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공간 선택속성이 전시공간 관람객의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산 산림자연사박물관”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최길흥,장광집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selection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and their relation with the visito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exhibition panel factor, exhibition caption factor, space composition factor, exhibition presentation factor, and exhibition space characteristics were established as the selection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and were divided into visito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en, their influence factors and relation were empirically analyzed, and data was collected using ‘survey method’ for 30 days from May 1st to May 30th, 2015. A total of 400 copies of surve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90 copies were collected. Among them, 8 copies with missing survey questions or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82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data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5 factors of the selection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suggested in this research, were verified to have an organic influence on the use satisfaction of exhibition space and intention to revisit by visitors. This indicates that the bigger the influence of exhibition panel factor, exhibition caption factor, space composition factor, exhibition presentation factor, and exhibition space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exhibition space visito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would be. Second, among the visitors' selection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space composition factor and exhibition presentation factor were demonstrated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visitors' us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space composition factor and exhibition presentation factor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order to increase exhibition space visitors' use satisfaction. Third, it can be interpreted from the relation between exhibition space visito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at the higher the use satisfaction of visitors,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revisit. 본 연구는 전시공간의 선택속성과 관람객의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시패널 요인, 전시캡선 요인, 공간구성 요인, 전시연출 요인, 전시공간 특성으로 설정하고, 관람객 이용만족과 재방문의도로 구분한 후 이들의 영향요인과 관련성을 실증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으로진행하였으며, 수집 기간은 2015 년 5 월 1 일부터 5 월 30 일까지 30 일간이였다. 설문지는 총 400 부를 배포하여390 부를 회수하여 그 중 설문 문항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8 부를 제외 하고, 382 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시공간의선택 속성 5 가지 요인들은 전시공간 이용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모두 유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됨으로써, 전시공간의 전시패널, 전시캡선, 공간구성, 전시연출의 요인들의 영향이 클수록 전시공간 관람자들의 이용만족과 재방문 의도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전시공간의 관람객 선택 속성 요인중 관람객 이용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미치는 요인은, 공간구성요인과, 전시연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시공간 관람객 이용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간구성, 전시연출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전시공간의 관람객 이용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은 관람객의 이용만족이 클수록 재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복합화 시설 경향에 따른 지역대표도서관의 전시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최준혁 ( Choi Jun-hyuc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9 전시디자인연구 Vol.16 No.1

        오늘날의 공공 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시설로서 다양한 기능의 복합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가 요구하는 필요성에 의해 공공도서관도 요구와 다양성 있는 변화를 가져 왔으며 사회가 가진 문화를 축척하고 보존하여 사회 구성원간의 소통체계를 형성하며 동시에 문화시설의 하나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6개 지역대표도서관을 선정하고 필드조사를 통하여 이들에 나타난 전시공간의 규모, 전시내용, 전시 공간 구성과 활용 특성에 대해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 국내지역대표도서관에서는 전시 공간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연면적의 1.5% 수준에서 면적을 구성하고 있다. 둘째, 기획전시 중심의 전시 공간 활용을 통하여 보다 시민들에게 친숙하고 다양성 있는 전시 프로그램을 운영되고 있다. 셋째, 공간구성적인 측면에서 전시공간은 가장 접근성이 좋은 1층에 배치되고 있다. 넷째, 전시 다양성을 고려한 보다 적그적인 공간 구성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 다섯째, 적극적인 형태의 다양성 있는 전시 공간 운영과 구축이 필요하고 이를 통하여 문화서비스라는 역할에 대한 확장된 기능 설정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의 문화교육 부문 중에서 전시 공간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공간 규모 및 공간구성, 도서관에서 전시공간의 활용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도서관에서의 전시 공간에 대한 역할과 적정 규모 수준에 대한 범주설정, 공간 구성의 방향성에 관한 기초 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Today's public libraries are public facilities aimed at local people and are multi-functional. Because of the need demanded by society, public libraries have also brought demands and diversified changes, and by accumulating and preserving the culture that society has, they form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members of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they play a function and role as one of cultural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present situation of cultural education section of library is investigated with exhibition space centered on exhibition space, and through this research,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in library are the basic data on the role of exhibition space in library and the orientation of space composition.

      • KCI등재

        전시 공간의 인터랙션 특성 연구- 상업·비상업 전시 공간 특성 비교 -

        김새록,이돈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현대인은 기존의 단순히 잘 만들어진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넘어 즐거움, 놀라움, 슬픔과 같은 감정의 경험을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느끼기를 원한다. 이러한 바람은 공간의 패러다임도 변화시키게 되었다. 물리적인 공간에서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경험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매개체로 공간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와의 인터랙션을 경험할 수 있는 전시 공간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 비상업 전시공간과 상업 전시공간으로 나누어 분석을 하여 전시 공간디자인에서의 인터랙션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이론정리 및 사례분석으로 진행하며 이를 토대로 평가 모형을 만들어 인터랙션이 전시 공간에 적용될 때, 공간과 사람 사이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적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 공간 인터랙션 디자인의 핵심 특성인 사용자, 공간, 경험을 통해 비상업 전시공간과 상업 전시공간의 인터랙션 표현 특성에 있어 이용객의 경험창출 요소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평가항목에 따른 분석결과, 인터랙션이 적용되어진 전시 공간 모두 시각적 요소를 활용한 적극적인 몰입을 통해 행위유발을 유도할 수 있었다. 비상업 전시의 경우 이용객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의미를 해석하고 연출해 보려 노력할 수 있지만, 상업전시의 경우 전달자의 의도된 경험이 확실히 나타나므로 개인의 경험과 생각에 있어 제한적이었다. 또한 비상업 전시에 비해 빠르고 강하게 이용객과의 상호작용을 꾀하려 하는 등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의 발전과 트렌드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감성욕구에 부합하는 인터랙션기반의 전시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활용방법들의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modern man wants a new experience which maximizes experience of emotion like happiness, surprise, and sadness exceeding the existing simply well-made functional and physical hardware. Such wish also changed the paradigm of space. Space began to be used as the medium of interac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 user in a physical space can be felt.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duce the characteristic of interaction in exhibition space design through observing exhibition space design cases in which the interaction with the user can be experienced and analyze by dividing to noncommercial exhibition space and commercial exhibition space. For this, thi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through theory summarization and case studies, and based on this, makes an evaluation model henc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al expression between space and human when interaction is applied to exhibition space, and analys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r’s experience creation between noncommercial and commercial interacti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r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which are user, space, and experience. As a result of research according to evaluation items, it was possible to induce behavior through active immersion utilizing visual elements in all exhibition spaces to which interaction was applied. In the case of noncommercial exhibition, each user can interpret and present the meaning in a variety of ways, commercial exhibition was restrictive in terms of the individual’s experience and thought because the communicator’s intended experience certainly appear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differences such as plann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quicker and stronger than noncommercial exhibition. Research of a variety of utilizing methods of interaction-based exhibition space design that coincides with the user’s emotional desir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end change is expected.

      • KCI등재

        상설전시공간 전시대 유형분류에 의한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의 박물관과 전시관을 중심으로 -

        김동식,이상호,김미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상설전시공간에 있어서 전시대의 형태유형을 현황 조사 분류하고 분석하여 상설전시공간에 대한 기초적인 참고 자료로서 사용되고자 한다. 상설전시공간 전시대를 현장 조사하여 현황을 먼저 파악한 후 내부 전시 형태유형을 분류한다. 일차적으로 ‘입면’, ‘단면’, ‘평면’ 형태유형별로 각각 분류하며, 또한 이를 형태유형, 배치, 분리 등의 요소에 따라 세부적인 틀을 정한 명칭으로 이차적인 분류를 한다. 조사지역은 국내 소재 박물관 만족도가 제일 낮은 동남권에서 제일 큰 도시인 부산광역시로 정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총 40곳의 상설전시공간에 있는 전시공간의 전시대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1, 2차 나누어진 형태유형별 전시대는 다시 ‘시대적’, ‘연면적’, ‘주요전시물’에 따라 분류하여 통계 및 분석을 하였다. 이는 곧 일반인들에게는 효율적으로 문화상설전시공간에 대한 이해를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디자이너들에게는 관람객 중심의 전시로 변화하고 있는 상설전시공간의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reference guidelines for interior prototypical characteristics exhibition structures of museums and exhibit halls as permanent exhibition spaces. Firstly many different types of exhibition structures were classified as elevational, sectional, planar shapes after visiting actual exhibition spaces. Secondly each exhibition structure was named by additional detail shapes such as special form, layout, division, etc. The research was mainly focused on forty different permanent exhibition spaces in Busan because evaluation of user’s satisfaction is very low points compared with other cities in Korea. Lastly exhibition structures were classified in a different way in order to analyze by a period, size, and main exhibition contents. Therefore it would be greatly helpful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understanding currently well used types of exhibition structures in permanent exhibition spaces as well as designing advanced exhibition spaces as designer’s point of view after realizing users preference along with satisfaction values.

      • KCI등재

        사물인터넷의 적용과 현대 미술관 전시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근우,박상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art galleries are turning into a "communication hall" with a space of visual appreciation for artworks. Art galleries in modern society have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to the expanded function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Because of its extended functions, art museum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hey have also brought about changes in space and role. The space division of changed art museums can be divided into exhibition spaces, education spaces, work spaces, and public spaces, and art galleries make efforts to improve visitors' needs and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space utiliz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us organize and utilize the space for visitors in the fu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role of space for visitors and the communication behavior that occurs in each space.(Method) The main body and type of communication behavior that occurs in the museum space were investigated and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Harbormas was stud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levance of feasibility-based communication behavior in each space was identified and concluded by applying the space role of each museum.(Results) The space of an art museum appears as an exhibition space for meaning transfer, an education space for meaning production, a work space for operational support, and a public space where interaction takes place. Spaces with such a role will satisfy visitors through their communication with them, and art galleries must communicate with visitors based on their respective validity to give them satisfaction. The validity on which the basis of wartime spatial communication behavior is found to be the objective truthfulness, social justification, and validity on which educational spatial communication conduct is based is objective truthfulness, the validity on which work space communication activity is based has been identified by subjective truthfulness, and understandability among the validity is found to be common in all spaces.(Conclusions) Today the public calls for cultural enjoyment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through art galleries, and we believe that these demands can be addressed through communication in art galleries. Art galleries are changing a lot due to their expanded function, but most of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in museum space are thought to be slight The Museum of Contemporary Social Art will be established as a space of diverse entertainment, or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s well as visual attraction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havior will grow. Therefore, I believe that there should be a qualitative improvement in better communication behavior along with each other's space roles regarding communication behavior in art museums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기술변화는 대중들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기술의 변화는 대중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질적 향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문화적 향수를 불러오고, 향유를 누리게끔 유도하고 있다. 문화예술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는 미술관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변화를 하고 있다, 특히 IoT분야의 급진적 발전으로 새로운 디바이스의 등장을 가져왔고 많은 보급을 가져왔으며, 미술관은 관람객의 예술작품 감상을 위해 사물인터넷을 적용,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관의 전시공간에 관람객을 위한 IoT디바이스 적용이 정보전달과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의미하는 바를 연구하고 나아가 미술관 전시공간에 또 다른 과학기술의 도입과 변화하는 미술관의 공간구성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의 적용으로 변화하는 미술관 전시공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물인터넷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미술관 전시공간이 갖는 의미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변화하는 전시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전시공간의 사물인터넷 적용 의미를 정리 하였다. (결과) 미술관의 전시공간은 과거와 달리 예술작품과 함께 경험하고 체험하는 공간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기술의 변화가 예술작품에도 응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과거 페인팅과 조각 등의 순수 미술의 전시를 주로 기획하였던 미술관은 변화하는 예술작품의 전시를 기획하기 시작 하였다. 인터렉티브 아트, 사물인터넷 아트 등의 과학기술이 응용된 예술작품들이 다양하게 나오면서 미술관의 전시공간도 변화하게 된다. 벽, 천장, 바닥으로 이루어졌던 화이트큐브의 전시장은 가변형, 개방형 등의 다양한 전시공간을 연출하며 예술작품을 전시한다. 변화하는 전시공간은 관람객과의 정보전달과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또 과학기술의 발달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적용한 전시해설매체가 등장하게 되었고, 전시의 체험 또한 확대되게 되었다. 변화한 공간에서 발생하는 정보전달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하여 관람객들에게 전달되며, 전달된 정보를 통하여 상호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적 영향으로 미술관의 전시공간은 변화하게 된다. (결론) 과학기술의 변화로 바뀌어 가는 미술관의 전시공간은 사물인터넷의 적용으로 관람객에게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와 계획적이고 다양한 관람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예술작품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활발한 상호작용을 이룰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로 인하여 관람객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사용으로 인하여 관람객의 관람행태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종사자(운영자)입장에서 관람객을 위한 질 좋은 서비스와 미술관의 전체적인 운영에 있어 많은 도움이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전시 공간의 실감 미디어 연구 경향에 관한 분석

        최우승,김지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전시 공간에서의 실감 미디어 도입은 관람객의 몰입 경험을 극대화하고 학습 효과를 높이며, 전시에 대한 만족도를 증대시킨다. 이 기술은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며 전통적인 전시 방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예술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전시 공간 디자이너는 관람객의 몰입 환경을 조성하여 전시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고 전시 공간은 단순한 정보 제공의 장소에서 참여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변모한다. 실감 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관람객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디자이너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관람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몰입할 수 있는 공간을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시 공간에서 실감 미디어의 다양한 활용 방안과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시 기획과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국내 학술지 논문 중 KCI에 등재된 논문으로 선정한다. 둘째, 연구의 대상은 전시 공간을 중심으로 하며 전시 공간에 포함되는 체험전시와 박물관까지를 범주로 한다. 셋째, ‘실감 미디어’와 ‘실감 콘텐츠’를 주요 키워드로 설정하고, 키워드를 포함하는 국내 학술 논문 중에서 전시와 박물관 연구에 직접적인 목적이 있는 논문들을 선별한다. 키워드 외의 다른 공간이나 실감 미디어 및 실감 콘텐츠 연구가 부족한 논문은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런 기준에 따라 49건의 적합한 논문을 선정한다. 넷째, 논문 분석은 연구 시기, 키워드 분석, 연구 대상, 연구 유형, 실감 콘텐츠 유형 분류 분석으로 진행하여 분석 결과를 종합한다. (결과) 2020년 이후 전시 공간과 박물관에서 실감 콘텐츠와 실감 미디어 분야의 연구가 증가했다. 이는 비대면 산업의 성장과 VR/AR 기술 관련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보인다. 사용자 경험과 몰입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전시 공간과 박물관이 연구 대상의 주된 장소로 나타났다. 연구 유형으로는 기본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응용 연구와 프로젝트 연구의 활발한 진행이 필요하다는 점이 나타났다.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의 기술적 유형과 개인장비 착용 형태의 서비스 유형의 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실감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실감 미디어 및 실감 콘텐츠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역할과 중요성이 확대된 점에 주목하였다. 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문화와 예술 분야에 큰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특히 전시 공간은 실험적이고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맥락을 갖추고 있어 미래의 일상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기술과 예술의 융합이 진행되며, 관련 기술과 기법의 발전으로 새로운 감각과 자극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실감 미디어와 콘텐츠의 역할과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Background and Purpose) Immersive media in exhibition spaces boosts visitor engagement, enhances learning, and increases exhibit satisfaction. This technology drives digital innovation and enables new artistic expressions beyond traditional methods. Designers can meet exhibit objectives by creating immersive environments that transform spaces from mere information sites to centers of active participation. As immersive media technology advances, visitor demands diversify. Designers need to understand and meet these needs by creating engaging spaces. This study explores immersive media applications in exhibition spaces and suggests new directions for exhibition planning and design. (Method) First, select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indexed in KCI. Second, the research subjects will focus on exhibition spaces, including experiential exhibitions and museums within these spaces. Third, set 'immersive media' and 'immersive content' as the main keywords, and select domestic academic papers that directly focus on exhibitions and museum research among those containing these keywords. Papers that focus on spaces other than exhibition spaces and museums, or that lack research on immersive media and immersive content, will be excluded from the analysis. Based on these criteria, a total of 49 suitable papers will be selected. Fourth, the analysis of the papers will be conducted by examining the research periods, keyword analysis, research subjects, research types, and classification of immersive content types, and then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Since 2020, research in the fields of immersive content and immersive media in exhibition spaces and museums has increased. This trend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growth of the contactless industry and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VR/AR technologies. Studies mainly focus on user experience and immersion, with exhibition spaces and museums being the primary research subjects. Most of the research consists of basic studies, indicating the need for more active applied research and project studies. It was observed that studies on technological type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as well as service types involving personal equipment, occupy a significant proportion. (Conclusions) This study notes the expanding role and importance of immersive media and content as the development of immersive technologies accelerates and their consumption increases. Advancements in media technology are bringing significant changes to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 Exhibition spaces, in particular, are well-suited to embrace experimental and new technologies, playing a crucial role in shaping future daily life. Recently,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has been progressing,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techniques, and introducing various methods to convey new sensations and stimuli. These changes highlight the expanding role and importance of immersive media and content.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공간 분석

        김예람,채정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며 전시공간이 늘어나는 요즘, 전시공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전시공간의 정량적 분석에 있으며, 나아가 직관적인 학예사의 전시계획과 공간이 갖는 정량적인 수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전시계획에서의 기준점이나 참고사항을 제시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한슨과 힐리어의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전시공간의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값으로는 연결도, 통합도, 명료도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사적 전개가 필요한 국내 전시공간인 <국립민속박물관>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대상으로 공간구문론 분석을 시도한다.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평면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을 적용한 정량적인 공간 분석을 한 후 실제 전시공간과 비교하여 전시 내러티브의 흐름과 공간구조가 일치하는지, 전시 콘텐츠의 배치가 적절한지에 대해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전시공간에 대한 제안점을 도출하려 시도한다. (결과) 국립민속박물관을 공간구문론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 개의 전시실 모두 전시 후반부의 한 단위공간에서 연결도가 가장 높고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통점이 있었다. 각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하였을 때 1전시실은 배치의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었으며, 2전시실은 동선의 유도가 필요한 구역이 있었다. 3전시실은 전시물의 배치와 동선이 적절하여 관람에 어려움이 없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시대의 흐름에 따른 전시계획으로 인해 전시공간 전반적으로 연결도가 낮았으며, 국립민속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을 한 결과 1,2,3전시실의 경우 전시실의 주제와 통합도가 높은 공간이 일치하여 관람객 입장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기 수월하였다. 반면 4전시실의 경우 다른 전시실보다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통합도가 높은 공간에서 5개 이상의 산만한 콘텐츠가 배치되어 시정이 필요해 보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 분석 결과로 나타나는 정량적 계수를 참고하여 박물관 전시공간의 현황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분석 관점을 모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자가 혼란스럽지 않게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전시구조와 전시내용의 짜임에 연결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전시공간은 초기의 계획과 설치도 중요하지만, 사후검증이 더해져서 연구자들의 제안점을 부분수정으로라도 개선해 나갈 수 있다면 상설전시가 일반적인 박물관의 전시능력을 높여 더욱 더 향상된 전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light of increased demand for culture and the bourgeoning number of exhibition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museum' exhibition spaces.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analyze the space syntax of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Further, its ultimate goal is to present evaluation or reference points for future exhibition plans by comparing curators’ intuitive exhibition plans with quantitative measures of space.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xhibition spaces at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Hanson and Hillier’s space syntax theory. Some of the values that can be obtained using space syntax theory are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Result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patial syntax of the National Folk Museum, all three exhibition rooms had the highest connection and the highest degree of integration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This was also true of one unit space at the end of the exhibition. When compared with the original state of each exhibition room, the first exhibition room needed to change its layout, and the second exhibition room had areas requiring circulation guidance. The third exhibition room had no issues,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s circulation were correc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exhibition space’s overall level of connection was low. This is due to the exhibition’s planning, along with contemporary trends at the time of completion. The integration value of the exhibition’s middle section was high, just like the National Folk Museum.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exhibition room stat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hibition spaces complemented the exhibition room, and had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This made it easier for visitors to receive information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exhibition room, over five contents were scattered in an otherwise highly integrated space. This was true even though it was smaller than other exhibition rooms, a fact which seemed to require correc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appl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tical perspectiv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exhibition space in museums. I accomplished this by referring to quantitative coefficients resulting from an analysis of space syntax. While early planning and installation of exhibition space is important, I think long-term exhibitions can provide even better displays by enhancing the capacity of a typical historical museum. This is especially true if post-verification is added, and partial modifications can be improved.

      • KCI등재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공간미디어아트 전시 연구 – 배재학당 디지털 복원 전시‘영원한 마음의 고향; 배재학당’전 을 중심으로 -

        이태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현대의 디지털 분야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인간 사회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예술이나 디자인과 같은 표현의 특성을 가진 분야는 디지털 기술과 직접적인 영향 관계에 있기에 더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표현 기술 중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은 공간이나 대상물에 영상 매체를 투영하는 방식으로서 관람객에게 새로운 시각적, 공간적 인지를 할 수 있게 하고 가상의 세계를 경험하게 하면서 점점 발전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을 활용한 공간 복원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역사적 사실과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공간 복원 작업을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미디어아트를 통해 시각적이고 공간적으로 체험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로 복원한 역사 속의 공간을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을 활용하여 공간미디어아트로 표현한 전시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울시 중구 정동에 있는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의 1층 기획전시실의 전시공간과 공간미디어아트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공간미디어아트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프로젝션 맵핑의 국내와 해외 사례를 조사하여 공간미디어아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전시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셋째,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공간미디어아트의 실제 적용 프로젝트로서 배재학당 디지털 복원 전시 ‘영원한 마음의 고향; 배재학당’ 전을 계획하고 조성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로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공간미디어아트 전시를 완성하였다. 전시를 통해 첫째, 배재학당의 역사를 공간미디어아트로 표현하여 근대교육과 복음화에 힘쓴 아펜젤러 선교사를 추모하고자 하였다. 둘째, 서울시 중구 정동에 자리 잡았던 배재학당의 연대별 도시와 건축의 변화 과정을 디지털로 복원하였다. 셋째, 현재 고덕동으로 이전하여 사라진 옛 교정을 디지털로 복원하여 관람객들에게 역사 속 공간을 경험하게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하여 관람객이 디지털로 복원한 과거의 공간을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관람할 수 있는 전시 방식 실현에 중점을 둔 것이다. 전시는 첫째, 역사와 장소를 활용한 공간미디어아트를 경험하고 실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적용된 가상공간을 실감 나게 경험할 수 있다. 둘째, 공간미디어아트가 포함하고 있는 역사를 배경으로 한 시나리오는 관람객에게 단순히 시각적 재미나 흥미를 주는 것을 넘어 교육적 차원에서도 좋은 효과를 준다. 셋째, 역사 속 공간을 디지털로 복원하여 체험하게 함으로서써 사라진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 결론적으로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공간미디어아트는 창의적인 표현 방식과 미래 전시 방식으로서 큰 가능성이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dern digital field influences society as a whole and has important value for human society. Fields with expressive characteristics, such as art and design, are treated with importance because they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digital technology. Among these digital expression technologies, projection mapping is a method of projecting video media onto space or objects, and is evolving as it allows visitors to have new visual and spatial perceptions and experience a virtual world. Recently, space restoration research using digital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nd the purpose is to enable digital restoration work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scenarios to be experienced visually and spatially through media art using projection mapping.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an exhibition in which digitally restored historical spaces were expressed as spatial media art using projection mapping. (Method) This study targets the exhibition space and spatial media art works of the special exhibition room on the first floor of the Pai Chai Hakdang History Museum in Jeong-dong, Jung-gu, Seoul. As a research method, first, spatial media art using projection mapping was investiga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by investigating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projection mapping, we broadened our understanding of spatial media art and set the direction of the exhibition. Third, as a project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patial media art using projection mapping, the Pai Chai Hakdang digital restoration exhibition ‘Hometown of the Eternal Heart; Pai Chai Hakdang’ was planned and crea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spatial media art exhibition using projection mapping was completed. First, through the exhibition, we wanted to express the history of Pai Chai Hakdang through spatial media art to commemorate missionaries Appenzeller who worked hard on modern education and evangelization. Second, the process of urban and architectural change over time at Pai Chai Hakdang, which was located in Jeong-dong, Jung-gu, Seoul, was digitally restored. Third, the old campus, which has now disappeared due to its move to Godeok-dong, was digitally restored to allow visitors to experience a space in history. (Conclusions) This study focuses on realizing an exhibition that allows visitors to view digitally restored spaces in a new and diverse way using projection mapping. First, the exhibition allows you to experience spatial media art that utilizes history and place, and to realistically experience a virtual space that applies the concepts of actual time and space. Second, scenarios based on history included in spatial media art not only provide visual fun or interest to visitors, but also have a great educational effect. Third, lost memories can be revived by digitally restoring and experiencing historical spaces. In conclusion, spatial media art using projection mapping has great potential as a creative expression method and future exhibition method.

      • KCI등재

        소규모 전시관 및 지방의 문화 소외 지역의 전시 공간 선진화 연구 -인공지능(AI) 기술과 실감 콘텐츠 전시 기법을 중심으로-

        이근우,김동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그동안 문화적으로 소외된 지역에서는 예술 작품을 접할 기회가 제한되었으며, 소규모 전시관은 공간과 예산 등의 제약으로 전시 대상의 종류가 한정적이었다. 그러나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유물이나 예술 작품의 디지털화는 문화 예술 전시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전시공간에서도 활용될 기회가 많다. 예를 들면, 콘텐츠 추천, 사용자 경험 개선, 실시간 인터랙티브 콘텐츠 생성 등에 활용된다. AI 기술이 적용된 전시공간은 관람객에게 개인 맞춤형이고 참여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전시공간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전시 작품의 디지털화는 각 관람객의 개별적인 경험에 맞춘 전시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맞춤형 경험은 관람객이 전시 간과의 상호작용을 더 깊이 있게 체험하게 하여, 전시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앞으로 이와 같은 신기술이 다양한 전시공간에 적용되어 그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이 논문에서는 실감 콘텐츠와 미디어아트 전시 방법을 활용하여 제한된 전시공간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작품의 재해석과 관람 경험의 다양화를 탐구한다. 기존의 정적인 전시 방식을 디지털화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작품의 배경적 요소와 작가의 창작 스토리를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전시 기회를 제안한다. 앞으로 적용될 지역과 소규모 전시공간에서 관객의 관람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시 컨셉과 기술적용 방안을 탐색한 뒤, 인공지능과 실감 콘텐츠 활용의 확대를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결과) 지역 및 소규모 전시공간은 종종 위치, 예산, 인력, 인지도 등의 제약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제약은 기존의 작품 임대나 구매를 통한 전시 방식으로는 극복하기 어렵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전시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특히, 실감 콘텐츠는 젊은 세대에게 큰 매력을 가지며, 최신 기술을 접목한 전시는 기존 방식으로는 관심을 끌지 못했던 새로운 관람객을 끌어들이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지역 및 소규모 전시공간에서 디지털화된 콘텐츠의 전시는 관람객의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예술 작품의 이해를 깊게 한다. 이러한 전략은 전시공간이 새로운 관객층을 유치하고 예술을 보다 넓은 대중에게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감 콘텐츠의 활용은 개인의 관심사와 선호도에 맞춘 맞춤형 전시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관람객의 반응과 선택에 따라 콘텐츠가 변화하며, 이는 각 관람객에게 개별적인 이야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개인화된 경험은 관람객에게 더욱 의미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전시에 대한 개인적인 연결감을 강화한다. (결론) 앞으로 지역의 소규모 사립 박물관들은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으로 인한 장기적 휴관, 전문 안내 인력이나 학예사의 부족과 같은 다양한 도전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콘텐츠로 구성된 전시공간에서의 전시 경험 확대가 점차 중요해지며,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 콘텐츠 기술이 자연스럽게 도입될 것이다. 더불어 소규모 전시관들은 디지털 전략을 통해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전시관을 새롭게 변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

      • KCI등재

        국립 박물관에 대한 전시 공간의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한태은,김용성,이남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National museums have evolved from institutions that preserve and display a country's history, culture, and arts to public institutions that perform educational,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beyond mere exhibition spaces. The government is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an immerse themselves in culture and art in their daily lives by expanding cultural facilities and recreating existing spaces, providing opportunities to maximize the emotional impact of exhibition experiences, and promoting the spirit of social intervention and civic engagement.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role of exhibition experience spaces in national museums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spaces in national museum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through literature on cases that combine exhibitions and education among national museum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on the current status of experience spaces in each national museum through annual reports and websites provided by national museums, and the form of experience in exhibition spaces analyzed based on a research model. Accordingly, we explored various types of experiences and summarized the need for exhibition experiences. Ultimately, by analyzing the elements of a synesthetic experience for visitors, this study presented the utilization value of experiential spaces in exhibition design. (Results) The most frequent type of experiential exhibits was tourist exhibits. This indicates that the basic form of an experiential exhibit begins with visual viewing. The difference in frequencies was due to the absence of three-dimensional elements in the exhibition, which suggests that diversity of three-dimensional elements is lacking compared with that of flat el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auditory elements in sensory exhibitions, interactions in set exhibitions, and place and scene associations in independent exhibition spaces, the impact of utilization of digital exhibitions on the exhibition experience in national museums was confirmed. This reveals a tendency to use digital exhibitions and suggests a need for future research on how to utilize digital technology in national museums. Limitations of set exhibits indicated the limitations of the flat surface of national museum exhibits. This suggests the need to identify cases that need addressing through exhibition experience spaces and interactive exhibitions in mediated spaces and to study further options. (Conclusion) National museums are constantly expanding their roles and functions, most notably through spatial changes centered on civic engagement and exhibition experiences. This shift implies that modern exhibitions are more than simply viewing artwork; they aim to shape knowledge and emotions through engagement and interaction. (연구배경 및 목적) 국립 박물관은 국가의 역사, 문화, 예술 등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교육적, 사회적, 문화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다. 국가는 문화시설 확충과 기존 공간 재창조를 통해 일상에서 문화예술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박물관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시 체험의 감동을 극대화하고, 사회적 개입과 시민 참여 정신을 촉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 박물관의 전시 체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 국립 박물관의 전시 체험 공간에 대한 역할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방법) 국내 국립 박물관 중 전시와 교육이 결합된 사례를 대상으로 문헌 자료를 통해 전시 체험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 국립박물관에서 제공하는 연보와 홈페이지를 통해 각 국립박물관의 체험 공간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전시 공간의 체험 형태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체험의 다양한 유형을 탐구하고 전시 체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정리한다. 궁극적으로는 관람객을 위한 공감각적 체험 요소를 분석하여, 전시 디자인 영역에서 체험 공간 구성 방안에 대한 활용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분류 결과에 따른 체험 전시 형태 : 가장 높은 값은 관람 전시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체험 전시의 기본 형태가 시각적인 관람부터 출발한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관람 전시 내 입체 요소 부재로 인한 값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입체 요소의 다양성이 평면 요소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현대 전시 공간의 인터랙션 디지털 전시 활용 : 감각 전시의 청각 요소, 세트 전시의 상호작용, 독립 전시 공간의 장소 및 장면 연상에 대한 결과에 따라 디지털 전시의 활용이 국립 박물관의 전시 체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디지털 전시가 적용되는 경향성을 보여주며, 향후 국립 박물관의 디지털 기술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시사한다. 세트 전시의 낮은 결과값과 한계성 : 세트 전시의 낮은 결과값은 국립 박물관 전시실의 평면 한계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매개공간 내의 전시 체험 공간과 인터랙션 전시를 통한 극복 사례 확인, 추가적인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결론) 국립 박물관은 그 역할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시민 참여 및 전시 체험을 중심으로 한 공간적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현대 전시가 단순히 작품을 관람하는 것을 넘어서, 참여와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과 감정을 형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