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략적 제휴 당사자 간의 이익 및 위험지각이 관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류흔동 ( Liu Xintong ),김학민 ( Kim Hag-min ) 국제지역학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제휴가 반드시 성공적인 결과만을 제공하지는 않는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관계적 측면의 접근이 중요하며 이를 개념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략적 제휴기업들간의 지각된 이익과 위험 요인들과 관계적 성과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이익과 위험은 전략적 행동방향성의 적극성과 소극성을 결정하고, 그 행동방향성은 전략적 제휴기업들의 관계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제휴당사자 간의 관계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관계적 몰입과 기회주의 행동을 개념화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적극적 전략 행동방향성은 관계적 몰입성과에, 소극적 행동은 기회주의적 행동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각각 발견하였다. 셋째, 전략적 제휴기업들의 인지된 지각은 적극적 행동방향성을, 인지된 위험은 소극적 행동방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국, 전략적 행동방향성은 적극적이고 소극적인 상태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데, 적극적 행동성은 인지된 이익, 소극적 행동성은 인지된 위험에 의해 영향을 받고, 상호 교차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전략적 제휴기업들 간 행동유형과 관계성과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s of strategic partnership can be positive or negative. This paper intends to explain why the partnership produces opposite results. This paper incorporates strategic behavioral direction and perceived values for relational performance. The conceptual model as well as empirical analysis was mad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ses bi-directional decomposition of two research constructs. The first construct of perceived values is classified into benefits and risks. Also, the behavioral directions are either active or passive behaviors. The critical path is found that the perceived benefits make significant effects on active behavioral direction which does on commitment. Another path is that the perceived risks make passive behavioral direction which results in opportunistic behaviors between strategically partnered firms.

      • KCI등재

        러시아의 CIS지역 분쟁개입과 지역 안보 레짐의 발전

        김태웅 한국동북아학회 2009 한국동북아논총 Vol.14 No.2

        Recently with geopoliticalㆍgeostrategical increasing of an interest in CIS including Central Asia and Caucasia where it is estimated that a great deal of energy resources is deposited underground, new great game is in progress so fiercely between big powers concerning in CIS for strengthening of own influence and grasping of hegemony. In consideration of such a situation the writer is going to survey Russian strategic measures for the resolution of regional conflicts in CIS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regional security regime especially through studying on priority basis about armed conflict between Russia and Georgia on August of 2008 in the course of clash of interests between Russia and some of CIS which have a tendency towards pro-Western European states. Now a days Russia take active strategic measures in the course of resolution of various conflicts in CIS to be conclusive for the survival right of Russia as like following ; Clamping control of Russia in CIS through the effective employment of CIS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CSTO) and 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between multiple behaviors including SCO(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adoption actively of measures to prevent the breakaway from the CIS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contriving of CIS unification through the active intervention into resolution course of various conflicts in CIS, strengthening of military control in the strategic critical area, and the devise of strategic appeasement policy by the employment of peace keeping operation forces in the name of CSTO(CIS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etc. Most recently CIS is definitely divided into two groups ; One is such a group of anti-Russia states being on amicable relation with NATO in which U.S.A. play the leading role. The other is such a group of pro-Russia states that are members of CSTO(CIS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and SCO(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In spite of creating the political military unstable situation in CIS, as these two groups of states in CIS as possible will try to avoid the decisive conflict and military clash for some length of time by the action of dilemmas of common interest and common aversion in the security dynamic structure of conflict and cooperation. 최근 에너지 자원의 보고로 급부상되고 있는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일대를 포함한 CIS지역에 대한 지정학적ㆍ지전략적 관심 증대와 함께, 이들 CIS지역 주변에 위치한 주요 강대국들 간에는 역내에서의 자신의 영향력 확대와 주도권 장악을 위한 ‘신거대 게임(New Great Game)’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여기에 논자는 ‘공동이익의 딜레마(Dilemma of Common Interest)’와 ‘공동혐오의 딜레마(Dilemma of Common Aversion)’에 나타난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지정학적ㆍ인구 사회학적ㆍ경제적 이해관계 속에서 최근 친서구 경향을 보이고 있는 CIS 일부 국가들과 러시아간의 이익충돌에 나타난 다양한 분쟁상황을 지난해 8월에 발발되었던 ‘러시아-그루지야 군사분쟁 모델’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다양한 CIS 지역분쟁에 대한 러시아의 전략적 대응 방향과 지역 레짐의 변화 발전 가능성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러시아는 전통적으로 기득권을 확보 및 유지해 온 CIS지역에서 자신의 생존권 확보에 결정적인 다양하고 복잡한 분쟁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역 집단안보조약 및 다자협력 체제를 통한 지역 국가들의 친러화 및 역내에서의 미국의 영향력 제거를 통한 자신의 지배권 강화, CIS 집단안보조약에 근거한 ‘집단 평화유지군 운용’을 통해 역내 국가들에 대한 전략적 유화책 강구, 이슬람 원리주의 준동 등 CIS 체제 이탈 조장 활동 차단, 역내 분쟁해결 과정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CIS 국가들의 결속력 강화, 그리고 카스피해를 포함한 중요 전략지역에 대한 군사적 측면에서의 통제력 강화 등 매우 적극적이면서도 과감한 전략적 대응책을 강구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CIS지역 내에는 미국 주도하의 나토와 우호관계에 놓여 있는 반러 국가들과 CIS 집단안보조약 및 상하이 협력기구 등에 가입한 친러 국가들이 양분되어 ‘갈등과 공조’가 혼재하는 안보역학 구조 속에서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는 없으나, 최악의 결과만은 피할 수 있는 ‘공동이익의 딜레마’와 ‘공동혐오의 딜레마’가 특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서로가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 한, 갈등확대와 충돌을 상호 피하려는 지역 안보레짐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KCI등재

        상품 및 서비스혁신 : 전략적 제휴에서의 기회주의행동 유발과정에 관한 연구

        강인원 ( Inwon Kang ),박경신 ( Kyungsin Park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통상정보연구 Vol.17 No.3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드는 다국적기업들의 전략적 제휴는 부족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채워줄 수 있는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의 전략적 제휴가 급증하면서 전략적 제휴 파트너에 의한 핵심기술이나 노하우 유출 같은 극단적인 불법 행위 뿐만 아니라 자사에게만 이득이 되도록 행동하는 소위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략적 제휴에서 기회주의행동이 어떻게 초래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들이 지각하는 특정 자원에 대한 이익과 초래될 수 있는 위험이 제휴참여자들의 제휴참여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이러한 참여의 방향성에 따라 기회주의행동이 발생한다는 흐름에 초점을 맞추었다. 현재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제휴를 진행하고 있는 제휴참여자 257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한 결과, 이익지각보다 리스크지각이 제휴참여자의 참여수준과 기회주의행동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단서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관계적 위험이 높을수록 제휴참여자들은 경쟁적 참여와 기회주의행동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리스크지각으로 유발된 제휴참여자들의 경쟁적·독립적인 참여는 기업들이 제휴에 투자한 자원대비 효과적인 성과를 얻어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감시, 통제, 모니터링, 법적조치와 같은 외압적인 장치 외에 제휴과정에서 파트너가 지각하는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전략적 제휴 참여자들의 참여와 행동의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hile strategic allianc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 has boost, opportunistic behavior is also increased recently.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 of opportunism in strategic alliance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opportunistic behavior, a process in which resource complementarity and risk perception decides attitudinal direction, ultimately leading to opportunism. Empirical test based on 257 alliance participants shows that risk perception had a greater influence on firms’ attitudinal and behavioral directions compared to benefit perception. Notably, relational risk heavily influenced firms’ competitive attitude and opportunistic behavior. Finally, the study concludes that firms’ competitive and independent attitude caused by risk perception negatively influence alliance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it is drawn that alongside the external tools such as surveillance, control, monitoring or legalistic pleas, management of risk perception during the alliance process has significance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of alliance goals.

      • KCI등재후보

        China and U.S. in Africa: A Case of Exaggerated Rivalry

        Sammy Mwangi Waweru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19 한국과 국제사회 Vol.3 No.1

        중국의 부상과 그에 상응하여 세계 각지의 국제무대와 지역 수준에서 중국인의 참여가 증가했다. 이는 중국이 지금까지 미국의 영향력 대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중국과 미국 사이에 전략적 경쟁과 경쟁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결과적으로 미국이 미국의 영향력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의 개입 증가에 대응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참여가 증가 하면 대륙에서 미국의 전략적 이익을 대체하는 정도를 조사함으로써 이 논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에 대 한 중국의 개입은 중국이 대륙에서 널리 묘사되고 상상한 것처럼 미국의 이익을 위협할 필요가 없는 틈새시장을 만드는 것을 수반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중국이 현저하게 위협할 수 있는 세계의 다른 전략적 부 분에 비해 미국은 역사적으로 아프리카에 대한 전략적 이해관계가 비교적 미미하다는 점을 전제로 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볼 때, 아프리카에서의 중국인의 침투 증가는 미국의 핵심 전략적 이익에 즉각적인 위협을 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프리카에서의 중국 주둔에 대항하기 위해 미국이 측정한 대응을 설명한다. Rise of China has correspondingly seen increased Chinese involvement at global stage and regional level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is has attracted claims of strategic competition and rivalry between China and U.S., as China is said to be working towards replacing hitherto U.S. influence.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calls for U.S. to counter increased Chinese involvement to safeguard U.S. influences and interest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is debate by examining the extent to which increased Chinese involvement in Africa has, if any, supplanted U.S. strategic interests in the continent. The study contends that, Chinese involvement in Africa has entailed China creating own niche that does not necessary threaten U.S. interests in the continent as widely portrayed and imagined. This is premised on the fact that, U.S. has historically had relatively minimal strategic interests in Africa as compared to other more strategic parts of the world that China could significantly threaten. Seen in this way, increased Chinese penetration in Africa has not had immediate threats to U.S. core strategic interests, thus explaining U.S. measured response to counter Chinese presence in Africa.

      • KCI등재

        유럽연합(EU)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대한 연구: 양면성과 개념적 정의

        이무성 한국유럽학회 2019 유럽연구 Vol.37 No.2

        The EU’s strategic partnership is its new foreign policy line and instrument, and a wealth of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in order to provide its conceptual definition. Of these, the interest-based and goal-oriented accounts are some of the most notable ones. These seemingly dual perspectives are mutually contradictory, but have also helped make sense of the main objectives and concerns of its strategic partnership. Triggering a theoretical debate, this paper assumes and suggests that the policy as well as political objectives that the EU seeks to fulfill through its strategic partnership are of dualistic nature: one is material interests, the other is normative objectives with a view to consolidating its self-identity as a novel kind of actor in world politics. To argue this assumption theoretically, the paper specificall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ts strategic partnership, the endogenous and exogenous formation process of EU’s preference as well as its normative basis, the relevance of its strategic partnership as its foreign policy instrument, an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its normative argument when it comes to the strategy of this foreign policy instrument. 전략적 동반자 관계는 유럽연합이 추구하는 새로운 형태의 대외정책 노선이며, 기제이 다. 이에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규정하기 위한 여러 이론적 시도가 있었는데, 그 중, 주목 해야 할 담론들 중 하나가 바로 이익을 기반 한 관계이며, 또 다른 하나는 목적 지향적 관계이다. 이 두 논의는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통해 유럽연합이 무엇을 추구하며,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이론적 잣대를 제공한다. 이런 양면적 특질을 보이는 논의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동반자 관계의 개념적 정의를 내리고 그 논증 과정에서 유럽 연합은 동반자 관계를 통해 물질적 이익뿐만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 공고화도 동시에 추진하는 규범적 목적도 존재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논증하는 것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고찰, 이익과 규범의 내생 적 그리고 외생적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 동반적관계가 왜 유럽연합의 대외정책의 주요 기제인지에 대한 논의 그리고 그 속에서 추구하고자하는 유럽연합의 규범적 특질에 초점 을 맞추어 상기의 이론적 논의를 전개한다.

      • KCI등재

        중국인의 대북인식과 북중동맹

        이동준(Dong-jun Lee)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2 평화연구 Vol.20 No.2

        이 글은 북중동맹의 실상을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여론조사를 통해 중국인의 대북인식을 분석하고 이것과 중국 정부의 대북정책과의 상관성을 논한다. 우선 중국인들은 북한이 중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여기면서도 북한을 여전히 지원해야 할 중요한 동맹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인들의 북한에 대한 후원자 의식은 북한의 핵 개발을 경계하면서도 북한 정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더 큰 전략적 이익으로 간주하는 중국 정부의 대북정책을 대체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중국인들은 동맹으로서가 아니라 한반도의 일부로서의 북한, 남한과 비교되는 북한에 대해선 놀라울 정도로 균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는 남북한 간의 갈등상황이 벌어졌을 때 당사자 해결 원칙을 강조하면서 일방적으로 어느 한 쪽을 편들지 않으려는 중국 정부의 한반도 정책을 상기시킨다. 이처럼 중국인의 대북인식이 동맹국으로서의 북한과 한반도의 일부로서의 북한에 대한 인식 등으로 중층적으로 표출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당면한 이해관계에 따라 동맹이익과 전략적 이익의 비중을 조금씩 달리하면서 두 가지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nese perception of North Korea based on an opinion poll of the Chinese public and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reality of the China-North Korea alliance. First, the results of our survey show that the Chinese public still perceive North Korea as an important ally worth supporting by various means, although they perceive that North Korea is of no help for their own security. The Chinese ‘supporter’ perception as such generally reflects the Chinese government’s eagerness in maintaining North Korea as a strategic buffer, although perplexed about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take a surprisingly balanced attitude toward North Korea as one of the two rival regimes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reminiscent of the strategic considera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who does not want to take sides when a conflict arises between the two Koreas. While the Chinese perception of North Korea is expressed ambivalently, the Chinese government pursues both immediate alliance and strategic interest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효과 -

        채주석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the moderating role of SHRM that is relatively lac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MRC and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23 CEOs of Korean compani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LMRC has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both net profit and sales per person, and SHRM has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s between CLMRC and sales per person, CLMRC and net profit. Through this analyzes, CLMRC can enhance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in this process, the more strategic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is, the more the impa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is strengthened. Implications for CLMRC and SHRM,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본 연구 목적은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와 성과 간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역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 12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신뢰성,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는 조직의 당기순이익과 인당매출액 각각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협력적노사관계분위기와 당기순이익과 인당매출액 각각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는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인적자원관리을 전략적으로 할수록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강화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탈냉전기 중국의 대이란 정책: 전략적 이익과 책임대국 역할 사이의 딜레마

        김애경 ( Kim Ae Kyung ) 현대중국학회 2016 現代中國硏究 Vol.18 No.2

        이 글은 대이란 정책을 분석한다. 이 글은 ‘중국은 책임대국으로서의 정체성을 추구하지만 왜 이란 핵문제 해결과정에서는 보다 적극적이지 않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중국은 책임감 있는 강대국으로서 ‘비확산’이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은 실제 행태에 있어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보다 모호한 태도를 견지했다.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을 표방하고 있는 중국은 지속적인 경제발전은 필수이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 공급원의 안정화는 필수적인 요인이다. 이란의 지정학적 위치와 미 패권에 대한 대항파트너라는 가치 역시 강대국을 지향하고 있는 중국에게 매우 중요한 이익이다. 때문에 이 글은 중국의 대이란 정책이 경제적 차원을 넘어 정치ㆍ안보적 차원, 전략적 차원까지의 이익 달성과 책임감 있는 강대국으로서의 역할 수행 사이에서 딜레마를 안고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d China`s Policies toward Iran. The question of this paper is ‘China should pursue the identity of a responsible great power, why not more active in the progress of Iran`s nuclear issue?’ China Have to play the role of ‘non-proliferation’ as a responsible great power. But, China had a ambiguous attitude rather than play a active role in the actual behavior. However the country is still in need of continuous development of domestic economy. To China, Iran is valuable in the dimensions of economy, politics, security and geopolitics. Thus, this paper asserted that Chinese policies toward Iran are in a dilemma between pursuing economic interests from diversification of energy sources and interests in the dimensions of politics, security and strategies, and meeting demands as a responsible great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