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러스 모델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철근 및 전단균열폭의 변형 예측

        김상우,이정윤 한국공간구조학회 2004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4 No.3

        본 논문은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전단해석을 위하여 변환각 트러스 모델(TATM)을 사용하여 전단철근변형률과 전단균열폭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변형을 예측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변형에 대한 TATM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전단경간비를 가지는 4개의 RC 보를 제작하고 전단 실험하였으며, 이 실험결과를 MCFT(Response- 2000), RA-STM, FA-STM 및 TATM에 의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제안된 모델 TATM은 다른 트러스 모델보다 전단응력-전단철근변형률 관계와 전단응력-전단균열폭 관계를 더 잘 예측하였다. This paper predicted the shear deformation, such as strain of shear reinforcement and shear track width, of reinforced concrete (RC) members using Transformation Angle Truss Model (TATM) in order to apply to the shea, analysis of RC buildings. To check the validity of TATM for the shear deformation of RC beams, four RC beams with different shear span-to-depth ratios were cast, instrumented and tested. Observ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results by MCFT(Response-2000), RA-STM, FA-STM, and TATM. The proposed model, TATM, better predicted the relationships of the shear stress-strain of shear reinforcement and the shear stress-shear track width than other truss models.

      • 자연 절리면 전단강도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한욱,이무형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2004 석재연 논문집 Vol.9 No.-

        자연 절리면 전단강도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중에서 시험편의 크기와 형상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4가지 형태와 6가지 크기별로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수직옹력을 0.29에서 2.65 MPa까지 서로 달리하면서 각 응력별로 최대전단강도, 잔류전단강도, 최대 수직변위 및 강성, 평창곡선 그리고 거?계수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시험편의 크기와 전단강도와 변형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상당한 반면에 형태 효과는 거의 없었다. 또한 시험편의 크기가 커질수록 절리 거?계수와 절리 압축강도는 감소를 보였으며, 전단강도 역시 감소하였다. 즉 시험편의 크기가 12.25에서 361 ㎠로 증가함에 따라 전단강도는 최대 72%, 잔류전단강도는 약 57%, 전단강성은 약 80 %감소하였다. 낮은 유효수직옹력하에서 절리암반의 최대 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Barton식을 보정한 새로운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The effect of shape and size of specimens on the shear behaviour of joints is studied by performing direct shear tests on four different shapes and six different sizes. The peak shear strength, residual shear strength, peak shear displacement, shear stiffness and dilation curves were also measured with the different normal stress(0.29-2.65 Mpa) and roughness parameter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scale effects on the both the shear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while shape effects can not nearly be found. It is also shown that as a result both the joint roughness coefficient(JRC) and the joint compression strength(JCS) reduce with increasing scale. Shear strengths are also gener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joint area. A series of shear tests shows about 72% reduction in shear strengths, about 57% in residual shear strength, about 80 % in shear stiffness as the area of specimens in crease from 12.25 to 361㎠. To estimate peak shear strength of jointed rock under low normal effective stress, the modified Barton's equation is suggested. ▷ 원문 참조 ◁ where A and B are coefficient to be determined by regression analysis on experimental data.

      • KCI등재

        직립식 방파제 성능기반 내진 설계 Platform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전단파 횟수 누적에 따른 지반 강도 감소를 중심으로

        최진규,조용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8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0 No.6

        지난 이십여 년 간 우리나라 연안에 집중적으로 거치된 직립식 방파제의 내진 성능을 검토하기 위한 예비 수치모의를 포항, 경주, Hachinohe1, Hachinohe2, Ofunato, 인공지진파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예비 수치모의 결과 지진으로 인한 전단파가 지반을 통해 전파되는 과정에서 지진에너지가 장주기 대역으로 이동한 Hachinohe2의 경우 항 외곽시설의 활동량이 상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진으로 인한 전단파는 항만시설이 거치된 지표방향으로증폭되며, 지진에너지의 상당부분은 장주기 대역으로 이동된다. 이 중 장주기 대역으로 이동되는 현상은 지반의 점성 혹은 내부 마찰에 기인하며, 전단파 증폭은 구속 응력의 감소로 인해 지표면 방향으로 감소하는 전단계수와 내습하는 전단파 횟수 누적에 따른 지반 강도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Das, 1993). 이러한 인식에서 본고에서는 먼저 전단파 횟수 누적에 따른 전단계수의 감소의 기술이 가능한 Hardin과 Drnevich(1972) 모형과 파동방정식에 기초하여 수치모형을 구성하고, 이어 전단파 횟수 누적에 따른 전단계수의 감소가 전단파 전파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비선형 응력-변형률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Newmark-β 방법과 수정 Newton-Raphson 방법을 차용하였다(Chopra, 1995). 모의결과 전단파가 지표면으로 전파되면서 상당한 확률 질량이 상대적으로 큰 진폭과 장주기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seismic capacity of massive vertical type breakwaters which have intensively been deployed along the coast of South Korea over the last two decades, we carry out the preliminary numerical simulation against the PoHang, GyeongJu, Hachinohe 1, Hachinohe 2, Ofunato, and artificial seismic waves based on the measured time series of ground acceleration. Numerical result shows that significant sliding can be resulted in once non-negligible portion of seismic energy is shifted toward the longer period during its propagation process toward the ground surface in a form of shear wave. It is well known that during these propagation process, shear waves due to the seismic activity would be amplified, and non-negligible portion of seismic energy be shifted toward the longer period. Among these, the shift of seismic energy toward the longer period is induced by the viscosity and internal friction intrinsic in the soil. On the other hand, the amplification of shear wave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hear modulus is getting smaller toward the ground surface following the descending effective stress toward the ground surface. And the weakened intensity of soil as the number of attacking shear waves are accumulated can also contribute these phenomenon (Das, 1993). In this rationale, we constitute the numerical model using the model by Hardin and Drnevich (1972) for the weakened shear modulus as shear waves go on, and shear wave equation, in the numerical integration of which Newmark-β method and Modified Newton- Raphson method are evoked to take nonlinear stress-strain relationship into account. It is shown that the numeric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duplicate the well known features of seismic shear waves such as that a great deal of probability mass is shifted toward the larger amplitude and longer period when shear waves propagate toward the ground surface.

      • KCI등재

        전단철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실용적 전단설계기술

        정제평 ( Je-pyong Jeong ),김민환 ( Min-hwan Kim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전단파괴의 합리적 거동 모델에 기반한 통합적 설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것이다. 제안 모델은 휨과 전단에 지배 받는 균열이 발생한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전체적인 내력 흐름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내력상태계수(아치계수)의 새로운 개념을 고려하였다. 복부 전단철근이 없어 전단 파괴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경우, 한계전단균열은 휨균열 근처에서 시작된 후 평형조건에 기반하여 이론적으로 형성된다. 추가로 Kim에 의해 잘 알려진 응력집중계수가 경사 전단균열강도를 예측하는 공식에 주요 인자로 사용되었다. 제안한 실용적 전단설계 공식은 발표된 실험자료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제안한 모델의 개념은 복부 전단철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복부 전단파괴와 같은 휨전단 파괴 원인과 기구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escribes an attempt to develop a unified design approach for reinforced concrete beams failing in shear based on a rational behavioral model. This model is incorporated with a new concept of the internal force state factor (Arch coefficient) that can represent global state of internal force flow in cracked reinforced concrete beams subjected to shear and bending. For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no web reinforcement failing in shear, critical-shear cracking behavior is theoretically formulated based on equilibrium consideration of the beam end part after onset of nearby flexural cracking. In addition, the well-known stress concentration factor by Kim is also included as a main parameter in the formulation to predict diagonal shear cracking strength. The practical shear design equation is verified by using published experimental data. The concept of the proposed model can provid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cause and mechanism of flexural shear failure as well as web shear failure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no web reinforcement.

      • KCI등재

        GFRP 판을 전단보강재로 사용한 넓은 보의 전단성능 평가

        조은선,최진웅,김민숙,김희철,이영학,Jo, Eunsun,Choi, Jin Woong,Kim, Min Sook,Kim, Heecheul,Lee, Young Hak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3

        본 논문은 넓은 보의 전단강도를 대상으로 한 실험적 평가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을 통해 넓은 보에 횡방향 단면에서 GFRP 판의 보강개수와 종방향 전단보강 간격, 그리고 유효깊이가 전단강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총 7개의 시험체에 유공형 GFRP 판 형태로 전단보강재를 보강하여 전단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 기재된 전단보강재는 유공형 판 형태로 제작되어 타설 시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보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켰다. 7개 시험체의 주 변수로는 전단보강재의 횡방향 단면에 대한 판의 보강개수와 종방향 전단보강 간격, 그리고 유효깊이로 정하였다. 시험체의 균열 및 파괴 양상, 변형률과 전단강도비를 분석하였다. GFRP판으로 전단보강된 넓은 보의 전단강도는 ACI 318-11 기준으로 산정되었다. 실험의 결과를 통해 유공형 GFRP 판이 전단보강재로서 넓은 보에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wide beam is presented. By the experiment in paper, shear strength depending on parameter of shear reinforcement by GFRP plate on wide beam is investigated. Specimens are 7 of reinforced by GFRP plate with openings. The shear reinforcement is manufactured into plate shape with openings to ensure perfect integration with concrete. The test was performed on 7 specimens. The parameters are including number of shear reinforcement by GFRP plates and center-to-center spacing between vertical strip. We analysed the crack, failure mode, strain, shear strength of specimens. A calculation of the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wide beam with GFRP plate based on ACI 318-11.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GFRP plate is works successfully as shear reinforcement in the wide beam.

      • KCI등재

        전단구속철근을 배치한 유공강판 전단연결재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성칠,김영호,유성근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6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0 No.6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에서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경계면에 효과적인 응력전달과 합성거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스터드, 채널, 유공강판 등이 사용된다.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전단연결재는 스터드 형식이고, 최근에 들어서는 강판에 구멍을 뚫은 유공강판전단연결재인 Perfobond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강․콘크리트 합성교량에 적용하기 위한 Perfobond형 전단연결재의 연성능력과 전단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횡방향 전단구속철근을 배치하고, Push-out 실험을 수행하여 전단내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유공강판 전단연결재에 전단구속철근, 횡방향 관통철근, 단부 지압판 등을 설치함에 따른 수평 저항성능이나 다웰효과 등에 의해 전단내력이 상승하였으며, 또한 최대내력 이후 변형능력이 유지되면서 연성거동 특성을 보였다. In the design of composite structures, shear connectors such as headed stud, channel, perforated plate, etc, are commonly used to transfer longitudinal shear forces across the steel-concrete interface.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shear connector.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11 push-out tests performed on the new perforated rib connectors with shearing bars embedded in concrete slab under static load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tests are as following : 1) The bearing plate welded on both sides of perforated rib plate improves the stiffness and strength. 2) The capacity of perforated connectors is influenced primarily by the transverse reinforcements and shearing bars.

      • KCI등재

        거칠기 효과를 고려한 주문진 표준사의 잔류전단강도 특성 분석

        정승원 대한지질공학회 2023 지질공학 Vol.33 No.4

        잔류전단강도(residual shear strength)는 산사태와 토석류 해석시 사용되는 중요한 인자이다. 잔류전단강도는 흙이 전단될 때 발현되는 최소 전단응력으로 산사태 발생시점에서의 전단강도이다. 본 연구는링전단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주문진 모래에 대한 잔류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거칠기 효과를 검증하기위하여 링전단상자를 거친면(rough surface)과 매끈면(smooth surface)으로 달리 제작하여 흙 시료가전단될 때 거칠기(roughness)에 따른 전단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조립상태, 배수조건에서전단속도를 0.01, 0.1, 1, 10, 50, 100 mm/s로 달리 적용하여 각 전단속도에 따른 전단응력을 측정하고, 각 시험단계별 잔류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전단강도는 전단속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또한 전단시간이 길어질수록, 전단속도가 증가할수록, 링전단상자 하부링에서 더 많은 미립분이 쌓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입자 파쇄량이 증가할수록 산사태 발생이후 토석류 확산시에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Residual shear strength is an important parameter in landslide dynamics and may be considered the critical factor in landslide triggering. Tests were undertaken using Jumunjin sand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ooth and rough surfaces on ring-shear characteristics. Under dense and drained conditions, shear velocities were recorded as 0.01, 0.1, 1, 10, 50, 100 mm s-1, with shear strength increasing with velocity and producing increasingly fine content. Particle fragmentation may thus increase landslide mobilization when the landslide body is mixed with ambient water in channelized flows.

      • KCI등재

        전단력과 축하중을 받는 강판 콘크리트(SC) 벽체에서 스터드의 형상과 배치간격의 설계를 위한 해석적 연구

        조성국,임진선,정영도,이성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4

        이 연구에서는 SC 전단벽의 전단 연결재인 스터드의 배치와 형상이 SC 전단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전단벽체가 전단력과 축하중을 받을 때의 거동을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형상과 배열의 스터드가 배열된 SC 전단벽을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스터드의 간격이 과하게 떨어져 있을 경우 합성거동이 완벽하게 작용하지 못하며 강판이 설계곡선의 2차 항복 전단력 보다 적은 하중에서 항복함을 확인하였다. 스터드의 형상은 일반형 스터드뿐만 아니라 개선된 경사형 스터드도 전단거동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스터드의 간격이 합성거동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하여 경사형 스터드가 일반형 스터드에 비해 좌굴을 제어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Steel Plate Concrete (SC) walls subjected to shear and axial forc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ape and arrangement spacing of studs on the design of SC walls was analytically reviewed. For this purpose, 9 cases of finite element analyses considering the different shape and spacing of studs in SC wall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eel plate was yielded at the lower load than the second yielding shear force of the design skeleton curve when the spacing of stud is excessively far from each other. It is also found that the shape of the stud did not affect the shear behavior of SC wall but, the spacing influenced to its composite action. In this study, it was also proven that the inclined shaped stud resists more effectively to the bucking load than the general shaped stud in SC wall.

      • KCI우수등재

        전단철근비와 보의 단면크기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특성 연구

        노형진,유인근,이호경,백승민,김우석,곽윤근 대한건축학회 201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beam section size and shearreinforcement ratio. A total of nine specimens were tested and designe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is 24 MPa. The main variables areshear reinforcement ratio and beam section size fixed with shear span to depth ratio (a/d = 2.5), the tensile reinforcement ratio (ρ = 0.013)and width to depth ratio (h/b = 1.5). The test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series of S1 (225× 338 mm), S2 (270× 405 mm) and S3(315× 473 mm),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ll specimens represent diagonal tensile failure. For S*-1 specimens (d/s=0),the shear strength decreased by 33% and 46% with increasing the beam effective depth, 26% and 33% for S*-2 specimens (d/s=1.5) and16% and 20% for S*-3 specimens (d/s=2.0) respectively. As the shear reinforcement ratio increases, the decrease range in shear strengthdecreases.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as the shear reinforcement ratio increases, the size effect of concrete decreases. In the S1 series,the shear strength increased by 39% and 41% as the shear reinforcement ratio increased, 54% and 76% in the S2 series and 66% and 100%in the S3 series, respectively. As the effective depth of beam increases, the increase range of shear strength increases. This means that theeffect of shear reinforcement increases as the beam effective depth increases. As a result of comparing experimental values with theoreticalvalues by standard equation and proposed equation, the ratio by Zsutty and Bazant´s equation is 1.30 ~ 1.36 and the ratio by KBC1 andKBC2 is 1.55~.163, respectively. Therefore, Zsutty and Bazant's proposed equation is more likely to reflect the experimental data. The currentstandard for shear reinforcement ratio (i.e.,  max=d/2) is expected to be somewhat relaxed because the ratio of experimental values totheoretical values was found to be 1.01 ~ 1.44 for most specimens.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크기효과와 전단보강근이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인장철근비(ρ=0.013), 폭 대 깊이 비(h/b=1.5)와 전단경간비(a/d=2.5)를 일정하게 하였고, 단면의 크기와 전단철근비를 변수로 하여 전단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초기 균열은 휨 응력에 의해 발생하였고,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구간에서 사인장균열이 진행되었다. 사인장균열은 초기에 전단경간의 중립축 부분에서 발생한 후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측 지점부분과 상부측 가력부위로 확대되어 진행되었다. 이후 최종파괴형태는 모든 시험체에서 사인장파괴 형태로 관찰되었다. 2. 균열진전에 대해 살펴본 결과 d/s가 0인 시험체들(S1-1, S2-1, S3-1)은 평균 균열간격 176 mm, d/s가 1.5인 시험체들(S1-2, S2-2, S3-2)은 129 mm, d/s가 2.0인 시험체들(S1-3, S2-3, S3-3)은 98 mm로 나타나, 전단철근비가 증가할수록 평균 균열간격이 좁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균열폭 역시 동 시리즈 별로 20 mm, 11 mm, 10 mm로 나타나, 전단철근비가 증가할수록 평균 균열폭이 줄어드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실험결과 전단철근비가 증가하면서 전단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유효깊이가 증가할수록 시험체의 전단강도는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콘크리트 보의 크기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실험값을 기준식 및 기존 제안식에 의한 이론값과 비교한 결과, Zsutty의 경우 평균 1.36, Bazant의 경우 평균 1.30, KBC1식, KBC2식은 1.55 ~ 1.63으로 나타나, Bazant의 제안식이 좀 더 실험값을 잘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5. 전단철근을 배근한 시험체에서 이론값에 대한 실험값의 비가 1.01 ~ 1.44로 나타났다. 특히, CSA 기준에서 요구하는 = 0.7d와 유사한 S=0.67d(d/s=1.5)인 S1-2, S2-2, S3-2 시험체에서는 1.13 ~ 1.39로 나타나 전단철근에 대한 현행기준  = d/2 는 다소 완화시켜도 될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를 기준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6. d/s가 0인 시험체들(S1-1, S2-1, S3-1)은 유효깊이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 값은 33 %, 46 % 감소하였고, d/s가 1.5인 시험체들(S1-2, S2-2, S3-2)은 26 %, 33 %, d/s가 2.0인 시험체들(S1-3, S2-3, S3-3)은 16 %, 20 %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전단철근비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의 감소폭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것은 전단철근비가 증가할수록 콘크리트의 크기효과는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7. S1시리즈에서는 전단철근비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 값은 39 %, 41 % 증가하였고, S2시리즈에서는 54 %, 76 %, S3시리즈에서는 66 %, 100 %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보의 유효깊이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의 증가폭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것은 보의 유효깊이가 증가할수록 전단철근의 영향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대중 언론 매체의 탄생? -근대 초기의 전단 문화 연구

        이노은 ( No Eun Lee ) 한국브레히트학회 200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15 No.-

        독일어 Flugblatt는 보통 `전단` 혹은 `팸플릿`으로 해석된다. 이 단어를 들으면 현대인들은 이념적 갈등이 첨예했던 시기에 선전선동을 위해 사용되었던 삐라나 오늘날 조간신문과 함께 혹은 길거리에서 무작위로 전달되는 광고전단을 떠올린다. 이러한 연상 작용은 독일어권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대략 1450-1600년경까지의 시기를 아우르는 독일의 근대 초기 문화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당시의 시대적 맥락을 고려하여 오늘날과는 다른 시각으로 전단이라는 문화적 현상을 바라보아야 한다. 결론부터 간단히 말하자면 당시의 전단은 공짜로 대량 살포되지도 않았으며, 선전선동이나 광고효과를 주목적으로 제작되지도 않았다. 이 시기의 전단이 갖는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은 돈을 주고 사고파는 상품이었다는 점, 그리고 신문의 전신으로서 정보전달의 목적을 갖고 있었다는 점이다. 근대 초기에 제작된 모든 전단은 판매를 위한 것이었고, 이러한 상업적 성격이 전단의 제작으로부터 보급과 수용까지의 전 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렇듯 상품으로서 등장한 전단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영역에 걸쳐 중세에서 근대로의 변화를 경험하며, 특히 처음으로 시장경제의 원칙이 확산되기 시작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 현상이다. 또한 전단은 아직 언론매체가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에 글과 그림을 통해 소식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광범위한 여론형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따라서 전단의 대중적 영향력을 활용하기 위해 정치적인 내용의 전단이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던 시기도 있었다. 이러한 선동적인 성격의 전단이 가장 많이 제작되고 배급되었던 시기는 종교개혁, 농민전쟁, 30년 전쟁 등 정치적, 종교적, 정신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날 때였다. 어느 정도 훗날의 사건인 프랑스혁명이나 1848년의 혁명 때도 마찬가지였다. 본고에서는 근대 초기라는 특정한 시대적 공간 속에서 전단이 갖는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을 상호보완적인 요소로서 함께 고려하며, 당시 전단이 어떤 방식으로 생산되고 수용되었으며,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근대의 본격적인 진행과 함께 신문, 책 등의 보급을 통해 더욱 활성화되는 "의사소통의 문자화 과정"이 출발하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Das Wort `Flugblatt` weckt im allgemeinen Assoziationen von agitatorischen und ideologischen Schriften. Aber bei der Forschung des fruhneuzeitlichen Flugblatts soll die Erfahrung und Vorstellung der modernen Zeit zunachst etwas zuruckgehalten werden. U.a. zwei Eigenschaften der Flugblatter sind fur die Forschung von grundlegender Bedeutung, namlich zum einen die als Ware und zum anderen die als Zweckdichtung als Vorlaufer der Zeitung. Diese beiden Charaktere des Flugblatts als Waren und als Informationsmaterial unterstutzten sich gegenseitig und machten die Entstehung und die weitere Entwicklung des Flugblatts aus. Den zeitgenossischen Bedurfnissen und Interessen der fruhen Neuzeit entsprechend entstand das Flugblatt gegen 1480 als eine Kombination des alteren Holzschnittdrucks und des Buchdrucks mit beweglichen Lettern und erfuhr seine erste große Verbreitung und Nutzung in der Reformationszeit. Es stellt als "die wichtigste Form der Bildpublizistik" und "das erste Massenmedium" eine bezeichnende Erscheinung fur die Neuzeit dar und besitzt als Vorganger anderer kleiner Literatur einen reprasentativen Charakter. Es war ein Zeichen der Neuzeit. Durch die geistige, technische, okonomische und politische Entwicklung ist es entstanden und es hat auch seinerseits diese Entwicklung gefordert. Ubermaßige viele Leute hatten vemutlich eine Chance, mit den Flugblattern in Kontakt zu kommen, Das Flugblatt war der erste Schritt zur "Demokratie von Wissen". Bei der Produktion und dem Vertrieb des Flugblatts wirkten nicht nur ein Faktor, sondern mehrere, manchmal auch gegensatzliche Faktoren zusammen. Z.B. spielte die Orientierung an Geschmack und Bedurfnis der Rezipienten aus marktwirtschaftlichen Interessen eine große Rolle. Von Seiten der Produzenten konnte aber auch das Interesse an der Beeinflussung und Manipulation der Offentlichkeit des "Gemeinen Mannes" seinen Niederschlag finden. Inhaltlich konnte das Flugblatt alle denkbare-religiosse wie profane - Themen aufnehmen. Im Prinzip konnte das niemand und nichts monopolisieren. Die verschiedenen Faktoren eroffneten ihm durch gegenseitige Mitwirkung und Kombination eine große Moglichkeit als multidimensionaler Kommunikationstrager. Das Flugblatt ist der Vorlaufer der spateren Erscheingungen, die sich in der Kulturgeschichte wiederholen, namlich die Erweiterung der Kommunikationsmoglichkeit im Alltagsleben durch neue technische Mittel. Das aktuellste Beispiel sieht man heutzutage u. a. beim Inter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