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군우주작전 수행방안

        최창국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4 한국군사학논집 Vol.80 No.2

        우주작전은 본질적으로 합동작전이다. 육군우주작전은 육군이 지상작전에서 승리하기 위해 우주전력과 우주자산을 활용하는 제반활동으로 육군은 우주작전을 통해 합동작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수단이 육군우주작전 7대 능력이다. 육군우주작전 7대 능력은 육군우주작전 작전수행방법과 우주전력 소요도출 등의 기준이 되며, 전투수행기능을 다층적이고 복합적이며 유기적으로 지원하여 지상작전 승리에 기여한다. 본 논문은 합참과 육군의 우주작전 관계를 정립하고, 육군우주작전 능력이 전투수행기능들을 어떻게 지원하는지를 제시하는 선도적 연구가 될 것이다. Space operations are essentially Joint operations. The Army space operations are all activities in which the Army utilizes space power and available space assets to win ground operations, and the Army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Joint operations through space operations. The specific means for this are the seven capabilities of the Army Space operations. The seven capabilities of the Army Space Operations are a basic classification and scop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my Space Operations Capability and the method of performing operations, and are the criteria for deriving and deploying the necessary space power for the Army's space operations. The Army Space Operations capabilities do not operate on their own, but contribute to the victory of ground operations by providing multi-layered, complex and organic support to the Army's six warfighting functions. This paper will be a leading study that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the Army space operations and suggests how the Army space operations capabilities support warfighting functions.

      • KCI등재후보

        작전기반의 차기 TICN 능력 도출 방안

        장동모,유철희,이태공,임재성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1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8 No.1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the capability component and requirement capacity in order to derive the required capability of the next generation 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reflected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NCW environment such as long range transmission, ensured fast speed and broad bandwidth, multimedia information transmission. To achieve this, avoiding simple access method to improve functions and performance in terms of existing SPIDER system's development, and ground-operation based analysis, 12 capability requirements and 8 component systems were systematically identified by utilizing of process and mapping-table that link up with joint-amphibious-operation scenario, principle of tactical communication,and TICN's requirement capability. Also, by using the results of battalion level Live-simulation's communication and KVMF(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s message design, the required capacity for combat-radio-system's voice, data, video transmission components that is key to the capability components was calculated. By using of systematic approach of operation-based capability extraction such as TICN capability components extraction and combat-radio-system requirement capacity calculation, the basis of TICN functions and performance extraction for the next generation will be able to be provided. 본 논문에서는 미래 NCW 환경에서 장거리 전송, 고속 및 광대역 보장, 멀티미디어 정보전송 등의 특징을 반영한 차기 전술정보통신체계(TICN)의 요구능력을 도출하기 위하여 능력요소와 소요용량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SPIDER 체계 발전이라는 연장선상에서 TICN의 기능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단순 접근방식과 지상작전 위주의 분석에서 탈피하여, 합동상륙작전 시나리오, 전술통신 준칙, 그리고 TICN 요구능력을 연계시킨 프로세스와 관계도를 활용하여 TICN의 12개 능력요소와 8개의 구성체계를 체계적으로 식별하였다. 또한 대대급 과학화 실기동훈련의 통신운용결과와 KVMF 메시지 설계결과를 활용하여 능력요소의 가장 핵심이 되는 전투무선체계의 음성·데이터·영상 전송 능력요소에 대한 소요용량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TICN의 능력요소 도출과 전투무선체계의 소요용량 산출은 작전기반의 능력 도출이라는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차기 TICN의 기능과 성능 도출에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공군력 발전방향

        홍성표(Sung-Pyo Hong),조관행(Kwan-Haeng Cho)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9 평화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이후, 한반도 항공전역(Air Campaign)에서 한국공군이 주한 미공군을 주도할 수 있는 작전요구능력을 갖추기 위한 공군력 건설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미간에 추진되고 있는 전작권 전환은 기존의 미군 주도, 한국군 지원의 연합방위체제에서 한국군 주도, 미군 지원의 공동방위체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작권이 미군에서 한국군으로 전환됨에도 불구하고, 항공전역에 관한한 한국공군이 항공전역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때 까지는 미공군이 주도하는 것으로 한미간에 합의되었다. 항공전역이 전쟁승패를 결정하는 현대적 양상을 고려해볼 때, 한국공군이 한반도전구에서 항공전역을 주도하지 못한다면, 즉, 미공군이 현재와 마찬가지로 한국공군을 지휘통제한다면, 그것은 결과적으로 한국군이 한반도전역을 수행함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전작권 전환 이후, 한국공군이 항공전역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이에 걸맞는 작전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공군정책의 가장 기본문서라고 할 수 있는 최상위 교리인 공군 기본교리와 최상위 개념서인 공군비전서에서 제시된 공군의 요구능력을 토대로 능력과제들을 도출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선결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전작권 전환에 따른 공군력 건설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OK Air Force for force-building in connection with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from the US to the ROK.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means that the current US led combined defense structure between the US and the ROK will be changed to the ROK led cooperative defense structure. However, the agreement of the US and the ROK shows that even after the OPCON transition, the US Air Force will take a lead in air campaigns in the Korean theater until the ROK Air Force take full capabilities for modem air campaign. Modem warfare has been operated by jointness of army, navy and air force. Nevertheless, air supremacy has been a key factor for the victory in modem warfare. The ROK Air Force should enhance its capability to take a leading role in air campaig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I suggest the required capabilities and their priorities in force-building for the future ROK Air Force. It is mainly based on the ROK Air Force Doctrine Document I and the Vision Guidance. The ROK Air Force should most importantly enhance its ISR capabilities, that is,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for the victory in modem warfare.

      • KCI등재

        일본의 통합사령부 신설과 한미일 안보협력

        김학준 한일군사문화학회 2023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9 No.-

        From the experience of responding to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Joint Chief of Staff in assisting the Cabinet and the Minister of Defense was highlighted, and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Joint Staff Office was highlighted. This is an issue that has been raised consistently since the launch of the Department. In particular, in solidarity with the U.S. military, it has been recognized as a problem that the counterpart of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must encompass all three levels: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the Indo-Pacific Command, and the U.S. Forces in Japan commander.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romoting ‘cross-domain operations’ while advocating ‘building a multidimensional integrated defense force’ in the space, cyber, and electronic spectrum domains, the establishment of new integrated operation units has increased, and the need for a Headquarters to integrate them. Meanwhile, on December 16, 2022, ‘Strategy 3 Documents’ was announced. In addition, various large-scale projects were included, including the acquisition of the Type 12 surface-to-ship guided missile capability improvement type and the American Tomahawk,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counterattack capabilities. The counterattack capability is exercised across the Army, Navy, and Air Self-Defense Forces, and on the battlefield, inter-unit linkage and avoidance of friendly fire are essential, and from the perspective of defense power development, the creation of a Joint Headquarters is specified to acquire this capability. The United States agreed Japan’s policy of establishing a Joint Headquarters and is considering a plan to grant command authority to U.S. forces in Japan appropriate for this policy. Therefore, in the joint response betwee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WMD,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Korea’s Strategic Command, Japan’s Joint Headquarters, and U.S. Forces Korea/Japan Command will operate in conjunction. On the other hand, rather than granting separate operational authority to the U.S. Forces in Japan,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new headquarters that would integrate the U.S. Forces in Japan and the U.S. Forces in Korea under the tentative name of ‘Far East Command.’ If the U.S. Forces in Korea and the U.S. Forces in Japan are integrat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Korea will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a war led by the United States in situations such as the Taiwan Strait issue as well as emergenci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our country, which is considering the creation of a Strategic Command to be in charge of responding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plans to link up with the Japan’s Joint Headquarters, which is created to operate counterattack capabilities, and establish a new Japan’s Joint Headquarter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he U.S. Military Command in Japan related to thi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in nature, military integr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cooperation system, and prepare for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nd Korea-U.S.-Japan. 동일본 대지진 대응 시의 경험으로부터, 내각과 방위상에 대한 통합막료장의 보좌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통합사령부의 신설이 필요성이 부각되었지만, 통합막료감부 출범시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왔던 사안이다. 특히 미군과의 연대에 있어서 통합막료장의 카운터파트가 미 합참의장, 지역통합사령부인 인도태평양사령관, 예하통합사령부인 주일미군사령관이라는 3단계를 모두 포괄해야한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여왔다. 이에 더해서 우주, 사이버, 전자 스펙트럼 영역에 대해 ‘다차원 통합방위력 구축’을 표방하면서 ‘영역횡단작전’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에 대한 통합작전부대의 신설이 많아졌고 이를 통합운용할 사령부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가운데 2022년 12월 16일, 국가안보전략, 국가방위전략, 방위력정비계획으로 구성된 ‘전략 3문서’가 발표되었다. 여기에 반격능력(스탠드오프 방위능력)의 강화를 내세우며, 12식 지대함 유도탄 능력향상형과 미국산 토마호크의 취득을 비롯한 각종 대형사업을 포함시켰다. 반격능력 행사 주체가 육해공 자위대에 걸쳐, 전장에서는 부대간 연계나 우군사격 회피가 필수적이며 방위력 정비 관점에서는 필요 자산이 육해공을 걸쳐 보유되는 이 능력 획득을 위해 통합사령부의 창설을 명기하기에 이른다. 미국은 일본의 통합사령부 신설 방침을 환영하며, 이에 적합한 주일미군에 지휘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방안에 대해서는 요코다 기지의 기존 주일미군사령부를 확대하는 방안과 지휘권을 가진 예속통합사령부의 신설 등이 각각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북 핵・WMD에 대한 한미일 공동대응에 있어서 향후에는 한국의 전략사령부와 일본의 통합사령부, 주한/주일미군사령부가 연계되어 작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주일미군에게 별도의 작전권을 부여하기보다는 주일미군과 주한미군을 통합한 가칭 ‘극동군사령부’로 통합한 사령부의 신설이 제안되기도 했다.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이 통합될 경우에는 한반도 유사시 이외에 대만해협 문제 등의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전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일본의 새로운 영역에 대한 통합작전능력 확보와 반격능력의 전문적인 운용 등을 고려하여 신설되는 통합사령부로 인하여, 이와 관련된 주일미군사령부의 성격변화, 미일 간의 군사일체화 심화, 표적정보공유 등 상시협력체계 구축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일, 한미일 안보협력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와 영향이 예상되므로 대해 대비하여야 한다. 미중경쟁이 첨예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안보상 전략적 고려는 복합성을 갖는다. 단순한 세력균형 논의에는 한계가 있으며, 행위자의 인식, 선택, 결과에 대한 보다 중층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한국이 추구해야 할 적절한 국내적 전환과 동북아 지역체제와의 공존적 복합화 범주를 고려하여 한국의 국익에 적합한 한일, 한미일 안보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한미일 협력은 대북 위협에 국한되지 않고, 우주・사이버・전자기 스펙트럼과 같은 새로운 도메인에서의 위협에 대한 대응, 중국의 힘에 의한 현상변경 시도에 대한 대응 등이 검토되어야 하며, 미국의 국가방위전략에서 제시된 ‘통합억제(integrated deterrence)’와 ‘전영역지휘통제(JADC2)’ 체계 구축 등에 대한 연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군의 ‘지능화전쟁’ 논의와 대비 연구

        이상국 ( Lee Sang-ku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2

        본 연구는 세계 군사강국 건설이라는 장기적인 국가전략목표 아래 중국군이 최근 본격화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미래전 구상과 대비 동향을 분석하고 있다. 중국군에 따르면 미래의 전쟁은 지능화 무기장비와 이에 상응하는 작전방법에 기초해 물리역·사회역·인지역에서 제반 작전역량이 통합돼 진행하는 ‘지능화전쟁’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AI 등 와해성(disruptive) 신기술의 발전으로 미래에는 ‘지능화작전’이라는 새로운 작전유형이 출현하면서, 작전목표·인프라·작전공간·지휘·무기체계·교전방식에서 새로운 질적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중국군은 지능화전쟁에 대비해 무기체계뿐만 아니라 군사전략, 작전이론, 군사인재 등 제반 영역에서 AI 등 첨단기술의 적용, 곧 ‘군사지능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군은 군사력의 질적 비약을 도모하고 ‘전역작전능력’을 구비해 장기적으로 ‘세계 일류 군대’를 건설하겠다는 구상이다. 본 연구는 지능화전쟁이 실제 도래할 경우 안보 위협의 성격이 근본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국가와 국방 차원의 전략적 대응을 서두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ses Chinese PLA(People’s Liberation Army)'s concept of future warfares, named as ‘intelligentized warfare’ which will be based on destructive technologies, especially artificial intelligence(AI). The Chinese military forecast that the future warfare will be intelligentized warfare which be combinedly conducted in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domain, or all domain by overall combat powers with intelligentized weapon systems and a corresponding new military operation art. The Chinese military expect that intelligentized operation will change combat target, combat infrastructure, combat space, command and control systems in the future battlefield as well. In oder to win the intelligentized future warfare, the Chines military had made an efforts to arm weapon systems, operation theory, and military strategy with disruptive technology such as AI, IoT, and cloud computing. In this regard, this paper accentuates that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will be fundamentally changed in the future by AI development and intelligentized warfare.

      • KCI등재

        6·25전쟁 시기 제2군단의 전투효율성으로 본 금성전투의 의의

        박일송 육군군사연구소 2020 군사연구 Vol.- No.150

        This paper analyzes the Battle of Kumsung at operational level. Though many and serious problems were observed, combat effectiveness of the ROK Ⅱ Corps was well high, especially compared to that of the earlier period. During the war, the ROK Army and KMAG had put many efforts to enhance the ROK Army's combat performance, and the ROK Army had been transformed to a new army. From July 13 to 19, 1953, the ROK Ⅱ Corps met a huge and heavy offensive since the Spring of 1951 and were forced to retreat from their main line of resistance. While retreating in a hurry and without orderly form, the ROK divisions lost control and command for a while. However, thanks to leadership and cohesion exercised by officers of the ROK Ⅱ Corps, they restored order soon enough to launch counter-offensive. Leadership, capability of a combined operation at operational level with artillery and tanks were key elements for the ROK's success. Still, there remained more to be learned, but at the last battle of the war, the ROK Ⅱ Corps represented as an army capable to fight, and thus, credible to rely on. The ROK Ⅱ Corps' combat effectiveness at the Battle of Kumsung provided a fundamental basis for detering North Korea after the war. ‘금성전투’는 국군의 작전 수행능력을 시험한 마지막 전투였다. 휴전회담의 개시 이후에 전선이 비교적 안정되자, 대한민국 육군은 발전의 호기로 삼았고, 미군과 국군은 육군의 획기적인 변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그 결과가 금성전투에서나타났다. 금성전투는 국군 제2군단을 중심으로 전개된 대규모 방어와 반격 작전이었다. 전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고 비판도 받았지만 작전적 수준에서분석하면 제2군단의 전투효율성은 대체로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지휘관 및 참모들의 리더십은 향상되었고, 이에 따라 대규모 작전을 지휘하는 능력도 이전에 비해 월등히 개선되었다. 포병과 전차의 지원을 바탕으로 보포 또는 보전포 협동작전을 실시하는 등 이전의 모습과는 완연히 다른 군대로 변모한 것이다. 그 결과로 자칫 ‘제2의 현리전투’가 될 수도 있었던 금성전투에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반격작전을 실시하여 금성천 이남 지역을 탈환하고 휴전을 맞았다. 특히, 중공군의 공세로 인해 철수하는 과정에서 혼선도 있었지만 이를 신속하게 수습하여 새로운 저지선을 형성하고 중공군이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 반격으로 전환한 것은 제2군단으로 대표되는 국군의 작전 수행능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한 측면에서금성전투는 국군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전투일 뿐만 아니라 이 전투에서보여준 국군의 작전 수행능력은 전후 대북 억제력 확보의 근간을 이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KCI등재

        아키텍처를 활용한 장기소요기획 방법론 연구

        이영근,한경석,황상규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5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2 No.4

        The future NCOE need the close and organic relation of all users connected withSoSs(System of Systems). But, the systematical Jointness of surveillance & reconnaissance, command& control and precision strike is not yet established in KOREA military. For this reason, theKOREA military make an effort to introduce the concept of joint capability assessment for theeffective requirement planning in the future uncertaint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scenarioarchitecture construction and usage which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Korea joint capabilityassessment system. At the new proposed method, the expert survey of capability assessmentis performed using the new type scenario architecture and a real case study is presented to showthe usefulness of the new proposed methodology. 미래 네트워크중심작전수행환경은 복합체계와 연계된 모든 사람들 간에 긴밀하고 밀접한 협조관계유지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한국군에게 있어 감시/정찰, 지휘/통제, 정밀타격 간 체계적인 합동성은 제대로 달성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군도 미래 불확실성 하에 효과적인 소요기획을 위한 방안으로 합동능력평가 개념을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합동능력평가체계 신뢰도 향상 방안으로 새로운 시나리오 아키텍처 구축 및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새롭게 제안하는 방안에서 능력평가 전문가 설문은 새로운 방식의 시나리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실제 현업에서 수행평가를 시행해 봄으로써 새롭게 제안하는 방안의 효용성을 검증해 보았다.

      • KCI등재

        공세적 통합 사이버작전을 위한 사이버 킬체인 전략

        김영환,이수진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6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3 No.5

        큰 위험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군사적 도발을 감행할 수 있으며, 사후 보복이나 확산에 대한 부담이 거의 없으면서 한국과 미국의 취약점을 파악할 수 있는 이상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사이버 능력은 북한의 군사전략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가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사이버작전 수행을 사전에 통제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명문화된 정책이나 전략의 부재로 인해, 북한의 사이버 능력 사용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 근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 킬체인 개념을 준용하면서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선제적 억제와 공세적 대응을 가능하게 해 주는 명문화된 기반전략으로서의 사이버 킬체인 전략을 제안한다. 기존 킬체인의 각 단계들은 작전 지휘관 및 작전 요원들에게 친숙한 개념이기 때문에, 제안된 사이버 킬체인 전략은 작전 지휘관 및 작전 요원들의 사이버 방어 전략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버 킬체인 전략을 현행 군사교리에 통합하는 것 또한 용이하다. Because cyber capabilities can provide a low-cost and low-risk military option for provocation and can be an ideal mean for exploiting the vulnerabilities of ROK and U.S. with low intensity and minimal risk of escalation or retaliation, cyber capabilities may have became a key component in North Korean military strategy. However, ROK has no firmly established norms that can be adopted to control or suppress the NK's cyber operations in advance, the NK seems to use their cyber capabilities continuously.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paper describes an offensive cyber kill chain strategy based on the traditional kill chain to provide a basis for enabling pre-emptive suppress and offensive response to NK's cyber attacks. Because each step in traditional kill chain is very familiar with combatant officers, our cyber kill chain strategy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yber defense strategy. This also makes it easy to integrate our cyber kill chain strategy and current military doctrines.

      • 육군 우주력 발전방향

        김종범(Jong-Bum, Ki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9 No.1

        육군은 기존에 이미 우주능력을 활용한 우주작전을 수행해 왔으며, 합동우주작전은 전 제대의 작전에 긴요한 요소이다. 육군 우주력의 합동성 강화를 위한 국방우주력 발전전략이 긴요한 시점이다. 우주는 지 · 해 · 공 · 사이버 공간과 함께 미래 5차원 전장의 하나이다. 육군 우주력의 현재 수준은 우주 공간의 상황 파악·관리, 우주 공간에서 지구상의 전쟁과 작전에 필요한 정보와 통신을 지원하는 수준이다. 미래 다차원 전장에서 우주력 운용 개념 정립, 합동성 구현의 관점에서 육군의 역할과 추진과제를 제시해 볼 필요가 있다. 대내외 환경변화를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우주군사력 동향 분석을 통한 육군의 우주작전 발전전망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다. The Army has already carried out space operations utilizing space capabilities, and joint space operations are essential elements in the operation of the entire uni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developing defense space power to strengthen the joint space power of the army. The space is one of the five-dimensional battlefields in the future - earth, sea, air, and cybers space. The current space power level is understanding and managing the situation in outer space, suppor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or wars, and operations on Earth in outer space. It is needed to suggest the rold of the army with the perspective of space power operation and realizing joint coordination in the future multi-dimensional battelefiel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development prosepcts of the Army"s space oper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rends of space military pow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