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개성능을 고려한 대형 전개형 SAR 안테나의 회전스프링 힌지의 강성 최적설계

        김동연,임재혁,장태성,차원호,이소정,오현웅,김경원,Kim, Dong-Yeon,Lim, Jae Hyuk,Jang, Tae-Seong,Cha, Won Ho,Lee, So-Jeong,Oh, Hyun-Ung,Kim, Kyung-Won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9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전개성능을 고려한 대형 전개형 SAR 안테나의 회전스프링 힌지의 강성 최적설계에 대해 기술한다. 대형 전개형 SAR 안테나는 발사환경에서는 접혀 있다가 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할 때 펼치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여러 장으로 구성된 안테나 패널을 주어진 시간 내에 최소의 충격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회전스프링 힌지의 적절한 강성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회전스프링 강성이 강하면 완전 전개시점에서 발생하는 큰 충격하중이 구조체에 손상을 주며, 약하면 전개 저항으로 인해 완전전개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RecurDyn을 이용한 다물체동역학 해석모델을 생성하였으며 전개해석을 통해 전개성능(전개시간 전개충격하중)을 도출하였다 최적의 회전스프링 강성을 찾기 위해 이에 따른 전개성능을 반응표면법을 통해 근사화 시켰으며 최적설계를 수행하여 적절한 회전스프링의 강성 값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stiffness optimization of the torsion spring hinge of the large SAR antenna considering the deployment performance. A large SAR antenna is folded in a launch environment and then unfolded when performing a mission in orbit. Under these conditions,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the proper stiffness of the torsion spring hinge so that the antenna panels can be deployed with minimal impact in a given time. If the torsion spring stiffness is high, a large impact load at the time of full deployment damages the structure. If it is weak, it cannot guarantee full deployment due to the deployment resistance. A multi-body dynamics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using RecurDyn and the development performance were predicted in terms of: development time, latching force, and torque margin through deployment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optimum torsion spring stiffness, the deployment performance was approximated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 (RSM) and the optimal design was performed to derive the appropriate stiffness value of the rotating springs.

      • KCI등재

        공력면 전개에 필요한 전개 에너지의 추산에 관한 연구

        정석영(Suk Young Ju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0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7 No.3

        ??공력면의 전개 거동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을 적분 형태를 바꾸어 전개 가능한 조건을 유도하여 전개에 필요한 힌지 토크를 추산할 수 있는 방정식을 얻었다. 방정식의 해는 주어진 전개 조건과 공력 조건에 대해 전개가 가능하기 위하여 전개 장치에 저장되어야 할 최소의 전개 에너지이며 방정식을 풀기위하여 공력과 중력, 마찰력 동 공력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적분을 계산하여야 한다. 공력 롤 감쇠와 마찰력과 같은 비가역적 현상에 대한 적분을 수행하기 위하여 몇가지 가정과 모델링이 필요하였으며 특히 공력 롤 감쇠의 적분을 위하여 전개 각속도를 전개각만의 함수로 표현되도록 모델링하였고 이는 전개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최대 각속도와 형태를 가정함으로써 가능하였다. 방정식 풀이와 전개 각속도의 모델을 위하여 전개 에너지를 대표하는 이상 전개 각속도를 정의하였으며 최소의 전개 에너지를 구하는 방정식은 이상 전개 각속도에 대한 이차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제안된 추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전개 조건과 공력 조건에 대하여 최소 전개에너지를 추산하고 기 개발된 전개 거동 모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여러 형태의 전개 토크 형태에 대하여 추산 결과의 타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Considering an integral equation governing the motion of unfolding fin, an algebraic equation was acquired to get estimated minimum deployment energy required for the successful fin unfolding under the given wind condition. To complete the integration of moment, some approximations had to be introduced particularly to frictional moment and aerodynamic damping for which deployment angular speed of the unfolding fin was modelled as a function of deployment angle only with assumed profile using expected maximum angular speed. Technique for the estimation of the minimum required deployment energy was finalized by introducing the ideal deployment angular speed representing work done by the fin unfolding device alone during fin unfolding and was confirmed by comparing results from simulation with various aerodynamic conditions and profiles of the hinge torque.

      • 단선 예인ㆍ전장용 오일 펜스 전개 장치 개발

        김대안(Dae An KIM),정덕종(Deok Jong JANG),나선철(Son Chol NA)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4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본 연구는 유체의 흐름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전개 장치를 적용하여 1척의 선박만으로 오일 펜스를 전장ㆍ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현행 오일 펜스에 미치는 예인 저항을 측정한 후 그에 적합한 전개장치의 형태 및 규모를 선계하고, 오일 펜스의 폭과 오일 펜스 권양기 릴의 폭을 고려하여 B형 및 C형 오일 펜스용 전개 장치의 규모를 계산 값의 약 91%와 75% 규모인 3.0㎡와 6.0㎡로 제작하여 해상에서 그 성능을 조사한 것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형 오일 펜스를 2척의 선박이 U형으로 예인ㆍ전장하였을 때, 예인 속도 변화에 따른 오일 펜스의 장력 T(㎏)은 양 선박간의 거리가 100m와 50m일 경우 T = 920υ<SUP>1.1</SUP>, T = 500υ??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계산된 B형 및 C형 오일 펜스용 전개 장치 하나의 규모는 3.3㎡ 와 8.0㎡ 였다. 2) B형 및 C형 오일 펜스에 전개 장치를 부착하고 예인줄을 200m 부여하여 예인ㆍ전장하였을 때 유출유를 포집하기에 적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전개되는 오일 펜스 개구부의 최고 거리는 예인 속도 1.5kt에서 약 114m와 95m로 나타나 오일 펜스 전체 길이에 대한 개구부 최고 전개 비율이 33%에 머무르는 C형에 비해 B형 오일 펜스는 최고 57%까지 전개되어 B형 오일 펜스 전개 장치의 전개 성능이 훨씬 우수하였다. 3) B형 및 C형 오일 펜스 개구부 거리 증가율은 예인줄 길이가 50m에서 100m로 늘어났을 때 약 31%와 40%정도로 두드러지게 전개되지만, 예인줄이 100m에서 150m, 200m로 길어질수록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어 전개 장치의 전개력은 반드시 오일 펜스 예인줄의 길이에 비례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인줄을 100m내외로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4) 예인 속도 1.5kt이상에서는 B형 및 C형 오일 펜스 모두 전개 장치의 전개 성능이 저하되어 개구부 거리가 감소하고 일부분이 침강하거나 월파, 스커트 날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 오일 펜스 전장 형상이 불안정해지는 반면, 예인 속도 1.5kt이내에서는 오일 펜스 형상도 안정적이고 개구부 거리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등 양호한 전개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전개 장치 운용시 합리적인 예인 속도는 1.5kt 이내로 볼 수 있다. For the purpose of doing development to the opening apparatus for unfolding and towing of oil boom by one ship, tension load of oil boom was measured for design to the shape and structure on the opening apparatus. The opening apparatus size for Band C type oil boom manufactured with 3.0㎡ and 6.0㎡ to think about the reel and width of oil boom. It's about 91% and 75% the value of calcula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fficiency test at the sea as follows; When the towing to B type oil boom with the form U by two ship, tension load of oil boom T(kg), with towing speed, as the ship distance of 100m and 50m was measured T = 920υ<SUP>1.1</SUP>, T = 500υ??. The basis on it's, the opening apparatus size calculated for B and C type oil boom was 3.3㎡ and 8.0㎡.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opening of oil boom, when the towing to Band C type oil boom attached the opening apparatus with towing line 200m and towing speed 1.5㏏, was measured 114m and 95m,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opening / total length was 33% and 57%, the efficiency of opening apparatus was very high in B type oil boom. The rate of increase on width of the horizontal opening in Band C type oil boom was 31% and 40%, as the towing line extend from 50m to 100m. But the force of opening do not proportion on the length of towing line, because the towing line extend from 100m to 150m, 200m was sharply decreased. Therefore, reasonable towing line is thereabouts 100m. As the towing speed above 1.5㏏, the efficiency of opening apparatus was lower, the width of the horizontal opening in Band C type oil boom was decreased and outbreak with appearance of sinking, run over waves and flap of skirt in oil boom, but under 1.5㏏ was good because stability the width of the horizontal opening and oil boom. Therefore, reasonable towing speed should not exceed 1.5㏏.

      • 소형위성 태양전지판 전개시험을 통한 힌지 구성품들의 전개 특성 비교 연구

        정석용,이승엽,나경수,조기대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저궤도 소형위성용 태양전지판은 고정전개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보강바가 없는 고정전개형 태양전지판의 경우 힌지의 특성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중인 힌지와 다수의 위성에 탑재되어 검증된 힌지를 이용하여 전개시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전개시험에 필수적인 중력보상장치를 만들었으며,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전개 과정 및 전개 이후 동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전개 토크가 작게 설계된 개발중인 힌지가 전개시간은 길었으나 전개 이후 강성이 높고 감쇠율이 낮아 안정화 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향후 전개 종료 이후 특성에 대한 보완 및 위성체 기동시 영향성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A deployed-fixed solar panel is efficient for Low Earth Orbit small satellites. Characteristics of solar panel hinges without a support bar are especially important for the satellites design. In this paper, solar panel deployment tests are performed with an under-developing hinge and space qualified one. Simple zero-g device concept is introduced for the deployment test. Deployment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and analyzed with accelerometer outputs during the test. As a result, the under-developing hinge with lower deployment torque shows longer stabilization time than qualified one. In the future, study for decreasing stabilization time and investigating the effects by satellite maneuver will be performed.

      • KCI등재

        첫 데이트 장면에서의 화제전개 양상에 관한 한일 대조연구 ─ 연애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을 자료로 ─

        김지원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8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첫 데이트 장면에 나타난 화제전개 양상에 관해 대조 고찰하기 위해 연애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인 ‘하트시그널’과 ‘테라스하우스’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화제전개 양상은 ‘화자중심적 화제전개’ ‘청자중심적 화제전개’ ‘공통적 화제전개’ ‘기타 화제전개’인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 남녀 모두 ‘화자중심적 화제전개’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첫 데이트 상황에서 화자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출하며 대화를 진행해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남성은 ‘청자중심적 화제전개’가, 여성은 ‘화자중심적 화제전개’가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청자에 관한 화제를 도입하는 것이 일본 여성 담화의 특징이라고 밝혀진 기존 연구와는 달리 첫 데이트 장면에서는 남성이 청자 중심의 화제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통적 화제전개’와 ‘기타 화제전개’는 남녀 모두 일본이 한국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일본어 담화의 공화(共和)적 특징이 첫 데이트 장면의 화제제시 방식에 있어서도 드러났다고 할 수 있으며 함께 먹고 있는 음식이나 주변 환경, 공통된 일정이나 하우스 입주자들에 관한 이야기 등 무난한 공통 화제에 관해 대화를 전개해 나가는 경향이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study the contrasting patterns of first-date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the romance reality television programs “Heart Signal” and “Terrace House”. The pattern of communic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peaker-centered topic development,” “listener-centered topic development,” “common topic development,” and “miscellaneous topic development.“ The study found that both Korean men and women tend to favor “speaker-centered topic development.” On the first date, the speaker actively expresses his or her opinions and feelings to proceed through the convers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Japanese television program, the men tend to demonstrate “listener-centered topic development” while women prefer “speaker-centered topic development.” This finding about the women preference is a sharp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which concluded that “listener-centered topic development” was the women’s choice. In addition, both men and women in Japan utilize “common topic development” and “miscellaneous topic development” more frequently to advance the conversation. Furthermore, traces of Japanese cooperative mentality also appear in their conversations. Typically, the Japanese men and women tend to talk about ordinary topics, such as schedules and personal stories which are common to all conversational participants.

      • KCI등재

        『佛敎時報』를 통해 본 心田開發運動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7

        The Buddhism Times was a newspaper that took the role of institution bulletin of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It had been established by Kim Tae-heup on August 1st, 193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earn the movement and activities of Buddhism society on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in detail through the Buddhism Times. This study saw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in 1st period and 2nd period; that are before and the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In the 1st period,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empha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while enlightening the people’s spirit. In the 2nd period,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had more demanding character asking people’s active cooperation in the wartime system. This is consistent with the flow of governing policy of Japanese Empire on Joseon colony. It has been found that most of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activities were done by series of lectures. As seen in Appendix 1 and Appendix 2, the lectures continued during the whole period when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went on.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find out how the content of the lectures influenced the real living of people. It is believed that more studies on the impact of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on everyday living of people w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In addition, such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to be done with conside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and Agricultural Villages Development Movement; because the background of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was the Agricultural Villages Development Movement. 『佛敎時報』는 심전개발운동 기관지와 같은 역할을 하였던 신문으로서 1935년 8월 1일 김태흡이 창간하였다. 따라서 『佛敎時報』를 통해 심전개발운동에 대한 불교계의 활동과 움직임을 비교적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1937년 중일전쟁을 기점으로 심전개발운동을 두 시기로 나누어 보았다. 제1기에는 주로 불교와 심전개발운동의 연관성을 강조하면서 국민정신을 계도하고자 하는 성격이 강했다면 제2기에는 전시체제에 대한 적극적인 협력을 요구하는 성격이 강하였다. 이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제의 지배정책의 흐름과 일치한다. 그런데 심전개발운동 활동은 주로 강연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부록 1>과 <부록 2>를 통해 볼 수 있듯이 강연은 심전개발운동이 전개된 전 시기를 통해 꾸준히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 강연의 내용이 현실 생활 속에서 어떠한 형태로 진행되었는가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하였다. 향후 일상생활 속에서 심전개발운동이 어떠한 형태로 전개되었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농촌진흥운동과의 관련성을 염두에 두고 행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그것은 심전개발운동을 시행하게 된 배경에 농촌진흥운동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 연구 :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전개도의 수

        박교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0 No.3

        수학 6-1 지도서에 따르면, 6학년 수학에서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전개도 그리기는 창의라는 측면에서 권장된다. 이런 점에서 교사는 수업에 앞서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가능한 전개도를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전개도 전부를 제시해 주고 있는 선행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 연구의 일환으로, 밑면(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삼각기둥의 가능한 전개도와 밑면(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사각기둥의 가능한 전개도를 찾을 수 있는 방법과 그 각각의 전개도의 수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수업에서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서로 다른 전개도의 수를 묻는 질문에 답할 수 있기 위해, 교재 연구의 차원에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전개도를 학생들이 그린 전개도의 올바름을 판단하거나, 학생들이 전개도를 창의적으로 그리도록 안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In the sixth grade mathematics, drawing of development figures of the triangular prism and the quadrangular prism is recommended in terms of the creativity. In this sense, the teacher has the need to check in advance all the possible development figures of the triangular prism and the quadrangular prism before teaching on them. However, previous studies that currently give all the possible development figures of the triangular prism and the quadrangular prism are hard to find.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as a study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ethod of finding all the possible development figures of the triangular prism and all the possible development figures of the quadrangular prism without omissions and overlaps and the number of each of development figures which can be obtained by that method are discussed. Here lengths of the three sides of base planes of the triangular prism are different each other and lengths of the four sides of base planes of the quadrangular prism are different each other. This discussion is needed in terms of a study of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prepare for predictable questions to ask the number of the possible development figures of the triangular prism and the number of the possible development figures of the quadrangular prism in classes. In addition,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figures of the triangular prism and the development figures of the quadrangular prism without omissions and overlaps. And teachers can take advantage of them for determining the correctness of the development figures drew by students and guiding students to draw the development figures creatively in actual class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정신계몽운동을 통한 식민통치 - 1930년대 심전개발운동(心田開發運動)을 중심으로 -

        윤기엽(尹紀燁)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6 No.-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의 식민통치 방식은 동화정책(同化政策)으로서 이것은 1940년대까지 일관되게 추진되었다. 1920년대의 총독부는 문화정치를 표방하면서 일선융화를 목표로 지방개량(地方改良)사업을 통해 지방사회를 통제, 관리하고자 했다. 1931년 우가키(宇垣) 총독은 내선융화를 촉진하고 농촌의 부(富)를 증진시킨다는 목표 아래 농촌진흥운동(農村振興運動)을 시행하였고, 결국 농촌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농민들의 정신개발에 있다고 보고 정신계몽운동인 심전개발운동(心田開發運動)을 전개해 갔다. 총독부가 주도한 심전개발운동은 불교계를 적극 활용했는데, 이것은 불교에 대한 대중적 친밀감과 1920년대 조선불교단(朝鮮佛敎團)의 활동에서 찾을 수 있다. 심전개발운동은 일본의 국체명징운동(國體明徵運動)의 여파로 한 차례의 변화를 겪었고,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로 또 한 번의 큰 변화를 겪었다. 중일전쟁 이후 총독부는 전시체제로 전환하여 농촌민에게 생업보국(生業報國)을 강조하고, 내선일체(內鮮一體)를 내세우며 황국신민(皇國臣民)을 강요했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이 시작되면서 심전개발운동도 여기에 편입되어 전쟁 동원에 참여하는 정신계몽운동을 전개해 갔다. 결국 총독부가 주도한 정신개발의 궁극적 목적은 조선인을 일본인과 같은 황국신민화 하는데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The colonial rule implemented by the Chosun-chongdokbu(朝鮮總督府)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policy of assimilation, which was consistently promoted until the 1940s. In the 1920s, the Chosun-chongdokbu advocated cultural politics, emphasizing a policy of in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Chosun-chongdokbu tried to control and manage local societies through farmers" enlightenment by implementing a local improvement project for the purpose of Chosun-Japan harmony. In 1931, governor Ugaki(宇垣) implemented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with the aim of promoting Chosun-Japan harmony and enhancing the wealth of rural areas. The early Rural Promotion Movements tended to focus on cultivating morality in the aspect of life and spirit, and even after the March 1933 notification, a plan for the economic rehabilitation of farmers was prepared, but the significance of spiritual life was still emphasized. Eventually, as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e rural problems lies in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farmers, the Simjeon(心田) Development Movement, a spiritual enlightenment movement for farmers, was implemented.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which started with the initiative of governor Ugaki, actively utilized the Buddhist community, the reason can be found in the public intimacy of Buddhism and the activities of the Chosun Buddhist group(朝鮮佛敎團) in the 1920s. Governor Ugaki is highly likely to use the Buddhism as the vanguard of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in the name of the Buddhism revival, taking into account the cooperative activities of the Chosun Buddhist group.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suffered a change in the aftermath of the appointment of governor Minami(南) in 1936 and the movement for the nation system by Japanese emperor. In January 1936, the three principles of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were announced, and the focus was on edifying the people of Chosun into the royal subject of the Japanese emperor.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did not provide a great help to the actual improvement of rural life, but when the Chinese-Japanese War broke out, it suffered another big change. At the outbreak of the Chinese-Japanese War in July 1937, the governor Minami converted the post Chinese-Japanese War to a wartime system, and emphasized that rural residents must strive to be royal to the nation as a rear duty. In addition, by advocating Chosun-Japan unity, he forced the Koreans to be unified with the Japanese as the imperial subjects. As the Governor prescribed the National Spirit Mobilization Movement as a spiritual movement for the whole nation and as a national movement for the whole country, the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was also incorporated into the National Spirit Mobilization Movement and launched a spiritual enlightenment movement that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mobilization of the war. In this way, it is confirm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various policie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hosun people"s spirit led by the Chosun-chongdokbu was to make Chosun people the subjects of the imperial state who was united with the Japanese.

      • KCI등재

        읽기 교수-학습을 위한 텍스트구조의 전개과정 고찰

        박진용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7 No.-

        이 글은 학습자의 읽기능력을 신장하기 위하여 텍스트구조를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이다. 텍스트구조를 탐색하는 여러 연구 영역 품에서, 이 글은 텍스트 의미구조를 형성하는 원리나 의미관계의 유험 연구를 바탕으로 의미관계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텍스트 의미구조는 구성요소들이 다양한 층위에서 ‘의미관계의 전개과정'을 거치면서 대등적이거나 종속적인 ’의미관계'를 맺으며 연결되는 위계적인 응집성(coherence) 구조이다. 텍스트 수용자가 텍스트 의미구조를 제대로 표상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구성요소들 을 서로 연결하여 응집성을 지니게 하는 ‘의미관계’의 양상을 알아야 하고, 동시에 다양한 층위에서 의미관계를 맺으며 일정한 구조를 이루어가는 ‘의미관계의 전개과정'을 알아야 한다. 텍스트 구성요소들이 의미관계를 맺어 나가는 전개과정은 확장의 원리를 바탕으로 ① 상위적 전개과정 유형, ② 대등적 전개과정 유형, ③ 종속적 전개과정 유험, ④ 전환적 전개과정 유험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he link of research which searches the text structure to extend the reading ability of the learner. Among many research area which searches the text structure, this writing looked into the progression of meaning relation with researches on the principle to form meaning structure and pattern of meaning relation. Text meaning structure is the hierarchic coherence structure that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the meaning relation to be the equality and subordina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meaning relation in various stage. Reader must know the meaning relation that makes text components have the coherence by connecting components each other. And reader must know the progression of meaning relation that constructs a text structure by meaning relation in various stage. The patterns of text structure progression are next four. These do with principle of extension. ① the upper pattern of meaning relation progression, ② the equal pattern of meaning relation progression, ③ the subordinate pattern of meaning relation progression, ④ the turning pattern of meaning relation progression.

      • KCI등재

        하나의 큰 태양전지판에 적합한 전개시험장치 개발

        문홍열(Hong-Youl Moon),박상호(Sangho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1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6 No.7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큰 태양전지판 전개시험을 위해 새로운 전개시험장치를 제안하였다. 지상에서 전개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궤도에서와 유사한 무중력 환경을 만들기 위해 중력 보상을 고려한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전개시험장치를 시험하고자 하는 태양전지판 전개에 적용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 간단한 개념설계, 해석 그리고 시험 등을 통해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지상 시험의 문제점인 공기저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미 프레임을 제안하였으며 중력축과의 정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개 장치에 자동조심 베어링 및 조절나사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테잎 스프링 힌지축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반지름 방향 이동을 위한 수평 이동 베어링이 적용되었다. 이로부터 본 논문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태양전지판에 특성화된 새로운 전개시험장치를 개발하고 검증함으로써 기존 전개시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eployment test equipment that is characterized for the deployment test of single large solar panel with tape spring hinge. To perform the deployment test on ground, a device that takes gravity compensation into account should be used to create a zero gravity environment similar to that in orbit. We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most commonly used deployment test equipment in the past through simple conceptual design, analysis, and tests to judge whether it is applicable to the deployment of the solar panel to be tested. A dummy frame was proposed to reduce the air drag effect during on-ground test and a self-aligning ball bearing and adjusting screws were applied to the deployment test equipment to solve the alignment problem with the gravity axis. And a horizontal bearing for radial movement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of the axis of the tape spring hinge. From these, we solved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eployment test equipment by developing and verifying the new deployment test equipment characterized for the solar panel to be deployed in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