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상법,제도 : 전략물자 수출통제 자율준수제도(CP)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심상렬 ( Sang Ryul Shim ),소단 ( Shao Dan ),주이화 ( E Wha Joo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1 통상정보연구 Vol.13 No.4

        수출자에게 이중용도 품목의 최종용도와 수요자 확인의무를 부여하는 상황허가(Catch-all)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방지 등을 위한 기업의 전략물자 수출통제 자율준수제도(Compliance Program: C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은 아시아 최고의 전략물자 수출통제 국가로서 현재 1,600개 이상의 기업이 자율준수무역거래자로 지정되어 있다. 반면 한국은 2005년 자율준수무역거래자 제도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1년 10월말 현재 148개 기업만이 자율준수무역거래자로 지정되어 있다.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전략물자 수출통제 자율준수제도의 발전과정, 주요 내용 및 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의 자율준수제도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전략물자 수출기업의 자율준수제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전환 노력이 시급하다. 둘째, 자율준수제도에 대한 신속한 정보 제공과 함께 홍보 및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자율준수제도 관련 정부-기업 간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넷째, 자율준수제도의 발전 및 정착을 위한 한·일 간 다각적인 협력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Under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540/1810 in 2004 to restrict the proliferation of WM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heir means of delivery, many countries have taken great efforts to control the export of strategic items, thereby preventing the transfer of ABCM (atomic, biological, chemical weapons, missiles) and technologies and goods related to conventional weapons or dual-use items. Compliance Program (CP) in Korea or Internal Compliance Program(ICP) in Japan refer to a company`s internal system or rules to comply with the export control laws and regulations, and is to prevent the unintentional illegal export of strategic items. This paper analyzes the Compliance Program (CP) of strategic export control system between Korea and Japan. Both countries have very similar legal frameworks under the guiding principles of multilateral export control regime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actual procedures, classification service, supporting system, export license, sanctions for illegal exporters, etc. Korea should take more active and customer-oriented measures to promote the Compliance Program (CP) into Korean export companies for better awareness and positive attitude, practical information and education, smoothy government-firm communication, close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etc.

      • KCI등재

        전략물자 수출통제 자율준수제도(CP)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심상렬,소단,주이화 한국통상정보학회 2011 통상정보연구 Vol.13 No.4

        Under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540/1810 in 2004 to restrict the proliferation of WM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heir means of delivery, many countries have taken great efforts to control the export of strategic items, thereby preventing the transfer of ABCM (atomic, biological, chemical weapons, missiles) and technologies and goods related to conventional weapons or dual-use items. Compliance Program (CP) in Korea or Internal Compliance Program(ICP) in Japan refer to a company’s internal system or rules to comply with the export control laws and regulations, and is to prevent the unintentional illegal export of strategic items. This paper analyzes the Compliance Program (CP) of strategic export control system between Korea and Japan. Both countries have very similar legal frameworks under the guiding principles of multilateral export control regime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actual procedures, classification service, supporting system, export license, sanctions for illegal exporters, etc. Korea should take more active and customer-oriented measures to promote the Compliance Program (CP) into Korean export companies for better awareness and positive attitude, practical information and education, smoothy government-firm communication, close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etc. 수출자에게 이중용도 품목의 최종용도와 수요자 확인의무를 부여하는 상황허가(Catch-all)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방지 등을 위한 기업의 전략물자 수출통제 자율준수제도(Compliance Program: C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은 아시아 최고의 전략물자 수출통제 국가로서 현재 1,600개 이상의 기업이 자율준수무역거래자로 지정되어 있다. 반면 한국은 2005년 자율준수무역거래자 제도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1년 10월말 현재 148개 기업만이 자율준수무역거래자로 지정되어 있다.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전략물자 수출통제 자율준수제도의 발전과정, 주요 내용 및 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의 자율준수제도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전략물자 수출기업의 자율준수제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전환 노력이 시급하다. 둘째, 자율준수제도에 대한 신속한 정보 제공과 함께 홍보 및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자율준수제도 관련 정부-기업 간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넷째, 자율준수제도의 발전 및 정착을 위한 한․일 간 다각적인 협력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략물자 자율준수제도의 무역에 대한 효과 분석

        김현지(Hyun Jee KIM) 한국무역상무학회 2017 貿易商務硏究 Vol.74 No.-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Compliance Programin Korea on real trade and its implication by empirical analysis. First, through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the amount of permitted export by CP items (HSK10 units) during the period of 2010-2016 inKorea, it is revealed that the increase in export license of CP enterprises has a relatively greater effect on the increase in total imports by item. Secon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rating systemunder the optional CP in 2014, the increase in export licenses of CPcompanies has had a greater impact on the total export growth by items than before. Also, it is analyzed that the increase of export permission of CP companies has a relatively less effect on the increase of total imports by itemthan that of total export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CP has a positive effect on exports and imports, but i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erms of efficiency.

      • KCI등재

        이사의 감시의무와 내부통제제도, 자율규제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21.11.11. 선고 2017다222368을 중심으로 -

        박준영 한국상사판례학회 2022 상사판례연구 Vol.35 No.3

        This case study – focused on the Korean Supreme Court 2017Da222368 Decision – aims to review the main contents and legal issues of the Director’s Monitoring Duties, Internal Control System of Korean Commercial Act, and to analyze the concrete system in Competition Law area, on the purpose of producing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legal principle and self-regulation – which is strongly emphasized in Competition Law area nowadays.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the first decision, which has recognized the action of shareholders based on the illegal behavior of the Director and lack of Internal Control System, and therefore it will promote the shareholder derivative suits and it will stress the responsibility of observance of law of Directors. The main idea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legal principle of the Monitoring Duties will be concretized through the Court’s Decision, but especially from the point of the U.S. Court’s judgment of critical mission and the German corporation law’s stance of the differentiating duty – the legality duty(“Legalitätpflicht”) - view it must be more concerned and studied; secondly, the Duty of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Internal Control System has to be advanced on the one hand by substantializing the existing System, and on the other by recognizing and introducing the Control System which can prevent from violating the Competition Law; lastly,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n Competition Law area has to be developed, for example by guaranteeing the independence of the control manager, and realize the incentive structure. Ultimately, these progresses must be concerned on the balance of the legal principle of Commercial Law, and with the supplement of the corporate group view 본고는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 금지를 위반한 회사에 대해 손해배상청구를 주장한 주주들의 손을 들어준 대법원 2021.11.11. 선고 2017다222368 판결을 배경으로 하여, 상법상 이사의 감시의무의 주요 내용과 쟁점, 내부통제제도 법리의 핵심과 쟁점을 검토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공정거래 내부통제제도를 분석하여 동 제도의 향후 발전방향을 앞선 검토와 유기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판결은 14년 만에 내부통제제도의 불비를 근거로 제기된 주주의 소를 인용한 대법원 판결로서, 이를 통해 이사의 감시의무와 내부통제제도의 법리적 내용과 그 운영에 대한 관심이 제고될 것으로 예상된다. 판례의 태도가 합당한지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동 판결로 인해 향후 주주들의 소 제기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고, 대표이사 내지 이사의 법령준수 관련 책임이 강조될 것이다. 본고의 핵심 논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사의 감시의무 법리는 대상판결로 인해 보다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인데, 미국 Caremark 법리가 원용되고 있는 미국 법원이 제시한 회사의 가장 중요한 요소(critical mission), 형식적인 내부통제제도 운영은 동 제도의 부재로 볼 수도 있다는 판시사항 및 독일 회사법에서 이사의 감시의무와는 별개로 제시하는 법령준수의무(Legalitätpflicht)에 관해 보다 깊은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내부통제제도 구축ㆍ운영의무 또한 대상판결로 더욱더 강조될 것이고, 기존의 회계 관리제도, 준법지원인ㆍ준법감시인 제도의 내실화와 더불어 공정거래법 위반 방지를 위한 내부통제제도가 운영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 셋째, 공정거래 영역의 내부통제제도는 일정한 수준의 운영기간과 실적으로 나름의 기능을 소화하고 있고 최근의 자율규제 흐름에 따라 그 의미가 재조명되고 있지만, 자율준수관리자와 같은 제도 담당자의 독립성 보장, 인센티브 제도의 실질화 등을 통해 보완되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회사법상 내부통제제도 법리와 더불어 기업집단 관점의 내부통제 논의가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발주처 임직원이 관여한 입찰담합에 대한 공정거래법상 규율방안 고찰 - 교사 및 방조행위를 중심으로 -

        박경미 법무부 2021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95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appropriate regulatory scope and level of sanctions from a competitive legal perspective for bidding collusion involving executives or employees of the ordering company. The background is as follows. In May 2021, Korea's Fair Trade Commission(‘KFTC’) has created a new special team to investigate bidding collusion ordered by private companies. This is because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collusion cases in the bids they placed,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m effectively. In addition, KFTC asked an external research team to conduct the research in 2020. The research topic was about identifying the status of bid rigging involving the company that carried out the bid and effective regulation of competition law. KFTC attempts to punish even passive aiding and abetting activities in the bidding collusion. However, Korea’s courts impose sanctions only on third parties to actively engage in collus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output of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research is for the need and justification of sanctions against these acts. In this regard, the article is aimed at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ope of regulation and sanctions under the Fair Trade Act on the involvement of bidding collusion by ordering companies especially on aiding conducting, securing deterrence and efficient disciplinary measures. On the premise, I looked at environmental factors that facilitate bidding collus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e court of the latter part of Article 19 (1) of the current Fair Trade Act. Comparative legislative analysis of major legislative cases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UK market research system, which can be seen as a “competitive advocate activity” and the special law of Japanese control collusion (such as demanding improvement measures on the order party.) I am critical of actively regulating the involvement of bidding collusion, which has passive aiding and abetting of the ordering company.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specify the area of illegality, which can lead to errors in the judgment of violations. Even if it is subject to sanct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urrent level of collusion and differential consideration. A sound bidding system must be preconditioned to boost market competition, since prevention of bidding collusion involving the ordering party is eventually ought to rely on a sound bidding system. Therefore, a shift in thinking is needed to focus on prevention rather than post punishment. Thus, to solve the problem of bid rigging, the ordering company must improve the bidding system in a friendly and flexible way to encourage clients to proactively improve their tendering systems and to assign indirect responsibility for restoring market functions. Ultimately, in order to deter bidding collusion and guarantee execution capabilit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legal devices based on cooperation and trust between suppliers and competitors other than criminal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by competitors. In a way, I propose a legislative improvement plan to expand the scope of Article 3 of the Fair Trade Act's ‘Monopoly Market Structure Improvement System’ to cartel. This would allow the KFTC to conduct market research on certain markets where bid rigging is persistently repeat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UK market research system, and require the ordering party to implement the system improvement like Japan’s Special Act. If it is difficult to reflect overseas legislation cases(as of UK and Japan mentioned above), I propose ways to improve its “Fair Trade Self-Compliance Program”. Specific methods include: If the ordering company has conducted an aiding and abetting bidding and has excellent Fair Trade Self-Compliance Program’s evaluation, it may propose a market-friendly method, such as recommending improvement of the bidding system, ra... 공정거래위원회는 2020년 3월 발주처 임직원의 입찰담합 관여행위 운영실태 파악과 규율방안 검토 목적으로 연구용역을 추진하였으며, 2021년 5월에는 민간기관 발주 입찰담합에 대한 효과적 사건처리를 위하여 ‘민수입찰담합조사팀’을 신설한 바 있다. 이러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연구용역 추진과 최근 조직 신설은 향후 민간 등 발주처 임직원이 관여한 입찰담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발주처 입찰담합 관여행위 특히, ‘방조행위’ 중심으로 공정거래법상 규제범위 및 제재수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고질적으로 반복되는 입찰담합의 억지력 확보와 효율적 규율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이다. 우선 입찰담합을 용이하게 하는 환경적 요인 및 현행 공정거래법 제19조 제1항 후단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 및 법원 해석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주요 입법례의 비교법적 분석으로 ‘경쟁주창활동’으로 볼 수 있는 영국 시장조사제도 및 우리나라와 문화적, 환경적 상황이 유사한 일본 관제담합 특별법 규정(발주처에 대한 개선조치 요구) 도입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필자는 발주처의 입찰담합 방조행위는 수평적 사업자 간 담합 양상과 비교할 때 위법영역 특정이 어려우므로 적극적 규제 시 법 집행 오류가 우려되어 신중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제재대상으로 삼더라도 현행 담합 제재 수위와 차등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발주처가 관여된 입찰담합 억지력 확보는 강건한 입찰제도에 의존해야 하므로 발주처에 대한 처벌 보다는 선제적 예방에 초점을 두는 발상의 전환이 요구된다는 논지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공정거래위원회는 시장 친화적 방식으로 발주처가 입찰제도를 적극 개선하도록 유도하고, 발주처로 하여금 시장기능 회복을 위한 간접적 책무를 부여하는 유연적 사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 발주처 관여 가능성이 있는 입찰담합을 억지하고 실효성을 담보하려면 경쟁당국의 형사적, 행정적 제재 외 발주처 및 경쟁당국 간 협력과 신뢰에 기반한 법적장치 도입이 요구된다. 방법론으로 공정거래법 제3조 ‘독과점적 시장구조 개선제도’ 적용범위를 ‘부당한 공동행위’로 확장하는 입법적 개선안을 제안한다. 이로써 영국 시장조사제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입찰담합이 반복되는 특정 시장에 대하여 공정거래위원회가 선제적 시장연구를 수행하고, 일본 관제담합 특별법 규정과 같이 발주처로 하여금 제도개선 이행조치를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영국과 일본 입법례 도입이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면, 현행 공정거래위원회가 인증하는 ‘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CP)’에 대한 유인책 제도 개선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CP 등급평가결과 우수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여 발주처의 입찰담합 방조행위에 대해서는 제재 대신 입찰제도 개선권고 방식 또는 CP 등급평가 가점요소로 ‘공정거래법 위반 사안의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선과 이행실적’을 반영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른 유형의 제3자 관여 입찰담합과 달리 발주처의 방조행위가 문제된 경우는 사후 처벌이 아니라 조기경보 인지를 통한 예방 중심의 접근이 효과적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경쟁당국의 한정된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법 현실을 고려하여 입체적, 다각적 차원의 ...

      • KCI등재

        미국 법무부(DOJ) 반독점국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유인 제도 개선의 의의와 시사점

        배종군(Bae Jong-Goo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東亞法學 Vol.- No.87

        오랫동안 미국법무부(DOJ) 반독점국은 자율준수프로그램(CP)을 구축 · 운영하는 기업이 카르텔에 관여한 경우, 기업의 CP는 실패한 프로그램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CP를 유죄협상과정에서 기소 여부 또는 양형권고 단계에서 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반독점국은 2015년, 2건의 카르텔 사건의 유죄인정과정에서 기업의 적극적인 조사협조를 바탕으로 기소 및 양형권고 단계에서 벌금 감경 등 CP에 대한 유인을 인정하였다. 또한, 2019년 7월 11일, 기업의 ‘CP 효과성 평가’를 위한 독자적인 지침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CP 유인을 통해 기업의 조사협조 및 재발방지 등의 적극적인 자율준수 문화를 활성화하고, CP 유인 부여 절차의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반독점국의 CP유인 정책의 변화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경쟁당국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제카르텔의 집행 강화에 따른 대응으로 우리 기업도 리니언시 제도의 적극적인 활용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CP 이행에 대한 입증도 함께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기업의 카르텔 사전예방과 기업의 책임 감면 사유로서 CP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DOJ 반독점국의 ‘효과적인 CP 평가 지침’의 내용과 이에 영향을 준 미국의 기업 양형지침과 관련 사례의 분석은 현행 CP유인제도의 개선과 국제카르텔의 집행강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수단으로서 CP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previous DOJ’s Antitrust Division considered the Compliance Program(CP) to be a failed program if a company with pre-existing CPs was involved in a cartel. Therefore, the Antitrust Division refused to credit pre-existing compliance programs at the charging or sentencing phases in a criminal antitrust investigation. However, Starting in 2015, the Antitrust Division began providing credit for compliance programs created during an investigation. In addition, on July 11, 2019, the Antitrust Division issued its own ‘guidelines for Evaluation of Corporate Compliance Programs in Criminal Antitrust Investigations(effective CP evaluation guidelines)" to promote an active culture of self-compliance, such as corporate investigation cooperation and prevention of recurrence and to provide transparency and predictability of CP’s credit procedures. The Antitrust Division"s new CP policies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ajor competition authorities, including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strong sanctions of international cartels, Our companies are expected to be required not only to actively utilize the Leniency Program but also to prove the CP’s effectiveness. Thus, the role of CP as a reason for the prevention of cartels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reduc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us, the analysis of the United States Sentencing Guidelines and related cases that affected the Antitrust Division"s effective CP evaluation guidelines could giv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current CP incentive system and CP operations as a means of corporate response to strong sanctions of international cartels.

      • KCI등재

        국제수출통제체제의 자율준수제도와 유사 국제표준에 관한 비교연구

        김현지 ( Hyun-jee Kim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수출통제체제에 따른 전략물자 CP 제도와 국제표준인 ISO 9001, KS 인증 및 ISO 19600를 비교함으로써 전략물자 CP 제도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제수출통제체제 하에서 자율준수제도(전략물자 CP)와 품질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9001은 제품이 아닌 경영체계의 측면에서 심사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그러므로 ISO 9001 인증을 받은 기업이 전략물자 CP로 지정될 경우 그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특혜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준법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19600과 전략물자 CP는 목적과 적용범위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자율관리체제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준을 제시한다. 특히, ISO 19600를 통해 운영능력을 인정해주는 자격제도를 운영할 수 있으므로,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공정경쟁연합회는 이를 기반으로 컴플라이언스 경영 전문가 자격제도(공정거래 CP)를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전략물자 수출기업의 CP 활성화를 위해 공정경쟁연합회와 MOU를 체결하여, 컴플라이언스 경영 전문가 자격검정 교육에 전략물자 교육을 추가하는 등의 협력 사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rategy to efficiently implement the strategic trade CP system by comparing the CP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9001, KS certification and ISO 19600. Under the international export control system, the self-compliance system (strategic trade CP) and ISO 9001,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quality management systems, are very similar in that they are examined in terms of management systems rather than products. Therefore, when an ISO 9001 certified company is designated as a strategic trade CP, it can be granted preferential treatment such as streamlining procedures. In addition, ISO 19600,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compliance management systems, and the Strategic trade CP provide the necessary standards for operating a self-regulatory system, regardless of their purpose and scope of applic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qualification system that recognizes operational capability can be operated by ISO 19600, the Fair Competition Federation under the Fair Trade Commission operates a compliance management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fair trade CP) based on this. Thus, MOUs with the Fair Competition Federation should be concluded in order to activate the CP of companies exporting strategic materials, and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adding strategic trade training to the compliance management profess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 KCI등재후보

        상장법인에 대한 내부통제와 준법지원인 제도의 도입타당성 고찰

        성희활(Seong Hye Hwal)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硏究 Vol.12 No.2

        현재 시행중인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제도와 이에 대한 운영책임자인 준법지원인 제도를 기업, 특히 상장법인에도 도입하자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은 상장법인들에게 내부통제, 정확히는 준법관리시스템과 이를 담당하는 준법지원인 제도의 도입 타당성을 검토하여 그 필요성을 역설하고 바람직한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제도 도입의 전제로서 기업은 금융회사와 속성이 다르므로 차별화된 제도 도입이 요망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도의 주요 내용을 보면, 도입근거 등과 관련하여 내부통제제도의 범위를 준법관리로 제한할 것과, 엄격한 법적 의무화 보다는 거래소 상장규정을 통한 완화된 의무화를 고려해 볼 것과, 그리고 기업 규모를 감안한 비례적 도입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준법지원인 제도의 내용으로는, 법무실 및 감사조직과 분리하고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보고라인을 이사회로 할 것과, 준법지원인의 자격을 준법지원업무 담당자와는 분리하여 준법지원인의 자격은 기업 자율에 맡기되 업무 담당자는 변호사(외국변호사 포함)로 자격을 제한할 것을 권고하였다. 무엇보다도 내부통제시스템의 성공적 정착의 핵심 요건으로 형사적, 행정적, 민사적 인센티브가 가장 중요하므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가급적 상장법인들이 자발적으로 내부통제를 도입하도록 배려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마지막으로 법률교육이나 변호사 양성에 있어서 기업의 수요를 감안한 전문교육의 확대가 중요하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makes a study on the propriety of introduction of ‘internal control system’ and ‘compliance officer’ to listed companies.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nd the compliance officer have been in force for financial companies in Korea since 2001. To begin with, the study points out as a basic principle that a corporation needs a different system from that of a financial company since they have different intrinsic attributes. The detailed assertions of the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scope of the system and a legal basis, the scope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for a listed company needs to be limited to the compliance of laws and regulations excluding risk management operation. Also, the internal control system had better be obligated not by a statute but by a more flexible rule of Korea Exchange. In addition, the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companies. Second, in regard of the compliance officer, the officer had better be separated from the legal and audit departments, and the officer needs to be under control by a board instead of an internal auditor. Besides, the compliance officer is recommended to be separated from a person directly in charge of the compliance work. In the case, the paper suggests that there be no qualification on the compliance officer, bu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mpliance affairs be a lawyer including a foreign lawyer. Next, the study shows how much important the incentives are for more adoption of the compliance system by listed companies by introducing good examples of other countries. The incentives may be provided from the criminal, administrative and civil sides. Finally, it is emphasized that more specif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needs of companies are very important for training a qualified lawyer for the compliance work.

      • KCI등재후보

        FTA 시대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과제

        정웅 한국통일전략학회 2008 통일전략 Vol.8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from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 trade institution including FTA and export control, to grope for the institutional tasks for the activation of inter-Korea trade in the FTA era. This study suggests, as the first institutional task, the securing of recognizing products made in North Korea as those of South Korea in the FTA negotiation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confirmation of preferential rules of origin is of importance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with Japan, Canada, U.S,A. which now apply non-preferential tariff to North Korea. When making preferential rules of origin, it is of great advantage to follow the type of Integrated Sourcing Initiative in the way of Korea-Singapore FTA. This paper suggests, as the second institutional task, the effective export control of strategic items for North Korea.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some suggestions are offered which compris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llegal trade response system with informed compliance, specialist pool, Korea-U.S. cooperative arrangements. It is advisable that South Korea Authority and corporations should take the active posture to accept FTA and export control as not another Non-Tariff Barriers, but a new trade order. 북한의 제한된 수출능력과 폐쇄적 체제 성격을 고려할 때 남북교역은 북한의 탈사회주의 경제개방을 확대시켜나가는데 결정적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남북교역의 활성화는 남북한뿐만 아니라 국제적 교역환경에 영향을 받는 바, 특히 무역질서와 같은 제도적 측면에서는 현재 세계적으로 확산추세를 보이고 있는 FTA와 전략물자 수출통제제도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과제로서 첫째, FTA 협정상 북한 생산물품의 남한원산지 인정확보 문제를 제기하였다. 특히 향후 북한산 제품에 대해 차별적인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인 미국, 캐나다, 일본 등과 같은 국가들과의 FTA 협상과정에서 특혜원산지규정을 제도적으로 명문화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북한지역 생산 제품의 원산지 인정 특례규정을 마련할 때에는 한-싱가포르 FTA에서와 같은 ISI방식을 따르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역외가공방식을 따르더라도 허용 역외비용의 비율을 높이고, 역내산 재료 사용 비율을 낮추는 것이 유리하다. 원산지 인정 특례의 적용대상 지역에 대해서는 MFN대우 원칙 위반 문제 등을 고려하여 개성공단과 같이 북한의 특정지역을 명시하는 규정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한 두 번째 과제로는 대북 전략물자 반출의 효과적 통제를 제기하였다. 전략물자 통제제도를 위반하는 기업이 빈발할수록 해당기업에 대한 제재와 함께 남한의 국가 신뢰도는 추락하게 되고, 결국 안정적인 남북교역의 진전과 활성화는 어렵게 된다. 대북 전략물자 반출통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관기관간 협력체계 구축과 자율적 법규준수체제 도입 등을 포괄한 전반적인 불법수출 대응체계의 제도화, 전략물자의 정확한 판정을 위한 전문가풀의 확보, 한-미간 긴밀한 협의체제 구축이 요구된다. 우리 정부와 기업은 FTA 원산지제도 및 전략물자 수출통제제도를 선진국에 의한 또 하나의 비무역장벽으로 이해하는 수동적 자세에서 벗어나, 새로운 무역질서에 적극 참여하여 남북교역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한반도 경제권의 형성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능동적 자세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략무역자율준수제도에서의 등급제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이충배(Choong-Bae Lee),신창욱(Chang-Wook Shin) 한국관세학회 2011 관세학회지 Vol.12 No.4

        With growing threats of terror and national security around the world, export control systems have become of significance. Korean government has also taken effect laws and regulations for export controls of strategic materials while joining international arrangements such as the Australisa Group, the Nuclear Suppliers Group(NSG), and the Wassenaar Arrangement on Export Controls for Conventional Arms and Dual-Use Goods and Technologies, which seeks to prevent destabilizing accumulations of conventional arms and specific dual-use technologies and thereby contribute to regional and international security and stability. Although Korea Strategic Trade Institute, a Ministry of Korea Knowledge Economy-affiliated organization, has undertaken compliance program for export controls of strategic materials, a few companies have adopted the syst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by the government to introduce the grading system in the compliance program of export controls. The system is intended to provide a lot of incentives to the companies which comply to high grades in order to induce more companies to participate the compliance progra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introduce grading system in compliance program and what kinds of incentives for inducing more corporations in the system are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