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산시대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과 전시콘텐츠 마케팅

        이광표 한국박물관학회 2011 博物館學報 Vol.- No.21

        국립중앙박물관은 2005년 10월 서울 용산으로 이전 개관한 이후, 기획전시실에서 다양한 기획특별전을 개최해오고 있다. 기획특별전은 사회적 문화적인 이슈와 대중 적인 관심사를 전시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설전시에 비해 관객의 욕구에 민 감할 수밖에 없다. 이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기획특별전의 이러한 특성에 주 목해 용산시대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을 박물관 마케팅의 측면에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용산시대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의 기획특별전을 전시 콘텐츠의 내용면에서 보면 세계문명전, 외국 문화재 전시,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 전시로 구분 된다. 이같은 유형과 특징은 문화재 전시에 대한 최근 우리 사회의 관심과 이슈를 적절히 반영한 것이다. 글로벌시대, 다문화시대를 맞아 국립중앙박물관이 한국만의 박물관이라는 틀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박물관 마케 팅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해외에 유출된 한국 문화재를 빌려와 선보이는 전시도 많은 호응을 받았다. 이는 약탈문화재 반환과 관련된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해외 소재 한국 문화 재에 대한 관심이 커졌기 때문이다. 기획특별전은 전체적으로 관객들의 관심사와 시 대적 흐름을 반영한 전시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은 적지 않은 과제도 안고 있다. 우선 학술적 연구 성과가 축적된 토대 위에서 기획특별전을 기획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전 시 주제에 대한 깊이 있고 새로운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획특별전 주제와 관 련된 교육 및 학술 프로그램도 활성화시켜야 하고 전시에 대한 엄정한 평가 시스템 을 마련하려는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전시기획사 직무분석 및 컨벤션기획사와의 비교에 관한 연구

        윤영혜,허준,이은성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분석 기법인 DACUM(Developing A Curriculum)을 통해 전시기 획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컨벤션기획사와의 개념, 자격증 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시기획사 직무분석을 통해 전시기획사의 책무 와 과업 분석, 일반적 지식 및 기술, 행태적 태도, 도구를 도출하였다. 전시기획사와 컨 벤션기획사의 정의, 자격증 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DACUM 워크숍을 통해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인적자원개발 분야와 MICE 분야 박사 로 이루어진 내용전문가 집단을 통해 전시기획사와 컨벤션기획사 직무를 비교 및 분석 하여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기획사의 직무는 8개 책무, 92개 과 업으로 도출되었는데 책무는 기획하기, 참가업체 마케팅, 참관객 바이어 마케팅, 광고 및 홍보, 공식행사, 부대행사, 전시회운영, 사후관리 등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KSA 분석 을 통해 전시기획사 직무에 준하는 지식과 기술, 행태적 태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 로 전시기획사와 컨벤션기획사와의 직무 비교 분석을 통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of PEO (Professional Exhibition Organizers) by using a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And to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jobs’ definitions, certificates, duties, tasks, knowledge, skills, behavioral attitudes, tools of PEO for expanding their academic background and fin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PEO. The DACUM job analysis of PEO is conducted, and two expert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a MICE content specialist conduct the task of comparing the duties of the PEO and the PCO. And then, they confirm the content validity of the analysis. First, the job description of PEO reveals 8 duties and 92 tasks. The duties are planning exhibitions, marketing to exhibitors, marketing to buyers and participants, advertising and promotion, official event, exhibition joint event, exhibition operation and post management. Second, the DACUM analysis find the duties, tasks, knowledge, skills, behavioral attitudes and tools of PEO. Finally, we find tha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PEO and PCO and reveal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과학관 기획전시 사례연구를 통한 미래방향 고찰

        김이연(Kim, Yi Yeon),홍성권(Hong, Sung Kwon),김경훈(Kim, Kyu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21세기 우리나라 전략사업 중 하나가 감성형 문화콘텐츠의 집중생산과 2015년까지 세계 10대 문화강국으로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미래의 핵심기술 확보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복합과학문화의 중심인 과학관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따라 시대에 뒤지지 않는 감성과 논리를 중심으로 하는 능동적인 체험과 무한의 창의력을 겸비한 전시공간을 관람객들에게 제공해야한다. 과학관의 기획전시공간은 상설전시가 수용하지 못한 주제나 사회의 트렌드 및 쉽게 접근하기 힘든 다양한 전시를 기획함으로서 상설전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주제와 연출 및 구성에 있어서도 자율성과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어, 최근 창조적 기획전시공간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일본 양국간 대표과학관 1곳씩을 선정하여 기획전시 사례유형을 고려해야할 몇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분석 및 비교했다. 우선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본적인 연구의 틀을 마련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기준을 확보하여 선정된 과학관에서 이루어지는 기획전시의 특징을 인터넷 사이트와 블로그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례분석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우리나라 과학관의 경우 관람과 함께 체험을 다루는 기획전시가 주였고 전시주제 또한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반면 일본 과학관에서는 색다른 주제를 이용하여 관람보다는 체험을 기반으로한 능동적이며 이색적인 기획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전시기간의 회전율 또한 빨라 다양한 주제를 융합한 기획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관의 기획 전시가 진보해야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획전시의 주제별 다양화 둘째, 비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각 과학관과의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체계 구축 셋째, 관람객이 주도적으로 즐기고, 진정한 소통이 가능한 능동적인 전시콘텐츠기획 위와 같은 분석 내용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 과학관이 안고 있는 개선점을 직시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발전적인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본 토대가 되어,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지는 우리나라 과학관이 나아가야할 바람직한 방향을 정립하는데 일조하였으면 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 양국간의 과학관만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 하였으며, 여러나라의 전반적인 과학관 기획전시의 특징을 파악하진 못했다. 그러나 요즘 관심이 집중되는 과학전시의 기획콘텐츠 연구들 중 하나의 길잡이가 됨으로써, 보다 새롭고 더욱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지속 될 수 있다고 본다. With the goal of the intensive production of emotional cultural contents and the entry of World Top 10 culture advanced country, one of the 21st strategic projects of Korea is to concentrate the national abilities on securing the future core technology. According to such trend, even in the Science Museum, the center of complex science culture,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 active experiences focusing on the emotion and logic as well as the exhibition space equipped with the unlimited creativeness without falling behind the era. The special exhibition space of Science Museum can overcome the limit of permanent exhibition by planning various exhibitions of themes or the social trend which have not been accommodated by the permanent exhibition and of which are not easily accessible to public, and also demonstrate the autonomy and flexibility in the aspect of theme, direction and composition. Thus recently, the necessity of exhibition space for creative planning is increasing. From this aspect, in this paper, we selected each representative science museum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carried out the analysis and comparison for the temporary exhibition case type based on several factors to be considered. First, we arranged the frame of basic study through the study of related documents, and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we secured the analysis criteria and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temporary exhibition, which is performed in the selected science museum, through the internet site and blog. In summary of the case analysis carried out in this study, in the science museum of Korea, there was mainly the temporary exhibition which covers the experiences together with viewing and the exhibition theme still stays in the basic frame. On the contrary, in the science museum of Japan, it holds the active and unique temporary exhibition using different themes based on the experience rather than viewing. In addition, as the rotation rate of exhibition period is fast, it holds the temporary exhibition mixing with various themes.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contents, we propose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exhibition of our science museum as follows: First, diversification by theme of temporary exhibition Second, establish the system through the enhancement of network of each science museu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st Third, plan the active exhibition contents that the visitors can enjoy dominantly and that helps the re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a basic foothold to face the matters of our science museum for the improvement and establish the progressive plan for the future, and will help to establish the future desirable direction for our science museum which is relatively behind compared to the advanced countries. Finally, as this study examined only the science museum of Korea and Japan, it was not suitable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emporary exhibition of general science museum of each country. However,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a guide among the studies for temporary science exhibition emerging recently and thus the newer and more various studies will follow continuously.

      • KCI등재

        자연사 특별기획전의 차별화된 전시기획 및 연출전략 연구 - 국립부산과학관 특별기획전 ‘다이노소어展’을 중심으로-

        김도연,김철기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3

        연구배경 ‘공룡’은 표본 및 움직이는 모형 전시물 중심의 대표적인 자연사 전시 주제이다. 과학 사료 측면에서 희소성이 높고 대중에게 흥미로운 주제인 만큼 국내 다수의 과학관과 자연사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공룡전시를 특별기획전으로 개최하여 관람객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기존 자연사 전시와는 차별화된 기획과 연출전략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룡이라는 전시주제와 특별기획전이라는 전시 형태에 초점을 두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시주제(공룡) 및 자연사 전시의 특성, 자연사 전시의 주요전시 매체와 표현방법 및 유형, 자연사 전시에서의 최적화 연출요소와 효과를 살펴보았다. 국내 공룡展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차별화 요소를 도출하고 연출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실제 개최될 공룡展을 기획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물로 총 14가지의 최적화 연출전략을 5가지(표본·설명 자료, 공간구조, 체험·특수요소)로 구분하여 반영한 국립부산과학관 특별기획전‘다이노소어展’의 기획안을 최종 제시하였다. 결론 특별기획전은 콘텐츠와 스토리, 구성을 어떻게 기획하느냐에 따라 동일 주제의 전시도 관람객에게 다르게 전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상설전시관의 자연사 전시와 차별화된 전시 기획(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과정을 선보였으며, 이를 통해 특별기획전 기획 실무에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박물관 기획전시에서의 공간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안현정(Ahn Hyunj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1

        21세기 박물관이 변화하고 있다. 세계 유수의 박물관들은 유물수집과 단순감상이라는 협의의 개념에서 벗어나,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이른바 교육과 흥미가 강조된 기획전시를 통해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박물관은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미술관·박물관의 이원화라는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열린 박물관으로서의 다양한 전시기획에 스스로 경계를 지어온 것이 사실이다. 수집·보존·연구·소통(교육)·전시라는 박물관의 다양한 기능은 상호 유리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획전시를 통해 새롭고 직접적인 이슈로 거듭나야 한다.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가시화시키는 것이 사람-공간-전시물을 통한 기획전시의 ‘공간디자인’이다. 박물관의 설립초기부터 철저한 계획에 의해 설계된 상설전시와 달리, 기획전시의 공간디자인은 각각의 주제와 기획목적에 따라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획전시의 활성화는 정체된 박물관 문화를 테마 중심의 박물관, 대중들의 열린 휴식공간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 하에, 최근 실험적인 기획전시를 선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박물관을 선정하여 이들 기관의 전시 공간디자인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상설전시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박물관에서의 기획전시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그 결과, 공간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전시공간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계획이 마련되어야 하며, 전시내용을 알리기 위해 마련된 전시패널?캡션?포스터?도록?영상매체(전시보조장치)등의 활용을 넘어 현대화된 다양한 디지털매체가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museum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reformed. World’s renowned museums, breaking from the narrow concept represented by relics collection and a simple appreciation, have been turning over the place for edutainment through the temporary exhibition focusing on education and entertainment mingling with the people. Domestic museums, however, have drawn a sharp dividing line themselves in planning a variety of exhibitions as open museum which results from a dual concept as the art gallery and museum which might be derived from the Japanese ruling era. A various functions of the museum including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communication (education) and exhibition shall be rebuilt to the new and direct issues rather than separated each other. "Space Design" of temporary exhibition is what intended to effectively visualize them by means of people-space-exhibit. In contrast with the permanent exhibition which is designed based on thorough plan from the early establishment stage of the museum, a space deign of the temporary exhibition has the advantage of accommodating the diverse needs of the museumgoers depending on theme and intent. Booming temporary exhibition is expected to bring about the momentum to reform the depressed museum culture today to the people-centered open space for the people. This study, based on such assumption, is intended to view the exhibition design and the use of media at the museums which have been currently leading the experimental exhibition, thereby seeking the way of activating the temporary exhibition for the domestic museums which are heavily dependent on permanent exhibition. Consequently, in space design, a design plan focusing on interaction between exhibition space and spectators needs to be developed as well as the various up-to-date digital media, beyond exhibition panel, caption, poster and video material, shall also be introduced.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활용한 과학전시기획자의 의도에 대한 관람객의 수용도 분석: 파동물리융합전시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옥,김가형,정광훈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This study considered science exhibition as a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urator and visitors, and sought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science exhibits by exploring whether visitors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urator's intentions and messages encoded in the exhibits. To this end, the Knez and Wright Communication Model was utilized and the exhibition on the theme of wave physics was used to embod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urator and visitors.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e curator of the wave exhibition and 60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in a total of 57 video clips, how the students as a group interact with the exhibits, as well as descriptive data on 167 exhibit reports about what exhibits made an impression and its reasons to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the curator went through a feedback process in which he reinterpreted the results and introspectively suggested proposals to improve the exhibition. As a result, the degree of visitors’ recognition of the curator’s intentions and messages varied according to the exhibits, but overall it was below the level that the curator targeted. The curator reviewed the visitors’ responses and suggested specific feedback for each exhibi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hen discussed in terms of academic and practical terms. 본 연구는 과학전시를 전시기획자와 관람객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으로 간주하고 과학전시에 포함된 전시 기획자의 전시의도 및 메시지를 구체화하여 관람객의 수용 정도를 분석하고 전시기획자가 관람객의 반응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전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실질 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nez and Wright의 커뮤니케이션 모 델을 도입하고 파동물리 전시를 사례로 하여 분석하 였다. 즉, 파동물리 전시를 매체로 하여 전시기획자 (발신자)와 타겟 관람객(수신자)에 해당하는 대학생 관람객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내용을 살 펴보았다. 우선, 전시기획자의 파동물리 전시에 대한 의도 및 메시지를 구체화하여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대학생 관람객 60명은 파동물리 전시를 관람하는 과정을 동 영상으로 촬영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해당 분석 틀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관람경험을 분석하였고 이 후 전시기획자는 도출된 분석 결과를 확인하고 반성 적 제안을 하는 피드백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전시물별로 대학생 관람객의 전시의도의 수용 정도는 달랐지만 전반적으로 전시기획자가 목표 로 하는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시기획자는 피드백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개선방안 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파동전시의 개선에 실질적으로 활용되어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본 연구의 방법론은 지속적인 전시 개선을 목표로 하는 과학관에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비쿼터스 전시관의 콘텐츠 기획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복합체험매체에 의한 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이주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3

        오늘날 유비쿼터스 기술은 전시산업의 패러다임을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다. 기존의 전시관이 단일매체나 이종(異種) 매체가 단순 결합된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였다면 현대의 유비쿼터스 전시관은 디지털 네트워크기술을 활용, 다양한 정보와 하드웨어를 융합한 복합체험매체형태로 전시 콘텐츠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시를 기획하는데 있어 새로운 프로세스를 요구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전시관 콘텐츠의 분석을 통해 기존 전시관과 기획 과정상의 차별성에 대하여 정의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첫째, 기존 전시산업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고찰하고 콘텐츠 기획 프로세스에 대해 정의하였다. 둘째, 유비쿼터스 전시관의 개념고찰과 특성분석을 통해 현대 전시관의 상호작용과 융합현상에 대해 정의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으로써 가장 최근에 개관한 유비쿼터스 전시관 티움(T.um)의 콘텐츠와 기획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나리오개발, 관람객의 콘텐츠 체험흐름 계획, 매체구성 계획 및 매체별 세부콘티 제작단계로 유비쿼터스 전시관의 콘텐츠 기획 프로세스를 정의할 수 있었다. Nowadays, the ubiquitous technology is changing the paradigm of exhibitions rapidly. While established museums have delivered information by contents which are produced with single or simply integrated media, contemporary ubiquitous museums have communicated by new contents which are consisted with converged data and hardwares. As the result of the convergence, A museum designer is needed to establish a new planning process. For further research, the overall process of existing exhibitions is examined and the notion of the contents planning is defined by this research. The second, the interaction and convergence phenomenon in contemporary museums are defined by inquiring the concept of ubiquitous museums and analyzing special qualities. Lastly, contents and planning process of T.um are analyzed as a case model. By the proceeding research, the process of producing ubiquitous museum contents is established with 4 steps; to develope a scenario, to set up the flow of experiencing contents, to plan the integration of media, and to produce the continuity in detail.

      • KCI등재

        과학관 전시공간의 기획에 관한 연구 : 체험형 전시공간 연출을 위한 기획요소 및 단계별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우상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2

        과학관 전시의 근저에는 과학과 인간 그리고 사회와의 유기적인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 과학관 전시는 과학기술의 진보가 인류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결정체임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미래의 과학기술이 나아가야할 방향도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측면에서 깊고 폭넓은 인식과 합의 속에서 조절되어야함을 보여주어야 한다. 오늘날 다양화 되는 과학관은 그 수요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전시공간의 연출방법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첨단매체의 도입으로 전시 효과도 극대화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연출의 기획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전시연출 기획에 관한 전문성 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본고는 과학관 전시공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시구성요소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전시공간연출을 위한 기획의 프로세스를 연구하였다. The exhibition of science museum is based on science associated with human-being and society. It need to show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men. In addition, it must show the way of upcoming scientific technology related to human society and be adjusted in a wide range of deep awareness and consensus. Today we are growing to demand various science museum. There are many way of exhibition space planning using high-tech media. It helps to maximize the exhibition effect. Nevertheless, study on the planning of exhibition is not enough to find. Depending on this background this paper is studied the process of planning exhibition space in science museum .

      • KCI등재

        그레마스의 생성행로를 적용한 전시 『불불불불』의 기호학적 연구

        박계연 ( Park Gye-yeon ),김영남 ( Kim Young-nam ) 한국기호학회 2024 기호학연구 Vol.77 No.0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기획 과정에서 발견되지 않은 의미나 이미 드러난 의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그레마스 기호학을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그레마스의 생성행로는 다양한 현상의 의미 구조 분석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유연한 분석 틀이나, 전시기획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활발히 활용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기획자로 참여한 전시 『불불불불』 주제의 모티브가 된 법화경 ‘불타는 집’의 서사, 전시공간인 ‘호랑가시나무창작소’(이후 ‘창작소’), 그리고 최종적으로 구축된 ‘전시’라는 세 가지 텍스트의 의미 구조를 비교·분석한다. 분석 결과, 법화경 ‘불타는 집’의 서사와 ‘창작소’는 각각 전시의 심층의미, 표층의미와 연관성이 크며, 전시 『불불불불』의 의미는 분절적, 다층적으로 생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전시장이 아닌 주거 공간이라는 점으로 인해 제약으로 여겨질 수 있었던 ‘창작소‘가 단순히 집이라는 ‘주어진 환경’이 아니라 내재적 구조를 통해 전시 자체의 의미를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중요한 요소였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기획 분야에서의 기호학적 접근이 전시 텍스트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만들어 전시 효과를 확대할 수 있는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ew interpretations for meanings that were either unrecognized or already evident in the exhibition planning process through Greimas’ semiotics. Although Greimas’ generative trajectory provides a flexible analy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tructures of meanings in various phenomena, it has not been actively utilized in the field of exhibition planning.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meaning structures of three texts related to the theme of the exhibition 『FFFFIRE』: the narrative of the “Burning House” from the Lotus Sutra, the architectural space of the exhibition at “Horangasinamu Creative Stud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udio”), and the exhibition itself as the final construct.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narrative of the “Burning House” and the Studio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xhibition’s deep and surface levels, respectively, and that the meanings of the exhibition 『FFFFIRE』 are generated in a segmented and multilayered manner. Furthermore, this study specifically highlights that the Studio, which could have been perceived as a limitation due to its nature as a residential space, is not merely a ‘given environment’ but a crucial element that can enrich the meaning of the exhibition itself through its intrinsic structures. It is hoped that this semiotic approach to exhibition planning will serve as a valuable framework for enhancing the richness and dimensionality of exhibitions, thereby increasing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Alter-Modern의 관점에서 본 1990년대 이후 전시 현황의 전환 분석

        백다은(Back, Da E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1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2

        전통적 전시 개념은 1990년을 기점으로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옌스 호프만(Jens Hoffmann)은 전시기획의 관점이 이전과 달리 새롭고 다양해진 것이 1990년대 초부터 이며, 이러한 변화는 공산주의의 붕괴와 국제화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의 폭발적인 증가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다. 니꼴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는 이 전환의 시기를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다문화주의 시대로 파악한다. 부리오는 서로 다른 시간들의 만남으로 인해 이시성(heterochrony)이 나타나고, 탐험의 자유와 번역이 흔하게 일어나며 서구권에 의해 서가 아닌 비서구권의 위치에서 나타나는 대안적 모더니즘인 얼터모더니즘(altermodern)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1990년대부터 전시기획의 방향은 극적으로 전환하게 된다. 공간적 측면에서 닫힌 공간(White Cube)에서 열린공간(Open Sites)으로, 전시기획 주체의 측면에서 창작자(artist)와 기획자(curator)의 경계가 사라지고, 전시기획 내용 측면에서 이전 시대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관심사가 다루어진다. 이에 본 논문은 1990년대부터 뚜렷이 변화된 양상을 보여주는 전시 현상을 살펴보고 니꼴라 부리오의 얼터모더니즘(altermodern)의 관점에서의 전시 사례와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박물관, 미술관의 소장품 관리와 전시 운영방식의 전환을 미술작품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서부터 추적하여 급변하는 미술관, 박물관의 경영방식을 예측하는데 이 논문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전시분석 대상은 1990년대 이후 여러 영향력 있는 전시 중에서 특히 전환의 특징을 선명하게 보인 4가지 전시 사례를 표본으로 분석하고, 부리오의 얼터모더니즘 관점에서 그 함의를 이해하고자 한다. 전시의 전환 특징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전시는 다음과 같다.: 하랄트 제만(Harald Szeemann)의<머리로 사는 방식: 태도가 형식이 될 때 : 작업-개념-과정-상황-정보 (Live in Your Head. When Attitudes Become Form: Works-Concepts-Processes-Situations-Information 1969년) >,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Hans Ulrich Obrist)의 <Do it(1993-)>,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가 중심이 되어 기획한 <프리즈(Freeze)1988년>, 그리고 프레드 윌슨(Fred Wilson)의 <마이닝 더 뮤지엄( Mining the Museum)1993년> A new wave, which breaks the traditional way of presenting exhibitions, had been emerged since 1990. According to Jens Hoffmann, these trends have started to become popular from the early 1990s in coincides with the collapse of communism, globalisation, and rapid growth of digital media. Nicolas Bourriaud recognised this phenomenon of transitions as a multicultural era after post-modernism of which, he argued that heterochrony appeared due to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times, and more freedom in travel and translation made alternative alter-modernism appeared from Non-Western countries. The direction of exhibition planning had been dramatically changed since 1990s. In terms of the space, the use of the exhibition space had been shifted from inside (e.g., White Cube) to the outside, and in terms of the subject, the boundaries between and curators had started to become more ambiguous. Also, artists started to deal with various themes and subjects that had never been dealt in the pas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observe the noticeable changes in exhibition trends that have appeared since the 1990s and to analyse looking through examples of various exhibitions and the characteristic from Nicolas Bourriaud’s Alter-Modernism perspectives. Moreover,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predicting the rapid changes in the management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by tracing back from the changes of interests in artworks from the operation and their collection. Amongst the many influential exhibitions since the 1990s,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d on analysing four exhibitions that clearly showed the transi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seek to understand implications from Nicolas Bourriaud’s Alter-Modernism perspectives. These are the examples of exhibitions that were presented in this paper.; <Live in Your Head. When Attitudes Become Form: Work-Concepts-Processes-Situations_Information, (1969)> by Harald Szeemann, Do it (1993-)> by Hans Ulrich Obrist, <Feeze (1988)> that was curated by Damien Hitst, and, <Mining the Museum (1993)> by Fred Wil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