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래놀이에 대한 영아 교사의 인식 및 운영 현황 분석

        김회순 ( Kim Hoi Soon ),곽승주 ( Kwak Seung-ju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전래놀이에 대한 영아교사들의 인식과 어린이집 영아반 전래놀이의 운영현황 및 어려움, 개선방안을 분석함으로써 전래놀이를 활용한 영아교육의 적절한 지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 영아반 교사 3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래놀이에 대한 영아교사의 관심도가 대부분의 교사에게서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놀이문화 형성을 위해 영아에게 전래놀이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에 비해 운영실태 면에서는 영아반 전래놀이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이유로는 전래놀이에 대한 사전지식 및 자료가 불충분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전래놀이 실시 시기는 명절 등 특별한 행사기간, 운영횟수는 연 1-2회, 지도 시 참고자료는 인터넷 활용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전래놀이 운영의 어려움은 영아기 발달 수준 및 특성에 적합한 놀이 계획이 어렵고, 구체적 지도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전래놀이 주제를 다루는 동화, 노래에 대한 적극적 활용과 영아발달 수준별로 세분화된 전래 놀이 지도 자료의 보급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roper guidance direction of infant edu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plays by analyzing infant teachers’ awareness, the management status and difficulties, and an improvement plan of traditional plays for an infant class of a day care center.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questionnaires through a survey of 328 infant class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As a result, infant teachers’ interest in traditional play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average, and they perceived that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plays for infants was necessary to form diverse plays culture. However, in term of the operation situation, the highest ratio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raditional plays for an infant class were not implemented properly and as the reason for it, the respondents pointed out inadequate preliminary knowledge and materials about traditional plays. According to the survey, the traditional plays for infants were mostly implemented during special event periods like traditional holidays, etc. and the frequency of operation of traditional plays was once or twice a year. In addition, the internet was used most in reference materials for plays. Difficulties in operating traditional plays were found to include difficulties in planning traditional play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level &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a detailed guidance method. As an improvement plan, the respondents cited a children’s story containing traditional play themes, active application of songs, and supply of data on traditional play guidance divided by infant development level etc.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전래놀이 자원 활용실태 및 요구

        박현정(Hyeon-Jeong Park),박선미(Sun-Mi Park)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1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전래놀이를 위한 보육현장의 인적, 시간적, 물적자원 활용실태와 요구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 보육교사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인적자원 현황 및 요구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래놀이에 대한 관심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유년기 거주 지역이 읍면리 지역이었을 때 전래놀이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전래놀이가 영유아보육에 있어서 필요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전래놀이에 대한 강연이나 연수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전래놀이의 시간·물적 환경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한 결과, 전래놀이를 활용하는 횟수는 연 1-2회가 가장 많았고, 전래놀이를 주로 활용하는 시기는 명절 등 특별한 행사기간에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관에 전래놀이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는 정도는 도시 지역에 소재한 기관보다 읍면리 지역에 소재한 기관이 전래놀이 공간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전래놀이를 주로 실시하는 곳은 유희실과 교실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관 주변의 전래놀이를 위한 공간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곳은 공터, 공원의 순이었으나 실제 활용하는 곳은 동네 놀이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래놀이를 위한 시간·공간적 환경 마련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영유아를 전래놀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전래놀이와 관련된 활동 시 교사들이 참고하는 자료는 인터넷 검색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래놀이를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교사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understand childcare teachers’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n human, time, and physical resources of traditional play in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terest was close to normal and when teachers lived in the country as a child, the teacher was very interested in traditional play. Generally,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raditional play was necessary for educare. However, most teachers said they had never received a lecture or education on traditional play. Second, when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the use and operation of traditional play in childcare centers as a material resource for traditional play,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traditional games were played once or twice a year, and that traditional games were played during special events such as holidays. The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appropriate when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enough space for traditional play. However, there were more places for traditional play at childcare centers in rural areas than at city-based centers. Most of the places for traditional play were play rooms and classrooms. Teachers thought it was suitable as a place for traditional play around working childcare centers, in the order of empty lots, parks, school playgrounds, neighborhood playgrounds, and mountains. Inducing children to participate in traditional play events was the best wa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traditional play, and the next best way was to create a place for traditional play. When teachers were teaching traditional play, they used internet searching as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sheet.

      • KCI등재

        유아 전래놀이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주현정(Hyun-Jung, Ju),박희숙(HeeSuk, Par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여년 간의 온라인 공간에서 대중들에게 공유된 전래놀이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분석하여 최근 우리 사회의 유아 전래놀이와 관련 이슈를 탐색하고 유아 전래놀이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Textom에서 ‘유아+전래놀이’, ‘유아+전통놀이’ 키워드를 활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본 연구와 관련 없는 자료를 삭제하고 키워드를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키워드를 활용하여 전체 및 유형별 빈도, 중심성, 커뮤니티를 분석하고 네트워크를 시각화 하였다. 분석 및 시각화에 활용한 도구는 Node.js와 JavaScript, Ucinet, Gephi이다. 연구결과 ‘체험’, ‘프로그램’, ‘명절’, ‘유치원’, ‘활동’ 키워드가 높은 빈도와 중심성을 나타냈으며, ‘놀잇감 활용 전래놀이’, ‘신체놀이’, ‘전래동요놀이’ 중 ‘놀잇감 활용 전래놀이’ 유형에 가장 많은 전래놀이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결과 ‘유아전래놀이 자격증’, ‘유아 다문화 교육’, ‘지역사회 체험 공간과 행사’ ‘도서관의 책놀이’, ‘유아교육과 전래놀이’ 군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의 우리나라 유아 전래놀이와 관련 현상에 대해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유아 전래놀이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the keywords for traditional games shared from the online space for the past 10 years and to analyzed how young children’s traditional games are upheld in our society. The keywords related to ‘children+traditional game’ from January 2010 to October 2021 are mined using Textom. Among the collected data, data not related to this study are deleted and keywords are refined. Frequency, centrality, and community are analyzed using the refined keywords using Node.js, Ucinet and Gephi. The network is visualized using Gephi.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eywords ‘experience’, ‘program’, ‘holiday’, ‘kindergarten’, and ‘activity’ show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As a result of the community analysis, groups of ‘certificate for children’s traditional play’,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pace and events for community experience’, ‘book play at the library’, and ‘young children’s education and traditional play’ were found.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and the generated data are a valuable resource contributing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folk games in the future.

      • KCI등재

        전래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과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이미나,김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s and traditional songs on the happiness and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Research issue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raditional play and traditional songs on the happiness of infant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and traditional songs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 children (experimental group n=19, control group, n=19) in nursery. For the measure of happiness,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Lee, Eun-Ju(2010) and the teacher 's rating scale developed by Kim, Sung-Sook(2008) were used. The traditional play and traditional songs are structured to learn knowledge, concepts, belief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In addition, developmental tasks we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This program consists of Play with peers and cooperative play rather than individuals. The traditional play and swaying activity is the 5th year old curriculum which is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traditional play activitie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e effective for the happiness and leadership of infants. This suggests that traditional play and traditional song are very important activities for happiness and leadership and can be actively used in education field. An experience like this suggests a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leaders who can lead the future as a competent member of the society. 본 연구는 전래놀이와 전래동요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전래놀이와 전래동요 활동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전래놀이와 전래동요 활동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G시 소재 어린이집 유아 38명(실험집단, 19명, 통제집단, 19명)이다. 행복감 측정도구는 이은주(2010)가 개발한 측정도구와 리더십 측정도구는 김성숙(2008)이 개발한 교사용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전래놀이 및 전래 동요는 한국의 문화와 전통의 지식 및 개념, 신념, 가치 등을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아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발달 과업을 참고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개인 보다는 또래 간 함께 하는 활동과 협동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전래놀이 및 전래동요 활동은 현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만5세 누리 과정이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리더십에 효과가 있음을알 수 있다. 이에 전래놀이와 전래동요 활동은 행복감과 리더십을 위해 매우 중요한 활동으로 교육현 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경험은 미래를 주도할 유능한 사회인으로써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리더자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전래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과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이미나(Mi-Na Lee)김경희(Kyung-Hee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본 연구는 전래놀이와 전래동요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전래놀이와 전래동요 활동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전래놀이와 전래동요 활동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G시 소재 어린이집 유아 38명(실험집단, 19명, 통제집단, 19명)이다. 행복감 측정도구는 이은주(2010)가 개발한 측 정도구와 리더십 측정도구는 김성숙(2008)이 개발한 교사용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전래놀이 및 전동요는 한국의 문화와 전통의 지식 및 개념, 신념, 가치 등을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아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발달 과업을 참고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개인 보다는 또래 간 함께 하는 활동과 협동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전래놀이 및 전래동요 활동은 현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만5세 누리과정이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리더십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전래놀이와 전래동요 활동은 행복감과 리더십을 위해 매우 중요한 활동으로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경험은 미래를 주도할 유능한 사회인으로써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리더자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s and traditional songs on the happiness and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Research issue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raditional play and traditional songs on the happiness of infant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and traditional songs on young children s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 children (experimental group n=19, control group, n=19) in nursery. For the measure of happiness,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Lee, Eun-Ju(2010) and the teacher s rating scale developed by Kim, Sung-Sook(2008) were used. The traditional play and traditional songs are structured to learn knowledge, concepts, belief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In addition, developmental tasks we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This program consists of Play with peers and cooperative play rather than individuals. The traditional play and swaying activity is the 5th year old curriculum which is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traditional play activitie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e effective for the happiness and leadership of infants. This suggests that traditional play and traditional song are very important activities for happiness and leadership and can be actively used in education field. An experience like this suggests a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leaders who can lead the future as a competent member of the society.

      • 어린이 놀이의 개념과 전래놀이노래의 중요성

        김숙경(Kim, Sook-kyu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1 아시아강원민속 Vol.36 No.-

        어린이 놀이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학교 교육에서도 놀이를 통한 학습을 강조한다. 그런데 놀이방식에 대해 점차 문제 제기를 하고 있으며, 놀이의 본질을 회복하자는 주장도 함께 제기된다. 어린이들의 진정한 놀이를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에 합의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놀이의 회복 운동은 놀이가 ‘놀이자’가 아닌 ‘놀이제공자’에 의해 계획되고 제공되어 지나치게 학습의 수단으로 취급되는 것에 대한 문제점에서 출발한다. 현대사회 어린이들은 놀잇감과 놀이 장소를 찾아서 놀이를 하는 것이 아니라, 성인들에 의해 제공된 환경에서 계획된 놀이를 즐기곤 한다. 그러나 진정한 놀이란 어린이가 주도적으로 선택한 놀이이며 자신의 흥미와 요구에 따라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놀이를 말한다. 이 글에서는 놀이의 특성을 잘 보이는 ‘전래놀이노래’를 검토하려 한다. 오랜 역사를 통해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고, 현대의 어린이들도 흥미롭게 따라 하고 재창조하는 형태의 놀이에서 놀이의 본질을 찾을 수 있다. 어린이는 어떠한 제약이나 방해 없이 놀이를 제대로 즐겨야 한다. 어린이는 놀이를 통해 의도된 지식을 얻는 것이 아니라 놀이 가운데 스스로 지혜를 터득하면서 세상을 배우게 된다. 본고에서는 전래놀이노래 소개를 통해 어린이 놀이의 중요성에 대해서 제시하고 한다. Interest in children’s play is growing. In school education, learning through play is emphasized. However, the play method is gradually raising problems. The claim to restore the essence of play is also raised. Some argue that children’s true play should be restored. The movement to restore play begins with the problem of excessively treating play as a means of learning. Children in modern society do not play themselves by finding tools and places to play. Enjoys planned play in an environment provided by adults. True play is the play the child chooses to play. It should be a play in which children participate voluntarily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and needs. In this article, ‘traditional play song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lay were reviewed. The essence of play can be found in a form of play that has been made and handed down by someone through a long history, and that modern children can follow and recreate in an interesting way. Children should enjoy play properly without any restrictions or hindrances. Children do not acquire intended knowledge through play. Children learn about the world while gaining wisdom on their own through play.

      • KCI등재후보

        전래놀이 활동을 통한 유아들의 친사회성 향상 방안 탐구

        김헤라,오수진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play activity and pro-sociality of young children in an unstructured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we also wanted to find ways to improve pro-sociality in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study, we choose to conduct the study at J Kindergarten, which collects abundant data on traditional play and is focused on pro-sociality between peers and observed the environment and activities of 13 3-year-old children. Children's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by collecting observations, holding discussions among researchers and by taking photographs. The research showed that young children became closer and comforted one another as they opened their hearts to each other. They also showed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their friends and pro-sociality in which they tried to console and help each other. As the game continued, young children tried to share what they were trying to do with their friends and to play with each other while cooperating.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use of traditional 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ro-sociality in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kills that allow young children to enjoy traditional play in a natural way. 본 연구는 비구조적인 환경 속에서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바탕으로 한 전래놀이 활동과 유아들의 자연스러운 친사회성 발달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유아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래놀이 자료가 풍부하고 또래 간 친사회적 행동을 중점교육으로 삼아 운영되는 J유치원 만3세 나무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유아 13명의 전래놀이 환경과 활동을 관찰하였다. 유아들의 전래놀이 활동은 동영상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의 관찰 일지, 연구자 간의 토의, 사진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래놀이 활동을 통해서 유아들은 서로의 마음을 열어가면서 친밀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모습과 친구를 위로하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나타냈다. 셋째, 전래놀이가 지속되면서 유아들은 자신의 것을 나누면서 친구와 함께 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고 서로 협력하면서 놀이를 즐기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전래놀이의 활용은 유아의 친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고 다양한 교수환경을 구성하고 유아가 함께 교수환경을 활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전래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방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

        전인옥 ( Jeon Inoc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사회적 계층과 일과 운영이 비슷한 서울시 Y구 어린이집 두 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7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래놀이 16회 활동을 실험집단 유아에게 실행한 후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음악표현능력 하위영역 중노래 부르기를 제외한 악기연주, 신체표현, 음악창작능력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인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 모든 영역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inging play activity using traditional songs on young children’s music expressive ability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ve-year-old 70 children, attending to two child care canters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35 young children engaged in singing play activity using traditional songs for 16 session during 8 weeks.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35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regular music programs according to Nu-ri curriculu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for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ve shown improved music expressive abilities in music instrument play, physical expression, music-making abilities except singing,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presented that young children’s music expressive abilities had been influenced by singing play activity using traditional songs.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utcomes on subcategories of playfulness in leading participation, cognitive flexibility, expression of joy, voluntary full immersio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revealed a positive effects of singing play activity using traditional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inging play activity using traditional songs had positive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music expressive ability and playfulness. The singing play activity using traditional songs could be further applied for long-term period in order to promote music expression and playfulness as well as to foster holistic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전래놀이로 바라본 한국인의 흥 원형 연구

        이주현 ( Lee Ju Hyun ),이명희 ( Lee Myung H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한 민족의 시대적 양상은 유동적이고 가변성을 가지나 변화하지 않는 민족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다. k-pop의 기저에 위치한 흥은 현대인들을 위한 한국적 디자인의 원형이 된다고 생각하나, 한국적 디자인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디자인 인문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예술 작품에서 한국인의 흥 정서를 파악하고, 전래놀이를 통해 흥이 발현되는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흥을 원형으로 한 한국디자인의 미래 방향성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전래놀이는 우선 참가자 수에 따라 개인과 집단놀이로 분류하고 놀이 대상 주체와 놀이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놀이 주체 대상으로 나눈 ‘신앙기원’과 ‘민중풍속’의 놀이는 양자 모두 한국 특유의 종교적 행위(무(巫))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세시풍속과 관련 깊은 놀이는 집단놀이로 실외에서 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많았고, 실외놀이는 자연물에서 도구의 재료를 찾아서 직접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단놀이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전래놀이에서는 개인의 흥보다 집단의 흥이 우선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농경시대의 촌락 공동체 단위 생활과 농작물 수확의 품앗이 문화의 영향이 깊다고 보여진다. 또한 전래놀이를 통해 파악한 집단의 흥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넘어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신’의 관계도 자연스럽게 맺고 있었다. 이는 한국인의 흥이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의 교감이 체화하여 나타는 전통회화속의 흥과 동일한 구조로써, 인간과 자연의 독특한 접화문화가 한국인의 흥에 영향을 주는 원형이라고 파악된다. 이러한 관계적 특성의 “흥”을 디자인 연구와 접목하여 보다 깊은 연구의 기초가 되길 바란다. The historical aspect of a nation retains its original form, which is fluid and variable but does not change. Heung, the basis of K-pop, is thought to be the prototype of Korean design for modern peopl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sign humanities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Korea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design based on Heung by grasping the sensation of Koreans in works of art and by examining the structure in which Heung is expressed through traditional plays. Traditional plays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and group play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analyzed by subject and pla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lay characteristics, “faith origin” and “folklore customs” were both closely related to religious behaviors such as Shamanism, which were unique to Korea.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seasonal customs were closely linked to group plays and were dynamically performed outdoors using objects found in nature as materials for tools and crafting them by hand. In traditional plays involving large numbers of groups, which were overwhelming, there was tendency to prioritize group entertainment over individual entertainment. This seems to hav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ulture of farming villages and the harvest of crops. In addition, the rise and fall of the group through traditional Heung group plays was not only a relationship among humans, but also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and gods’. This suggests that the interest of Koreans is formed through relationships, and it i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that expressed sympathy between humans and nature. It is understood that the culture of unique consilience is an original form affecting Korean Heung. We hope to combine this “Heung” or interaction of these relational characteristics with design studies to form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전래동요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및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영자(Lee Yeong-Ja),곽경화(Kwak Kyeong-Hwa),최진숙(Choi Jin-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전래동요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및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N시에 소재한 A어린이집과 B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1주에 2회씩, 8주간 전래동요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음률신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영자, 이종수,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2002)의 ‘1, 2세 영아발달 평가도구’ 중에서 의사소통에 해당하는 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고, 김호인(2010)의 사회정서발달 척도와, 이화용(2012)의 놀이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Windows program을 통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래동요놀이는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및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사회정서발달, 놀이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래동요놀이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로서 현장에서 전래동요놀이가 지속적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ditional nursery rhymes on communicati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fulness of 2-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2-year-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daycare center A and day care center B located in N city, Jeollanam-do.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groups into a comparison group where rhythmic physical activities were completed based on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where traditional nursery rhyme play were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s for research instruments, the part corresponding to communication among the ‘1st and 2nd-year-old children development evaluation tools’ of Lee Young-ja, Lee Jong-su, Shin Eun-su, Kwak Hyang-rim, and Lee Jeong-wook(2002) was extracted and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oddlers, and Kim Ho-in(2010) and the playability scale of Lee Hwa-yong(2012)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independent sample t-test through SPSS 23.0 Window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nursery rhym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ability of 2-year-old childre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traditional nursery rhyme play to enhance communicatio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fulness of 2-year-old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traditional nursery rhyme play can be used continuously in the day car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