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성 인식 특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하나(Im, Ha Na),강도원(Kang, Do Won),최창규(Choi, Chang Gy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강도원?최창규(2012)가 개발한 장소성 인식 인과구조 모형의 보편성을 검증하고, 대학로를 대상으로 장소성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지 이용자 특성별로 장소성이 방문자들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구조를 분석하고, 강도원?최창규(2012)의 홍대지역에 대한 연구 결과와 비교?분석을 통해 장소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 모형 및 연구가설의 보편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소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모형의 보편성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대학로와 홍대지역의 모든 집단에서 장소성이 장소애착(H1)과 장소애착이 행동 의도(H3)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소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 차이에 따라서 경로구조 모형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대학로의 단순 소비 집단은 다른 집단들과는 다르게 대학로를 공연문화 장소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른 경로구조 모형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마다 장소성 소비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홍대지역의 단순 소비 집단은 ‘장소성’을 강하게 소비하고 있으나, 대학로의 단순 소비 집단은 지역 내 다른 두 집단과는 달리 대학로의 문화예술 장소성을 인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causality model of placeness cogni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y Kang & Choi (2012). On Daehakro street in Seoul known for performances, theaters, and troupes in its cultural district, this article analysed the causality models of three different groups visiting the stree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ones of Hongik University areas by Kang & Choi(2012). By building and analyzing the path model of placeness and behaviors on the cultural street, this study could show three results as followings. First, it supports the validity of theoretical model 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on of placeness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 by Kang & Choi(2012) to some extent. Second, the differences on cognition of placeness by diverse user groups could alte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mple consumer group in Daehakro street does not recognize the cultural aspects of the street, although the other groups are aware of the placeness. Third, placeness consumers in Daehakro street a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Hongik University areas. The simple consumer group in the latter place perceives and enjoys placeness, but the similar group in the former district does not.

      • KCI등재

        장소 정체성을 위한 도시 공공공간 유형 연구

        서동진 ( Dong-jin Seo ),임종훈 ( Jong-hoon L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1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의 도시는 고도성장과 과밀화로 인한 정체성의 혼재 속에 있다. 다양한 기반시설이 구축되고, 사용자 요구와 편리함, 경제적 측면 등을 고려한 공공 공간과 건축물들이 계속 생산되고 있지만 환경적인 관점에서는 많은 유휴공간들이 생겨나며 일부는 부정적인 도시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사용자의 생활방식의 변화와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대면 접촉의 필요성이 감소함으로 공공공간의 활용이 저하됨과 더불어 그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즉 공공공간의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지역적, 기능적으로 각자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대인의 생활양식이나 행태가 반영된 공공공간의 활용을 위해 장소의 이미지 향상과 장소정체성의 확립을 통해 공간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공공공간의 유형을 파악하여 제시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장소의 개념, 구성요소를 통한 장소정체성의 구조와 확립에 관하여 고찰하고, 도시의 공공공간과의 연계를 위하여 도시의 공공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서 공공공간의 개념과 확장, 공공공간의 생성유형과 패러다임의 변화, 공공공간의 구성요소 특성을 파악하며, 현대 도시의 공공공간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장소정체성과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의 관계성을 파악한다. 장소정체성과 공공공간의 관계성에 근거한 공공공간의 사례연구를 통해 현대 도시의 장소정체성을 위한 공공공간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현대 도시에서 공공공간은 사용자요구에 따라 개념적인 확장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공공공간은 기본적으로 공간의 매개적인 의미를 지닌다.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들은 6가지로 분류되며,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다.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와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통하여 4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결론) 도시 공공공간에서 공공성의 향상에 대한 수요는 공공공간이나 공공건축물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의 계획이나 사적인 건축물에 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장소정체성을 기반으로 다양성이 확보되어야 공공공간이 원활히 제 역할과 가치를 생산한다는 것을 연구 가설로 세우고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와 공공공간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요소의 상관성을 통하여 현대 도시에 적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된 공공공간의 유형을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그 유형은 문화,휴식형 공공공간과 , 커뮤니티형 공공공간, 예술,디자인 중심형 공공공간, 그리고 매체형 중심형 공공공간의 네 가지로 구분 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공공공간 디자인과 도시 개발 전략 단계에 있어서도 보다 다양한 속성의 공간기획과 디자인의 접근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Contemporary cities are facing complex circumstances concerning ambiguity of identity because of density and rapid development. Various public spaces and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user’s need and convenience, economic value, as well as urban infrastructures. The change in lifestyle and ICT culture has led to an inference that human face-to-face interaction will eventually fade away leading to diminishing identity and usage of public space.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curse the problem that identity of public space losing its own meaning and contact, which is only focuses every function and convenience as locally.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tries to find types of public space through various features of space by suggesting lifestyle and behavi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creation of place identity and upgrading its image. (Method) Chapter 2 discusses the meaning of place and structural formation of place identity. Chapter 3 is a theoretical review of urban public space, such as concept of public space, formation types, features and paradigm shift, and subsequently searches for relationship between space elements. Chapter 4 deliberates on developing different types of public space for conceiving an identity for a city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es. (Results)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is proceeding with this conceptual expansion, depending on user’s need. It essentially has implications of intermediate space. Elements of place identity are classified into six types: physical elements, user-centered elements, meaning and symbolic elements, historical (time) elements, communication elements, and media element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place identity and public space. It has inferred four types: culture and leisure.oriented public space, community-centered public space, art and design.based public space, and technology-embedded public space. (Conclusions) The expectation about improvement of publicity within public space not only lies in public buildings, but also in private houses as well as urban planning. With the hypothesis that public space can be working well under the condition of diversity based on place identity,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element of place identity and public space. Subsequently, it verifies and analyzes the adapted types of various contemporary public spaces: culture and leisure.oriented public space, community-centered public space, art and design.based public space, and technology-embedded public space. This research can be the basis for developing various approaches in space design planning, urban design, and strategy making process.

      • KCI등재

        장소성 개념을 통한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전략 연구: 현상학적 장소론을 중심으로

        왕치현,김아영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As the paradigm of urban development shifts from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o urban regeneration, research on place identity is increasing. This is because of the expectation that place identity can play a positive role in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s it is known to be a concept that can give local people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 the identity of the region. However, the study of place identity reveals many limitations in emphasizing economic utility, such as the inflow of tourists and the accumulation of capital, rather than studying place identity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people. The same is true of the old city center in Incheon,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underwa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place identity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cholars who initial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place identity in order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place identity research in the field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and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on place identity in Korea, and 3) to demonstrate the need to revise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old city center of Inche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ffect the location assets of the old downtown of Incheon and these location assets extensively were studied as others-oriented, and the number of residents who would create a authentic place was decreased. There is a concern that this will destroy the place identity rather than regenerate it.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to restore settlement, revitalize the city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mprove their affec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Incheon Regeneration Project needs to be changed in order to form a “authentic place identity”. 도시개발의 패러다임이 재개발·재건축에서 도시재생으로 변화함에 따라 장소성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장소성이 지역민에게 소속감을 부여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념으로 알려지면서 도시재생 전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도시재생 분야 장소성 연구는 지역민과의 연관 속에서 장소성을 연구하기 보다는 관광객 유입, 자본의 축적 등 경제 효용성을 강조하기에 여러 한계점이 드러난다.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인 인천 구도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도시재생 분야 장소성 연구의 한계를 논하기 위해 1) 장소성의 개념을 초기에 정립한 학자들의 이론적 토대인 현상학적 관점에서 장소성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2) 국내 장소성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며, 3) 이를 인천 구도심에 대입하여,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방향에 수정이 필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인천 구도심의 장소자산과 이러한 장소자산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는 도시재생사업이 타자지향적인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는 장소성을 재생하기 보다는 오히려 비진정한 장소성을 만들어, 장소성을 파괴한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도시재생사업의 목적이 정주성 회복,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 활성화, 애향심 향상 등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연구는 인천개항창조도시재생사업이 ‘진정한 장소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방향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장소 브랜딩 관점의 아이코닉 건축 유형에 관한 연구

        양지윤 ( Jiyun Y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아이코닉 건축은 현재 시대의 마케팅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세워지고 있으며, 이질적이며 독특한 외관이 즉각적이고 상징적 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관광지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고 있는 장소에서 아이코닉 건축은 마케팅 전략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향후 연구에 선행하여 아이코닉 건축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장소 브랜딩 커뮤니케이션, 아이덴티티와 이미지, 장소 브랜딩 유형에 대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여 장소 브랜딩 아이덴티티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설문을 위한 12 가지 사례를 선정하였다. 셋째, 사례를 기반으로 전문가의 설문을 이용하여 장소브랜딩 관점의 아이코닉 건축의 사례를 분류 하여 결론적으로 세 가지 아이코닉 건축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기존 이미지를 사용하는 유형은 자연요소와 문화요소에서 많은 응답을 받은 반면, 기존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외부 디자인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문화요소와 인프라 요소가 높은 응답을 받았다. 즉, 장소 이미지를 사용할 때는 장소 문화의 독특한 지역요소가 강조되고 장소 이미지가 사용되지 않을 때, 미술 문화와 시설이 중요하였다. 기존의 이미지를 재창조 한 사례는 예술 문화와 장소 문화의 속성이 모두 중요하게 응답되어 기존 장소 문화를 예술 문화로 강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 장소 브랜딩 관점의 아이덴티티로서 아이코닉 건축의 유형은 이미지 원용형, 이미지 변용형, 이미지 생성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미지 원용형 아이코닉 건축은 지역고유의 문화 및 환경에 순응하는 지역 본연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지역의 랜드마크가 됨을 목적하며 아이코닉 건축 아이덴티티가 된다. 기존 이미지에 부합하면서도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으로 기존 이미지를 신규 이미지로 쇄신한다. 이미지 변용형 아이코닉 건축은 쇠퇴하거나 부정적인 지역의 이미지를 변용하여 새로운 이미지로 대중이 인식할 수 있도록 지역의 랜드마크가 됨을 목적하며 아이코닉 건축 아이덴티티가 된다. 아이코닉 건축의 기능과 외관디자인 그리고 공간에서 행해지는 예술문화가 기존의 이미지를 변화하여 새로운 지역의 비전을 전달하여 부흥을 이끌 수 있도록 한다. 이미지 생성형 아이코닉 건축은 퇴색되었거나 소진된 지역의 이미지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아이코닉 건축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아이덴티티를 창조하는 것이다. 아이코닉 건축의 기능과 외관디자인 그리고 공간에서 행해지는 예술문화가 새로운 이미지와 비전을 생성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conic architecture has been strategically erected for the purpose of marketing in the present age. The heteromorphic appearances and unique style of iconic architecture produces an instant iconic image. For places that seek to become tourist destinations, iconic architecture is one of marketing strategies employed to attract tour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iconic architecture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and to enhance place competitiveness. (Method)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literature review of each of the following topics is conducted: place branding communication, image and identity, and place branding type. The factor of place branding identity was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12 case studies were selected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iconic architecture. Third, these 12 cases were classified using an expert questionnaire. Three types of iconic architecture were then derived from the results of said questionnaire. (Results) The case studies using existing images received many responses in nature and in spatial culture. Conversely, exterior design is the most important type, with artistic culture and infrastructure having a high function at no-use of existing image cases. In other words, when using the image of the place, it is important that the unique local elements of nature and place culture are highlighted and that the attributes of the artistic culture and of the facilities are emphasized when the existing image is not used. Case studies reinventing the existing image of the place seem to strengthen the existing culture with artistic culture, as the attributes of artistic culture and spatial culture are both deemed important. (Conclusions) The study identified three types of iconic architecture for the purposes of place branding: image intension type, image reinvention type and image rebirth type. The image intension type of iconic architecture aims to become a landmark in the place, using images of the area that conform to the local culture and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an iconic architectural identity. Exterior design and artistic culture are reflected in its iconic architecture as a whole, while representing and renewing the existing image with fresh new designs and functions. The image reinvention type iconic architecture aims to become a landmark in which the public to perceive a new image, using an altered and recreated image in spite of a declining or negative image of the place. The function, the exterior design, and the artistic culture in the space change the existing image and convey the vision of the new area to lead a revival. The image rebirth type of iconic architecture is image-creating, with a strong design focus on iconic architecture, rather than faded or depleted images. Exterior design, art and culture aim to convey the vision of the place and create new sights for the tourism industry.

      • KCI등재

        장소 특정적 미술의 여성주의적 실천의 가능성 : 2000년대 한국여성미술가들의 몇몇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수정 한국여성철학회 2018 한국여성철학 Vol.30 No.-

        본 논문은 여성주의적 실천의 한 방식으로서 장소 특정적 예술이 가질 수있는 가능성을 미학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예술의 일반적인 형식 중의 하나로서 자리잡은 장소특정적 예술은, 장소라는 요소가 비판적 예술 실천(수행) 에서 어떻게 문제적이 되는지 장소적 실천 일반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 중에 서도 본 논문은 장소와 여성주의적 실천의 관계를 다루며,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 한국 여성예술가의 네 개의 장소특정적 예술들 - 예술가의 서사와 담론이 중심이 되어 장소화나 특정 장소 선정이 이루어지는 두 가지 경우, 특정 지역 관련 기획전시의 경우, 특정 지역연구 프로젝트의 경우-을 대표 사례로 고려하였다. 모더니즘 예술의 매체 특정성과 대조적으로, 장소 특정성은 예술이 놓여있는 사회제 도적 장소에 대한 의식과 질문이 주요동기가 되기 때문에, 비판적 문화실천으로서 여성 주의적 실천의 가능성이 탐색될 수 있다. 예술에서의 장소특정성이 여성주의적 실천으로 기능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장소 혹은 장소정체성이라는 개념에 대한 재해석이다. 장소란 특정 지리적 입지에 교차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라는 비판지리학자 매시Massey의 주장에 따른다면, 장소를 재구성하고 재해석하는 행위는 모두 정치적 행위이며, 예술에서 지역적 정체성이라는 요소의 활용 역시 젠더나 인종, 지역 문제에 대한 진보적 실천의 방식이 될 수 있다. 여성주의적으로 의미있는 장소적 예술실천에서 중요한 것은 이처럼, 우선적으로는 관계적 장소개념에 의해 기존의 지역 정체성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의 해체와 재해석, 즉 특정 장소 정체성에 대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적극적 재해석이다. 또한 장소특정적 예술의 많은 형태가 특정 장소나 지역 연구프로젝트라는 특수한 예술 형식과 관련된다. 이같은 지역연구 프로젝트는 여성예술가(집단)가 그 지역 정체성을 재해석하는 것 뿐 아니라,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여성 공동체의 삶에 개입하게 된다. 따라서 장소특정적 실천이 여성주의적으 로서 유의미하게 위해 중요한 두 번째 요소는, 타자로서의 예술가가 지역 공동체와 관계함에 있어 어떤 위치를 취하고 어떤 방식을 택할 것인가에 대한 미학적, 윤리학적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소화의 양상과 의미 탐구 - 신화 공간을 중심으로

        김덕삼(Kim Dug-S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2

        본 논문은 ‘공간’의 ‘장소화’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대상으로 신화를 이용했다. 본고에서 말하는 신화의 의미에는 신화학에서 말하는 정형화된 의미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 회자되는 광범위한 의미까지 포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신화’라는 이름 속에 공간의 장소화가 끝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신화에서 어떻게 장소를 얘기하고,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구했다. 그리고 인간의 속성과 성향을 성찰하는 질문을 던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를 위해 먼저 신화, 공간, 장소의 개념을 정리했다. 신화는 ‘광의적 의미’로서의 신화를 채택하고, 장소는 인문지리학자의 견해를 기초로 ‘인간’을 중심으로 공간과 구분하여 생각했다. 고대 신화 속 장소에서는 한국의 단군신화, 중국의 반고신화, 그리고 폴리네시아의 마우이(Maui) 신화를 고찰하였다. 이들은 각기 다르면서도 유사한 면이 있다. 현대 신화 속 장소에서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장소의 영역을 거대 도시와 건축물에서 우주까지 확장하는 장소화를 탐구했다. 특히, 거대 건축물이 들어서는 중국을 비롯하여, 공간의 장소화가 사회적 문제가 되는 현대 사회를 고찰했다. 그러면서 고대부터 현대와 중국에서 태평양까지, 신화 속 공간의 장소화가 보여주는 사례를 통해, 인간의 욕망에 의해 장소가 확장되는 오늘, 무엇이 올바른 장소화인지를 되묻고, 동시에 인류에게 가져올 위험을 거론하며 역지사지와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바로 온갖 신화로 덧칠된 이 공간은 나만의 장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lace”" shown in “Mythology”. Through this study, I explored how to talk about Place in Mythology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and what it means. Through this, I expected that we could ask questions that reflect on human attributes and tendencies. In the text, I sorted out the concepts of Mythology, Space and Place, among which I identified Place in Mythology with the “optical meaning” of Mythology. Place was thought to be separated from Space by “Human”. As a characteristic of the place in ancient Mythology, the Dangun myth of Korea, the Pangu myth of China, the Maui myth of Polynesia was considered. They are different and have a common side. “The Place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Mythology” explored a new myth that extended the realm of plac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then looked at China, where a huge building was built. And Space"s Place looked at modern society, which is a social issue. Today, when the myth is dulled by human desire, the place is expanded, asked again what is the right place. And they warned each other of the dangers of conflict and hostility. As Place shows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Mythology, space will turn into a place and conflict of interest will continue to occur. We should change our positions and find a clue to the solution in our efforts to think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It"s because this space is not my own place that is painted with all sorts of Mythology.

      • KCI등재

        초등 지리교육에서 재현된 ‘장소감’ 내용 분석

        김혜진 ( Hye Jin Kim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으로서의 ‘장소감’과 교육과정ㆍ교과서에서 재현된 ‘장소감’을 비교하여 적실성을 살피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학문의 발전은 학교에서 가르칠 내용의 변화로 이어진다. 교육적으로 정당성을 인정받은 학문적 지식은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으로 학교에서 가르칠 자식이 된다. ‘장소감(sense of place)’ 역시 이와 같은 절차로 2015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하였다. 공간과 장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인간의 실존주의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장소감’이라는 개념은 지리교육에 있어 중요한 연구 주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관련 연구는 지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폭넓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학문 분야에 따라 장소감에 대한 의미와 범주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장소정체성, 장소애착, 장소의존성 등 하위개념과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장소감이라는 개념이 명확히 정립되었다기 보다는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가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장소감을 사람들이 장소에 대해 가지는 생각이나 느낌으로 정의하고, 사적 지리의 측면에서 개인마다 장소감이 다를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sense of place by examining diverse studies on a sense of place and verify the relevance by comparing with curriculums and textbooks. Academic development leads to a change in contents to teach at school. For the contents to teach at school, an academic research result must be credited for validity of its educational value. One of noticeable transitions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the emergence of ‘sense of place’. A discussion on place has been established as a crucial topic in geography education, since it was researched by Yi-Fu Tuan and Edward Relph in earnest. In recent tim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place, and research on a ‘sense of place’ is being widely conduc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geography. But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in meaning and category of sense of place depending on academic fields, and the emergence of related concepts, such as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dependence is bring about confusion. On the other hand,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sense of place to teach at school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dvancement in place-based education and private geography, and children’s geography, based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sense of place by examining diverse studies on a sense of place and verify the relevance by comparing with curriculums and textbooks.

      • KCI등재

        심미적 경험 중심 장소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3-4학년군 마을 학습을 중심으로 —

        허양아(Yang-A Hur)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측면에 경도되었던 지리학습의 대안으로서 Dewey의 심미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장소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이성과 감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는 사회과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장소학습은 감각 활용과 감정 표출의 매개 역할을 하는 ‘장소’를 기반으로 하므로 몸, 감정, 이성이 통합된 총체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안내하는 장소학습은 감각적이며 참여적인 경험이 부족하고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장소를 깊이 있고 공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는 학습자가 장소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장소의 개선을 위해 참여하고 행동하도록 이끄는 데도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기본으로 하되 기존의 장소 관련 단원 학습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장소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심미적 경험 중심 장소학습 프로그램의 의의를 학생, 교사, 사회과 교육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프로그램의 감각적·정서적 장소 참여 방식은 학습자들의 질성적 사고를 촉진하고 마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확장시켰다. 둘째, 이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야외학습 설계와 적용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학습 모델이다. 셋째, 이 프로그램은 그동안 인지적 측면이 강조되었던 사회과교육에 심미적 영역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심미적 교육의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lace learning program based on John Dewey’s theory of Aesthetic experience as a way to provide a holistic experience in which body, emotion, and reason are integrated in social studies. Since “Place” serve as a medium for us to use our senses and express emotions, place learning can be an opportunity to have a holistic experience in which the body, emotion, and reason are integrated.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and place learning guided by textbooks tend to lack sensory and participatory experience and emphasize the cognitive aspect. This makes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ir place in depth and empathy. In addition, the lack of direct interaction with the place also has limitations in leading learners to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place and to act and participate in their community. In this study,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based, and it was intended to prepare a place learning plan that could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lace related unit. The draw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students, teacher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First, this program involves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 of place promoted students' qualitative thought, and in the process, learners'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village expanded. Second, this program has become a place learning model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designing and applying geographical fieldwork in the school. Third, this program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the aesthetic fiel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has been emphasizing the cognitive aspect, and suggests an approach to aesthet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특구 부산 금정구의 장소마케팅 방안

        윤영득(Yoon, Young Dea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이러한 공간을 방문하거나 체험하는 공간의 수용자, 그리고 소통의 매체로서 장소가 되어야 하는 공간과 그와 결부된 장소관련 문화콘텐츠로 구성된다. 부산 금정구는 수려한 자연과 도시서비스, 공업, 농업, 교육, 관광 등이 어우러진 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농복합지역으로서 2013년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교육특구로 지정되어 각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큰 잠재력과 정부지원을 받는 지역의 발전은 전략적인 장소마케팅의 견지에서 검토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그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금정구는 체험사회를 대표하는 제3의 공간의 특징인 몰링, 컨셉트 라인, 코어 어트랙션에 유의해서 공간배치와 활용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금정구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그것을 확장하여 부산금정구의 매력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산금정구의 고유하면서도 매력적인 문화콘텐츠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부산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를 발굴하거나 새롭게 인식하여 확산하여야 한다. 이 때 부산 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그것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와 그것의 산업화는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의 이식과 확장, 그리고 향후 금정구 지역을 넘어서서 부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과 공감대 형성을 이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일의 추진 과정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과 기업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금정문화위원회를 결성하여 산학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e which should become place as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with the place. Pusan Kumjungku is city-rural complex region which is composed with city services, industry, agriculture, education, and tourism, and so has big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has been nominated as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year of 2013.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such big potential and government support can be realized enough only when the policy is supporte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gion with the strategic plac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san Kumjungku as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Pusan region and has the large symbolic meaning and importance In Pusan Kumjungku , the allocation and use of space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to the concepts of mall, concept line, and core attra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experience society. Nextly, the attractiveness of Pusan Kumjungku should be heightened up through searching and expend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 to the place. At this time, cultural primitive type related with Pusan Kumjungku should be searched and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and utilized not only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in cultural industry. This kind of cultural contents and its commercialization should, not just finish as itself, but excercise the power of affection all through the Pusan, so achieve strong propelling power and consensus. In the process of these job, the governance system of cooperation among citizen, bureaucracy academic and industrist through forming Kumjung. Cultural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이러한 공간을 방문하거나 체험하는 공간의 수용자, 그리고 소통의 매체로서 장소가 되어야 하는 공간과 그와 결부된 장소관련 문화콘텐츠로 구성된다. 부산 금정구는 수려한 자연과 도시서비스, 공업, 농업, 교육, 관광 등이 어우러진 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농복합지역으로서 2013년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교육특구로 지정되어 각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큰 잠재력과 정부지원을 받는 지역의 발전은 전략적인 장소마케팅의 견지에서 검토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그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금정구는 체험사회를 대표하는 제3의 공간의 특징인 몰링, 컨셉트 라인, 코어 어트랙션에 유의해서 공간배치와 활용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금정구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그것을 확장하여 부산금정구의 매력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산금정구의 고유하면서도 매력적인 문화콘텐츠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부산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를 발굴하거나 새롭게 인식하여 확산하여야 한다. 이 때 부산 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그것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와 그것의 산업화는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의 이식과 확장, 그리고 향후 금정구 지역을 넘어서서 부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과 공감대 형성을 이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일의 추진 과정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과 기업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금정문화위원회를 결성하여 산학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e which should become place as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with the place. Pusan Kumjungku is city-rural complex region which is composed with city services, industry, agriculture, education, and tourism, and so has big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has been nominated as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year of 2013.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such big potential and government support can be realized enough only when the policy is supporte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gion with the strategic plac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san Kumjungku as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Pusan region and has the large symbolic meaning and importance In Pusan Kumjungku , the allocation and use of space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to the concepts of mall, concept line, and core attra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experience society. Nextly, the attractiveness of Pusan Kumjungku should be heightened up through searching and expend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 to the place. At this time, cultural primitive type related with Pusan Kumjungku should be searched and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and utilized not only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in cultural industry. This kind of cultural contents and its commercialization should, not just finish as itself, but excercise the power of affection all through the Pusan, so achieve strong propelling power and consensus. In the process of these job, the governance system of cooperation among citizen, bureaucracy academic and industrist through forming Kumjung. Cultural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아트 하우스 프로젝트’의 장소특정성과 공간연구

        윤의향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6

        이 연구는 지역의 자연과 전통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일본 나오시마 섬 혼무라 지역의 ‘아트 하우스 프로젝트’의 장소특정적 예술의 상생효과를 다룬 연구이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나오시마의 특정 지역과 현대미술이 결합 되면서 파생된 몇 가지 의의, 특히 장소와 작품 간의 상호 작용과 공간에서 나타난 장소특정성 속성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프로젝트 계획은 낙후된 전통 가옥이 많은 혼무라 지역에서 카도야, 미나미데라, 아이 러브 목욕탕 등을 공공장소 특성을 유지한 예술 전시공간으로 변화시킨사례가 된다. 연구자는 침체 되었던 혼무라 지역의 경제가 어떻게 장소특정적 현대 예술의 장소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문화예술의 고부가 가치의 경제 사이트로 급부상하게 되었는지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로 초점을 맞춘 것은 현대 예술계에서 주목을 끈 장소특정성 현대미술의 설치 특징과 건축공간, 그리고 자연과 공동체와의 상생효과 등이다. 세부적 연구방법으로는 ‘아트 하우스 프로젝트’에서 지역의 전통문화와 장소특정적 예술 그리고 작품의 설치에 주목하며, 3개의 사례연구인 카도야, 미나미데라, 아이 러브 목욕탕 등을 중심으로 현대미술과 장소 특정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무엇보다 강조되는 것은 첫째는 지역이 ‘아트 하우스 프로젝트’ 를 통해서 장소특정성 작품들의 설치와 주민들의 참여로 상생적 성장을 하여 문화예술 지역으로 탈바꿈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는 앞의 논지를 이어받아 구체적 사례들을 확인하며, 이를 통해 현대미술이 확장된 지평 위에서 지속적인 발전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해 보인다. 셋째는 나오시마 ‘아트 하우스 프로젝트’의 실제적인 사례들을 통해, 특별 지역의 건축, 자연, 창작예술의 조건들이 소통, 통래 하면서, 동시대 기예의 향방을 가리키고 있음을 논의한다. 나오시마 ‘아트 하우스 프로젝트’는 학문과 예술, 지역의 장소가 장소특정성미술과 연관된 담론에 공헌하는 긍정적 실례의 효과 연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