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전통연희의 유형과 축제 자산으로의 새 지평

        임재해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3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2 No.-

        익숙해야 할 전통연희가 낯선 까닭을 민족사의 종속적 흐름에서 찾는다. 안으로는 지 식인들이 외국문물을 우상화하고, 밖으로는 외세가 강압적으로 자국문화를 이식하였다. 그 결과 민족문화는 주변화 되는 반면에 당대의 선진 외래문화가 주류문화 구실을 하게 되면서 전통연희의 전승력이 약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문화적 종속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도 전통연희를 자산으로 하는 문화축제를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축제를 통해 전통연희를 익숙하게 공유하고 우리시대 연희문화를 주체적으로 창출하 는 계기로 만들어서, 민족문화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할 뿐 아니라 미래문화 창조의 길잡이 구실을 발휘하고 새로운 한류를 만들어나가야 한다. 지금의 한류문화는 진정한 한류가 아니다. 왜냐하면 전통 한국문화를 수출하는 것이 아니라 수입된 외국문화를 재 가공하여 역수출하기 때문이다. 문화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서구문화를 리모델링하여 수 출하는 ‘달빛한류’가 아니라, 우리 전통연희를 현실문화에 맞게 재창조하여 수출하는 ‘햇빛한류’를 만들어야 한다. 전통연희는 연행양식의 특징에 따라 1) 가장 원초적인 제의 양식의 굿, 2) 가장 기본적 인 연행양식인 풍물, 3) 가장 총체적인 연행양식인 민속극, 4) 가장 집단적인 연행양식인 민속놀이, 5) 가장 서정적인 연행양식인 민요, 6) 가장 서사적인 연행양식인 판소리, 7) 가장 기교적인 연행양식인 곡예, 8) 가장 술수적인 연행양식인 환술(幻術) 등 크게 8가지 로 나누어서 축제 자산으로서 응용 가능성을 점검했다. 전통연희는 종목에 따라 유형적 분석이 가능하지만 실제 연행은 여러 종목이 통섭되고 융합되어 있어서 축제다운 총체성 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연희 축제는 이러한 총체예술의 성격을 적극 살리는 방향 으로 기획되어야 한다. 전통연희 축제가 성공하려면 누구든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성’을 보장하고 누구든지 공동선을 추구하며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자발성’을 이끌어내야 한다. 축제는 전문가들이 자기 기량을 발표하는 공연무대가 아니라, 예사 시민들이 마음껏 신명풀이를 하는 난장판이자 굿판이다. 따라서 관료와 단체장들의 의례적 참여는 줄이고 위계적 상 하관계를 뒤집어 버리거나 민주적 수평관계로 바꾸어야 하며, 지식인 중심의 논리적 개 념을 축제주제로 표방할 것이 아니라, 민중 중심의 감성적 이미지를 축제주제로 표방하 여 시민들의 자발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집단적 흡인력을 발휘해야 한다. 전통연희의 원형과 전승만 강조해서는 축제가 살아나지 않는다. 전통연희의 연행원리 가 새로운 현대 문화 양식을 창출하고, 첨단문화가 전통연희 마당으로 수렴되는 구조로 가야 축제도 활성화되고 현실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통연희에서 현대의 첨단 기술과 디지털 문화를 끌어들이는 활동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전통연희가 긴요한 매체가 되어 현대 첨단문화를 끌어들이는 한편, 새로운 현대예술을 창출하는 이론적 지 침 구실을 선도하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전통연희 축제의 새바람이자, 문화축제가 추구해 야 할 과제이다.

      • 창작연희의 현황과 전망

        손태도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1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6 No.-

        오늘날 흔히 말하는 ‘창작연희’란 말은 ‘전통연희’의 상대어로 2007년 ‘제1회 대한민국 연희축제’ 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대규 모 관(官)의 행사에 이른바 창작연희공모에 선정된 우수작들이 공연되 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대규모 관의 행사(문화체육관광부의 ‘대한민국 전통연희 축제’: 2007~2009년,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의 ‘창작연희 페스티벌’: 2010~2012년, 2013~2014년/ 동 전통공연예술진 흥재단의 ‘전통연희 페스티벌’: 2015~2017년) 등이 있어 왔다. 이러한 행사들을 통해 민족예술단 우금치의 <할머니가 들려주는 우리 신화이 야기>(2008년 대상), 천하제일탈 공작소의 <추셔요>(2010년 대상), 창 작그룹 노니의 <1+1=추락樂남매>(2011년 대상), 연희집단 The 광대의 <자라>(2013년 대상), 광대생각의 <동물탈놀이 ‘만보와 별별거리’> (2014년 대상), 퍼포머그룹 파란달의 <ROMEO – THE 씻김>(2015년 대 상), 놀이마당 울림의 <세 개의 문>(2016년 대상) 등 이른바 대상을 받 은 작품을 비롯 72개 작품들 정도가 선정되어 공연되었다. 오늘날을 ‘창 작연희 시대’라 할 만한 한 흐름을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창작연희를 해 온 사람들은 일반 극단 계통, 마당극패 계통,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 창작판소리인 계통 등으로 일단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일반 극단 계통은 1999년부터 시작된 이른바 ‘창작연희본 공 모’에 참가한 극단들부터 잡을 수 있다. 민족예술단 우금치, 극단 민들 레, 인형극패 사니너머 등의 단체들이 이에 해당한다. 마당극패 계통은 1973년부터 이뤄진 마당극이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권이 이뤄 지자, 종래의 정치성이나 이념성을 버리고 단지 예술‧오락적 공연물로 바뀌는 과정에서 성립되었다. 마당극패가 단순히 창작연희도 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으로 민족예술단 우금치, 예술극장 놀이패 한라산 등이 있다.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은 1989에 시작된 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를 시작으로 중앙대, 세한대, 원광디지털대 등에서 연희전공으로 학교를 다니거나 졸업한 사람들이 만든 단체들을 말한다. 이에는 연희집단 The 광대, 천하제일탈 공작소, 창작그룹 노니, 중앙음악극단 등이 있다. 이 중 The 광대는 <아비찾아 뱅뱅돌아>(2010), <홀림낚시>(2011), <자라> (2013) 등 일반인들은 물론 주류 연극계도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다수 발표하여, 창작연희 분야를 크게 주도했다. 창작판소리 계통은 2001년의 전주 산조축제 때부터 본격화한 창작판 소리의 연장선상에서 성립되었다. 창작판소리에도 연희적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는 바닥소리 같은 단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창작연희들을 하는 집단들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대학 연희 전공자 계통이다. 이들은 대학에서 풍물, 전통극, 무당굿, 기예 등 전통 연희와 관계되는 것들을 제대로 배우거나 익힌 사람들이다. 그리고 앞 으로도 이런 것들을 전공한 전문인들로 이 계통의 영역들에 계속 남아 활동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실상 이들에 의한 창작연희 활동 은 전통연희의 오늘날의 공연물로서의 한 길찾기와 같은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의 근래의 창작연희 활동들이 전통에 입각해 있으면서도 오늘날의 성공적인 공연물의 완성이라는 근대 이후 우리나라 공연예술사의 한 숙원을 연극 분야에서라도 어느 정도 이뤄질 수 있는 한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term ‘Creative Yeonhui(연희. dramatical play)’, commonly used today, is a relative word for ‘Traditional Yeonhui ’ It was used in full scale from ‘The First Korean Yeonhui Festival’ in 2007. This is because excellent works selected in the so-called ‘Creative Yeonhui Competition’ were performed at this large-scale event. There have been large-scale events (‘Korean Traditional Yeonhui Festival’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 2007~2009, 2012 / ‘Creative Yeonhui Festival’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that is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0~2012, 2013~ 2014 / ‘The Traditional Yeonhui Festival’ of the same agency : 2015~2017). Through these events, including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 금치)’s <The Mythes My Grandmother Is Speaking> (2008 Grand Prize), First Mask Factory in the World’s <Dance> (2010 Grand Prize), and Creative group Noni (노니)’s <1+1=Crashing樂Siblings> (2011 Grand Prize),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s <Snapping Turtle> (2013 Grand Prize), Kwangdae (광대) Thought’s <Animal Mask Play ‘Manbo (맘 보) and Many Scenes’> (2014 Grand Prize), Performer Group Blue Moon’s <Romeo-The SSitkim (씻김)> (2015 Grand Prize) and Playyard Ringing’s <Three Doors> (2016 Grand Prize) so-called grand prizes, 72 works were selected and played. These made a flow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Era of Creative Yeonhui.’ Those who have performed such creative yeonhui can be divided into several lines, the line of general drama troupe, the line of playground troupe,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and the line of creative pansori (판소리) singers. The general drama troupe can be picked up from the troupes who participated in the so-called ‘Creative Yeonhui Works Contest’ which began in 1999. There are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금치), Troupe Dandelion, and Puppetshow Troupe beyond Sani (사니) etc. in this line. The playground theater was established in 1973. But when President Kim Young-sam (김영삼)’s civil regime was established in 1993, it abandoned the former politics and ideology and turned into an artistic and entertaining performance. The line of playground troupe was established in this process. It also could do just creative yeonhui play. There are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금치), and Art Theater Playing Group etc. in this line.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was created by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n yeonhui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Univ. of Arts that started at 1998, Jung-Ang (중앙) Univ., Saehan (새한) Univ., and Weonkwang (원광) Digital Univ.. There are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 First Mask Factory in the World, Creative group Noni (노니), and Jung-Ang (중앙) Music Theater etc. in this line. Among them,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 led the field of creative yeonhui by presenting a number of works not only to the general public but also to the mainstream theatrical world, such as <Father Chasing Around and Around> (2010), <Tempting Fishing> (2011), and <Snapping Turtle> (2013). The line of creative pansori was directary established as an extension of the creative pansori (판소리) event which began through the Jeonju ‘Sanjo (산조) Festival’ in 2001. This is because creative pansori has yeonhui elements. These include groups such as Floor Sound. Among the groups that perform creative yeonhui, the most noticeable is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These are people who have learned or learned things related to traditional performances such as Pungmul (풍물), traditional theater, shaman’s ritual, and acrobatics. And in the future, as professionals who specialize in these things, they will continue to be active in this area of the yeonhui. Therefore, the act of creative yeonhui by these people can be said to find the some ways of traditional yeonhui on today. It is hoped that the recent creative yeonhui of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can be achieved the entire successful performance that is started at traditional yeonhui in the field of theater on today. That activity has been a long-cherished hope in this field.

      • KCI등재

        전통 연희의 공연 미학 탐색

        손태도 ( Son Tae-do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고전문학과 교육 Vol.23 No.-

        ‘전통 사회의 연극적 놀이’라고도 할 수 있는 전통 연희는 근대화된 오늘날에 있어서도 서양에서 들어온 서구식 연극보다 일반의 관심을 더 많이 받고 있다. 연희 더 나아가서는 연극을 기본적으로 싫어했던 유학자(儒學者)들로 인해 전통 사회에서는 예술로서의 연극이 성립될 수 없었다. 오락으로서의 연희 정도가 행해졌다. 이러한 전통 연희로는 가면극, 인형극, 발탈, 화극(話劇), 재담소리, 무당 굿놀이 등이 대표적이다. 근대화된 오늘날은 예술로서의 연극의 시대다. 그러나 전통 연희에서 이어받고 발전시켜야 할 요소들이 분명히 있다. 전통 연희는 멀리로는 천여년 이상, 가까이로는 수백 년 동안 전승ㆍ발전해 오며 나름의 연희술들을 발전시켰고, 전통 사회의 대표적 연극적 공연물이었기 때문이다. 전통 연희의 공연적 특징은 대체적으로나마 다음과 같은 것들이 설정될 수 있다. 첫째, 현실성과 일탈성; 전통 연희는 공연물이기에 당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당대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룬다. 그러면서도 그것에서 많이 벗어난 곧 일탈된 모습을 보여 주어 사람들을 웃긴다. 둘째, 양식성과 창조성; 전통 연희는 전대로부터 물려받은 나름의 공연 방식 곧 일정한 양식이 있다. 이 양식이야말로 연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양식을 활용하면서도 새로운 모습을 보여 주어야 보다 성공적인 공연을 할 수 있다. 셋째, 사실성과 가정성; 전통 연희가 이뤄진 곳은 이른바 마당으로 대체로 아무런 무대 장치가 없는 곳이었다. 그래서 연희자가 어떤 일정한 극적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극적 상황과 관련되는 사실적 요소를 하나 이상은 갖추어야 한다. 또 대체로 아무런 무대 장치가 없었기에 시ㆍ공간적 전개 등 어떤 것이든 연희자가 가정만 하면 가능하다. 넷째, 갈등성과 신명성; 갈등이 있어야 긴장감이 조성되어 그 진행의 동력을 얻게 된다. 이 갈등을 어떻게 푸느냐에 따라 싸움이 될 수도 있고, 연희가 될 수도 있고, 연극이 될 수도 있다. 전통 연희에서는 놀이적 방식으로 이 갈등을 제대로 해소, 극복하면서 신명(神明)을 낸다. 다섯째, 작품성과 개방성; 연희는 관객이 중심에 놓인 현장에서 이뤄지는 것이기에, 일정한 작품을 준비했더라도 관객의 상황에 따라 그 놀이 내용도 바꿀 수 있는 개방성을 지녀야 한다. 그래야 성공적인 공연을 할 수 있다. 오늘날 예술은 ‘사람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고, 연극도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인간의 가장 효과적인 도구’가 되었다. 그런 면에서 가면극에서처럼 사건을 규명하기보다 향유하고, 현실을 인식하기보다 현실을 해소하는 전통 연희는 단지 오락이고 놀이일 뿐이다. 그러나 전통 연희의 특징 등 전통 연희의 여러 요소들은 우리 민족의 연희 미학, 나아가 연극 미학과 관계되는 것들이기에, 이에 대한 고찰들은 오늘날 아직까지 일반인들에게 그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는 서구에서 들어온 연극들이 우리 시대의 성공적인 연극, 나아가 우리 민족의 연극으로 성장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that can be referred as 'dramatic playing in a traditional society' has been more common to people than western-style drama that came from the west even today. Because of the Confucian who basically disliked dramatic entertainment futhermore drama, drama as the art could not be established. Dramatic entertainments were done about as entertaining.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are mask drama, puppet drama, Bal-tal (발탈. drama performed with wearing mask on the foot), Hwa-geug (화극. similar with one man gag today), comic narrative song, and shaman's drama. Drama is art today. But there are clear elements that should be taken over from the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because they had been developed through a thousand years in distance or a couple hundred years in near and had been representative dramatic performance in traditional society. These items can be set as the performance features of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First, the reality and deviation;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are live performances so they deal with the contemporary issues of contemporary realities. Yet they give out showing off the realities for giving fun for people. Second, the form and creativity;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have regular forms that have been inherited from the former times. These forms are ways of effective entertaining. However, while the performer take advantage of the form, he should show new figures for having more successful performances. Third, the fact and assumption;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are held at the so-called 'Madang' (마당. a open yard) that doesn't have any stage instruments. So, when the performer wants to set a certain dramatic situation, he should have at least one factual element that relates to such a dramatic situation. And as there are no stage instruments, he can have the dramatic change of time and place and so on in free by his assumptions. Fourth, the conflict and spiritedness; Conflict can make tension that can make the progressing power of an event. It might be fighting, dramatic entertainment, and drama by the way of the solving the conflict.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are get exciting through proper solving the conflict by entertaining. Fifth, the work and openness; So dramatic entertainments are held at the field where the audience is the most important that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can be changed along with the audience situation. The openness of the performance content can make the performance successful. Today the art becomes ‘the means for people to understand the world', and drama becomes ‘the most effective tools for the human to understand ourselves and the world'. By that view dramatic entertainments like mask drama are not arts but entertaining or pleasure, because they enjoy the realities rather than identify the realities, and resolve the realities rather than perceive the realities. However, so th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like the features of the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and so on are related to our nation dramatic entertainments aesthetics further more our nation drama aesthetics that the consideration of those elements can help the our western-style modern drama that can't take root in our culture to be our era successful one, and even our nation drama.

      • KCI등재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활동상과전통연희적 특징 연구

        김일륜,이효녕 한국민속학회 2022 韓國民俗學 Vol.76 No.-

        본 연구는 193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활동했던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창립 배경, 구성원과 발표 작품을 통해 해당 단체가 지닌 전통연희적 성격을 살핀 글이다. 조선음악무용연구회는 한성준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말기 조선의 춤과 음악을 보존하고 근대적 변용과 재창작에 앞장섰던 단체였다. 그동안 조선음악무용연구회에 대한 논의는 단체의 핵심 인물이었던 한성준으로 인해 주로 그의 생애사를 통해 다뤄졌다. 본고에서는 조선음악무용연구회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를 수용하는 동시에, 연희와 무속 등 전통연희적 맥락까지 확대하여 단체의 보다 다양한 측면을 논의하고자 했다. 또한 한성준과 더불어 단체에 참여했던 구성원들의 예능 영역과 교류 관계를 밝히고, 이에 따른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전통연희적 성격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2장에서는 단체가 설립되는 과정을 재검토하여 1937년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창립이 1935년 부민관의 공연에 바탕을 둔 것임을 확인했다. 이어 『조선일보』, 『동아일보』, 『매일신보』 등 당대 신문 기사를 재정리하여 일제강점기 국내외 예술계에 굵직한 족적을 남긴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활동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판소리, 가면극, 무속 등 전통연희에 기반을 둔 작품을 분석하여 조선음악무용연구회가 지닌 전통연희적 특징을 고찰했다. 4장에서는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전통연희적 특징이 지닌 연희사적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조선음악무용연구회는 가면극, 무속 등 전통연희의 전승력이 약화되던 시기에 전통연희의 근대적 활로를 모색한 유일한 단체였으며, 전통연희의 다양한 연희자들을 아우르며 악(樂)․무(舞)․희(戲) 합일의 지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총체성은 당시 활동했던 타 단체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었다.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활동과 작품에서 나타나는 총체성은 오늘날 전통예술인들에게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 현재 한국 전통예술인들은 서구식 예술 편제인 음악, 무용, 연극 등 부문이 나누어진 체제 속에서 활동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존재는 우리가 불과 100여 년 사이 잃어버린 전통예술의 지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 KCI등재

        광무대의 공연 활동 연구: 1910년대 전통연희공연을 중심으로

        김민수 ( Kim¸ Minsu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4

        본고는 1907년에 등장해 1930년까지 전통연희를 위한 전용극장의 역할을 했던 광무대의 운영 기간 중 1910년대에 전개된 전통연희공연을 시기별로 변화가 감지되는 특징에 따라 1910-1914년과 1915-1919년으로 구분해 그 사적 흐름을 규명해 보았다. 우선 주요 논의 대상인 1910년대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개장 초기인 1907-1909년까지 광무대가 지향한 전통연희공연의 방향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설립 초기에 여타의 극장들이 당시 운영되던 관영극장의 공연방식을 답습하고 있었던데 반해 광무대는 공연자와 공연레퍼토리에 대한 새로운 발상의 전환으로 흥행을 선도하며 전통연희공연을 위한 전문극장으로서 도약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10-1914년의 기간은 전통연희공연이 활성화되었던 시기로 광무대의 주요공연자와 이에 따른 공연레퍼토리에 초점을 맞춰 그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이 시기 전통연희를 공연하던 장안사와 단성사는 흥행을 위해 시기별로 단체를 조직하거나 명창과 더불어 기생을 고용해 무대에 올렸다. 그러나 광무대는 전통연희에 다재다능한 소수의 전속 기생을 고용해 공연 종목에 따른 관객의 반응 정도에 따라 전속 기생을 교차 출연시키는 방식으로 전통연희공연을 흥행으로 이끌었다. 특히 이 시기 광무대는 자신들만의 공연방식을 고착화하고 전통연희를 상설공연으로 정착시키며 전통연희를 위한 공연장으로서의 면모를 확고히 정립해 나갔다. 1915-1919년의 기간은 전통연희를 위한 극장이 점차 축소되었던 때로 이에 따른 광무대의 대응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았다. 이 시기 광무대는 전통연희공연을 재편, 유지하며 공연자만을 전격 교체하는 것으로 극장의 분위기를 쇄신했다. 나아가 광무대는 당시 흥행을 담보하던 신파극을 끝내 수용하지 않고 신구파극이라는 새로운 공연레퍼토리를 고안함으로써 신파극의 유행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전통연희를 수호하는 유일한 극장으로서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historical flow by dividing traditional performances into 1910-1914 and 1915-1919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1910s during the operation period of Gwangmudae, which appeared in 1907 and served as a theater dedicated to traditional performances until 1930. First of all,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1910s, which is the main topic of discussion, we looked at the direction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aimed by Gwangmudae from 1907 to 1909.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t the beginning of its establishment, other theaters were following the previous performance method, while Gwangmudae was leaping as a specialized theater for traditional performances, leading the box office with a change of new ideas for performers and performance repertoire. The period 1910-1914 was when traditional performances were activat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by focusing on the major performers of the Gwangmudae and the corresponding performance repertoire. Jangansa Temple and Danseongsa Temple, which performed traditional performances during this period, organized groups by period for box office success or hired Gisaengs along with master singers to perform on the stage. However, Gwangmudae led the traditional performance to the box office by hiring a small number of exclusive Gisaengs who are versatile in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cross-staging them according to the audience’s response to the performance event. In particular, during this period, Gwangmudae fixed its own performance method, established traditional performances as permanent performances, and firmly established its aspect as a performance hall for traditional performances. The period 1915-1919 was when the number of theaters for traditional performances gradually decreased, and we looked at the response of the Gwangmudae accordingly. During this period, Gwangmudae renewed the atmosphere of the theater by reorganizing and maintaining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replacing only performers. Furthermore, Gwangmudae confirmed that it was silently playing its role as the only theater to defend traditional performances by responding quickly to the trend of new dramas by devising a new performance repertoire called new and old dramas.

      • KCI등재

        전통연희의 현대적 의의

        전경욱 ( Kyung Wook J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9 No.-

        전통연희는 근현대 이전의 전통사회에서 전문적이고 직업적인 연희자들에 의해 전승되던 백희잡기(百戱雜技)의 종목들과 가면극.판소리.창극.꼭두각시놀이 등 연극적 양식의 종목들로서, 영리를 목적으로 관중들을 위해 연행하는 공연물을 가리킨다. 전통연희는 종목별로 크게 (1) 곡예와 묘기, (2) 환술(幻術), (3) 각종 동물로 분장한 가면희, (4) 동물 재주 부리기, (5) 골계희(滑稽戱 코미디) 또는 우희(優戱), (6) 가무희(歌舞戱), (7) 악기 연주, (8) 인형극, (9) 가면극, (10) 판소리와 창극, (11) 종교의례 속의 연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동안 전통연희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선구적 장르는 1980년대 시작된 마당극과 민족극을 들 수 있다. 1980년대 초두에 민속극에 기반을 둔 창작극인 마당극(마당굿) 또는 민족극이라 불리는 일단의 정치극이 새롭게 등장해 체제비판을 시도했다. 전문적인 연극단체 가운데도 가면극.판소리.인형극 등 전통연희를 활용한 창작극을 정립해 보려는 시도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1973년 연출가 허규를 중심으로 한 ``극단 민예``와 손진책의 ``극단 미추``이다. 김덕수의 사물놀이는 전통적 양식의 풍물을 개작하여 크게 성공한 예이다. 최근 극립창극단, 극단 목화.연희단 거리패.민족예술단 우금치.극단 민들레의 연극을 비롯하여 여러 분야에서 전통연희를 활용한 새로운 공연예술을 창작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연희 수준이나 흥행력은 중국과 일본의 경우에 비해 미진한 편이다. 전통연희의 잡기 종목들을 전문화. 고난도화 하여 연희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수준 높고 재미있는 한국적 뮤지컬을 만들어내는 것이 이 분야의 중요한 과제이다. 전통연희는 우리들이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한류의 발전을 위해, 그리고 현대공연예술의 한국화를 위해 창작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이다.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Korea include forms of Baekhui-Japgi(literally, all sorts of entertainment and miscellaneous arts and crafts) and forms of drama such as mask dramas, pansori(a traditional Korean style of narrative song, in which a single performer is accompanied by a drummer), chang-geuk(Korean classical operas), and puppet plays. Overall they refer to the profit-making performances played for the audienc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an be divided as follows; 1) acrobatic feats and stunts, 2) magic arts, 3) plays in animal disguises, 4) animal stunts, 5) farce or comedy, 6) song and dance performances, 7) musical performances, 8) puppet plays, 9) mask dramas, 10) pansori and chang-geuk, 11) performances in religious ceremonies Pioneering genres that have adapted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o far are madang-geuk (dramas played on ground) and folk dramas that started in the 1980`s. Professional theatrical troupes have also tried to make dramas based on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uch as mask dramas, pansori, puppet plays and so on. The theatrical troupe "Minye", led by producer Heo Gyu from 1973, and "Michu", led by Son Jin-Chaek, are representative. Samul-nori (an ensemble of the four farmer`s percussion instruments) led by Kim Duk-Su was a great success through adaptation of traditional farmers` musical instruments. Recently, Korean national opera troupe, the theatrical troupe "Mokwha", the performance troupe "Geori-pae", the folk arts troupe "Ugeumchi" and other troupes in various fields are creating new performing arts using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most important goals now are enhancing the level of performances by specialization of Japgi (miscellaneous arts and crafts), and creating a high-level and amusing Koreanized musical.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re the cultural contents, providing resources for the Koreanization of modem performing arts and expanding Korean waves.

      • KCI등재

        김지하 희곡 <진오귀> 고찰

        김윤정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traditional style of drama is used in the modern drama <Jin Oh Gwi>. About this work, it is often said that the interests in a social reality and the interest in a traditional play are met, and the novelty of <Jin Oh Gwi> is in the fact that the interest in traditional plays has appeared in the modern drama. Kim Ji-ha, who was originally interested in using traditional plays, wrote "Five Enemies(O Jeok)" in Pansori, but did not seemed to think that he could use traditional plays in modern plays. He entered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59 and joined the drama club and studied western dramas. So he seemed to think that the play was supposed to be a Western drama. However, in 1972, when he co-performed with Gara Juro, a Japanese director, he came to realize that he could apply traditional entertainments to modern theaters and the result was <Jin Oh Gwi>. From the 1960s, traditional entertainment forms began to be restored and established drama field also introduced them. College students started to criticize the government by using a Mask dancing(Talchum) and an Exorcism(Gut) because of the controversial Korea-Japan agreement. From this period, the folk dance revival movement took place in universities and the Mask dancing groups began to be created. However, non-institutional field of theater did not reach to the level to utilize the traditional play style in the modern theater, but it was realized in <Jin Oh Gwi>. Especially by accepting the 'yard', the aesthetic pleasure of the traditional plays called Shinmyeong Puri was successfully revived. This was a breakthrough in using traditional aesthetic style for contemporary theater, and the yard was different from modern stages since the 1900s. These experiments have followed by the Madanggeuk. 본고에서는 <진오귀>가 어떻게 전통연희를 현대 연극 속에 활용했는지를 고찰해보았다. 이 작품을 통해서 흔히 사회현실에 대한 관심의 한 맥과 전통연희에 대한 관심의 한 맥이 만났다고 하는데, <진오귀>의 새로움은 바로 이 전통연희에 대한 관심이 현대 연극 속에 나타났다는 사실에 있다. 원래 전통연희의 활용에 관심이 있었던 김지하는 판소리체로 담시 <오적>을 썼지만, 희곡에서는 전통연희를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는 1959년에 대학에 입학하면서 서울대 문리대 연극반에 들어갔고, 서구 무대극을 배웠다. 그래서 연극은 당연히 서구 무대극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하지만, 1972년에 가라 주로와 합동 공연을 하면서 그는 전통연희를 현대 연극에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를 실험한 것이 <진오귀>였다. 1960년대부터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제도를 통하여 전통연희들이 복원되기 시작하였고, 기성 연극계에서는 전통연희를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대학생들도 한일협정을 계기로 탈춤과 굿 등을 활용하여 당대 정권을 비판하기 시작하였고, 이 시기부터 대학 내에 민속극부흥운동이 일어나고 탈춤반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문화운동의 측면에서도 <진오귀>를 통하여 전통연희를 현대 연극에 활용하는 것이 시작되었다. 특히, 이 작품은 전통연희 가운데서도 탈춤을 받아들여 주체와 반대자의 갈등을 부각시켰고, 이를 통해 반대자, 즉 타(他)에 대한 공격성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마당’을 받아들이면서 무대를 소실점으로 한 원근법적 시선의 통제를 벗어나게 되고, 카타르시스 대신 신명풀이라는 전통연희의 미적 쾌감을 되살려냈다. 이는 전통연희를 현대 연극에 활용한 획기적인 방법으로서, 1900년대 이후의 근대적인 무대를 벗어난 것이었다. 이러한 실험들은 이후 마당극으로 그대로 이어진다.

      • KCI등재후보

        창작연희 개념 구성을 위한 시론 - 형성배경과 현황을 중심으로 -

        최문실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3 인간과자연 Vol.4 No.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conceptualizing and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reative Yeonhui(연희)’ as an initial step in the study of creative Yeonhui. Therefore, it can be seen as a study with an exploratory and experimental discussion character for the full-scale study of creative Yeonhui. Recogniz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that the ambiguity and breadth of the existing traditional Yeonhui concept are difficult to explain the creative Yeonhui, the creative Yeonhui can understand the formation background relatively clearl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Yeonhui, and reviewed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the creative Yeonhui. Accordingly,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creative Yeonhui have been examined. By considering the background of formation, it is used as the scope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as a representative review of the creative activities of groups from the Yeonhui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the percussion Yeonhui Department of Chung-Ang University, the traditional Yeonhui mainly used by these groups are as follows. Pungmul(풍물), Kukdoogaksi Noleum(꼭두각시놀음. puppet play), shaman music, Namsadang play(남사당놀이), and Talchum(탈춤. mask dance). Also,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creations appeared to be of a different nature. Through this, it has been observed that depending on how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creative Yeonhui are interpreted, there can be variations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of creative Yeonhui in comparison to the existing framework of Yeonhui research. An example of a creative Yeonhui concept that can b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s to consider Samulnori(사물놀이),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Yeonhui history, and the establishment of Yeonhui in the university. this is how to set up categories and identify components. Starting with this study, I hope that follow-up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the composition of the concept of creative Yeonhui will continue, and I hope that the discourse will be formed and there will be a place for discussion and consensu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reative Yeonhui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연희 연구의 초기 단계로써 창작연희의 개념 구성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창작연희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고 정립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려는 데 있다. 따라서 창작연희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탐색적이고 시론적 성격을 지닌 연구로 볼 수 있다. 기존의 전통적 연희개념의 모호성과 광범위함은 창작연희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한계를 인식하고, 창작연희는 전통연희에 비해 그 형성배경을 비교적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창작연희의 형성배경과 현황을 검토하였다. 형성배경을 고려하여 현황의 범위로 삼고, 대표적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연희과와 중앙대학교의 타악연희과 출신 단체의 창작활동을 검토한 결과, 이들 단체가 주로 활용하는 전통연희 종목은 풍물, 꼭두각시놀음, 무속음악, 남사당놀이, 탈춤 등으로 볼 수 있으며, 교육적 배경에 따라 창작물이 다른 성격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존 연희연구의 틀로 바라보는 창작연희와 형성배경을 고려했을 때의 창작연희는 범주와 특징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며, 창작연희의 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개념과 범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창작연희 개념 구성 방안의 예는, 연희사적으로 중요한 계기가 된 사물놀이와 대학교 내 연희과 설립 등을 고려하여 범주를 설정하고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즉 사물놀이와 관련된 창작활동과 전통연희 종목과 관련된 창작활동 전반을 말한다. 이러한 범주 설정은 기존 개념의 모호함과 광범위함을 해소하고 통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합리적인 창작연희 개념 정립을 위해 다양한 관점의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향후 과제로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창작연희의 개념 구성을 위한 다양한 관점의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바라며 담론이 형성되고 창작연희 개념 정립을 위한 논의와 합의의 자리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웹드라마 <연희공략>(延禧攻略)에 나타난 중국 전통문화의 양상 연구 -서사와 시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려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웹드라마 <연희공략>은 청나라 건륭제시기의 역사를 서사 배경으로 설정하여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선보였다. 본 드라마 제작자 위정(于正)은 자신의 SNS를 통 해 전통문화에 대한 전승에 책임감을 느끼는 발언을 수차례 해왔고 <연희공략>을 제작하게 된 계기 역시 전통문화의 선양에 있다고 밝혔다. 즉 작가에 의해 포착된 문화적 소재가 일정한 방식을 통해 드라마로 표현된 구조라고 볼 수 있다. <연희 공략>은 전통문화의 선양을 염두에 둔 콘텐츠답게 실제 역사의 서사적 시간과 캐 릭터 구도를 완벽하게 환원해냈고 이를 색채, 공간, 장신구 등 시각적 이미지로 구현해냈다. <연희공략>은 웹에서 종영되기 전 이미 방송국에서 방영되기 시작했고 전 세 계 90여 개 국가에 그 판권이 판매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이에 <연희공략> 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연구, 패러디 문화, 웹콘텐츠가 주류 문화를 견인할 수 있 는 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됐지만 ‘통합적 인식의 결여’를 극복한 문화콘텐츠로서의 연구는 여러모로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드라마 <연희공략>이 사용한 재해석의 방법을 면밀하게 분석 해봄으로써 대중적인 역사 콘텐츠로 전환하게 된 구체적인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 역사 시간과 드라마의 역사 시간을 비교했고 이 시간대에 등장하 는 인물, 공간, 플롯을 분석했으며 이와 더불어 서사에서 활용된 역사 이미지를 찾아보았다. The drama expresses the structure with cultural item caught by a creator in a certain way. It gave back the narrative time and character's structure of the real history, as the contents planned with enhancing traditional culture, and embodied visual image, such as color, place, and accessories. The drama was on air before finishing on web, and surprisingly sold by 90 nations all over the world. And then it is studied within historical background, parody, web contents' possibility leading the popular cultur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as the cultural contents that overcame the lack of integral recognition. The way how the archetypical myth is reinterpreted is analyzed, so that the pattern how the web drama is adapted to popular historic contents can be known. Therefore the real time in drama is compared with the historic timeline, and characters, place, and plots in the same timeline are analyzed. Finally the historic image used in the contents are researched.

      • KCI등재

        전통연희 곡예와 묘기 종목 연구의 현황과 전망

        이호승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6

        이 연구는 그간에 이루어진 전통연희 연구에서 소외되어왔던 곡예와 묘기 종목에 대한 논의들을 점검해 보고, 이를 통해 새로운 연구의 방향과 방법을 전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다소 산발적으로 진행되어왔던 전통연희 곡예와 묘기 종목에 대한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니고 있다. 첫째, 전통연희 곡예와 묘기 종목에 대한 선행 연구의 시각과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계기로,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문제의식과 방법을 지닌 심화된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다. 둘째, 전통연희 곡예와 묘기 종목에 해당하는 줄타기, 땅재주, 솟대타기, 대접돌리기, 유술, 장애물통과하기 등의 역사적 기원과 전개, 연희자의 실체, 연행 양상, 연행 구조와 원리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해당 전통연희 종목의 실제적 보존과 전승이 가능해질 것이다. 셋째, 연구가 이루어지고 복원된 전통연희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재에도 예술적 의미가 있고 흥행에도 성공할 수 있는 새로운 공연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원동력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