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원주택 단지 선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김인수,고성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6

        The preference factor of consumer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 country housing complex efficiently and successfully and make it a preferred housing format. In other words, a customer- and community-oriented complex should be planned with reflecting site characteristic factors, housing characteristic factors, and complex characteristic factors. Site characteristic factors include pleasant natural environment, accessibility to a central city, and facilities desired to be built near a county housing complex. Housing characteristic factors include the differentiated building type and building area and lot size meeting the needs of consumers. Appropriate complex characteristic factors include external space and public facilities supporting a community life. Moreover,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inclination of consumers in the area and social factors with reflecting the marketability of the local real estate. Furthermore, development should diversify and characterize the housing complex for different demands by analyzing the marketability and demand characteristics in adva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erception, preference, need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were potential consumers of the Gwangju Metropolitan Area country housing, analyze the housing preference factors, draw effective and rational country housing development direction, and provide useful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a country housing development pla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 country housing complex with a precedent urban planning or being accompanied with an urban planning not to develop the country thoughtlessly by developing an individual country housing complex without an appropriate plan and not to create problems in l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전원주택용 부지의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가평, 양평, 남양주지역을 중심으로 -

        남석우,정우성,이규태,김종기,신종칠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3

        This study analyzes the price determinants of the lands for sub-urban housing in Gapyeong-gun, Yangpyeong-gun, and Namyangju-city. For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analyzes 785 sales cases from January 2006 to July 2018 collected from RTMS and real estate brokers by using Hedonic Price Model.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price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in which lands for sub-urban housing are located. Second, this study confirms that loc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ccessibility to road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and landscape and natural elements, affect the land prices. Specifically, accessibility to national or local road, highway IC, and bus stop,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and prices. In addition, accessibility to nearby village and shopping mart, increases significantly land prices. The proximity to landscape element and natural environment like river, also increases land price. Third, this study finds that land use and regulatory characteristics such as land use zoning, land category, and usage restriction on each land, have significant impacts on land prices. Especially, the usage regulations on the land for road zone, military reservation zone, riparian zone, and river zone, give negative effects on land prices. Fourth, the study discovers that physical land characteristics, such as land size, land slope, and topographical condition for sub-urban housing construc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land prices. The artificial endeavors such as retaining wall installment and construction work for sub-urban housing complex development, raises significantly land prices. 전원주택시장은 자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획일적인 아파트 중심의 주거문화에 대한 관심 등을 기반으로 하여 나름대로 꾸준한 수요를 형성하는 하나의 세분시장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떤 영향요인들이 전원주택용 부지의 가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강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대표적인 전원주택지인 경기도 가평군 상면, 양평군 서종면, 남양주시 수동면에서 2006년부터 2018년까지의 거래된 전원주택부지의 거래사례를 활용하여 전원주택 부지의 가격형성요인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특성과 관련하여 전원주택 부지의 가격은 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버스터미널 거리, 철도역 거리, 고속도로 IC 거리, 국도·지방도 거리 등의 서울과의 교통 접근성과 관련된 입지적 요인들이 가격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원주택용 부지의 경우, 하천 거리 등과 같은 전원적 요소와의 접근성도 중요하지만, 마을과의 거리, 마트와의 거리 등과 같이 전원주택에서의 생활을 영위하는 필요한 환경요소와의 접근성이 가격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지의 용도지역과 관련하여 계획관리지역인 경우 전원주택지 거래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목의 경우에는 임야에 비해 전·답과 대지의 경우에 전원주택 부지의 거래가격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지의 이용규제와 관련하여 전원주택 부지의 경우 접도구역, 통제보호구역, 수변구역, 하천구역 등의 이용규제가 존재하는 경우 부지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지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전원주택 부지의 규모, 형상, 지세, 도로접합여부 등의 기본적인 특성들이 부지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저후고형, 단지형 등의 특성을 가진 전원주택부지의 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전원주택의 건축구조유형에 따른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곤수(Kim, Gonsoo),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1

        현 시대의 주거 양식은 현대인의 욕망에 의해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근래에 들어 소득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전원주택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단순히 주거 양식의 변화를 뜻하기보다 사회전반적인 삶의 질에 대한 욕구의 반증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원주택의 수요는 무질서한 도시의 확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거주에 대한 부족한 준비 및 지식 등으로 전원주택 생활의 시작이 실패로 끝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유형으로 개발되고 있는 전원주택의 개발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에 앞서 거주만족의 개념 및 전원주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그리고 건축구조유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문헌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제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전원주택 수요자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연계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문조사와 통계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초통계량 및 빈도분석의 결과, 전원주택의 거주의향이 있는 대상이 거주의향이 없는 대상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적조’의 건축구조유형을 가장 선호했다. 또한 ‘초기건축비’, ‘건축외형’, ‘채광’, ‘단열성’, ‘자연 체감도’를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교차분석의 결과에선 건축구조유형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전원주택 수요자의 선호도는 전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유의확률값이 0.05 미만이었던 경제적인 부분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는 ‘최초건축비’와 ‘투자가치비용’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심미적인 부분에서는 ‘주변과의 조화’와 ‘건축외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 친환경적인 부분에서는 ‘자연체감도’와 ‘건축자재의 친환경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쾌적성 부분과 편의적인 부분에서는 유의확률값이 0.05보다 모두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관점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전원주택의 건축구조유형은 각 요인들에 따라 전원주택 수요자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각 영향요인의 선호도에 따른 전원주택의 건축구조유형의 효용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된다면 전원주택 수요자의 거주만족도 향상에 높은 결과를 줄것이라 기대된다. Residence style of present era has been developed continually by desire of modern people. Recently, demand for suburban house has been increased due to improved level of income and life and desire to increase life quality. It means not only change of residence style but also reflection of desire for life quality through our society. However, this demand for suburban houses is causing disordered city expansion and starting suburban houses life is being failed due to lack of preparation and knowledge about residence. Thus, there needs a study for development method of suburban houses that is being developed to various types. Before analyzing,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concept of residence satisfaction and suburban hous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construction structure typ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Through this, study thesis was set up and study model was made. Thus, the study verified that which difference exist relating to demographic factors according to factors affecting preference of suburban house consumer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as collecting data with survey and statistic. The results are following; As a result, objects that have an intention to live in suburban houses were more than opposite, and ‘masonry’ construction structure type was most preferred. Also, they responded that they prefer ‘initial construction cost’ for economical part, ‘construction outward’ for an aesthetic part, ‘light’ for an comfort part, ‘insulation property’ for convenience part and ‘nature feeling’ for an echo-friendly part. In result of cross analysis, preference of suburban consume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has difference generally. Difference of preference for economic part that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was under 0.05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initial construction cost’ and ‘investment value cost’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aesthetic part according to ‘harmony with surround’ and ‘construction outward’. In echo-friendly par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nature feeling’ and ‘echo-friendly materials’. However, in comfort part and convenience part, so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was higher than 0.05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tistic view.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struction structure types of suburban hoses influences preference of suburban house consumers according to each factor. Thus, if guideline about efficiency of construction structure type of suburban house according to preference of each influence factor, it is expected that residence satisfaction of suburban house consumers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 KCI등재

        전원주택 선택속성을 이용한 주거만족 및 지속적 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양향석,이춘원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2 부동산경영 Vol.26 No.-

        전원주택 선택에 따른 주거만족은 경제성장과 함께 삶의 질을 선호하는 주거선택의 다양성에 기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의 여유로운 삶의 추구, 코로나팬데믹으로 인한 재택증가 등 사회가 다변화되면서 새로운 주거 선택지로 떠오르는 전원주택의 주거 만족과 지속적 거주의향에 관해 거주자의 설문을 통해 주거만족에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향후 주거형식의 정착을 위한 제언을 주고자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원주택에서의 주거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물리적특성, 환경특 성, 입지특성, 경제특성으로 나타나며 이중 주거만족에 가장 영향성이 큰 요인은 도심과 의 거리 등 입지특성으로 분석되었다. 지속적 거주의향에 정(+)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물리적특성, 환경특성, 입지특성, 경 제특성으로 나타나며 입지특성은 가장 중요한 지속적 거주의향에 영향을 주고 있다. 경 제특성 또한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전원주택선택을 통한 주거만족과 지속적 거 주의향은 생활의 편리성과 자금조달 등 현실적인 구매에 대한 경제적인 요인으로 귀결 된다. 전원주택의 주거만족이 높아질수록 지속적 거주의향은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관계성 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전원주택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심의 인프라를 영위하면서 도심의 폐쇄적인 양 적성장이 아닌 삶의 질적인 면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새로운 전원주택지 개발 에 있어서도 이러한 주거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ousing satisfaction with rural housing choices is due to the diversity of housing choices that favor quality of life along with economic growth.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ffecting housing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of resident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continued direction of residence in rural housing that is emerging as a new housing option as society diversifies such as the pursuit of a leisurely life in old age and the increase in housing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to give suggestions for the settlement of the housing type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continuous residence orientation in rural housing are shown to be physic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higher the housing satisfaction, the higher the direction of continuous residen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원주택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남석우(Seok-Wou Nam),백만현(Man-Hyeon Baek)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8 부동산 도시연구 Vol.11 No.1

        본 연구 대상으로 전원주택이며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원주택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영월군, 원주시, 정선군의 총 154건의 매매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전원주택의 가격을 토지면적으로 나누어 단위면적(㎡)당 거래가격을 종속변수로 한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설명변수로는 입지특성, 토지특성, 주택특성 3가지 특성과 통제변수로 시점특성, 지역특성 2가지 특성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 문헌조사나 설문조사 등을 활용하여 분석한 전원주택 관련 선행연구에서 더 나아가 실제매매거래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전원주택에 중요한 자연환경요인이라 할 수 있는 조망관련 특성이나 배산임수, 하천과의 거리 특성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단독주택과 달리 전원주택은 가격 결정요인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는 것으로 실증분석 할 수 있었다. 전원주택에는 어떤 요인들이 가격에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가지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e study analyze factors that affect the decision of the country housing prices based on the province of Gangwon. For the purpose of the verification analysis, a total of 154 cases of sales data from Yeongwol, Wonju and Jeongseon were obtained from 2014 to 2017. As a dependent variable, the transaction price per unit area(㎡) was analyzed as a dependent variable by dividing the price of a house with the land area. As explanatory variables, there were thre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land, and housing. As control variables, there were two characteristics of time frame and reg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preceding study on country housing which was analyzed using simple literature surveys or questionnaire surveys develop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actual transaction data more. The results were conducted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related to viewing, Baesanimsu and distance between stream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natural environment in country houses. Unlike a typical single house, it was found that a country house has different types of price determinants. The aim of a country house is to analyze what factors affect its price, and to derive its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경기도 귀농귀촌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촌 의사 영향요인의 구조적 관계

        유기은(Ki Eun Yoo),고성수(Sung Soo Go) 한국주택학회 2015 주택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인구이동이론에 기초하여 귀농귀촌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이동요인 및 사회환경적 요인이 이촌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 과정에서 전원주택의 주택특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그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모형인 귀농귀촌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촌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이동요인과 사회환경요인, 그리고 매개변수인 주택특성의 인과적 경로를 검증한 결과, 제안된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관련된 지수를 검토해 보면, x2=83.849(df=38, p<.001), GFI=.945, AGFI=.904, RMSEA=.069, NFI=.969, CFI=.983로 나타나 모든 적합도 지수의 값이 적정 범위 내에 포함되므로 이론적인 근거에 의한 가설적인 경로 설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론모형 경로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인구이동요인→주택특성의 경로(p<.05)와 둘째, 인구이동요인→이촌의사의 경로(p<.05), 셋째, 사회환경요인→주택특성의 경로(p<.001)와 넷째, 사회환경요인→이촌의사의 경로(p<.01), 그리고 다섯째, 주택특성→이촌의사의 경로(p<.05)의 5개의 경로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촌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 매개변수인 주택특성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접효과, 간접효과 모두 인구이동요인이 이촌의사에 대한 주택특성의 매개효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촌의사에 영향을 주는 총효과를 확인해 보면, 사회환경요인 > 인구이동요인 순으로 이촌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구이동요인을 크게 고려할수록, 사회환경요인을 크게 고려할수록 귀농귀촌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촌의사는 완화되며, 여기서 주택특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 지각을 매개로 하였을 때 이촌의사는 더욱 완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research, two factors, domestic population movements based on migration theories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were considered as well as mediator effect of rural residence due to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closely examined. After the verification stage of the research model, we found out that the result numbers, x2=83.849(df=38, p<.001), GFI=.945, AGFI=.904, RMSEA=.069, NFI=.969, CFI=.983) were all in the error bound, thus verified as a valid route setting. If we take a close look at the paths of the research model, the first one, population movement to rural residence (p <.05), and the second one, population movement to intention of people to go back to the city after they became farmers (p<.05) and the third one, socio-environmental factor to rural residence (p<.001), the fourth one, socio-environmental factor to intention of people to go back to the city after they became farmers (p<.01) and the last one, rural residence to intention of people to go back to the city after they became farmers (p<.05) were all considered valid. Then, after we categorize each influence into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rural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ur intervening variable, showe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population movement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mediator. For the total effect on people’s decision to go back to the city, socio-environmental factor i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compare to population movement. This implies that managing these factors, population movement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will ease off newly become farmers going back to the city.

      • KCI등재후보

        ‘전원 도시’로 가는 길?

        염복규(Yum, Bok Kyu) 도시사학회 2015 도시연구 Vol.13 No.-

        이 논문은 1920~30년대 남산주회도로(현재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신당역구간)의 부설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식민지시기 서구에서 기원한 전원도시론이 일본을 경유하여 조선에 전파되는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래 자본주의 도시화의 폐해에 대응한 사회개혁론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전원도시론은 미국, 일본으로 전파되면서 도시 유산층의 교외주택지 개발이론으로 변용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변용된 전원도시론이 식민지 조선에도 전파되었다. 1920년대 조선에서는 전원도시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경성거주 일본인 유산층을 중심으로 남산 동남록 지역의 고급 주택지가 개발되고 남산주회도로를 부설하자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여러 차례 부침을 겪으며 쉽게 성사되지는 못했다. 남산주회도로는 1936년 경성시가지계획이 시작되면서 그 일환으로 비로소 부설되었다. 그리고 남산주회도로의 부설은 그 연도인 남산 동남록 지역의 고급 주택지 개발을 더욱 촉진했다. 그러나 이는 주택지 개발 이전부터 그 곳에 살고 있던 영세민의 추방을 의미했다. 이렇게 식민지 조선에서 전원도시론은 (일본인) 유산층을 위한 고급 주택지 개발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building of the Ring Road around the Namsan mountain, located in the south of the colonial capital, during 1920’s and 30’s. The road, winding around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mount, roughly corresponds a stretch between the Samgakji station and the Sindang station on the Line No. Six of the current Seoul Metropolitan Subways. Through the examination, the paper examines how the theory of garden city, which had been initiated in the west, arrived and spread in the colonial Joseon via Japan and analyzes its implications. The theory of garden city, which was originally advocated as a reformist argument against harmful effects of capitalist urbanization, underwent a transformation into a development theory promoting residential suburbs for urban middle class in the US and Japan. The modified version of the theory arrived in colonial Joseon via Japan: in 1920’s, a campaign for developing an exclusive residential area at the southeastern foot of the Namsan mount and building a circular road surrounding the area was initiated by mostly wealthy Japanese settlers in Kyungseong, and their argument was based on the garden city theory. The campaign went through its ups and downs through years without fruition. The Namsan Ring Road was finally constructed with the onset of the Kyungseong Town Plan in 1936, and therefor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upper-class residential area around the new road. However, the building process resulted in the displacement of low-income residents, who had inhabited the area for generations. In this way, the theory of garden city was exploited in colonial Jose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rive, mostly beneficial to the (Japanese colonialist) middle class.

      • KCI등재

        전원주택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양항석,이춘원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2 부동산경영 Vol.25 No.-

        전원주택 선택은 과거 노후에 평화로운 삶을 지향하는 노년세대가 주를 이루었지만 근래에는 일과 생활의 균형을 찾는 워라벨 기조, 반려동물과의 균형있는 삶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전원주택을 선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원주택을 선택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AHP분석의 종합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대도시(서울 등)와의 접근성, 공간 구조 및 편리성, 분양(매매)가격, 단지규모, 자금조달(대출 등)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나며, 통풍과 환기, 이웃과의 관계성, 경작용지 유무(텃밭 등), 대중교통의 연계성, 수목 및 자연환경 순으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 Fuzzy-AHP분석결과 대도시(서울 등)와의 접근성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AHP결과와도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결국 전원주택 선택은 대도시와 밀접한 장소로서 거주와 업무가 가능한 지역이 우선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전원주택지의 선택속성에서 내부적으로는 편리성 기반의 공간구조 활용성이 뛰어나고 외형적으로 단지의 위치 등 입지요건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도시와의 연관성을 통해 일과 휴식의 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원 도시로 가는 길? - 식민지시기 京城 ‘남산주회도로’의 부설 과정과 의미 -

        염복규 도시사학회 2015 도시연구 Vol.0 No.13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building of the Ring Road around the Namsan mountain, located in the south of the colonial capital, during 1920’s and 30’s. The road, winding around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mount, roughly corresponds a stretch between the Samgakji station and the Sindang station on the Line No. Six of the current Seoul Metropolitan Subways. Through the examination, the paper examines how the theory of garden city, which had been initiated in the west, arrived and spread in the colonial Joseon via Japan and analyzse its implications. The theory of garden city, which was originally advocated as a reformist argument against harmful effects of capitalist urbanization, underwent a transformation into a development theory promoting residential suburbs for urban middle class in the US and Japan. The modified version of the theory arrived in colonial Joseon via Japan: in 1920’s, a campaign for developing an exclusive residential area at the southeastern foot of the Namsan mount and building a circular road surrounding the area was initiated by mostly wealthy Japanese settlers in Kyungseong, and their argument was based on the garden city theory. The campaign went through its ups and downs through years without fruition. The Namsan Ring Road was finally constructed with the onset of the Kyungseong Town Plan in 1936, and therefor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upper-class residential area around the new road. However, the building process resulted in the displacement of low-income residents, who had inhabited the area for generations. In this way, the theory of garden city was exploited in colonial Jose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rive, mostly beneficial to the (Japanese colonialist) middle class. 이 논문은 1920~30년대 남산주회도로(현재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신당역 구간)의 부설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식민지시기 서구에서 기원한 전원도시론이 일본을 경유하여 조선에 전파되는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래 자본주의 도시화의 폐해에 대응한 사회개혁론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전원도시론은 미국, 일본으로 전파되면서 도시 유산층의 교외주택지 개발 이론으로 변용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변용된 전원도시론이 식민지 조선에도 전파되었다. 1920년대 조선에서는 전원도시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경성 거주 일본인 유산층을 중심으로 남산 동남록 지역의 고급 주택지가 개발되고 남산주회도로를 부설하자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여러 차례 부침을 겪으며 쉽게 성사되지는 못했다. 남산주회도로는 1936년 경성시가지계획이 시작되면서 그 일환으로 비로소 부설되었다. 그리고 남산주회도로의 부설은 그 연도인 남산 동남록 지역의 고급 주택지 개발을 더욱 촉진했다. 그러나 이는 주택지 개발 이전부터 그 곳에 살고 있던 영세민의 추방을 의미했다. 이렇게 식민지 조선에서 전원도시론은 (일본인) 유산층을 위한 고급 주택지 개발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