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장인정신 -컴퓨터, 조율할 수 있는 유연한 디지털 미디어, 공예 활동으로서의 그래픽 디자인의 가능성을 위한 개념적 틀

        크리스로 ( Chris R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1996년, 말콤 맥컬로우(McCullogh)는 컴퓨터 및 관련 프로세스가 직접 손 , 공예 , 공예 결과물에 연결될 수 있는 ``실무에 사용되는 디지털 손`` 에 대한 잠재적인 상황들을 조사했다 . 1996년 이래로 그래픽 디자인 산업은 상당히 발전했으나,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의 창작, 실행, 생산에 있어서는 근본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맥컬로우의 사고와 연구는 아직도 충분히 수용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 컴퓨터는 개념적으로나 실제적으로 모두 불편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지적 활동으로서의 그래픽 디자인의 지속적인 발전은 속도와 효율성을 강조함으로써 컴퓨터와 손을 사용한 디자인 제작을 어린 디자이너들의 일로 격하시켜버리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계 곳곳에 스며들어, 시간과 기술, 다양한 접근을 덜 필요로 하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 내곤 한다. 이것을 반복되는 결과는 어디서든 존재할 수 있는. 즉, 만든 사람이 나타나지도 않고, 구분이 되는 특징도 없으면서, 노련한 디자이너의 작업인지 처음으로 디자인 작업을 해 보는 아마추어의 작업인지 차이가 별로 나타나지 않는 디자인을 탄생시킨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그래픽 디자인의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즉, 적절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충분히 시간을 투자하지 않은 프로젝트를 그냥 수행해 내는 상황으로 그 가치가 강등된 것이다. 이 문제의 한 부분은 디자인 산업계나 학계 모두 컴퓨터나 그것의 사용을 단순한 도구로 여긴다거나, 이론이나 엄격한 개념이나 지적인 것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놓는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서로 전혀 다른 두 개의 단어를 활용하여 공예와 오래된 지식(tacit knowledge)이 컴퓨터의 디지털 디자인 과정과 조화를 이루는 상황을 훌륭히 표현한, ``디지털 장인정신``이라는 개념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논의할 것이다. ``디지털 장인정신``이라는 개념은 디자인 산업 분야에 존재하고 있는 몇몇 상황들을 검토하고 어떻게 공예지식과 디지털 과정이 교차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한걸음 더 나아가게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유익하고 의미있는 방법들을 탐구해 볼 것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 장인정신(digital craftmanship)이 오늘날의 그래픽 디자인 산업 내에서의 가치, 보상, 미래 업무 환경 등의 부분에 미치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후 실제 학교의 교육 환경 내에서의 디지털 장인정신의 응용 등에 대해 추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In 1996, Malcolm McCullogh surveyed potential conditions for a ``practiced digital hand``, where the computer and its associated processes could be directly related to the hand, craft and craft output. Since 1996, the graphic design industry has seen substantial developments and yet at a fundamental level, the creation, execution and production of graphic design have yet to fully embrace some of McCullough`s thoughts and conditions. The computer continues to reside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within the design industry both perceptually and somatically. The continued progression of graphic design as an intellectual practice has relegated the computer and the production of design to the hands of younger professionals with an emphasis on speed and efficiency. This in turn has often created pervasive design that requires less investment of time, skills and approach. A recurrent result of this is ubiquitous graphic design - design with no owner, distinguishable character and with litt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work done by seasoned practitioners versus first time amateurs. This has negatively affected the perceived value of graphic design and relegated it in some contexts to pure execution with less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insufficient time allotted for project development. Part of the issue exists in the industry and academia`s continued positioning of the computer and its operation as mere tools, secondary or tertiary to theory, conceptual rigor and intellect. This paper discusses recent research done in an antithetical concept best described as ``digital craftsmanship`` - a condition where both craft and tacit knowledge are congruous with the digital design processes of the computer. The concept of ``digital craftsmanship`` examines some of the existing conditions of the industry and where and how craft knowledge and digital processes can intersect in beneficial and meaningful ways for graphic design moving forward. This inquiry has potential implications for value, compensation and future working conditions within the graphic design industry today. Further research could also involve the application of digital craftsmanship to design education environments and other areas of practice.

      • KCI등재

        문화,문학 : 한국과 일본의 장인(匠人)정신 비교 연구

        정수현 ( Su Hyun Je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look at the basis of the cultural differences ofKorean and Japan by comparing the craftsmanship. Korean craftsmanship and master craftsman making traditional handcrafts andartwork would die out at a critical moment. The craftsmanship and system couldnot be established because of discrimination in the traditional four classes ofsociety( 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tradesmen), invasions of other countriesand discontinuity of tradition from modernization. On the contrast, in Japan, itwas possible to establish traditional handcrafts and artworks, technique andcraftsmanship with apprentice system and various social privilege and treatmenteven in the same traditional four classes of society ( scholars, farmers, artisansand tradesmen). It was common to pass down the family business for a hundredsof years with self respect between Japanese master craftsmen and lots of peoplesucceed the family business will now. Japanese craftsmanship is originated from ``worship to god`` Medieval Japanesebelieved that the thing changes human mind, artistic talent, masterpieces andfaith were connected to sacred power. Therefore, master craftsmen and theirworks were also made by the power of god. In this context, craftsmen wereprotected and treated in socially and nationally. It is that the social treatments and supports in national level and their ownpride and continuous training of techniques and abilities as the main drivingforce to maintain the craftsmanship in Japan. Korea has the sale level ofcompetitive tradition and technique in comparison any other countries. Japanesecraftsmanship study will be a critical data in the protection and maintenance ofKorean traditional and technique

      • KCI등재

        바우하우스의 장인과 디자인 민주주의 : 예술과 기술의 충돌과 협력

        유승호(Seoung-Ho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대부분의 근대예술영역에서 시도된 자본주의적 저항운동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 즉 상징적 경계의 새로운 형성을 통해 진행되었다. 러스킨과 모리스로 대표되는 이러한 저항운동은 수공예 장인의 부활을 통한 장인적 예술의 복원이 목표였지만 결과적으로 예술의 계급화를 초래하게 되었고 자율적인 노동을 배제하게 되는 탈장인적인 예술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인적 노동의 복원을 위한 노력으로서 유일하게 기계제대공업이 가져온 조건을 적극 활용하는, 즉 ‘기술과 예술 그리고 기계와 산업의 융합’을 통해 상징적 경계의 해체와 새로운 융합을 시도하였던 바우하우스에 주목하여 그것의 행위자들actors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6세기 르네상스 예술부흥운동, 19세기 미술공예운동, 그리고 바우하우스의 예술적 사조가 역사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생산으로서의 장인적 예술, 예술소비로서의 민중의 권리, 표현방식으로서의 근대기술>의 교량역할을 수행했던 바우하우스 실천가들과 그들 사이의 협력과 갈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바우하우스가 디자인 민주주의 이념을 구현하려 하였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 현대 메타기술의 시대가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추동하고 있어 바우하우스의 ‘협력과 갈등’그리고 ‘위기와 해체’로부터 반면교사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capitalistic resistance movement attempted in most modern art areas was carried out through a complete convergence of the art and skill, which was the new formation of the symbolic boundary. Although this resistance movement was aimed at restoring artisan art through the revival of tbe work of handicraftsmen, it consequently caused the stratification of the art and became a de-artisan art excluding the autonomous labor. Hereupon, this study would focus on Bauhaus which attempted to dismantle the symbolic boundary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technology and art which actively used the condition the great industry brought only as an effort for the restoration of artisan labor, and would examine the actor-network of Bauhaus. Therefore,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Bauhaus artistic trend, the 16C Renaissance art promotion movement, and the 19C art crafts movement in the network-oriented relation, and would analyze the Bauhaus ideological source which expressed design democracy through the bridging role of 〈artisan art as the production, peoples right as the artisan consumption, modern skill as the expressive method〉 and analyze the artisan art and the mechanism that had the new technology fused. Furthermore, the convergence possibility of the collaboration spirit being embodied as a philosophy of the democracy in the design continues with the tremendous influence of the new technology.

      • KCI등재

        지역 특산품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쟁력 고찰 : 고도 경주빵과 찰보리빵 사례연구

        허정미(Jeong-Mee Heo),권상집(Sang-Jib Kw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5

        지역 경제 성장의 핵심 요인인 지역 특산품은 해당 지역 특유의 영감과 감성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지역 특산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문적으로는 지역 특산품의 성장 비결에 대한 노하우 분석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기존 선행 연구가 지역 특산품의 브랜드 및 관광 효과를 분석했지만 지역 경제차원에서 지역 특산품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방안 및 특산품 사업가들의 의식 정립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를 감안, 경주빵과 찰보리빵을 대상으로 지역 특산품 발전 및 지속 성장을 논의할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지역 특산품을 육성할 수 있는 실무적 교훈을 함께 제안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주에서 가장 전통 있는 제빵 브랜드인 고도 경주빵과 고도 찰보리빵을 대상으로 깊이 있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 제빵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 지역 특산품을 만드는 사업가의 장인정신 및 기업가정신이 가장 중요한 성장 요인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 과정에서 지역 특산품 사업가들의 기업가적 의지와 장인정신의 핵심 동력으로 가업승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핵심적으로 이를 고찰하였다. Local product is the key driver of regional economic growth. Despite abundant attention - there remains to examine about sustainable growth of local product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local product brand and tourism effects, we need to know more about other way or mind-set that upgrade local product quality in local circumstances. This research topic’s goal is to provide an academic implication to discuss sustainable growth and local product developments in Gyeongju bread and waxy barley bread from succession and entrepreneurship view with practical lesson for fostering local products. In-depth case study conducted within ancient capital Gyeongju bread and waxy barley bread provided combined evidence that craftsmanship and entrepreneurship is vital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local bread. Our study suggests that how succession is deployed serves as a key engine for the craftsmanship and entrepreneurial mind of local product business ownership.

      • KCI등재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Craftsmanship의 가치와 적용 타당성에 관한 연구

        노재승 ( Jae Seung Ro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자동차의 등장 이후, 포디즘으로 대표되는 대량생산 시스템을 거쳐 현재에 이르는 자동차 산업에서, craftsmanship의 역할과 그 가치를 알아보고, 현대의 자동차 산업에서 어떻게 적용 될수 있는지 고찰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이탈리아 카로체리아(Carrozzeria)에서 선보인 자동차들과 현대의 자동차 산업에서의craftsmanship 역할과 적용 사례들을 알아보았으며, 문헌 분석을 통하여, 현대의 공업사회에서 장인정신과 수작업에 대한 견해와 관점들을 분석하였다. 1926년 할리얼이 제너럴 모터스에 미술부서를 설립하면서 시작된 자동차디자인은, 제2차 세계대전후, craftsmanship을 바탕으로 한, 이탈리아의 카로체리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동차들이 제작되었고,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며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들어 적극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환경의 변화로, 장시간의 숙련된 기술을 통한 수제작을 기반으로 하는craftsmanship은 상대적으로 그 가치가 하락하게 되며 잊혀가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대량생산을 통하여 운송수단의 풍요를 느낀 소비자들과 더불어, 남들과는 다른 차별성, 개성을 중시하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고부가 가치 시장이 성장하면서 craftsmanship은 다시금 주목을 받게 되었다. 최근 날로 경쟁이 심화되어가는 자동차 산업에서, 제품 자체의 물질적인 가치와 더불어 감성적인 만족감까지도 고려하는 디테일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본 논문에서 고찰하여본 craftsmanship의 가치와도 그 궤를 같이 한다고 볼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솔루션의 신속 정확함을 융합한 개념의 디자인 접근을 통하여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미지를 재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craftsmanship in the automotive design. Since the invention of the automobile and continued its growth through the adoption of the mass production system and current fully automated production circumstance. This research also contemplates how the role of craftsmanship could be positioned in the current automotive design. Several iconic cars that had been designed by Italian carrozzerias, conveying the value of craftsmanship and case studies of implementing this value in current car manufacturers have been reviewed with the literature reviews to analyse the diverse views of craftsmanship in social and design research realm. General motor’s Harley Earl has started the automotive design in 1926. After the Second World War, numerous cars had been designed by Italian carrozzerias with their craftsmanship and contributed to the car industry. However, the adoption of CAD in 1990s has brought the new circumstance and led the degradation of craftsmanship which entails hours of hand-driven work. Ironically, this forgotten value of craftsmanship has been revived due to the emerging luxury market as the customers have begun to seek different aspects of products that could conveys unique identity and value. Under the current competitive car market, it is natural to see the importance of detail-design has been emerged among the car companies, as the notion conveys the value of craftsmanship and merging with the strength of digital solution is expected to enhance the brand identity and competiveness.

      • KCI우수등재

        관료제와 장인정신: ‘영혼 없는 공무원’을 위한 변론

        강명구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4

        근대 국가 경영에 있어 관료제는 역기능적 병폐를 드러내지만 동시에 필수 불가결한 제도적 장치이기에 최근 들어 널리 통용되고 있는 ‘영혼 없는 공무원’ 담론은 양가적(兩價的)이다. 이 글은 리차드 세닛(Richard Sennett)이 새롭게 해석한 장인정신 개념을 차용하여 관료제에 대한 양가적 긴장관계를 완화시키려는 시도 이다. 관료제 모델에 내장된 장인주의적 요소를 잘 활용하면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폐를 완화시키는 내부적 복원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espite wide street-level circulation, critique of so-called “soulless officials” can be double-edged. Dysfunctional bureaucratic phenomena go hand in hand with the inevitable necessities of bureaucratic institutions in running the modern state. By referring to the idea of craftsmanship as put forth in Richard Sennett’s new interpretation, this paper aims to find a possible way of alleviating the tension between the two. There is hope that a careful strengthening of elements of craftsmanship in public organizations (which are supposed to be built on a Weberian type of bureaucracy) might work as a conduit for rebuilding the internal capacity for self-remedy in bureaucratic institutions.

      • KCI등재

        20세기 스웨덴 현대 가구디자인의 특성

        최정신(Choi, Jung-Shi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 of Swedish modern furniture design through design works made by 8 prominent Swedish furniture designers during the 20th century. The study was comple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searching for web-sites of Swedish distinguished furniture companies. 8 furniture designers, eg. Erik Gunnar Asprund Carl Malmsten, Josef Frank, John Kandell, Mats Theselius, Bruno Mathsson, Ake Axelsson and Yngve Extrom were sele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wedish modern furniture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y pursuit simple and functional design beyond time. 2) they pursuit functionalism modified with Swedish traditional craftsmanship. 3) natural wood is considered as the most beloved material for the furniture together with other natural materials such as hemp, leather and cane. 5) easy maintenance and durability of the furniture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make it last long. 6) ecological concept is fulfilled to meet environmental legislation.

      • KCI등재후보

        <미개행성>의 초현실주의적 영상연출 연구

        최돈일 ( Donill Cho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1

        <미개행성>은 애니메이션을 예술적 매체로 인 식시킨 대표적인 애니메이션이다. 스토리를 보면 이 암행성의 문명족 드라그(traag)와 문맹족 옴(om) 의 지배구조관계, 드라그에 대한 옴들의 저항, 각기 다른 행성에서 두 종족의 평화 공존 등의 3단계구 성으로 전개하고 있다. 다만 스토리텔링에 있어 사 건의 개연성과 다소 느린 영상전개는 아쉬움으로 남는다. 한편 영상표현연출에 있어서는 초현실주의적 이 미지표현과 펜 드로잉의 페이퍼애니메이션기법, 구 성적 몽타주에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메시지전달, 전자음의 실험음악 등 표현주의적인 완성도가 돋보인다. 즉 <미개행성>은 문명사회에 대한 작가의 예리 한 통찰력을 초현실적 세계관과 실험적 장인정신으로 표현한 판타지영상아라고 할수 있다. <The Fantastic Planet> is a representative animation that makes people recognize the animation works as artistic media. Review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telling, it consists of three phases - The dominance relationships between Tragg and Om, the cultural tribes in Ygam Planet; resistance of Om against the Traag; and peaceful coexistence of two tribes being in each planet.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s of the Traag are the keypoint of this storytelling, it is a little bit insufficient in describing the process that Terr acquires major knowledge and explains core events through narration without telling that how Terr (Om) could learn Traag characters. As for the direction on image expression, it demonstrates expressionistic perfection such as surrealistic image expression, paper-animation technique through pen drawing, delivery of messages through organic combination of image arrangements, mysterious captivating electronic sound for background music, etc. In conclusion, <The Fantastic Planet> is an animation movie that expresses the sharp insight of the artist on cultural society in animated pictures through surrealistic view on the world and experimental artisan spirit.

      • KCI등재

        삼진어묵 65년 경영사: 어묵베이커리 시장의성공요인을 중심으로

        엄하람,문정훈,허민정,정재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6

        [Purpose] This study divided the Samjin Food corporation’s 65 years business history into six stages, and analyzed five core competences that led Samjin Fish cake corporation to enter the stage of ‘The big change’ [Methodology] This study divided the Samjin Food corporation’s 65 years business history into six stages (① The foundation stage, ② The first heyday, ③ The declination stage, ④ The recovery stage, ⑤ The second heyday, ⑥ The big change stage) according to rosperity and adversity of Samjin Fish cake corporation, and examine critical issues in each stage. [Findings] This study found out five core competences that led Samjin Fish cake corporation to enter the stage of ‘The big change’ which are ① Quality philosophy ② HRM hilosophy, ③ Entrepreneurship ④ First mover advantages, ⑤ Branding. [Implications] Samjin Fish cake corporation is one of the oldest fish cake companies in Korea, on the basis of five core competences, and it successfully opened up a new business field of ‘fish cake bakery’. Thus, business history and core competence of Samjin Fish cake corporation is a good benchmarking factors for other companies facing a similar difficulty. Looking into the business history and core competence of Samjin Fish cake corporation will help others to establish survival strategy in the future.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삼진어묵의 65년 경영사를 기업 경영 성쇠(盛衰)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삼진어묵의 대변화기를 이끈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어묵 베이커리의 성공요인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역사분석법(historical analysis)을 이용하여 삼진어묵의 65년 경영사를 기업경영의 성쇠에 따라 총 6개시기(창립기, 제1의 전성기, 쇠락기, 회복기, 제2의 전성기, 대변화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나타난 중요한 이슈들을 살펴보고, 핵심역량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삼진어묵의 대변화기를 이끈 핵심역량을 ① 품질에 대한 철학, ② 직원관리에 대한 철학, ③ 기업가 정신, ④ 선두주자 이점, ⑤ 브랜딩으로 다섯 가지로 도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어묵 제조기업 중의 하나인 삼진어묵은 이러한 다섯 가지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어묵 시장에서 ‘어묵 베이커리’라는 새로운 사업 영역을 창출하여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현 상황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는 R&D 투자를통하여, 우리 어묵 제품의 세계화를 위한 선두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러한 삼진어묵의 경영사와 핵심역량을 살펴보는 것은 유사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미래생존전략을 수립하는 데 좋은 벤치마킹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제주지역 토착기업의 성장과정 연구 : (주)한라산의 사례

        고광명(Kwang Myong Ko) 제주학회 2008 濟州島硏究 Vol.31 No.-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토착기업을 올바로 자리매김하여 전통과 현대가 연결되는 제주도의 기업가상(企業家像)을 객관적으로 확보하고, 나아가 제주도 기업인이 지향해야 할 미래상을 전망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듯 본 연구에 대한 제주지역 토착기업인 (주)한라산의 성장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주)한라산은 도내 주류업계 중에서 유일하게 3대째에 걸친 CEO(Chief Executive Officer) 체제 속에 50여 년간 한 우물만을 파며 다져진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전통경영과 현대경영을 절묘하게 접목하여 회사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한 현(玄)씨 가문의 기업경영관이 크게 작용했다. 둘째, (주)한라산은 도내 주류업계에서 유일하게 3대째에 한 업종을 경영하며 근로자와의 신뢰를 통한 노사협력을 기반으로 생산성 향상과 신기술 개발, 수출신장에 크게 기여하며, 더 나아가 제주지역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셋째, (주)한라산은 2002년 기준으로 지역 내 총생산액(GRDP) 대비 6.68%로 전국에서 다 지역의 소주회사보다 가장 높아 제주지역 경제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넷째, (주)한라산은 토착자본에 의해 설립된 한일양조장을 경영하면서부터 제주지역 소주산업의 발전에 새로운 기틀을 만들면서 부(富)를 축적하여 그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기업윤리들 몸소 행동으로 보여준 기업이었다. 따라서 (주)한라산은 도내 어때한 기업보다도 근대적인 제주지역의 토착기업이며, 사회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귀감의 되는 기업이었다. 더욱이 (주)한라산은 1955년 (주)한일로 상호 변경한 이후 소주산업 발전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경영활동을 통한 이익을 부(富)의 축적에만 그치지 않고 장학사업, 사회공헌사업 등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모범적인 기업가 상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This study is to seek ideal entrepreneurship of Jeju which connect the past with the future by defining local companies in Jeju and look on the future of the entrepreneurs in Jeju. To this end, Hallasan Co Ltd.,, a brewery of Korean liquor, was selected as a role model. Corporate history of Hallas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llasan has long been dedicated to Korean liquor industry over 50 years. Under the CEO system that has been passed down to 3 generations, it adequately incorporated. traditional management and current management system to drive the company. Undoubtedly, business insight of Hyun family, founder of Hallasan,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flourishing brewery business of the company. Second, Hallasan played a pivotal role in raising productivity, promoting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the export of liquor based on fully-trusted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to promo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Jeju. Third, Hallasan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with 6.68% of GRDP of Jeju accounted for in 2002, which is the highest in nationwide breweries. Fourth, Hallasan blazed the new trail by establishing a brewery funded by the locals and went further to returned the portion of their profit to the society by putting their corporate ethics in practice. In this regard, Hallasan is the most contemporary companies in Jeju and a role model enterprise in historic, social aspects. After changing its name to Hanil in 1955, Hallasan has been aggressive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brewery business while engaging with social activities such as scholarship program, social contribution project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