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논쟁으로 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정체성 : Identities of 'Life for Wisdom'

        남경희,남호엽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2

        슬기로운 생활과는 4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등장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들의 발달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본격적인 분과 교육은 무리가 있기 때문에 '통합 교과'가 성립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통합교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근본적인 대립점이 있다. '통합교과'가 기존의 분과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차원으로 규정되는 경우와 독자적인 교과로 지위를 부여받는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4차 교육과정 시기 슬기로운 생활과는 전통적인 교과를 효율적으로 가르치는 차원에서 '분과의 통합적 운영'이라는 성격을 가졌다. 산수과와 자연과를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아동들에게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제도적인 배려에서였다. 5차 교육과정 시기에 슬기로운 생활과는 '자연과의 예비교육'이라는 차원이었다. 슬기로운 생활에서 산수과가 독립하여 나감에 따라 슬기로운 생활과는 탈교과라는 성격을 표방하였다. 아동의 지성 함양을 위해 슬기로운 생활과가 존재하며 이때 앎의 대상은 자연 현상으로 국한하였다. 독자적인 교과관을 표방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연과의 예비교육 수준에 머무르고 말았다. 6차 교육과정 시기에 와서 슬기로운 생활과는 앎의 대상을 5차의 자연현상에서 사회현상으로까지 확대하면서 독자적인 통합 교과를 표방하였다. 슬기로운 생활과의 교육 내용은 기존의 분과 체계가 아니라 독자적인 교육 논리에 의하여 설정되었다. 7차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과는 6차의 독자적인 교과 논리를 계승하였으며, 아동의 '활동'이라는 것을 통해 자아와 세계가 통합되는 양상으로 교육 내용의 정당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슬기로운 생활과는 '통합 교과'를 둘러싼 관점의 차이를 역사적으로 간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마다 이러한 차이를 둘러싸고 논쟁적인 관점과 시각이 대립하여 드러날 것이다. 'Life for Wisdom' as integrated subject appeared at the 4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gar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1 or 2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y were overburdened with the regular separated subject education. As a result of that, integrated subjects were established, and 'Life for Wisdom' belonged to this new current. Since 'Life for Wisdom' had an effective role of teaching the traditional subjects in the "4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it was a characteristic of integrated operation of separated subjects. This new system focused on the effective teaching of 'arithmetic' (mathematics) and 'nature' (science) for 1 or 2 grade students. In the period of "5th National Curriculum", 'Life for Wisdom' was a preparatory step for 'nature' (science). It was also separated from 'arithmetic' (mathematics) and stood for the independent view of subject. That is to say, 'Life for wisdom' existed in oder to foster the student's intelligence, and the cognitive object of children was limited within natural phenomena. In spite of this view, this subject was remained in a preparatory level of 'nature' (science) substantially. In the period of "6th National Curriculum", 'Life for Wisdom' , as an integrated subject, expanded cognitive object to natural and social phenomena. The contents of this subject were not derived from the existing separated subject system and established by the logic of an independent subject. In the period of "7th National Curriculum" , this subject succeeded to the logic of 6th one and its contents lead to unite children's self with world through their learning activities. As mentioned above, 'Life for wisdom' historically has a different point of view on 'integrated subject' and this difference always will be presented at the time of curriculum revis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사전쟁을 성찰하며―정사(正史)·정통성(正統性)론의 함정

        홍석률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비평 Vol.- No.128

        지난 역사전쟁은 주로 역사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왜 역사교과서였을까? 아직도 한국사회에는 은연중에 역사교과서를 국가적 차원의 공식적인 역사서술 또는 일종의 정사(正史) 같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민주적이고 다원적인 사회로 갈수록 교과서의 기능과 역할은 절대화되기보다는 상대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난 역사전쟁의 과정에서 교과서는 더욱 절대적인 중요성을 부여받았으며, 나아가 국가 전체의 공식적인 역사서술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었다. 단일한 국정역사교과서, 이른바 “올바른(正) 역사교과서”의 추진은 그 극단이었다. 이에 역사논쟁은 국가 정체성, 정통성 문제로 과잉 정치화, 이념화되었다. 친일/반일, 종북/반북의 이분법적 논리가 성행하고, 이승만·박정희 찬양론 대 악마론이 맞붙었다. 이는 역사논쟁에서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역사인식의 실종을 가져왔고, 치열한 이념 논쟁 속에서 오히려 이념은 변질되거나 퇴행하였다. 시대착오적인 정사(正史)의 추구, 정통론적 역사인식이 중요한 원인이었다. The History Wars in South Korea were mainly centered on the issue of history textbooks. Why was it a history textbook? Still, Korean society tends to regard history textbooks in the schools as official historical writings or authentic history(正史) on a state level. Increasingly toward a democratic and pluralistic society, the function and role of textbooks tend to be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In the course of the past history wars, however, textbooks were given more absolute importance. The attempt by Park Geunhae government for a single state history textbook, the so-called “right history textbook”, was its extreme. History debates tended to be over-politicized and ideologicalized over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and state legitimacy. As a result, in the course of historical debate, historical perception has become narrower rather than expansive. The pursuit of anachronistic authentic history and orthodox recognition were important reasons.

      • KCI우수등재

        1950년대 후반 ‘포스트 이승만 정치’의 헌정사

        서희경(Suh, Hee Kyung)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4

        이 논문은 1956년 5.15 정 · 부통령선거 이후 제기된 개헌논의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제도변경과 권력 이해관계의 상호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1954-1960년 사이 한국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아젠다는 ‘포스트 이승만의 정치’였다. 자유당에 의한 1954년 정부통령제 개헌은 이승만 이후 권력승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1956년 정 · 부통령선거 결과, 이기붕이 아닌 민주당의 장면이 부통령에 당선되었다. 갑작스럽게 정권 상실의 위기에 처한 자유당은 그 대책으로 내각제 개헌을 추진하였다. 그런 점에서 1956년 선거는 한국헌정사에서 ‘제도의 역설’(paradox of institution)과 ‘제도의 역류’(reverse of institution)라는 매우 흥미로운 정치적 결과를 낳은 선거였다. 1956년 이후 4년에 걸친 개헌 논의는 헌법과 법률 두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전자의 1단계 논의에서 자유당은 이승만의 존재를 인정하되 상징적 존재로 두고자 했다. 그러나 이승만 대통령은 이에 반대했다. 따라서 2단계 논의에서는 그를 바이마르 헌법의 대통령 지위에 놓고자 하였다. 후자의 1단계는 내각제 개헌 포기를 공식화하고, 정ㆍ부통령제만 바꾸는 극히 제한된 원 포인트 개헌을 하고자 했다. 이는 이승만의 개헌 가이드라인이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계획은 실패했다. 이후 자유당은 일단 개헌을 통한 집권 계획을 중단하고, 임박한 1958년 총선을 준비하고자 했다. 이 단계에서 자유당은 헌법 차원의 대응을 멈추고, 법률 차원의 대응으로 전략을 전환했다. 이것은 언론과 행정기구 등의 정치 환경을 유리하게 조성하기 위해 선거법과 국가보안법을 개정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이기붕과 자유당 온건파는 야당인 민주당과의 합의개헌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승만과 자유당 강경파의 반대로 협상은 결렬되었다. 그리하여 1956년 정부통령 선거 이래로 시작된 개헌 논의는 어떤 성과도 거두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 I will discuss on a debate ove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raised after the election of the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of the ROK 1956. In this paper, I will look closely into th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stitutional changes and power interests. The most important agenda in Korean Politics should be found in the “politics of post-Syngman Rhee” from 1954 to 1960. Liberal Party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presidential succession through a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54. Due to the undesired results of the 1956 election, they had to focus on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itself. Lee Ki-Poong failed to be elected and Chang Myon was elected as the vice-president. Liberal Party had to work on the crisis management of their regime loss therefore they pushed to amend the constitutional law from a presidential system to a cabinet system. In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the 1956 election resulted in very interesting 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paradox of institution’ and the ‘reversal of institution’ Over four years, the discussion on constitutional amendment was on two aspects, one on the constitution and second, on the constitutional and legal in general. To implement these, three ways were considered. First, some Liberals devised a system to step down President Rhee or tried to allow him to hold a symbolic position only. Yet he resisted strongly against that idea. Second, they tried to allow him to hold a Weimar style’s position. Third, they decided to give up the change of cabinet system and to focus instead on the very limited change of one article of constitutional law to change election rules of vice-president only. Yet all three ways were failed to proceed. Liberals had to prepare the impending election of 1958 and had not enough time to implement a more fundamental constitutional change. They had to alter their strategies to change only on the specific legal part of election law and national security law. Through controlling media government agencies, they reorganized the very election environment for the Liberal party. Lee Ki-poong and Liberal Party moderates agreed on the Democratic Party’s amendment of Constitution. But President Rhee and Liberal Party hardliners opposed to it. The negotiation between the Liberal and Democratic Parties o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was unsuccessful. The debate on the constitutional changes since the election of 1956 concluded in generating no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