cycles of protest of Korean workers? ⑵ what kind of interrelation exist between the changes of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and the mode of reaction of the state and capital against the protest actions of workers? ⑶ what was the Korean workers’ dominant repertoires of collective action, and how did it change in the course of time?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he radical rise of the protest frequency of the workers showed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instability of power holder groups, while the total number of protest participants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ve openness of the political system. Second, the strengthening of the closeness and repressiveness of the macro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rise of the state participation in repressing the protest actions at the level of direct interaction. Third, the repertoires of collective action of the challenger groups were not immediate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utre at the macro level, but rather by the changes of concrete modes of reaction of the members of establishment.

      • KCI등재

        주민발의 운동의 정치적 동학

        박현희(Hyunhee Park)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주민발의 운동의 정치적 동학을 불만, 인지틀, 자원동원, 정치적기회구조 (안정적ㆍ유동적 정치적기회구조) 변수들의 상호작용과 운동에의 영향을 분석하여 파악하고 바람직한 참여민주주의의 실현 조건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민조례청구권’을 활용한 지역시민자치 운동으로서‘주민발의 운동’은 민주주의의 반응성, 투명성, 정책합리성을 제고해주는 참여민주주의 운동이다. 이 운동이 심사숙고의 정치과정을 거칠 때 대의 민주주의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성남시 사례를 통합적으로 연구한 결과 각각의 변수는 운동의 여러 계기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운동 활성화와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구조적 불만, 인지틀, 자원동원 요인은 상호 작용하여 노조운동을 주민발의 운동으로 활성화시켰다. 또 운동의 조례제정 성과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은 유동적 정치적기회구조인 지방선거였고, 간접적 영향 요인은 상위법이었다. 그리고 운동에 제약을 가한‘집행부의 폐쇄적 대응’과‘의회 내약한 동맹’은 안정적 정치적기회구조(양분된 정치 지형, 시장 지배적 권력구조)에서 비롯된 것이다. 양분된 정치지형에서 확고한 선거지지 기반을 가진 대응진영은 시장지배적 권력구조 하에서 주민 요구보다는 시장의 의사를 따르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참여민주주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행위자 측면에서는 시민성 확보, 정치인의 소양제고, 구조적 측면에서는 정책합리성에 기반 한 정치지형으로의 재편, 주민요구에 대한 진지한 숙고 절차 도입 등의 다면적인 처방과 개선이 필요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litical dynamics of the residents’ initiative movement of Korea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and the effect of the grievance, the frame, the resource mobilization and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variables and to propose the desirable condition of the participatory democracy in realistic sense. Collective results of the Seongnam case study show that respective variables have various effects on leading reinvigorating and achieving the movement. The interaction of structural grievance, the frame, and the resources mobilization factors activated the movement and transformed the labor movement into the residents’ initiative movement. The most decisive factor in ordinances enactment was ‘the local election’ and ‘the law’ affected indirectly. Also, ‘the closed response of executives’ and ‘the weak allience within council,’ which restricted the movement as ‘the fluid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was influenced by ‘the stabl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bisected political configuration and mayordominated power structure)’. Under the bisected political configuration and mayor-dominated structure, the counter camp tends to follow the will of the mayor and not the demand of people. In order to achieve desirable participatory democracy, multilateral reformations are required. On the actor’s side, the civility for activating the public sphere and the politicians’ serious attitudes of considering the residents’ demand are required.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al reformation should be achieved. This includes reorganization of political configuration based on policy-rationalit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deliberation procedure for the residents’ demand.

      • KCI등재

        환경보건재난에서 정치적 기회의 변화, 그 이후 : 가습기살균제피해구제법 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박진영 한국환경사회학회 202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6 No.2

        This study analyzes the revision process of the Special Act for the Relief of Damages from Humidifier Disinfectants (abbreviated as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amage Relief Act).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amage Relief Act has been amended twice since its implementation in August 2017. Through two revisions,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damage centered on lung diseases, which had been maintained for several years, were integrated and the scope of damage recognition was greatly expanded. These changes are notable in the history of the damage relief system for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in Korea, a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vision proces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vision. As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s revealed, the revision of the law was possible as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changed from the end of 2016. In the open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civil society and victims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damage relief system and strongly demanded the revision of the law. This study shows that the humidifier disinfectant system could change through interactions among civil society, victims, experts,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the changed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rather than analyzing the change in social movem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The importance of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and resolving health disasters can be explored.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amage relief system, it is confirmed that major changes in the system were made possible by open political opportunities, and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in responding to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is confirmed once again. 이 연구는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약칭 가습기살균제피해구제법)」 개정 과정을 분석한다. 가습기살균제피해구제법은 2017년 8월 시행 이후 두 차례 개정되었다. 두 차례 개정을 통해 수년간 유지되었던 폐질환 중심의 피해 판정 기준이 통합되었고 피해 인정 범위가 대폭 확장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환경보건재난의 피해구제제도 역사에서 특기할 만한 사건으로 개정 과정과 개정의 의미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법 개정은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밝혔듯, 2016년 말부터 정치적 기회구조가 변하며 가능했다. 열린 정치적 기회구조 속에서시민사회, 피해자는 기존 피해구제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법 개정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정부의 가습기살균제 피해 연구 지원이 증가하며 전문가들도 새로운 지식을생산하고 피해자들을 위한 구제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이연구는 정치적 기회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의 변동을 분석하기보다는, 바뀐 정치적 기회구조 속에서 시민사회, 피해자, 전문가, 정부, 국회가 상호작용하며 가습기살균제 구제제도가 변할 수 있었다는 점을 보이며 환경보건재난 대응과 해결 과정에서정치적 기회구조의 중요성을 탐색한다. 즉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제도 변화 과정을분석해 제도의 주요한 변화가 열린 정치적 기회로 가능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환경보건재난 대응에서 정치적 기회구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 KCI등재

        교원 편향적 정치적 기회구조의 형성:정당배제형 교육감 직선제를 중심으로

        박대권,최상훈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敎育政治學硏究 Vol.30 No.2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uperintendent's election system to an appointment system, a first-line system, and easing the qualifications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this change related to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was attributed to the growing social demand for democratic representation.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is change in political structure provided a political opportunity to exclude political partie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s a result of institutional interaction with the basic framework centered on “professionalism, independence,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Political opportunities are divided into structural and cognitive opportunities. First, the fundamental exclusion of parties, which are important pillars of the superintendent's election process, has increased the openness of interest groups such as teachers' groups to access power and use the political system. 본 연구는 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자주성을 확보한다는 명분으로 정당을 배제한 것이 ‘교원 중심 교육의 전문성’ 개념과 접합하였고 그 결과 주민통제의 원리에 기초한 주민대표성이라는 민주적 개념을 약화시키고 주민의 참여를 유권자의 역할로 한정하고 교육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배제하는 것을 당연시함으로써 교원단체 중심 이익집단의 정치적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치적 기회구조(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를 형성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교육감 선출제도가 임명제-간선제-직선제로 변화하고 교육감의 교육 관련 자격조건이 완화되는 과정은 민주적 대표성 확대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반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치적 구조의 변화를 ‘교육의 전문성・자주성・정치적 중립성’의 교원 중심적 인식틀과 제도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로 보았다. 교육감 선출 과정에서 정당을 배제하는 정치적 기회를 결사적 이익집단인 교원단체에게 제공하였다고 분석하였다. 정치적 기회는 구조적 기회 차원과 인지적 기회 차원으로 구분된다. 구조적 기회 차원에서 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중요한 한 축인 정당이 원천적으로 배제됨에 따라 교원단체와 같은 이익집단이 교육 권력에 접근하고 정치체제를 이용할 수 있는 권력에 대한 접근의 개방성이 높아졌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인지적 기회 차원에서는 교육행정 영역에서 지역 주민을 절차적 민주성의 보장을 위한 ‘유권자’로서만 기능하게 하고 실제 교육정책의 결정 및 집행 과정의 ‘주체’로서는 배제하였음을 보였다. 교원 이익집단의 정치적 행동 가능성을 증가시켰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정당의 적극적인 개입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교육감 선출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후보

        새로운 분권자치 실천전략으로서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운동이 주는 함의: 운동 주체와 정치적 기회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김정희 한국NGO학회 2018 NGO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지방분권개헌운동의 주체와 ‘정치적 기회’간의 상호작용을 추적함으로써 선거 시기에 형성된 ‘잠재적 기회’ 속에 내포된 기회와 위기의 성격은 무엇인지, 운동집단이 이 같은 잠재적 기회를 어떻게 ‘현재적 기회’로 변화시켜 나갔는지, 그리고 ‘정치적 기회’ 이면의 ‘구조’적 제약을 극복하는데 어떤 한계를 가지는지 등을 포착하기 위한 시도이다. 분석 결과 총선, 대선, 지선 등의 정치과정 속에서 주어진 잠재적 기회가 운동세력의 행동을 자극했고, 행동의 결과 정치적 기회를 일부 확대시켜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민주주의 체제의 주기적 선거가 사회운동에게 중요한 외부자원임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준다. 다만 정치적 기회와 사회운동의 성패 사이의 관계는 정치과정론 일반모델이 제공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고 역동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중앙의 권력자들이 자신의 권력을 지방과 시민사회에 이양해야 하는 ‘지방분권’은 장기간 고착화된 중앙집권 카르텔을 돌파해야 하는 문제로서, ‘정치적 기회’ 뒤에 숨어있는 ‘구조’라는 현실을 직시해야 함을 확인시켜주었다.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은 바로 이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과제이므로 중단기간 형성된 ‘정치적 기회’의 확대만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이라는 새로운 구조의 창출을 위한 실천과제로 첫째, 국회 중심이 아닌 ‘시민주도’ 개헌논의의 확산 및 그 도구로서 숙의민주주의의 적극 추진, 둘째, 단계적 개헌 추진 즉 지방분권 및 기본권 강화를 중심으로 한 1차 개헌 후 권력구조 개편 중심의 2차 개헌 추진을 제시했다.

      • KCI등재

        정치적 기회구조가 사회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정희(金正姬)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5 No.3

        지방분권운동은 정치적 기회구조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해 성장한 시민운동이다. 지방분권운동은 지난 10년간 대선과 총선, 지방선거 등 선거시기의 개방된 정치공간을 이용해 법률 제정 및 개정운동을 벌여왔으며, 정치적 기회구조의 성격에 따라 운동의 성과와 한계가 뚜렷이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분권운동 조직이 지난 10년간 전개한 운동 가운데 주요 사례들을 분석, 운동의 성공과 실패에 정치적 기회구조라는 외생변수가 어떻게 작용했는지 고찰하였다. 정치적 기회구조는 ‘정치체제의 개방성’과 중앙ㆍ지방권력 관계의 특성’이라는 하위변수로 나누어 지방분권운동 조직에 대한 중앙정부 및 정치권의 개방성 정도, 국민의 요구와 이해를 반영하는 대응정도와 함께, 정당구조의 변화 등에 따른 중앙·지방 정치세력간의 역학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향후 지방분권운동의 전략적 실천 과제로 정치적 기회구조의 적극적 활용과 함께, 지방자치단체와의 전략적 연대 및 NGO 중심 연대, 광범한 시민적 주체 형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법부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에 관한 동인 연구 : 행위자와 정치적 기회구조의 결합

        김한샘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社會科學硏究 Vol.45 No.2

        The study intends to prove that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judiciary was a combination of actors and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e existing study determined that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judiciary was extended by institutional factors, but it was limited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maximum political influence of the judiciary to the extent that trial transactions took place between state agencies. The study found that the Chief Justice, an actor who wanted to expand the influence of the judiciary, wanted to control the external environment to achieve the goal, and that a cooperative structure among the organizations of the state was formed by combining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at were easily controlled.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existing institutional approach has limitations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esent solution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o problems with increasing political influence. 본 연구는 사법부의 정치적 영향력이 확대된 요인으로 행위자와 정치적 기회구조의 복합적 작용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선 사법부의 정치적 영향력이 제도적 요인에 의해 확대되었다고 판단하였으나, 국가기관 간 재판거래가 일어날 만큼 사법부의 정치적 영향력이 극대화 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결과 사법부라는 조직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행위자인 대법원장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외부환경을 통제하고자 하였고, 통제하기 용이한 정치적 기회구조가 형성되면서 국가기관이라는 조직 간 협력구조가 형성되어 정치적 영향력이 확대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제도적 측면에서의 접근은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정치적 영향력이 확대되는 문제점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일본의 정당정치 변화와 NPO의 애드보커시

        박명희(Park, Myung-Hee)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5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의 고령자 복지 분야를 대상으로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정치변동과 NPO 애드보커시(advocacy)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다. 일본의 고령화는 1970년대 이후 사회적 현안이 되었다. 하지만, 시민사회의 정치권을 대상으로 한 고령자 복지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의사표현은 1996년 〈개호의 사회화를 위한 1만인 시민위원회〉의 활동에 의해 처음으로 부각되었다. 본 논문은 ‘일본의 고령화 문제는 1970년대 이후부터 지속되었지만, 왜 1990년대 후반에야 비로소 NPO의 애드보커시가 활발히 전개되었는가’ 라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한다. 본 논문은 복지정책 공간의 개방성과 NPO연계성을 구성요소로 하는 정치적 기회구조, 정책공간 접촉방법과 프레이밍을 구성요소로 하는 NPO의 애드보커시 전략을 분석틀로 설정하여 문제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정치적 기회구조의 차이는 애드보커시 패턴의 차이를 유도한다. 1990년대 후반 이후 고령자 복지영역에서 적극적으로 애드보커시를 실시하고 있는 NPO들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적극적인 정당 접촉을 실시하고 있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 배경에는 이들과 조직적, 정책적 연계성을 가진 민주당의 등장과 세력 확대가 자리잡고 있다. 한 국가의 NPO의 애드보커시 활성화는 단순히 NPO의 내부적 자원 보유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정책공간 저변의 제도가 얼마나 NPO에게 우호적으로 형성되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changes and NPO advocacy in Japan after the 1990s manifested in welfare for the elderly. The aging of Japan’s society has been a social issue since the 1970s. Expressing manifestations of the civil society for welfare for the elderly toward political sphere, however, had not emerged before ”Ten Thousand Citizen’s Committee to Realize Public Care of the Elderly System” being active in 1996. This study begins by clarifying why NPO advocacy became active in the late 1990s despite the fact that the aging issue had been emerging since the 1970s. It approaches the subject in consideration of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composed of the openness of welfare policy preocess, NPO’s connection and NPO’s advocay stratgies formed with framing, accessing channel. Based on analyses, differences of political opportunities induce differences of advocacy patterns. NPO involved in the Elderly Care Insurance were previously excluded in policy making, but they have been trying to contact with parties directly and succeeded in advocacy after 1990s. It was based on the expansion of political influences of the DPJ(Democratic Party of Japan) which has links to civil society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political issues and takes a receptive position about NPO’s suggestions. Vitalities of NPO advocacy in a state indicate not only assets of NPO, but also how friendly the environment and political institutions around the formation of NPO advocacy are.

      • KCI등재

        촛불시위 참여자의 동학: 정치적 기회 구조를 중심으로

        차현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3 韓國 政治 硏究 Vol.32 No.1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of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since 2004. While existing literature on candlelight protests tends to analyze the causes of candlelight protests at macro-level or the characteristics of candlelight protestors at micro-level,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a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 and a nonparticipant at micro-level while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This research asserts that the police responses to protests and the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are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at affect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s. The police responses to protests affect the cost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while the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impacts on the benefit from protesting. The impact of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on the protest participation vary depending on the voter type.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e likelihood of core liberal voters and swing voters protesting decreased as police arrested protestors or suppressed protests. Also, the hypothesis was confirmed in that the increase of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affected the likelihood of core liberal voters to protest more than it would affect the likelihood of swing voters to protest. As this paper evaluates a series of multiple candlelight protests and proposes a multilevel framework, the paper overcomes the limits of existing literature that studied candlelight protests from a single level.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에 등장한 촛불시위 참여자들의 특성이 어떻게변화했는지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가 거시적 관점에서 촛불시위 발생원인을 분석하거나 미시적 관점에서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을 분석한 것과는 달리 이 연구는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이 개인의 촛불시위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양한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 가운데 시위에 대한 경찰의대응과 진보정당의 의석분포에 주목하여 시위에 대한 경찰의 대응이 촛불시위 참여의 비용에 영향을 미치고 진보정당의 의석 분포는 촛불시위 참여의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또한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이 촛불시위 참여에 미치는영향은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 즉 투표자 유형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한다. 경험적 분석을 통해, 시위 현장에서 경찰이 시위 참여자를 연행하거나 물리적 폭력을 행사한 정도가 높을수록 진보 일관 투표자와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이 감소하고 진보정당의 의석분포가 증가할수록 진보 일관 투표자와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가설의 예측대로 보수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은 두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여러 차례 발생한 촛불시위를 통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하여 개인의 촛불시위 참여에 미시수준의요인뿐 아니라 거시수준의 정치적 기회 구조요인이 작용하였음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