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 요가가 신체자각 및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장진아(Jin-a Jang) 한국명상학회 2018 한국명상학회지 Vol.8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that mindful yoga, which puts major emphasis on body awareness, exerted on body awareness and emotions. Study was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ed to see what effects mindful yoga had on body awareness, emotion recognition,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mindful yoga for 8 weeks (twice a week, 7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the participants who took general yoga programs (twi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t community center. The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34 persons (17 from experimental group and 17 from control group). For measurement, K-MAIA(Kim, Sim, & Cho, 2016), Trait Meta-Mood Scale(Lee & Lee, 1997),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Han, 1997), and Emotional Regulation Scale(Im & Jang, 2003) were adopted. As a resul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erformed mindful yog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the boundary in body awareness, emotion recognition, and emotion expression. As for sub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noticing subscale and mind-body connection awareness among subfactors of body awareness, and in the emotional perception subscale among subfactors of emotion recognition. And active way and support-seeking way among sub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boundary. The study verified that mindful yoga could boost body awarenes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 recognition,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본 연구는 마음챙김 요가가 신체자각과 정서 기제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마음챙김 요가가 신체자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정서관련 척도인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에는 8주간(주 2회, 70분/회)의 마음챙김 요가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주민자치센터 일반 요가(주 2회, 60분/회)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도탈락 인원 및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34명(실험 17명, 비교 1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측정도구로는 신체자각(K-MAIA), 정서자각(TMMS), 정서표현(EES), 정서조절(ERS)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자각, 정서자각, 정서표현이 경계선 상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하위요인별로는 신체자각 하위요인 중 감각자각과 심신연결성자각, 정서자각의 하위요인 중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정서조절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이 경계선 상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신체자각에 중점을 두는 마음챙김 요가가 신체자각의 증진 뿐 아니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

        장정주 ( Jung Joo Ch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 공감능력,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적 관심을 측정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 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 공감능력, 공감적 관심간 각 변인들의 긍정적 상관이 나왔다. 그리고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이 정서조절에 그리고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모형검증 결과 정서자각이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표현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여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과 정서적 공감의 하위요인인 공감적 관심간의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정서자각이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과 공감 능력 요인인 공감적 관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서표현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여 지지추구적 양식과 공감적 관심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침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과 공감 간에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on emotional regulation and empath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bjects were 384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s positiv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7.0 was employed for analysis.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support-seeking strategies, empathic concern. Support-seeking strategies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variables(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ic concer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적 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장정주,김정모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ity and ambivalence in term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in term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s well 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international relations. Moreov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emotional expression was identifi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m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 on expressiveness and m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econdly, there was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upon emotional awareness, as well as ambivalence in regard to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본 연구는 정서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5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자각, 표현,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대인관계를 측정하여 각 척도들 간의 상관관계,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각 척도들간 상관분석 결과 정서자각, 표현과 대인관관계간의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정서자각, 표현 그리고 대인관계와 정서표현의 양가성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정서자각, 표현, 정서표현의 양가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해 본 결과, 정서자각, 표현, 정서표현의 양가성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가장 높게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경로분석 결과 정서자각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을 매개로 하여 모형이 검증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결과 분석에서는 정서표현은 남자보다 여자가, 표현의 양가성은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다. 그리고 성별의 차이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정서표현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 훈련이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표현의 억제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장정주,김정모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awareness based expression training on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wenty-four graduate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and were assigned to the three groups (i.e., six, eight, and ten subjects in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naires of Trait Meta-Mood Scale(TMS), Emotional Expressivity Scale(EES), Attitudes Toward Emotional Expression(ATEE)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a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examine its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emotional variab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different with those in the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And opening,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 to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 훈련을 통해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표현의 억제와 대인관계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6명), 비교집단(8명), 통제집단(10명)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대인관계 훈련을 실시하였다. 정서표현의 억제 점수가 분포가 상위 30%내의 기준에 해당되는 대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정서자각(TMMS), 정서표현(EES), 정서표현의 태도 척도(ATEE)와 대인관계 척도(RCS)를 사용하였다. 훈련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정서자각, 정서표현에서 실험집단이 비교 및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정서표현의 억제는 감소되었다. 대인관계의 7개 요인 중 개방성, 의사소통, 이해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 및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감, 민감성, 만족감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기혼 남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사수연 ( Sa¸ Soo Yeon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의 두 하위차원(애착회피/애착불안)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억제의 관련구조를 살펴보고, 성인애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성인 애착, 정서자각, 정서표현억제, 결혼만족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기혼 남녀에게 배부하여 총 319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억제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억제 모두 성인애착의 두 하위차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 남녀의 정서자각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을 줄이는 것이 부부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ssible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A sample of 319 married men and women responded to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drawn using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Trait Meta-Mood Scale (TMMS), Attitudes Towards Emotional Expression (ATEE), and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MSI).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AMO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Particularly, Bootstrapping and Sobel test were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both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 avoidance as well as attachment anxiety, while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 (avoidance/anxiety). Emotional awareness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nd a nega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with marital satisfaction. Both emotional awareness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fully medic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avoidance/anxiety) and marital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19, 온라인 요가를 통한 신체자각이 여대생의 긍정·부정정서,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용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정희원 ( Chung Hee-won ),육영숙 ( Yook Young-sook )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8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요가수업에 참여한 여대생의 신체자각이 수용 행동을 매개로 긍정정서, 부정정서,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서울시 S여대생 24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SPSS Process Macro 4를 사용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요가를 통한 신체자각은 여대생의 긍정정서에 직접효과를 보이며, 신체자각의 하위요인인 감각지각, 감각수용, 감각복귀 요인은 수용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대생의 신체자각은 부정정서에 직접효과를 보이지 않으며, 신체자각의 하위요인인 감각지각과 감각수용, 자기조절, 감각복귀, 신뢰 요인은 수용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신체자각은 불안에 직접효과를 보이며, 신체자각의 하위요인인 감각지각, 감각수용, 자기조절, 감각복귀, 신뢰 요인은 수용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가를 통한 신체자각은 긍정정서를 높이고, 불안을 낮추며, 신체자각은 수용행동 매개를 통해 긍정정서는 높아지고, 부정정서 및 불안이 낮아졌다. 향후 현대인의 신체적, 심리적 긴장과 위축, 정서불안 완화를 위한 요가 및 움직임에 있어 신체자각을 바탕으로 융복합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Interoceptive Aware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untact yoga classes in the COVID-19 situation on the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xiety by using Acceptance and Action as a mediation. Methods For the data collected for 243 S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ediating analysis using SPSS Process Macro 4. Result First,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oceptive Awareness directly affects positive emotions, and Sensory perception, sensory acceptance, and sensory return, which are sub-factors of Interoceptive Awareness, were found to mediate acceptance behavior. Second,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oceptive Awareness does not directly affects negative emotions, and Sensory perception, sensory acceptance, self-control, sensory return, and trust, which are sub-factors of Interoceptive Awareness, were found to mediate acceptance behavior. Third,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oceptive Awareness directly affects Anxiety, and Sensory perception, sensory acceptance, self-control, sensory return, and trust, which are sub-factors of Interoceptive Awareness, were found to mediate acceptance behavior. Conclusion Interoceptive awareness through yoga raised positive emotions and lowered anxiety, and Interoceptive awareness increased positive emotions and lowered negative emotions and anxiety through acceptance and action.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convergent program based on physical awareness in yoga and movement to allevia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ension, atrophy, and emotional anxiety of modern people.

      • KCI등재

        행동억제와 행동활성 체계가 정서자각, 정서억제 및 정서표현을 매개로 한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윤병수,정봉교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강화민감이론은 최근에 주목받는 성격이론이다. 본 연구는 강화민감이론의 행동억제와 행동활성 체계가 정서자각, 정서억제, 정서표현 및 대인관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정서자각, 정서억제 및 정서표현을 매개로 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동시에 강화민감이론의 하위체계 연결가설과 하위체계 분리가설 중 어느 것이 더 대인관계 예언에 적합한 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며, 행동억제체계는 정서자각과 대인관계와 부적 상관이 있고 정서억제와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에 행동활성체계는 정서자각과 정서표현 그리고 대인관계와 정적 상관이 있지만 정서억제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하위체계 연결가설과 하위체계 분리가설 중에 하위체계 연결가설이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행동억제체계와 행동활성체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자각, 정서억제, 및 정서표현의 매개 중에 정서자각과 정서억제를 주 매개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논의에서 이러한 결과들의 의미를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IS/B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suppression, and expression as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 At the same time, I want to identify which is better in separable subsystem hypothesis and joint subsystem hypothesis of Gray's reinforcement sensitivity theory to prospect the relationship of BIS/B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ults found by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 sample of 303 university students were as follows. First, joint subsystem hypothesis model was better to prospect the relationship. Second,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I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lly, important mediator in relationship of BIS/B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suppression.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s were discussed in discussion.

      • 직장인의 정서 자각, 표현, 표현갈등, 지지와 정신건강의 관계

        장수진 ( Sujin Jang ),김정규 ( Jungkyu Kim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의 자각, 표현, 표현갈등, 지지가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직장인 및 성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서울과 수도권 소재의 직장인들 455명(남성 256명, 여성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변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직급)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서요인과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변인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설명량은 51.8%로 높은 편이었다. 상대적 기여도가 높은 변인의 순서는 정서 표현갈등, 정서 지지, 정서 자각, 정서 표현 등이었다. 둘째, 정서 표현의 증가는 정신건강 문제의 감소와 관련 있었다. 그러나 정서 표현 갈등이 많으면서 동시에 정서 표현을 많이 하는 것은 정신건강 문제의 상승과 관련 있었고, 이 상태에서 정서 자각과 정서 지지는 정신건강 문제의 감소와 관련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장인 및 성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 정서 표현갈등의 적절한 통합, 개인에게 이로운 정서 표현의 선택, 정서 자각과 정서 지지의 향상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to mental health of the employed. In Study 455 employed(256 males, 199 females) of Seoul and capital region completed this measure along with questionnaire measure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support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the relations of emotional variables and mental health of the employ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ness predicted mental health most well. Emotional expressivness is negatively related to problem of mental health in correlation analysis. When emotional expressiv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ness,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support went in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expressiv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ness are positively related,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support are negatively related to problem of mental health. Potent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에 의한 정서적 학대와 대학생의 우울 및 신체화 증상 간 관계에서 수치심과 정서자각 곤란의 직렬매개 효과

        안윤영(Yoonyoung Ahn),김태은(Taee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부모에 의한 정서적 학대와 대학생의 우울 및 신체화 증상 간 관계에서 수치심과 정서자각 곤란의 순차적 직렬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부모에 의한 정서적 학대, 수치심, 정서자각 곤란,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관한 조사를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SPSS Macro process 3.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직렬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에 의한 정서적 학대와 대학생의 우울 간 관계에서 수치심과 정서자각 곤란은 순차적으로 직렬매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부모에 의한 정서적 학대와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 간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정서자각 곤란은 순차적으로 직렬매개 효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부모에 의한 정서적 학대와 대학생의 우울,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정서자각 곤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에 관한 이해를 넓혔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hame and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s between emotional abuse by parents and depression, sytmptoms of somatizat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96 college students were distributed to emotional abuse, shame,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symptom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equential mediation analysis analyzed data via SPSS Process Macro(Hayes, 2013). Result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by parent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shame and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s showe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buse by parents and the symptoms of somatization of college students, shame and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s showed sequentially mediated effects.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by reveal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hame and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by parents and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선,김인석,현명호,유재학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3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deficit, emotional express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somatization,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verify, 145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the Symptom Checklist-90-R- Revised-SOM Scale, th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evised, Beck's Depression Inventory. Participants who did not report any questionnaire excluded from the analyses. The final sample size was 13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awareness defici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matization, stress experience frequency, depression. Als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indicates emotional awareness deficit predict somatization and stress experience frequency, interaction of emotional awareness defici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redict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및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정 불능 척도, 정서 표현성 척도,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질문지,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신체화 척도,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개정판, Beck의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한 134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스트레스 경험 빈도,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 경험빈도와 신체화를 예측하는 변인은 정서자각 결함이었고, 우울을 예측하는 변인은 정서자각 결함과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의 상호작용임을 확인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