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남규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7 갱신과 부흥 Vol.15 No.-
본 연구는 올레비아누스가 장로회정치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헌신한 과정을 고찰하고 올레비아누스가 참여한 교회법을 분석한 논문이 다. 카스파르 올레비아누스는 독일 개혁교회의 설립자 중 하나로서 교회법의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파리, 오를레앙, 부르주의 학교에서 법학을 공부 한 후 그는 스위스에 가서 신학을 공부했는데, 이 때제네바에서 장로교회정치와 교회권징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경험했 다. 트리어 종교개혁을 시도했으나 탄압에 의해 실패한 후에, 하이델 베르크로 가서 새로운 팔츠교회법(1563)을 작성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장로회적인 정치 조직과 교회권징의 도입을 위해 노력했다. 이 때 토마스 에라스투스에 반대하면서 교회권징의 필요 성과 국가권력으로부터의 독립적인 교회정치를 옹호했다. 결과적으로 교회 권징의 필요성은 승인되었지만 최종 권한은 선제후에게 남아있게 되었다. 이후 교회조직에 대한 그의 헌신은 1584년에 헤르 보른으로 간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완전한 장로회정치체제는 1586년에 네 개의 제후영토의 교회로 구성된 총회가 헤르보른에서 열렸을때 완성되었다. 총회의 회장은 올레비아누스였다. 여기서 국가권력 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교회를 당회, 구회(노회), 대회, 총회로 조직했다. 이것이 영토를 넘어선 최초의 장로회 정치체제를 도입한 법이었다. 본 연구논문은 이 교회법의 형성과정을 탐구하고 위에 언급된 교회법들을 분석하고 관련 주제에 대해 토론한다.
‘칼빈주의’ 개념의 생성과 발전 – 16세기 후반 하이델베르그를 중심으로
이남규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7 No.-
Diese Schrift zeigt, wie der Begriff Calvinismus entstand und sich entwickelte. Die Wörter Calvinist und Calviniani finden sich zuerst in den Schriften über die Verbrennung des Servetus. Aber der spätere Sprachgebrauch der Lutheraner ist davon unabhängig. Die Lutheraner popularisierten Calvinismus, damit die Reformierten negativ und sektiererisch aussahen. In der Anfangsphase gab es drei Wörter: Sakramentarier, Zwinglianer und Calvinist. Von diesen dreien gewann das Wort Calvinist immer weiter die Oberhand, obwohl die Heidelberger Theologen Calvinist als Selbstbezeichnung nicht verwenden wollten. Was den Umfang der Verwendung des Begriffes betrifft, wurde Calvinismus zunächst bezüglich der Abendmahlslehre populär, wurde dann auch bald mit der Prädestinationslehre und schließlich mit der Ethik in Verbindung gebracht. 이 논문은 칼빈주의의 개념이 어떻게 생성되어서 발전하는 지를 보여준다. 칼빈주의자란 단어는 가장 먼저 세르베투스의 죽음에 대한 글들에서 발견되어진다. 그러나 후에 루터란에 의해 사용된 것은 이 첫 사용으로부터 독립적이다. 루터란들은 칼빈주의를 개혁교회를 이단적이고 분파적으로 보이게 하려는 목적에서 대중화시켰다. 하이델베르그신학자들이 칼빈주의자라는 것을 자신들을 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려고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Sakramentarier, Zwinglianer, Calvinist 의 세단어가 있었지만 Calvinist가 점차로 세력을 얻었다. 칼빈주의의 개념의 폭과 관련해서 처음에 성만찬에 관해 대중화되고 바로 예정론과 함께 그리고 후에 윤리적인 면과 연결되었다.
華城 隆健陵-龍珠寺 지역 역사문화적 배경과 그 의미 - 최근의 유적발굴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이남규 미술사학연구회 2008 美術史學報 Vol.- No.31
Surrondings of Yungkeon royal tombs and Yongju buddist Temple are ecologically very good places. It was decided to built Royal tombs in Choseon dynasty as a viewpont of the theory of division based on topography. From prehistoric age to recent time, not only many people dwelled at this place, but also in medieval age a castle was built, which was the crnter of the administration and militery affairs. Recently those obvious facts are being clarified by the excavations. Untill now,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producing site of the Proto three-kingdom age, dwelling site and tombs of ancient age, castle of medieval age and recent time were excavated. By dint of these excavations, cultural characters of the each age are being made clear continously. From the such a natural and cultural background, they could built the Yunggeon royal tombs and Yongju buddist Temple at the rulling time of great king Jeonjo in late Choseon dynasty. But because, ignoring the affluent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the govermment planed to build a apartments, now the NGO named Kyunggi cultural actions protest strongly. We hope to build a policy to preserve natural environment, and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is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